KR100455962B1 - 2개부재를분리가능하게고정하는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2개부재를분리가능하게고정하는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962B1
KR100455962B1 KR10-1998-0705138A KR19980705138A KR100455962B1 KR 100455962 B1 KR100455962 B1 KR 100455962B1 KR 19980705138 A KR19980705138 A KR 19980705138A KR 100455962 B1 KR100455962 B1 KR 100455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lamping device
slide
members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7008A (ko
Inventor
마르셀 스트뢰슬레
쿠르트 츌리그
Original Assignee
시마인터컨티넨탈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인터컨티넨탈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시마인터컨티넨탈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9007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5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the tubes being drawn towards each other
    • F16B7/0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the tubes being drawn towards each other by rotating an eccenter-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20Connections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behind a blind side of an element to be conn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40Clamping arrangements where clamping parts are received in recesses of elements to be connec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6Joints and connections having a cam, wedge, or tapered portion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lide Fastener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Advancing Web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Toy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 장치는 삽입 코어(1)가 2 개의 반면상 부재에 삽입되어 제 1 반면상 부재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삽입 코어 내에서 축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7)가 클램프 훅(13, 14; 133)을 갖는 두개의 피벗 가능한 클램핑 요소(11)를 받쳐서 상기 클램프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 2 반면상 부재(15)의 개구에 삽입하여 제 2 반면상 부재(15) 부분에 클램핑 압력을 가하여 개구를 일부 막는 2 개의 반면상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삽입 코어(1)는 슬라이드(7)를 축 이동시키기 위한 편심 수단(5)을 구비한다. 삽입 코어(1)에는 축 이동시에 클램핑 요소를 교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2 개의 경사면(43)이 형성된다. 클램핑 훅(13; 14)에 부가하여, 클램핑 요소(11)는 굽은 스트립을 갖는 힌지 훅(34)으로서 스트립 형상부를 포함한다. 슬라이드(7)는 힌지 훅(34)을 피벗할 수 있게 거의 틈새가 없이 삽입할 수 있는 오목부(10)를 갖는 평평한 단부(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c l a m p i n g)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서문에 의거한 2 개의 반면상 부재(profile pieces)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클램핑 장치는 DE-A-42 25 926에 공지되어 있다. 이 클램핑 장치의 경우에, 2 개의 클램핑 요소는 슬라이딩면 시스템에 의해서 볼트의 축방향 이동 중에 유지 부분이 피벗되도록 축방향으로 변위된다. 상기 유지 부분의 자유 단부 영역은 각각 피벗 중에 소정의 클램핑 압력을 가하도록 훅(hook)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클램핑 장치는 두 개의 클램핑 훅이 힘을 받고, 서로 다른 범위의 힘에 노출되므로, 그 결과, 한편으로는 경사의 발생으로 인해서 조립하기가 곤란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극(遊隙)을 나타내기 때문에 마모가 증가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설계 치수에 여유를 주어야 하며, 따라서 클램핑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또 다른 장치는 EP-B1-0 506 607에 공지되어 있다. 이 클램핑 장치의 경우에, 볼트는 복수의 지지편을 피벗(pivot) 가능하게 탑재하기 위한 탑재 수단을 가지며, 각 지지편과 삽입 코어의 내벽은 볼트의 축방향 이동시에 지지편을 피벗시키기 위해 슬라이딩면 시스템을 구성한다.
또한 프랑스 특허 명세서 제 2,152,941호에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배치된 핀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탑재된 유지 요소를 갖춘 제 1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슬라이딩면을 통해서 볼트와 결합하는 볼트나 나사를 전혀 갖지 않으며, 대신 유지 요소가 하우징의 너비에 상당하는 높이의 편심기(eccentric)에 의해 피벗된다. 하우징에는 유지 요소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들을 피벗하게 하는 슬라이딩면이 없으며, 대신 슬라이딩면은 편심기 내에, 그리고 유지 요소 또는 유지 요소를 이동시키는 가압편(pressure-exerting piece)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프랑스 특허 명세서에 기재된 제 2 장치의 경우에 볼트는 하우징 내를 가로질러서 탑재되어, 유지 요소를 피벗하기 위한 슬라이딩면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훅으로 기능하는 단부가 굽은 평평한 래치는 EP-0 238 848 B1에 기재되어 있다.
이상의 종래 기술을 출발점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언급한 클램핑 장치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힘을 받고, 구성이 더 평평하며, 또한 양호한 클램핑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특징을 지닌 클램핑 장치의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보다 유리한 구성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이하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삽입 코어를 가진 닫힌 상태의 신규의 클램핑 장치의 편심축을 따른 단면도.
도 2는 닫힌 상태의 상기 클램핑 장치와 그 슬라이드의 일부 평면도.
도 3은 삽입 코어를 가진 열린 상태의 신규의 클램핑 장치의 편심축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열린 상태의 상기 클램핑 장치와 그 슬라이드의 일부 평면도.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4의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상기 슬라이드의 도면.
도 9는 신규의 래치의 측면도.
도 10은 신규의 래치의 평면도.
도 11~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한 가로대의 도면.
도 14~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한 편심기의 도면.
도 17은 삽입 코어를 가진 닫힌 상태의 신규의 클램핑 장치의 편심축을 따른 단면도.
도 18은 상기 클램핑 장치와 그 슬라이드의 일부 평면도.
도 19는 세로축과 직교하는 평면에서의 상기 클램핑 장치의 편심부의 단면도.
도 20~도 22는 상기 슬라이드의 도면.
도 23은 신규의 래치의 측면도.
