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370A - 스크린 인쇄기 - Google Patents

스크린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370A
KR19990071370A KR1019980029855A KR19980029855A KR19990071370A KR 19990071370 A KR19990071370 A KR 19990071370A KR 1019980029855 A KR1019980029855 A KR 1019980029855A KR 19980029855 A KR19980029855 A KR 19980029855A KR 19990071370 A KR19990071370 A KR 19990071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inting machine
workpiece
screen printing
scree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찌 오구라
무쯔오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다가미 요시아끼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가미 요시아끼, 마이크로.텍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가미 요시아끼
Publication of KR19990071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3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00/00Printing processes
    • B41P2200/40Screen printing

Landscapes

  • Screen Printers (AREA)

Abstract

박형 공작물(110)을 이동 테이블(103) 상에 평탄하게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크린제 판(200)과 이동 테이블(103) 사이에 압박부(300)를 설치한다. 압박부(300)는 지지 부재(320)와 판 스프링(3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는 클램프(330)에 고정되어 있다. 클램프(330)의 하강에 의해 판 스프링(310)이 공작물(110) 주변을 압박함으로써 공작물(110)이 이동 테이블(103)에 압박되어 평탄하게 고정된다.

Description

스크린 인쇄기
본 발명은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테이블에 얹어진 공작물을 확실히 고정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관한 것이다.
도19는 스크린 인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0은 스크린 인쇄기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21은 스크린 인쇄기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19에 있어서, 101은 스크린 인쇄기, 102는 스크린 인쇄기의 베이스, 103은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이동 테이블, 104는 이동 테이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105는 스크린 인쇄기의 조작 박스, 107은 조작 박스에 부착된 조작 스위치, 109는 이동 테이블(103) 상에 얹어진 공작물에 대해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이다.
도20, 도21에 있어서 110은 이동 테이블(103) 상에 얹어진 공작물, 200은 스크린제 판, 201은 스크린제 판(200)의 스크린 프레임, 211은 스크린제 판(200)에 부착된 스크린, 106은 스퀴지(111) 및 도시하지 않은 스크레퍼를 유지하는 동시에, 화살표 A와 화살표 관통 구멍 직경(D)의 방향으로 활주하는 슬라이더, 108은 슬라이더(106)를 활주시키는 프레임이다.
이동 테이블(103)은 베이스(102)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104)을 따라서 좌우로 활주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동 테이블(103)이 인쇄부(109)의 하부로 이동하면, 이동 테이블(103)이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에 의해 제지되고, 인쇄부(109)에 의해 공작물(110)에 대해 스크린 인쇄가 행해진다.
이동 테이블(103)에는 흡인 구멍(190)이 구비되어 있으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공작물(110)이 이동 테이블(103)에 흡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이동 테이블(103)에는 흡인 구멍(190)이 구비되어 있으며, 공작물(110)을 흡인하도록 하고 있지만, 공작물(110)을 부드러운 소재로 할 수 있는 경우, 혹은 얇은(예를 들어 두께가 1.0 ㎜ 이하나 0.8 ㎜ 이하의) 것인 경우,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110)의 표면에 요철이나 기복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공작물(110)의 표면이 기복이 생긴 경우에는 인쇄가 정확하게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110)에 관통 구멍(191)이 무질서하게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관통 구멍(191)은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작물(110)의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고 있는 관통 구멍이다. 관통 구멍(191)의 위치와 이동 테이블(103) 흡인 구멍(190)의 위치가 일치하여 인쇄가 행해지는 경우는 잉크(199)가 흡인 구멍(190)으로부터 흡인되어 버리고 공작물(110)의 이면을 더럽혀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잉크(199)에 의해 관통 구멍(191)을 메우기 위해 인쇄가 이루어지는 경우, 관통 구멍(191)이 흡인 구멍(190)을 경유하여 흡인되어 버리고 관통 구멍(191)이 잉크(199)에 의해 충전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그 결과, 흡인력을 크게 할 수 없으며 공작물(110)을 이동 테이블(103)에 흡착 고정하는 힘이 약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인쇄시에 공작물(110)을 이동 테이블(103)에 고정하기 위해, 이동 테이블(103)에 대해 공작물(110)을 고정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동 테이블(103)에 공작물(1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198)을 이동 