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1286A -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1286A
KR19990071286A KR1019980006644A KR19980006644A KR19990071286A KR 19990071286 A KR19990071286 A KR 19990071286A KR 1019980006644 A KR1019980006644 A KR 1019980006644A KR 19980006644 A KR19980006644 A KR 19980006644A KR 19990071286 A KR19990071286 A KR 1999007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oor
elevator
light emitting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순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80006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1286A/ko
Publication of KR1999007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1286A/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은 양측 도어의 일치도가 나쁠 경우 포토센서가 승객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즉 도어 슈와 실 홈 사이의 간극에 의해 양측 도어의 각도가 틀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열림길이가 큰 기종의 경우 열림 끝단에서는 이 차이에 의해 포토센서가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여 안전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 상의 각별한 주의를 요하게 되는 바, 이에 본 발명은 일측 플랫폼 폴에는 발광센서를 부착하고, 타측 플랫폼 폴에는 상기 발광센서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광센서를 부착함으로써, 도어의 불일치 등의 요인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승객을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닫힘시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여 도어의 재열림을 판단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도어는 도어구동장치에 의해 개폐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도어구동장치는 승객이 탑승하는 카에 장착되어 카도어를 구동하는 카도어구동장치와, 건물측에 장착되어 상기 카도어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개폐되는 승장도어구동장치로 구분되며, 상기 승장도어는 카도어에 연계되어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어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 구성요소 중 승객과 직접적으로 접하여 동작을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에는 접촉식으로 승객 검출을 하는 필수 사양인 세이프티 슈와, 부수 사양인 포토센서가 있지만, 중고속용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포토센서 역시 필수 사양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토센서가 구비된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를 도 1에 도시하였는 바,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는 승객 및 화물의 승차 및 하차시 각각의 도어(D1)(D2)를 개폐하는 구동링크(1)와, 상기 각각의 도어(D1)(D2)가 접촉하는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세이프티 슈(SAFETY SHOE)(2)와, 그 세이프티 슈(2)의 운동을 안내해 주는 안내링크(3)와, 상기 도어(D)의 하부에 설치되어 세이프티 슈(2)의 위치를 결정해 주는 캠(4)과, 그 캠(4)을 지지해 주는 지지링크(5)로 구성되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1)의 일단부는 도어(D1)(D2)에 고정된 계합자(6)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계합자(6)는 승장도어(미도시)와 결합되어 구동링크(1)의 작용에 의해 카도어(D1)(D2)가 개폐될 때 승장도어를 연동 개폐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일측 카도어(D1)에는 상측 및 하측에 소정거리를 두고 발광센서(S1)를 부착하고, 타측 카도어(D2)에는 상기 발광센서(S1)로부터 발광된 빛을 감지하여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도록 상기 발광센서(S1)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광센서(S2)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도어(D1)(D2)의 저면에는 승객이 탑승하는 카에 결합되는 실(SILL)(8)을 따라 운동하도록 도어 슈(7)가 결합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에 고정되어 있는 실(8)의 홈을 따라 도어(D1)(D2)의 하부에 장착된 도어 슈(7)가 운동하면서 도어(D1)(D2)를 안내하게 되는데, 이때 도어(D1)(D2)의 닫힘시 도어(D1)(D2)가 승객에 접촉하면 세이프티 슈(2)는 안내링크(3)를 따라 움직이면서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승객을 검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슈(2)의 위치는 도어(D1)(D2) 열림시 항상 열려 있어 승객의 접촉에 반응하도록 되어 있고, 닫힘시에는 캠(4)을 따라 운동함으로써 무효화된다. 이때 상기 캠(4)은 지지링크(5)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링크(5)는 플랫폼 폴(P)에 지지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접촉식 승객 감지방법 외에 도어(D1)(D2)에 설치된 발광센서(S1) 및 수광센서(S2)에서 부차적으로 승객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양측 도어(D1)(D2)의 일치도가 나쁠 경우 포토센서(S1)(S2)가 승객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즉, 도어 슈(7)와 실(8) 홈 사이의 간극에 의해 양측 도어(D1)(D2)의 각도가 틀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열림길이가 큰 기종의 경우 열림 끝단에서는 이 차이에 의해 포토센서(S1)(S2)가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여 안전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 상의 각별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와 포토센서의 배선은 링크 연결단에서 너무 큰 반경을 갖고 배선할 경우 운행시 승장측과 충돌하게 되며, 너무 작은 반경을 갖을 경우 단선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측 도어의 불일치시 검출 에러를 유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도어를 안내하는 도어 슈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포토센서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구동링크 12 ; 지지링크
13 ; 세이프티 슈 14 ; 캠
D1,D2 ; 도어 P1,P2 ; 플랫폼 폴
S1 ; 발광센서 S2 ; 수광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 플랫폼 폴에 발광센서를 부착하고, 타측 플랫폼 폴에 상기 발광센서의 위치와 동일 위치에 수광센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일측 플랫폼 폴에 발광센서와 제 1반사경을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타측 플랫폼 폴에 상기 발광센서로부터 전달된 광을 제 1반사경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2반사경을 설치하며, 그 제 2반사경의 소정 거리 상측에는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광을 전달받기 위한 수광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의 실시예를 첨1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는 양측으로 개폐되는 도어(D1)(D2) 상부에 고정된 계합자(10)에 결합 설치되어 개폐작동을 인가하는 구동링크(11)와, 상기 각각의 도어(D1)(D2) 하부에 연결되며 일측은 플랫폼 폴(P1)(P2)에 고정되고 타측은 세이프티 슈(13)의 위치를 결정해 주는 캠(14)에 고정되는 지지링크(12)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세이프티 슈(13)는 승객의 접촉시 안전을 위해 각 도어(D1)(D2)의 마주보는 면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일측 플랫폼 폴(P1)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측 및 하측에 발광센서(S1)를 부착하고, 그 타측 플랫폼 폴(P2)에는 상기 발광센서(S1)와 동일 위치에 수광센서(S2)를 고정 부착하여 승객의 승하차시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 열림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미도시)가 회전하면 구동풀리(미도시) 및 구동링크(11)에 의해 카도어(D1)(D2)가 열리게 되는데, 이때 카도어(D1)(D2)의 계합자(10)에 연계된 승장도어(미도시)도 동시에 열리게 된다.