도 24는 신규의 래치의 평면도.
도 25는 래치의 정면도.
도 26은 상기 실시예의 하우징 저부의 평면도.
도 27은 도 26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28은 하우징의 정면도.
도 29 및 도 30은 상기 하우징의 덮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예를 들어 판금속으로 되어 있고, 제 1 반면상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삽입 고정되며, 기부(base part)(2)와 덮개(2')를 구비한 삽입 코어(1)를 나타낸다. 삽입 코어(1)의 덮개(2')에는 편심기(5)의 헤드(4)를 수용하기 위한 가로방향 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기부(2)와 덮개(2')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특히 스탬핑한 요소로 제조된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및/또는 강체 앵커, 즉 슬라이드(7)를 수용하기 위한 길다란 내부 공간(6)이 위치한다.
또한 반면상 부재는 예를 들어 CH-A-576 591 또는 EP-B1-0 506 607 또는 EP-B1-0 123 68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요소로 구성할 수가 있다.
앵커(7)는 내부 공간(6)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또한 도 1에만 도시된 코일 스프링(8)이 편심기와 기부(2) 사이의 공간(54)(도 14)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도 2는 넓고 평평한 구조로 되며, 또한 클램핑체라고도 부르는 지지편, 즉 래치(latch)(11, 12)를 피벗 가능하게 탑재하기 위한 2 개의 직사각형의 개구(10, 10')가 있는 상부 결합부(9)를 구비한 슬라이드(7)를 나타낸다. 상기 지지편은 클램핑 훅으로서 기능하는 노즈(nose)(13, 14)를 가지며, 이들이 반면상 부재(15)의 개구로 삽입되어 반면상 부재(15)의 부분에 클램핑 압력을 가해서, 개구의 일부를 막으며 이들 래치(11, 12)는 비대체식(도 2)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노즈(13, 14)를 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해서 대체식(도 1)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클램핑 장치의 편심기(5)는 비교적 높은 편심 헤드(4)와, 편심기 롤러(16)는 편심 헤드(4)에 대해서 편심적으로 배치된 편심기 롤러(16)와 편심 헤드와 동축인 샤프트(17)를 갖는다.
도 3 및 도 4는 열린 상태의 클램핑 장치를 나타내며,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편심 헤드(4)가 덮개(2')의 개구(3)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의한 슬라이드(7)는 기본적으로 중앙부에 외측으로 확장한 2 개의 짧은 평행 가장자리부(18, 19)를 갖는 판형의 단편과 도 8의 우측 저부로 뻗은 비대칭 슬롯 형상으로 된 개구(20)로 구성된다.
도 9 및 도 10에 의한 래치(11, 12)는 기본적으로 길다란 판형의 단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래치는 중앙 부분이 약 5°의 미소한 각α로 굽어 있어서, 하측의 거의 직선인 래치부(27)와, 왼 쪽과 오른 쪽에 각각 폭이 넓은 가장자리부(30, 31)를 갖는 상단부(29)로 구성된 상측의 거의 직선인 래치부(28)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각 α에 대해서 1°≤α≤10°의 관계를 적용할 수 있다. 가장자리부(30, 31)를 갖는 단부(29)는 첫 번째 굽힘에서 바람직하게는 30°에서 50°의 각β로 오른쪽으로 구부리고, 두 번째 굽힘에서 거의 동일한 각β로 왼 쪽으로 구부려서, 래치부(27)의 넓은 측과 거의 평행하게 뻗는 평면으로 되는 전이부(32)(도 9)로 구성된다. 도 9에서 상측의 래치부(28)의 상단부(29)의 단부는 약 180°왼쪽으로 굽혀져서, 제 1 훅 즉 클램핑 훅(33)을 형성한다. 또한 도 9에서 하측의 래치부(27)의 끝 영역은 180°의 각도로 오른쪽으로 굽혀져서 제 2 훅 즉 힌지 훅(hinge hook)(34)을 형성한다.
래치의 힌지 훅(34)은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드(7)의 개구(7)내에 느슨하게, 그러나 유극(遊隙)(play)이 없도록, 구체적으로 말해서 래치가 적어도 미소한 각도로 피벗될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드(7)는 기부(2)의 2 개의 세로로 길다란 벽부(35, 36)(도 2)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벽부(35, 36)는 각각 길다란 개구(37, 38)를 구비하며, 각 벽부의 단부측이 슬라이드(7)의 확장한 가장자리부(18, 19)의 슬라이딩면을 형성한다. 개구(37, 38)는 가장자리부(18, 19)보다 이동 경로를 구분 및/또는 한정할 수 있는 만큼 길다.