테이블(103)로부터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음에 화살표 K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화살표 E 방향으로 밀어 내리는 동작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훅(198)을 3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이동 테이블(103) 내부에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며, 비용 상승의 원인, 혹은 고장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공작물이 얇은 경우, 혹은 공작물이 절곡되기 쉬운 경우에 있어서도 공작물을 테이블 표면에 평평하게 적재할 수 있는 스크린 인쇄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작물에 관통 구멍이 불규칙하게 또는 다수 존재하여 공작물을 흡인하기 어려운 경우에 있어서도 공작물을 테이블에 대해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스크린 인쇄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크린 인쇄기는 테이블에 적재된 공작물에 대해 스크린제 판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테이블과 스크린제 판의 상대 위치 관계를 변경하는 위치 변경부와,
위치 변경부에 의한 테이블과 스크린제 판의 위치 변경에 의해 적어도 공작물의 일부를 테이블에 압박하는 압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부는 스크린제 판과 테이블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공작물 주위의 적어도 대향하는 2변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는 공작물 주위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부는 탄성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스크린제 판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테이블과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고, 스크린 중앙 방향을 향해 형성된 단부로부터 스크린에 대향한 면을 향해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스크린제 판의 각 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부재는 스크린제 판과 겹쳐져 스크린제 판과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압박부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압박부의 B-B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압박부의 B-B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7은 절곡부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8은 절곡부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이동 테이블에 의한 위치 변경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이동 테이블에 의한 위치 변경을 도시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압박부와 스크린제 판에 의한 위치 변경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회전에 의한 위치 변경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압박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고무를 이용한 압박부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압박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판 스프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압박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압박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사시도.
도20은 스크린 인쇄기의 측면도.
도21은 스크린 인쇄기의 평면도.
도22는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23은 종래 관통 구멍을 갖는 공작물을 도시한 도면.
도24는 종래 관통 구멍을 갖는 공작물 인쇄시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25는 종래 스크린 인쇄기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스크린 인쇄기
102 : 베이스
103 : 이동 테이블
104 : 가이드 레일
106 : 슬라이더
108 : 프레임
109 : 인쇄부
110 : 공작물
111 : 스퀴지
190 : 흡인 구멍
191 : 관통 구멍
199 : 잉크
200 : 스크린제 판
201 : 스크린 프레임
211 : 스크린
300 : 압박부
310 : 판 스프링
311 : 절곡부
312, 321 : 테이퍼부
320, 328 : 지지 부재
330 : 클램프
331 : 클램프 나사
340, 342, 350 : 실린더
341, 343, 351 : 실린더 축
360 : 고무
370 : 스퀴지
380 : 나사 구멍
390 : 회전축
391, 392 : 기어
393 : 모터
실시 형태 1.
도1은 본 발명의 스크린 인쇄기의 압박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압박부(300)는 판 스프링(310)과 지지 부재(320)를 갖고 있다. 판 스프링(310)은 공작물(110)의 4변을 압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320)는 스크린(211)의 중앙 방향을 향해 형성된 단부로부터 스크린에 대향한 면에 걸쳐 테이퍼부(321)를 갖고 있다. 공작물(110)은, 예를 들어 두께 0.1 ㎜를 갖는 동판이나 유전체 기판이나 반도체 기판 등의 얇은 기판이며, 용이하게 요철이나 기복이 발생하기 쉬운 것이다. 혹은, 공작물(110)은 재질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0.8 ㎜ 이하 또는 1.0 ㎜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공작물(110)에는 무질서하게 다수의 관통 구멍이 있는 것으로 한다.
도2는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 인쇄 전의 B-B 단면도이다.
도3은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 인쇄 중의 B-B 단면도이다.
