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8136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8136A
KR19990068136A KR1019990002392A KR19990002392A KR19990068136A KR 19990068136 A KR19990068136 A KR 19990068136A KR 1019990002392 A KR1019990002392 A KR 1019990002392A KR 19990002392 A KR19990002392 A KR 19990002392A KR 19990068136 A KR19990068136 A KR 19990068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head
head
mov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127B1 (ko
Inventor
기쿠치노리유키
우메자와히로키
Original Assignee
구보 마쯔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마쯔오,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 마쯔오
Publication of KR19990068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202Drive control means for carriag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25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 H04N1/40031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for a plurality of reproducing elements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k Jet (AREA)
  • Particle Formation And Scattering Control In Inkjet Printer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인형으로 다수의 잉크 토출구를 배열한 잉크젯 기록 헤드를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하고, 드럼에 기록지를 둘러 감아 반송함과 동시에 기록 헤드를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여 기록지 위에 잉크 토출구 사이의 피치보다도 작은 피치로 화소 도트를 기록하는 경우에, 드럼의 예컨대 2 회전으로 화상 형성을 종료시키며, 드럼의 1 회전 종료시에 기록 헤드가 사람의 시각 특성에 대응하여 결정한 이동 단계량 만큼 이동시켜 농도 불균일이 두드러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배열한 기록 헤드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기록 매체를 반송시키면서 도트 기록을 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예컨대, 잉크젯 방식의 라인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라인 프린터는 라인 방향인 주 주사 방향으로 다수의 잉크실을 배치하고, 이 각 잉크실에 잉크 토출구를 형성한 라인 기록 헤드를 구비하고 있지만, 화상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잉크 토출구 사이의 피치와 잉크 토출구의 크기나 형상이 일정한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부를 일정하게 하는 것은 곤란하며, 헤드 제조 공정시에 생기는 약간의 격차가 잉크 토출구로부터의 잉크 토출량이나 토출 방향의 쏠림에 영향을 주고, 그것이 농도 불균일로 되어 화상 품질을 열화시키게 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기록 헤드(1)의 각 잉크 토출구(2)로부터 일정량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잉크 토출이 행해지는 경우는, 각 잉크 토출구(2)로부터의 토출 잉크(3)는 일정해지고, 기록 매체인 기록지(4) 상에는 일치하는 크기로 방향성도 일정한 화소 도트(5)가 기록되며, 전체적으로 농도 불균일이 없는 동일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기록 헤드(1)의 각 잉크 토출구(2)에는 격차가 있기 때문에 각 잉크 토출구(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6)에는 토출량이나 토출 방향의 방면에 격차가 생기고, 그 결과 기록지(4) 위에 기록되는 화소 도트(7)에는 크기나 방향성에 격차가 생겨, 필요 이상의 도트의 겹침에 의한 검은 줄이나 필요 이상의 도트의 이간(離間)에 의한 흰 줄이 나타나며, 전체적으로 농도 불균일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농도 불균일의 발생을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어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8개의 잉크 토출구(12)로 이루어지는 라인 기록 헤드(11)의 예를 들어 기술하면, 라인 기록 헤드(11)를 기록 소자인 잉크 토출구(12)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기록지(14)를 잉크 토출구(12)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회 반송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각 잉크 토출구(1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13)의 토출량 및 토출 방향에는 격차가 있다. 기록지(14)를 예컨대 드럼에 둘러 감아 이것을 3 회전시킴과 동시에 라인 기록 헤드(11)를 각 회전마다 이동 제어하여 기록지(14)에 대하여 종횡 1 화소마다 정확히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도트 기록을 행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즉, 드럼의 1 회전째에 있어서는, 라인 기록 헤드(11)의 우측 4개의 잉크 토출구(125∼128)를 사용하여 잉크 토출구(125, 127)에서 홀수 라인의 도트 기록을 행하고, 잉크 토출구(126, 128)에서 짝수 라인의 도트 기록을 행한다. 다음에 드럼의 2 회전째에 있어서는, 라인 기록 헤드(11)를 잉크 토출구의 4 피치분 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라인 기록 헤드(11)의 모든 잉크 토출구(121∼128)를 사용하여, 잉크 토출구(122, 124, 126, 128)에서 홀수 라인의 도트 기록을 행하며, 잉크 토출구(121, 123, 125, 127)에서 짝수 라인의 도트 기록을 행한다. 최후에 드럼의 3회전째에 있어서는, 라인 기록 헤드(11)를 잉크 토출구의 4 피치분 만큼 더욱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라인 기록 헤드(11)의 좌측 4개의 잉크 토출구(121∼124)를 사용하여 잉크 토출구(121, 123)에서 홀수 라인의 도트 기록을 행하며, 잉크 토출구(122, 124)에서 짝수 라인의 도트 기록을 행한다.