도 11에 의한 가로대(40)는 길다란 구조이고, 그 양단의 각각에는 짧은 확장부(41, 42)를 구비하며, 확장부는 클램핑 장치의 좁은 측벽의 대응하는 개구에 가로대를 고정시킨다. 도 11에서 가로대의 좁고 길다란 가장자리는 가로대(40)의 외부의 길다란 단부의 길이(B)의 절반보다 짧은 2 개의 확장부(43, 44)를 구비하며, 상기 길이(B)는 클램핑 장치의 내부 공간의 너비에 상당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 한 확장부(43)는 아래로 굽으며, 다른 확장부(44)는 위로 굽는데 구체적으로 말해서 각각 약 45°~55°의 각(g)으로 구부린다. 도 11은 확장부(43, 44)가 너비(Bs)의 차폐물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단면이 거의 U자형인 기부(2)의 베이스(45)(도 1)는 내부에 환형 비드(bead)(47)가 있는 원형의 개구(46)를 구비한다. 베이스(45) 내부의 비드(47)와 벽부(35, 36) 사이에는 2 개의 평행한 절개부(incision) 사이에 돌출한 둔부(臀部)(48)가 위치하며,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여 뻗어 있다. 마찬가지로 개구(46)에 인접하는 벽(35, 36)의 베이스(45)는 마찬가지로 각각 혹처럼 돌출된 내부 돌출부(49, 50)를 구비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의한 전체의 높이가 H의 편심기(5)는 직경 Dk와 높이 Hk의 상술한 편심 헤드(4)와, 직경 Dw의 편심 롤러(16)와, 직경 Da의 편심 샤프트(17)로 구성된다. 편심 롤러(16)는 편심 헤드와 편심적으로 일체로 구성되며, 대응하는 편심도는 도 15에서 e로 설정된다. 편심 롤러는 편심 헤드(4)와 동심인 환형 의 구멍(54)의 내측에 형성된 2 개의 월점(月點)(52, 53)을 갖는 거의 월형(月形)의 벽(51)을 구비한다. 편심 샤프트(17)는 상기 구멍(54)의 내부 공간에 구멍으로부터 높이 Hv만큼 돌출하여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편심 롤러(16)의 전체 높이는 Hw이다. 도 15에서 월형 벽(51)은 반경 Rw = Dw / 2의 원과 반경 Rb의 구멍(54)의 호 사이에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편심 헤드(4)의 단부측에는 마킹(55)이 형성되며, 그 내측 단부는 편심 헤드(4)의 기하학적 회전축으로부터 Ak의 거리에 위치하고, 또한 편심 헤드(4)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크(torque)를 전달하기 위해 그 단부측에 공구 장착면(56)을 구비한다.
덮개(2')(도 1 및 도 3)는 기본적으로 편심 헤드(4)용의 원형 구멍(3)에 부가하여, 기부(2)의 돌기(59~62)(도 2)와 서로 작용하는 4개의 작은 개구(57, 58, …)가 있는 판형의 단편으로 구성된다. 돌기(59~62)가 4개의 개구(57, 58…)에 삽입되어 덮개(2')가 탑재되면, 하우징은 리베팅(riveting)으로 제조 단계에서 리벳팅으로 밀폐된다.
개구(57)와 상측 덮개 단부 사이의 영역에서, 덮개(2')는 좌우에 각각 돌출부(63, 64)를 구비하며, 이들은 각각 돌출한 형상으로 굽혀져서, 기부(2)의 측벽(35, 36)의 각각 대응하는 절결부(63' , 64')(도 2)와 서로 작용하여 가로대(40)의 확장부(41, 42)를 각각 그 사이에 고정한다.
슬라이드(7)의 개구(10)의 반대편의 덮개에는, 2 개의 평행한 절개부 사이에 혹처럼 돌출하며 슬라이드(7)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내부 둔부(65)가 위치한다. 상기와 유사하게 슬라이드(7)의 개구(10')의 기부에는, 2 개의 평행한 절개부 사이에 혹처럼 돌출해서 마찬가지로 슬라이드(7)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내부 돌출부(65' )가 위치한다.
안내 개구(37, 38)의 근방의 덮개(2')는 좌우에 각각 돌기 돌출부(66, 67)(도 6)를 구비하며, 이들은 각각 돌출한 형상으로 굽어져서, 기부(2)의 측벽(35, 36)의 대응하는 절결부 중의 한 개와 서로 작용하여 가장자리부(18, 19)(도 8)를 그 사이에 안내한다.
도 1 내지 도 16에 의한 신규의 클램핑 장치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기능한다.
래치(11)와 래치(12)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11)의 힌지 훅(34)은 위로부터 개구(10)에 삽입되는 반면, 래치(12)의 힌지 혹은 아래로부터 개구(10')에 삽입된다. 열림 상태에서는(도 3) 슬라이드(7)는 밖으로 강제적으로 이동되며, 래치(11, 12)의 2 개의 클램핑 훅은 서로 평행해서 기부(2)와 덮개(2' )로 형성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편심기는, 월형 벽(51)이 이 위치에서 자유 이동 경로를 가지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8)의 작용에 대항해서 덮개(2')의 개구(3)를 통하여 적어도 편심 헤드(4)의 단부면이 덮개(2' )의 외측면과 일직선이 될 때까지 강제적으로 하우징에 압입된다. 그러나 외압이 없으면 스프링(8)은 헤드(4)가 구멍(3)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작용하는데, 이는 제 1 반면상 부재를 클램핑 장치로 고정시키는데 유용하다.
편심기(5)의 회전시에 편심 롤러(16)는 슬라이드(7)의 개구(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므로, 슬라이드(7)는 강제적으로 내측으로 이동되어, 래치 영역(32)(도 9)의 램프(ramp)는 가로대(40)의 경사면(43, 44)에 대해 활주하고, 그 결과 래치가 외측으로 피벗됨으로써, 클램핑 장치가 닫히거나 고정된다. 닫힌 상태에서는 편심 롤러(16)의 월형 벽(51)이 돌기(48) 상에 지지되고, 그 결과 편심 헤드(4)는 하우징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며, 이에 따라 제 1 반면상 부재의 대응하는 개구에 포획된 상태로 계속 고정된다. 그러나 열린 상태에서는 편심 롤러(16)의 월형 벽(51)은 돌기(48)로부터 더욱 멀어지므로, 편심기(5)는 스프링(8)의 작용에 대항해서 하우징 내부로 강제적으로 압입되어, 클램핑 장치를 제 1 반면상 부재로부터 분리시킨다.