판 스프링(310)은 절곡부(311)를 갖고 있으며, 스크린(211)의 중앙 방향을 향해 절곡부(311)를 경계로 하여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4는 인쇄 전의 인쇄부(109)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인쇄부(109)가 하강한 인쇄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스퀴지(111)가 하강하여 인쇄를 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한 B-B 단면도는 도4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B-B 단면도는 도6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크린제 판(200)은 압박부(300)와 함께 클램프(330)에 고정된다.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의 클램프(330)로의 고정은 클램프 나사(331)에 의해 행해진다. 클램프(330)는 실린더(340)에 의해 화살표 E, F의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인쇄부(109) 전체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340)는 베이스(102)에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340)가 실린더 축(341)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인쇄부(109)가 베이스(102)에 대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310)은 아무런 힘이 가해져 있지 않으므로 절곡부(311)로부터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절곡된 상태가 되어 있다.
도5는 실린더(340)에 의해 인쇄부(109)가 하방으로 내려져서 인쇄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판 스프링(310)의 선단부가 공작물(110)의 주변부에 압박된다. 판 스프링(310)의 반발력에 의해 공작물(110)의 주변부는 이동 테이블(103)에 압박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공작물(110)이 부드러운 것이나 기복이 있는 것인 경우라도 공작물(110)이 확실히 이동 테이블(103) 상에 평탄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6은 스퀴지(111)가 화살표 G 방향으로 하강하고, 그 후, 스크린(211) 상부를 활주함으로써 인쇄를 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인쇄를 행하고 있는 경우는, 스퀴지(111)에 의한 압박이 스크린(211)에 가해진다. 따라서, 스크린(211)은 하방으로 휘게 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211)이 하방으로 휜 경우라도 테이퍼부(321)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지지 부재(320)의 존재에 의해 스크린(211)이 하방으로 휘는 것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스크린(211)이 하방으로 휜 경우라도 지지 부재(320)와 접하는 일은 없으므로, 지지 부재(320)의 단부에 의해 스크린(211)을 손상시켜 버리는 일은 없다. 절곡부(311)에 의한 절곡 각도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60도 내지 170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 스프링(310)의 두께는 0.3 ㎜인 것이 바람직하다. 판 스프링(310)의 두께를 크게 하면 반발력이 강해지는데 반발력이 지나치게 강함으로써 실린더(340)의 동작을 저해해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0.5 ㎜의 두께를 가진 판 스프링(310)을 이용하여 공작물(110)의 주변을 압박하는 경우에는 반발력이 지나치게 강하다는 결과를 얻는다. 그리고, 지지 부재(320)의 두께는 4 ㎜로 한다. 지지 부재(320)의 두께는 판 분리에 필요한 거리, 즉 인쇄 직전의 스크린(211)과 공작물(110) 사이의 거리 이하이어야 한다. 스크린 인쇄를 행하는 경우, 스크린 인쇄 후에 스크린(211)이 공작물(110) 표면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즉, 판 분리를 잘하기 위해), 스크린(211)과 공작물(110)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고 있다. 이 간극의 거리보다도 지지 부재(320)의 두께가 작아야만 한다. 예를 들어 판 분리에 필요한 거리를 4 ㎜ 내지 6 ㎜로 한 경우, 지지 부재(320)의 두께를 4 ㎜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310)의 선단부에 테이퍼부(312)를 설치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테이퍼부(312)를 설치함으로써, 스크린(211)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는 동시에 스크린(211)을 순조롭게 공작물(110)에 휘게 할 수 있다.
도7 및 도8은 절곡부(311)의 장소를 스크린(211)의 중앙부 방향으로 변경한 판 스프링(310)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311)가 지지 부재(320)보다도 떨어진 부분에 있는 경우는 공작물(110)에 의해 절곡부(311)가 화살표와 같이 밀어 올려져 버려 스크린(211)의 화살표 E 방향으로의 하강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절곡부(311)를 설치하는 장소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320)의 단부, 혹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 부재(320)가 존재하는 폭(W) 중 어느 한 쪽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 및 도10은 인쇄부(109) 대신에 이동 테이블(103)을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동 테이블(103)은 실린더 축(351)을 거쳐서 실린더(35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테이블(103)은 실린더(35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동 테이블(103)을 화살표 H 방향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도9의 상태에서 도10의 상태로 할 수 있다.
도11은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를 각각 독립하여 이동시키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스크린제 판(200)은 실린더(340)와 실린더 축(341)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압박부(300)는 실린더(342)와 실린더 축(343)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를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해도 상관없다.