또한, 도어 닫힘 신호에 의해 구동모터는 도어(D1)(D2)의 열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D1)(D2)를 닫게 되는데, 이때 플랫폼 폴(P1)(P2)에 부착되어 있는 발광센서(S1) 및 수광센서(S2)에 의해 승객이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광센서(S1) 및 수광센서(S2)는 플랫폼 폴(P1)(P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D1)(D2)의 구동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된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플랫폼 폴(P1)(P2)에 반사경(20a)(20b)을 부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일측 플랫폼 폴(P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하측에 각각 반사경(20a) 및 발광센서(S1)를 설치하고, 타측 플랫폼 폴(P2)에 상기 발광센서(S1) 및 반사경(20a)의 위치 중간에 반사경(20b)을 설치하며, 그 반사경(20b)의 소정 거리 상측에 수광센서(S2)를 설치하여 상기 발광센서(S1)로부터 나온 광이 지그재그로 전달되어 수광센서(S2)에 감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는 포토센서를 플랫폼 폴에 부착함으로써 도어의 불일치 등의 요인에 관계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승객을 감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측 플랫폼 폴에는 발광센서를 부착하고, 타측 플랫폼 폴에는 상기 발광센서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광센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는 각각 2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3. 일측 플랫폼 폴에 발광센서와 제 1반사경을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고, 타측 플랫폼 폴에는 상기 발광센서로부터 전달된 광을 제 1반사경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2반사경을 설치하며, 그 제 2반사경의 소정 거리 상측에는 상기 제 1반사경으로부터 광을 전달받기 위한 수광센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KR1019980006644A 1998-02-28 1998-02-28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KR19990071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644A KR19990071286A (ko) 1998-02-28 1998-02-28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644A KR19990071286A (ko) 1998-02-28 1998-02-28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1286A true KR19990071286A (ko) 1999-09-15

Family

ID=6589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644A KR19990071286A (ko) 1998-02-28 1998-02-28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12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039B1 (ko) * 2002-11-07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포토센서의 검출거리 자동 셋팅 장치
KR100714331B1 (ko) * 1999-12-06 2007-05-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 디바이스
KR101456112B1 (ko) * 2010-07-12 2014-11-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속도 및 위치 검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331B1 (ko) * 1999-12-06 2007-05-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도어의 안전 디바이스
KR100471039B1 (ko) * 2002-11-07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포토센서의 검출거리 자동 셋팅 장치
KR101456112B1 (ko) * 2010-07-12 2014-11-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속도 및 위치 검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2531B1 (en) Safety system for elevator doors
JP5824044B2 (ja) 速度位置検知システム
US5641951A (en) Elevator door safety device
KR20100010939U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 장치
JP2001316052A (ja)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KR19990071286A (ko) 엘리베이터의 포토센서 부착구조
JP5494823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595733B1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비 접촉방식의 출입문 감지 제어시스템
JP5474067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2001294376A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CN112334405B (zh) 门装置
EP2141111A1 (en) Sliding door device
KR100312767B1 (ko) 엘리베이터의광전장치설치구조
JPH082863A (ja) エレベーターの扉閉め確認装置
KR19990049641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안전장치
JP2504275B2 (ja) エレベ―タの扉装置
WO2006035483A1 (ja) エレベータ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H09278306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初期位置認識装置
KR200257571Y1 (ko) 엘리베이터의배선장치
JPH0327179Y2 (ko)
JPH11228060A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安全装置
KR19980061848U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스위치
KR20010086717A (ko) 안전사고 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JPH0613352Y2 (ja) 開き戸機構付引き戸の開き戸開閉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