클램핑 장치는 편심 헤드(5)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열리게 된다. 돌출부(65, 65')는 래치가 이어지는 이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즉 직선 위치로 변환되도록 배치된다. 래치를 닫힌 상태로 보다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덮개(2' )의 단부와 기부(2)의 단부가 상기 위치에서 굽은 확장부(68)(도 1)를 각각 구비할 수가 있다.
힌지 훅(34)은 평평한 구조가 바람직하며 평면 설계이고, 그 2 개의 굽힘부 사이에 클램핑 요소의 스트립 형상부(27, 28)의 두께의 절반 이하, 예를 들어 1/3 정도와 같이 가능한 한 작은 공기 틈새(69)를 형성한다.
슬라이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면 시스템은 CH-576 591에 공지의 시스템이어도 좋으며, 슬라이드에 설치된 볼트에서 원뿔형의 선단부와 원뿔형의 오목부가 편심적으로 서로 작용함으로써 표면을 조이는 나사를 구비한다.
각종 부분은 두께 0.5 ~ 3 mm, 특히 1.0 ~ 2.5 mm의 강판을 스탬핑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단편은 담금질 및/또는 아연 도금하여도 좋다. 편심기(5)는 고강도 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 훅(34)의 단부면(70)은 힌지 훅(34)의 대칭면(71), 구체적으로 말해서 바람직하게는 돌출하는 외부 모서리(72)에 대해 90°가 아닌 각을 이루어도 좋다.
또한 클램핑 장치는, 예를 들어 슬라이드(7)의 대응하는 개구(10)에 힌지 훅이 각각 수용된 3개 이상의 래치를 대신 구비하여도 좋다.
슬라이드(7)는 그 중앙부와 결합부 사이에 계단식으로 구부린 연결 부분(73)을 구비함으로써, 중앙부와 결합부의 클램핑 요소의 두께 크기만큼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는 2 개의 적어도 거의 평행한 기준면을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은 예를 들어 판금속으로 된 삽입 코어(102)를 나타내며, 제 1 반면상 부재(101) 내로 압입되어 거기에 고정된다. 삽입 코어(102)의 덮개(102')에는 편심기(105)의 헤드(104)를 수용하기 위한 가로방향 구멍(103)과, 다이캐스팅에 의해, 특히 스탬핑한 요소로 제조된 바람직하게는 비탄성 및 /또는 강체의 앵커, 즉 슬라이드(107)를 수용하기 위한 길다란 내부 공간(106)이 위치한다.
반면상 부재(101)는, 예를 들어 CH-A-576 591 또는 EP-B1-0 506 607 또는 EP-B1-0 123 683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로 구성할 수가 있다.
앵커(107)는 내부 공간(106)에 이동 가능하게 탑재되며, 또한 도 17에만 도시된 코일 스프링(108'), 즉 판 스프링은 편심기(105)의 베이스측 내부 구멍(108)에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8은 넓고 평평한 구조로 되며, 또한 지지편, 즉 래치(111, 112)를 피벗 가능하게 탑재하기 위한 샤프트(110)를 가진 상부 결합부(109)를 구비한 슬라이드(107)를 나타낸다. 상기 지지편은 그 자체가 공지이며 노즈(113, 114)(도 17)를 구비하며 이들이 반면상 부재(15)의 부분에 클램핑 압력을 가해서, 개구의 일부를 막으면 이들이 반면상 부재(115)의 개구로 삽입되며, 이들 래치(111, 112)는 비대체식(도 18)으로 탑재할 수도 있고(도 18), 노즈(113, 114)를 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해서 교대로 탑재(도 17)할 수도 있다.
클램핑 장치의 편심기(105)는 직경d의 비교적 높은 헤드(104)와, 편심 헤드(104)에 대해서 편심적으로 배치된 직경 D의 편심기 롤러(116)와, 편심 헤드와 동축이며 편심기(105)의 베이스측 내부 구멍(108)으로부터 돌출하는 샤프트(117)를 구비하며, 이 때 D > d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의한 슬라이드(107)는 기본적으로 2 개의 평행하고 굽은 가장자리 스트립(118, 119)을 갖는 판형의 단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드(107)의 베이스는 2 개의 평평한 베이스부(121, 122) 사이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의 개구(120)와 2 개의 가장자리 스트립(118, 119)을 구비한다. 스트립(118, 119)의 상측은 각각 둥글고 돌출한 확장부(123, 12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부는 각각 샤프트(110)를 탑재한 구멍(125, 126)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는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여 탑재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굽은 가장자리 스트립(118, 119)은 아래로 향하고, 그 결과 슬라이드(107)의 단부측은 대략 H자 형상(도 22)의 구성으로 된다.
도 23 내지 도 25에 의한 래치(111)는 기본적으로 위로 굽은 2 개의 평행하고 넓은 위로 굽은 가장자리부(127, 128)를 갖는 길다란 판형의 편으로 구성된다. 가장자리부(127)의 상부는 반원 구조이고, 가장자리부(128)의 상부는 2 개의 둥그런 귀퉁이를 갖는 사다리꼴로 확장되어 있다. 가장자리부(127, 128)는 각각 일부가 원형인 개구(129, 130)를 구비하며, 이들 개구는 래치를 샤프트(110) 상에 탑재하기 위해 동축으로, 그리고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여 배치된다.