도12a 및 12b는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를 회전축(390)에 의해 회전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12a의 경우, 회전축(390)에는 기어(39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393)에는 기어(392)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393)의 회전에 의해 기어(392)와 기어(391)를 거쳐서 회전축(390)이 회전한다. 회전축(390)의 회전에 의해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가 화살표 M과 N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판 스프링(310)의 반발력에 의해 공작물(110)을 이동 테이블(103)에 압박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도12b의 경우, 실린더(352)가 화살표 E, F의 방향으로 상하 이동함으로써, 스크린제 판(200)과 압박부(300)는 회전축(390)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M, N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의 위치 변경부는 전술한 실린더(340), 실린더(342), 실린더(350), 실린더(352) 등에 의해 이동 테이블(103)과 스크린(211)의 거리를 변경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위치 변경부는 도12a 및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93)를 이용하여 스크린(211)과 이동 테이블(103)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 테이블(103)과 스크린제 판(20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의 변경에 수반하여 압박부(300)가 이동 테이블(103) 상에 얹어진 공작물(110)을 압박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13은 압박부(30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에 도시한 압박부(300)는 대향하는 2변을 압박하는 것이다.
도14에 도시한 압박부(300)는 판 스프링(310) 대신에 고무(360)를 이용한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무(360) 대신에, 스폰지나 합성 수지, 플라스틱 등의 기타 탄성체를 이용해도 상관없다.
도15는 4개로 분할된 압박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해 온 압박부(300)의 지지 부재(320)는 링형이었지만, 도15에 도시한 지지 부재(320)는 4개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평판을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링형의 지지 부재(320)를 이용하는 것보다 간단히 지지 부재(320)를 제조할 수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박부(300) 4개를 제각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크린제 판(200)에 대해 4개의 지지 부재(320)를 각각 나사로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박부(300)를 스크린제 판(200)에 접착 고정해도 상관없지만, 스크린 프레임(201)을 재이용하는 경우이므로, 압박부(300)를 스크린제 판(200)에 대해 나사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6은 지지 부재(320)를 이용하지 않고, 판 스프링(310)을 직접 스크린제 판(200)에 고정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판 스프링(310)을 스크린 프레임(201)의 측면에 나사 고정, 혹은 접촉함으로써 지지 부재(320)를 생략할 수 있다.
도17은 판 스프링(310)을 이용하지 않는 대신에 스폰지(370)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스폰지(370)는 지지 부재(328)에 접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328)는 스크린 프레임(210)의 측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328)는 알루미늄판, 혹은 철판 등에 의해 평판형으로 용이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린 프레임(201) 측면에는 미리 나사 구멍(380)을 다수 설치해 두고, 지지 부재(328)를 공작물(110)의 사이즈와 위치에 맞추어서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8은 전술한 스폰지(370)와 판 스프링(310)을 병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타 탄성체를 복수 종류 병용하는 경우라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물이 절곡되기 쉬운 경우나 얇은 경우라도 공작물을 테이블 표면에 평평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만약 공작물을 테이블에 흡인할 수 없는 경우라도 공작물을 테이블에 대해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물을 테이블에 고정하는 데 있어서 공작물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에 압력을 가할 뿐이므로, 간단한 구조로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작물을 고정하는 압박 동작은 테이블과 스크린제 판의 위치 관계의 변경과 함께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특별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공작물을 테이블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판 스프링(310)이나 지지 부재(320)의 변경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나 다양한 위치에 놓여진 공작물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테이블(103)에 대해 아무런 변경을 가하지 않고, 혹은 이동 테이블(103)에 대해 특수한 구조를 설치하지 않고도 공작물(110)을 이동 테이블(103)에 고정할 수 있다.

Claims (9)

  1. 테이블에 적재된 공작물에 대해 스크린제 판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스크린 인쇄기에 있어서,
    테이블과 스크린제 판의 상대 위치 관계를 변경하는 위치 변경부와,
    위치 변경부에 의한 테이블과 스크린제 판의 위치 변경에 의해 적어도 공작물의 일부를 테이블에 압박하는 압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스크린제 판과 테이블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공작물 주위의 적어도 대향하는 2변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공작물 주위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탄성체를 지지하는 동시에 스크린제 판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테이블과 스크린 사이에 설치되고, 스크린 중앙 방향을 향해 형성된 단부로부터 스크린에 대향한 면을 향해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스크린제 판의 각 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스크린제 판과 겹쳐져 스크린제 판과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인쇄기.
KR1019980029855A 1998-02-02 1998-07-24 스크린 인쇄기 KR19990071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35439A JPH11216838A (ja) 1998-02-02 1998-02-02 スクリーン印刷機
JP98-35439 1998-0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370A true KR19990071370A (ko) 1999-09-27

Family

ID=12441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55A KR19990071370A (ko) 1998-02-02 1998-07-24 스크린 인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216838A (ko)
KR (1) KR199900713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598B1 (ko) * 1999-12-17 2003-04-10 채삼식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KR101331705B1 (ko) * 2011-06-17 2013-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6450B2 (ja) * 2004-01-21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装置
US20180015714A1 (en) * 2016-07-18 2018-01-18 Asm Assembly Systems Singapore Pte. Ltd. Scre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9501444B (zh) * 2018-12-13 2020-06-16 佛山市盈怡纸制品实业有限公司 一种印刷机的网板固定装置
CN115320227A (zh) * 2022-08-03 2022-11-11 中物院成都科学技术发展中心 制备薄膜传感器的丝网印刷装置、加工工艺及薄膜传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598B1 (ko) * 1999-12-17 2003-04-10 채삼식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KR101331705B1 (ko) * 2011-06-17 2013-11-20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 기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16838A (ja) 199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4843A (en) PC(printed circuit) board printing machine with cantilever-supported printing head and stencil holders and bi-directionally movable printing table
EP1010523B1 (en) Screen printing machine
WO2017086137A1 (ja) 印刷版、印刷装置、基材及び基材の製造方法
KR19990071370A (ko) 스크린 인쇄기
EP1005983B1 (en) Squeegee for screen printing and screen printing method
KR100361779B1 (ko) 공작물적재지그및스크린인쇄기
KR102099466B1 (ko) 성형제품의 다면 및 다색 패드인쇄 자동시스템
JP3284189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328418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213861378U (zh) 自动走台印花机的胶刮刀结构
JPH0774500A (ja) 基板バックアップ装置
CN219256771U (zh) 一种定位机构及移印设备
KR101350992B1 (ko) 스크린 프린터의 인쇄회로기판 지지 장치, 이를 갖는스크린 프린터 및 스크린 프린터의 구동 방법
KR101796124B1 (ko) 메탈마스크 지지장치
JP3315078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KR200392727Y1 (ko) 마찰감소 기능을 갖는 액정화면필름 성형용 금형
CN218163041U (zh) 电路板双面喷码夹具
JPH0476793B2 (ko)
CN220146948U (zh) 自动印刷设备
CN221022788U (zh) 数字印刷装置
CN216069163U (zh) 定位结构及印刷装置
JPH0423344Y2 (ko)
KR100629912B1 (ko) 인쇄회로기판 지지장치
JP2006255932A (ja) 基板支持具
JPH0723999Y2 (ja) 両面実装基板対応載物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