가장자리부(128)와 대향하는 래치는 아래로 굽어 확장된 가장자리부(131)를 가지며, 오른쪽 아래로 확장한 램프(132)(도 23)가 형성되어 있다. 사다리꼴(128)로부터 먼 쪽에 있는 래치의 우단 부는 오른쪽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도 24), 상기 단부의 끝 부분은 훅(133)을 형성하기 위해서 거의 180°로 위로 구부러져 있다. 한편, 개구(129, 130)가 위치하는 가장자리부(127, 128)의 상부측으로부터 먼 쪽에 있는 래치의 좌단부의 연장 부분은 좁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경사면(134)을 형성하기 위해 어떤 각도를 가지고 아래로 구부러져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의한 하우징, 즉 새시(chassis)는 기본적으로, 거의 U자형이고, 거의 돌출된 하우징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좌단부가 넓고 내측으로 굽은 단부(137, 138)를 구비한 2 개의 평행한 확장 가장자리부(135, 136)를 갖는 길다란 판형편으로 구성된다.
그 우측 개방단 영역에, 벽(135, 136)은 각각 래치 훅의 덮개나 또는 보호용으로 바람직하게는 설형(舌形) 확장부(139, 140)를 구비한다. 상기 끝 영역에, 하지만 상기 확장부 앞에, 벽(135, 136)의 상단 영역은 혹 모양으로 압착되고, 각각 돌출부(141, 142)가 설치된다. 단부(137, 138)에는 또한 각각 위로 향한 돌출부(143, 144)가 설치된다.
하우징의 베이스(145)는 내부에 환형 비드(147)가 있는 원형의 개구(146)를 구비한다. 베이스(145) 내부의 비드(147)와 벽부(137, 138) 사이에는 2 개의 평행한 절개부 사이로 돌출한 돌출부(148)가 위치하며, 슬라이드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여 뻗어 있다. 개구(146)에 인접하는 벽(136)의 영역의 벽 영역(136)에는 혹처럼 돌출한 내부 돌기(148')가 형성되고, 이 돌기(148' )와 대향하고 있는 다른 벽(135)에는 직사각형 개구(149)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1, 142)에 인접하는 베이스(145)의 영역의 베이스(145)에는 직사각형 개구(150)를 구비한다. 개구(150)와 구멍(146) 사이의 중앙 영역의 베이스(145)에는 바람직하게는 구멍(146)보다 구멍(150)에 더 가깝게 위치한 다른 직사각형 개구(15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8)와 비드(147)가 하우징의 대칭면에 대해서 대칭하여 위치하는 한편, 개구(150, 151)의 중점은 이 대칭면으로부터 각각 거리 a 및 b만큼 떨어져 있고, 여기서 b > a이다.
도 29 및 도 30에 의한 덮개는 기본적으로 편심 헤드용의 비교적 큰 원형의 구멍(152)과, 돌기(141 내지 144)용의 4 개의 작은 개구(153~156)와, 각각 개구(150, 151)와 동일한 기능의 개구(157, 158)를 갖는 판형의 단편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개구(151, 158)는 서로 같은 크기이거나, 역시 서로 같은 크기인 개구(150, 157)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141 내지 144)가 개구(153 내지 156)에 삽입되어 덮개가 탑재되면, 하우징은 리베팅에 의해 제조 단계에서 밀폐된다. 이 밀폐 상태에서는 개구(150, 157) 및 개구(151, 158)가 하우징의 대칭면에 대해 대칭적인 장소에 위치하게 된다. 도 17~도30에 의한 신규의 클램핑 장치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기능한다.
열린 상태에서는 래치의 가장자리부(131)의 단부(159)(도 23)는 하우징이나 커버의 각 개구(150, 157) 내로 걸린다. 편심기(105)가 회전 중에는, 편심 롤러(116)는 베이스부(122)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슬라이드(107)를 내측으로 압입하고, 램프(132)(도 23)는 개구(150) 또는 개구(157)의 가장자리를 활주하여 래치는 밖으로 피벗한다. 이 운동 중에 경사면(134)(도 23)은 대응하는 개구(151, 158) 내로 걸리고, 클램핑 장치는 닫혀서 고정된다. 닫힌 상태에서 편심 롤러(116)는 돌기(148) 상에 지지되어 편심 헤드(104)가 하우징으로부터 약간 돌출함으로써, 반면상 부재(101)의 개구(103)도 클램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열린 상태에서는, 편심 롤러(116)는 돌기(148)로부터 더욱 멀어지므로, 편심기(105)는 스프링(108')의 작용에 대항해서 개구로(103)부터 나와 하우징 내로 압입됨으로써, 클램핑 장치가 반면상 부재(101)로부터 분리된다.
슬라이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면 시스템은 CH-576 591에 기재된 시스템이면 충분하며, 슬라이드에 설치된 볼트에 있는 나사를 구비하고, 이 나사는 그 원뿔형의 전단이 원뿔형의 오목부와 편심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표면을 조이는 역할을 한다.
각종 부품은 두께 1 ~ 3 mm, 특히 1.5 ~ 2.5 mm의 강판을 스탬핑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단편은 담금질 및/또는 아연 도금하여도 좋다. 편심기(5)는 고강도 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코어(102)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분에 넓은 2 개와, 좁은 2 개의 외벽을 구비하고, 상기 2 개의 넓은 외벽의 제 1 외벽에는 슬라이드에 형성된 슬라이딩면 시스템을 통해서 슬라이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 수단을 구비한다.
슬라이드(107) 및/또는 삽입 코어(102)의 하우징 및/또는 클램핑 요소(111)는 판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107)는 각각 적어도 1 개의 클램핑 요소를 피벗하기 위한 수단(125, 126)으로 구성된, 각각 돌기형 확장부(123 또는 124)가 형성된 적어도 한 개의 굽은 스트립(118 또는 119)을 구비할 수도 있다.
클램핑 요소는 아래로 향하는 돌기형 확장부(123)를 갖는 위로 굽은 2 개의 가장자리 스트립(118, 119)을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107)의 단부측을 거의 H자 형상으로 구성하며, 이들 확장부(123, 124)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클램핑 요소를 피벗하기 위해 설치되는 샤프트(110)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125, 126)을 형성할 수도 있다.
클램핑 요소는 훅으로서 단부측이 T자 또는 G자 형상인 확장부를 갖는 굽은 스트립을 구비하여도 좋다.
클램핑 요소는 측면에 대해 위로 굽은 적어도 1 개의 길다란 가장자리부(127, 128)와 램프(132)가 있으며 아래로 굽은 가장자리부(131)와 훅 모양으로 구성된 제 1 단부와, 굽은 제 2 단부(134)를 갖는 길다란 판형의 래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래치는 측면에 대해 위로 굽어 있고, 슬라이드 상에 래치를 피벗하기 위해 설치되는 샤프트(11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129, 130)를 각각 구비한 2 개의 평행하고 길다란 가장자리부(127, 128)로 구성하여도 좋다.
래치(111)의 제 1 단부(133)는 거의 180°로 위로 구부리고, 제 2 단부(134)는 임의의 각도로 아래로 구부러져도 좋다.
삽입 코어(102)는 단면이 U자형인 하우징과 판형의 덮개(102')로 구성하여도 좋다.
하우징 및/또는 덮개는 램프(132)가 설치된 래치(111)의 가장자리부(131)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 개구(150, 157)를 각각 구비하여도 좋다.
덮개(102') 및/또는 하우징은 각각 굽은 제 2 단부(134)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 개구(151, 158)를 구비하여도 좋다.
슬라이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딩면 시스템은 편심 롤러 또는 원뿔형 선단이 원뿔형 오목부와 볼트의 편심으로 상호 작용함으로써 표면을 조이는 역할을 하는 슬라이드 내에 설치된 나사로 구성된 편심 시스템이어도 좋다.

Claims (10)

  1. 2 개의 반면상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로서,
    제 1 반면상 부재에 삽입 코어(1)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삽입 코어 내에서 축방향 으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7)는, 적어도 일부가 제 2 반면상 부재(15)의 개구 내로 삽입되어 제 2 반면상 부재(15)의 상기 개구를 부분적으로 막는 부분에 클램핑 압력을 가하는 클램프 훅(13, 14; 133)을 갖는 두 개의 피벗 가능한 클램핑 요소(11, 12; 13, 14)를 지지하고,
    상기 삽입 코어(1)는, 슬라이드(7, 107) 내에서 결합되는 제 1 슬라이딩면 시스템을 통해서 슬라이드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 코어(1) 내에 축방향 이동 중에 두 개의 클램핑 요소(11, 12; 111)를 교차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슬라이딩면 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요소(11, 12; 111)는 각각 한쪽 단부가 클램핑 훅(3; 133)으로서 넓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성된 길다란 평탄부(27, 28)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7; 107)와 상기 클램핑 요소(11, 12; 111)는 클램핑 요소(11, 12; 111)가 상기 길다란 평탄부(27, 28)의 각각의 상기 넓게 교차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뻗은 핀(pin)을 중심으로 피벗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 요소(11, 12; 111)를 지지하는 보조 수단(10, 34; 125, 126; 129, 130, 110)을 구비하는 클램핑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11, 12; 111)의 길다란 평탄부(27, 28)의 다른 단부는 힌지 훅(34)으로 설계되며,
    상기 슬라이드(7)는 상기 클램핑 요소(11, 12; 111)의 힌지 훅(34)이 맞물리게 되는 두 개의 개구(10, 10')를 갖는 평탄한 단부(9)를 구비하여 상기 힌지 훅(34) 및 개구(10 또는 10')가 결합된 클램핑 요소(11, 12; 111)의 피벗 힌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의 반면상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램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평탄부(27, 28; 111)의 다른 단부는 제 2 훅(34; 114)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 훅(33; 133)과 상기 제 2 훅(34; 114)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지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훅(34)은, 2 개의 굴곡부 사이에, 상기 클램핑 요소(11, 12, 111)의 상기 길다란 부분(27, 28)의 두께의 절반보다 작은 공기 틈새(6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요소(11, 12; 111)의 상기 길다란 부분은 상기 힌지 훅(34)이 위치하는 한쪽 단부에 작은 각도로 굽어서 오목측을 형성하는 2 개의 부분(27 및 2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훅(34)의 단면(70)은 상기 힌지 훅(34)의 대칭면(71)과 90° 이외의 각을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돌출한 외측 단부(7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부분(27, 28)과 클램프 훅(33) 사이에서, 상기 클램핑 요소는 제 2 슬라이딩면 시스템의 제 1 부분을 형성하는 램프(ramp)형 부분(32)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딩면 시스템은 가로대(40)로 형성되고, 이 가로대에는 경사면(43, 44)이 형성되고, 그 단부(41, 42)는 슬라이드(7)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상기 삽입 코어의 2 개의 좁은 측 중의 하나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코어(1)는 적어도 거의 U자형 단면의 기부(base part)(2)와 거의 판형의 덮개(2')로 구성되고, 상기 기부의 측벽은 각각 절개부를 구비하며, 이들 절개부는 돌기(lug) 모양으로 굽은 덮개의 확장부와 상호 작용하여 경사면을 갖는 가로대의 단부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7)는, 중앙부와 결합부 사이에, 계단식으로 굽은 연결부(7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코어(2; 102)의 적어도 일부는 넓은 2 개의 외벽과 좁은 2 개의 외벽을 구비하며, 상기 2 개의 넓은 외벽의 제 1 외벽에는 상기 슬라이드에 형성된 슬라이딩면 시스템을 통해서 상기 슬라이드를 축방향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코어(2; 102)는 단면이 U자형인 하우징과 판형인 덮개(10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개 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핑 장치.
KR10-1998-0705138A 1996-01-09 1996-12-16 2개부재를분리가능하게고정하는클램핑장치 KR100455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6-54 1996-01-09
CH5496 1996-01-09
CH101596 1996-04-22
CH96-1015 1996-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7008A KR19990077008A (ko) 1999-10-25
KR100455962B1 true KR100455962B1 (ko) 2005-04-08

Family

ID=2568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138A KR100455962B1 (ko) 1996-01-09 1996-12-16 2개부재를분리가능하게고정하는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6106183A (ko)
EP (1) EP0871824B1 (ko)
JP (1) JP4020432B2 (ko)
KR (1) KR100455962B1 (ko)
CN (1) CN1076798C (ko)
AT (1) ATE208860T1 (ko)
AU (1) AU705795B2 (ko)
BG (1) BG62527B1 (ko)
BR (1) BR9612418A (ko)
CA (1) CA2239502C (ko)
CU (1) CU22572A3 (ko)
CZ (1) CZ293061B6 (ko)
DE (1) DE59608219D1 (ko)
DK (1) DK0871824T3 (ko)
EG (1) EG20721A (ko)
ES (1) ES2167614T3 (ko)
HK (1) HK1011558A1 (ko)
HU (1) HU223182B1 (ko)
MX (1) MX9805627A (ko)
PL (1) PL185774B1 (ko)
SA (1) SA97170657B1 (ko)
SK (1) SK284425B6 (ko)
TR (1) TR199801299T2 (ko)
WO (1) WO1997025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36455B2 (en) 1997-08-12 2001-07-26 Syma Intercontinental Ag Closure sleeve for a clamping device for the releasable connection of two profile pieces
CH705434B1 (de) 2000-01-05 2013-03-15 Syma Intercontinental Sa Würfelförmiges Profilelement und Profilleiste hierfür.
US6402420B1 (en) * 2000-07-05 2002-06-11 Hsin Chen Yang Connector for knockdown furniture
DE20206846U1 (de) * 2002-04-30 2003-09-11 Wolfcraft GmbH, 56746 Kempenich Saugnapfgerät mit Federspannzwinge
CH697551B1 (de) 2003-10-22 2008-11-28 Syma Intercontinental Sa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flächenhafte Elemente.
CH696590A5 (de) 2003-10-22 2007-08-15 Syma Intercontinental Sa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flächenhafte Elemente.
CN1313740C (zh) * 2004-01-06 2007-05-02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展览架用连接锁
CA2614213A1 (en) * 2005-08-19 2007-02-22 Telezygology Inc. Strip fastener
JP5132875B2 (ja) * 2005-10-07 2013-01-30 ヘステックス システムズ ベー.フェー. クランプジョイントシステム
US7357592B2 (en) * 2005-10-13 2008-04-15 Hestex Systems B.V Clamping joint system
CN100410550C (zh) * 2005-10-14 2008-08-13 常州灵通展览用品有限公司 展览架组件连接锁
DE102007059172A1 (de) * 2007-06-11 2009-06-10 Vieler International Gmbh + Co. Kg Befestiger zum lösbaren Verbinden eines Profils an ein Gegenprofil
EP2006550A1 (de) * 2007-06-23 2008-12-24 Hestex Systems B.V. Verbindungsvorrichtung
JP2008089183A (ja) * 2007-12-10 2008-04-17 Kenos:Kk 枠材用ジョイント
US8333529B2 (en) * 2008-02-15 2012-12-18 Telezygology, Inc. Strip fastener
US8028846B2 (en) * 2008-09-05 2011-10-04 Target Brands, Inc. Flexible shelving system
US8956071B2 (en) * 2009-02-12 2015-02-17 Moss Holding Company Quick release joint system for assembling frames
CN103119308B (zh) * 2010-09-23 2014-12-17 西马洲际股份有限公司 用于偏心锁的滑板
US20120298810A1 (en) * 2011-05-27 2012-11-29 Deming Chen Clamp for section tubes
DE102012101216A1 (de) * 2012-02-15 2013-08-22 Hettich-Heinze Gmbh & Co. Kg Montageanordnung
EP2685111B1 (de) 2012-07-09 2019-05-01 Syma Intercontinental AG Klemmvorrichtung zum lö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stücke
US9366022B2 (en) 2013-08-13 2016-06-14 Moss Holding Company In-line frame connector assembly and system for large portable frameworks
US10975592B2 (en) * 2014-01-21 2021-04-13 Three Smith Group Limited Barrier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EP3048311B1 (de) * 2015-01-21 2017-08-02 Hestex Systems B.V. Klemmverbinder
CN105864238A (zh) * 2016-06-07 2016-08-17 长葛市宏锦成电动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连接件
EP3406916B1 (de) 2017-05-26 2023-06-07 Syma Intercontinental AG Winkelverbinder für tragprofile
DE102017125877B4 (de) 2017-11-06 2019-06-19 Festool Gmbh Verankerungsbeschlag zur Verankerung in einem Werkstück
US10967209B2 (en) * 2018-03-01 2021-04-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chorage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US11174645B2 (en) 2019-07-02 2021-11-16 The Landmark Group, Inc. Elbow joint connector
DE102020114675A1 (de) * 2019-09-10 2021-03-11 Hettich Franke GmbH & Co. KG. Verbindungsbeschlag, Möbel, Vorrichtung zur Verbindung von Möbelteilen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Möbels
US11619250B2 (en) * 2021-04-23 2023-04-04 Ming Yang Aluminum Co., Ltd. Connecting apparatus
CN113338635A (zh) * 2021-05-19 2021-09-03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设备用装配式集成连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2258A1 (de) * 1992-08-05 1994-02-09 MERO-RAUMSTRUKTUR GmbH & Co. Würzburg Befestig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50975A1 (de) * 1968-01-26 1970-10-22 Johannes Jankowski Vorrichtung zum Anschliessen bzw. Verbinden von Bauelementen
CH555007A (de) * 1971-09-10 1974-10-15 Swoboda Hellmuth 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eines elementes mit einem eine hinterschneidung aufweisenden profil.
DE2941008C2 (de) * 1979-10-10 1981-09-10 Gebrüder Vieler GmbH, 5860 Iserlohn Gestell
CH657190A5 (de) * 1982-11-01 1986-08-15 Syma Intercontinental Sa Klemm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stuecke.
DE3562654D1 (en) * 1984-03-19 1988-06-16 Exibelco Gmbh Connecting lock
DE3607849C1 (de) * 1986-03-10 1987-08-13 Connec Ag Befestigungsvorrichtung mit einem Klemmverschluss zum Ioesbaren Angreifen an Hinterschneidungen aufweisenden Profilen od.dgl.
ES2032936T3 (es) * 1988-11-28 1993-03-01 Exibelco Gmbh Elemento de union.
DE59000537D1 (de) * 1989-08-11 1993-01-14 Vieler Gerd & Bernd Kg Gestell mit einem profilstangen kuppelnden verbinder.
DE4119326A1 (de) * 1991-06-12 1992-12-17 Vieler Gerd & Bernd Kg Gestell mit einem profilstangen kuppelnden verbinder
DE4216439C2 (de) * 1992-05-19 1997-02-06 Intur System Profil Gmbh & Co Spannschloß
DE4328832C2 (de) * 1993-08-27 1995-11-23 F & T Form & Technik Aus Profilteilen bestehendes Geste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2258A1 (de) * 1992-08-05 1994-02-09 MERO-RAUMSTRUKTUR GmbH & Co. Würzburg Befestig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7796A (zh) 1999-02-10
ES2167614T3 (es) 2002-05-16
SK92498A3 (en) 1998-11-04
JP2000515222A (ja) 2000-11-14
HK1011558A1 (en) 1999-07-16
HUP9902057A2 (hu) 1999-11-29
WO1997025536A1 (de) 1997-07-17
SK284425B6 (sk) 2005-04-01
BR9612418A (pt) 1999-07-13
MX9805627A (es) 1998-11-30
SA97170657B1 (ar) 2006-08-06
DE59608219D1 (de) 2001-12-20
US6106183A (en) 2000-08-22
ATE208860T1 (de) 2001-11-15
CA2239502C (en) 2006-05-09
CN1076798C (zh) 2001-12-26
BG102570A (en) 1999-01-29
HU223182B1 (hu) 2004-03-29
AU705795B2 (en) 1999-06-03
DK0871824T3 (da) 2002-02-25
TR199801299T2 (xx) 1998-10-21
PL327355A1 (en) 1998-12-07
HUP9902057A3 (en) 2001-12-28
CA2239502A1 (en) 1997-07-17
CZ217598A3 (cs) 1999-01-13
AU1028597A (en) 1997-08-01
EP0871824A1 (de) 1998-10-21
CU22572A3 (es) 1999-08-03
JP4020432B2 (ja) 2007-12-12
EP0871824B1 (de) 2001-11-14
BG62527B1 (bg) 2000-01-31
PL185774B1 (pl) 2003-07-31
EG20721A (en) 1999-12-29
CZ293061B6 (cs) 2004-01-14
KR19990077008A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962B1 (ko) 2개부재를분리가능하게고정하는클램핑장치
JP3795197B2 (ja) 板材の取り付け具
EP1389928B1 (en) Multi-piece clamp for standing seams
US5259405A (en) Structure of a barette
KR100403210B1 (ko) 레버방식의 클램프
CA2082612C (en) Fastener for truck bed liner
EP1134124A1 (en) Attachment devices
SK71198A3 (en) Clamping device for detachably connecting two profiled parts
KR100477431B1 (ko) 압출성형부품에 부품을 고정하는 장치
EP1898016B1 (en) Suspended ceiling with downwardly pivotable panels
RU2173415C2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профильных деталей
JPH0624116U (ja) 折版構造屋根の雪止金具取付用の金具並びに折版構造屋根の雪止金具
JP3137495B2 (ja) 竪樋取付具
AU2018370158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JPH073967A (ja) 竪樋取付具
JP4018792B2 (ja) 照明器具
EP1127393A1 (en) Mounting system
JPH0136635Y2 (ko)
KR200206296Y1 (ko) 건물환기구용 셔터의 고정 블레이드
JPH0349217Y2 (ko)
JPH08218593A (ja) 建築用パネルの目地構造
KR19980078166A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 구조
HRP970074A2 (en) A coupling device for a separable connection of two section b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