이러한 기록 방법으로는 각 잉크 토출구(121∼128)에 격차가 있어도 기록지(14) 위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에 대한 영향이 반감하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하는 경우와 같은 검은 줄이나 흰 줄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농도 불균일의 발생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인 기록 헤드(11)를 잉크 토출구(12)의 배열 피치 L의 1/K 만큼 배열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기록지(14)를 잉크 토출구(12)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회 반송시키는 제어를 행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제어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기록지(14)를 드럼에 둘러 감아, 이것을 2 회전 시킴과 동시에 라인 기록 헤드(11)를 2 회전째에는 잉크 토출구(12)의 배열 피치 L의 1/2 만큼 이동시키는 예를 기술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1 회전째에 있어서는, 기록지(14)에 도면중 우측 하강 사선으로 도시하는 화소 도트(15)를 기록하고, 드럼의 2회전째에 있어서는 라인 기록 헤드(11)를 오른쪽으로 L/2 만큼 이동하여 기록지(14)에 도면중 좌측 하강 사선으로 도시하는 화소 도트(16)를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라인 기록 헤드(11)가 갖는 해상도의 2배의 해상도로 화상 형성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라인 기록 헤드(11)를 이동 제어하여 해상도를 높이는 화상 형성에 있어서도 라인 기록 헤드(11)의 각 잉크 토출구(12)로부터 토출하는 잉크의 토출량이나 토출 방향의 방향에 격차가 있으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시 필요 이상의 도트의 겹침에 의한 검은 줄이나 필요 이상의 도트의 이간에 의한 흰 줄이 나타나고, 전체적으로 농도 불균일이 생기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기록 헤드(11)를 잉크 토출구(12)의 배열 피치 L의 1/2 만큼 이동시키는 제어와, 기록지(14)에 대하여 종횡 1 화소마다 정확히 지그재그 격자형으로 도트 기록을 행하는 제어를 혼합한 제어를 행하여 화상 형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드럼의 1 회전째에 있어서는, 기록지(14)에 도면중 격자 모양으로 도시하는 화소 도트(17)를 기록하고, 드럼의 2 회전째에 있어서는 라인 기록 헤드(11)를 오른쪽으로 L/2 만큼 이동하여 기록지(14)에 도면중 우측 하강 사선으로 도시하는 화소 도트(18)를 기록하며, 드럼의 3 회전째에 있어서는 라인 기록 헤드(11)를 더욱 오른쪽으로 L/2 만큼 이동하여 기록지(14)에 도면중 좌측 하강 사선으로 도시하는 화소 도트(19)를 기록하고, 드럼의 4 회전째에 있어서는 라인 기록 헤드(11)를 더욱 오른쪽으로 L/2 만큼 이동하여 기록지(14)에 도면중 ○로 도시하는 화소 도트(20)를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라인 기록 헤드(11)가 갖는 해상도의 2배의 해상도로 화상 형성함과 동시에 각 잉크 토출구의 격차에 의한 농도 불균일의 발생을 크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상 형성 제어를 행하면, 단지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제어에 비하여 2배의 시간을 낭비하게 되고, 화상 형성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잉크 토출구의 격차에 의한 농도 불균일이 두드러지는 것을 크게 억제하여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화상 형성에 필요한 시간의 스피드 업을 도모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전체의 주요부 구성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젯 기록 헤드의 잉크 토출구의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젯 기록 헤드의 이동 단계량과 기록지에 대한 화소 도트 기록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1차원 농도 분포에 있어서의 가우스 분포 함수 곡선과 잉크젯 프린터의 기본 농도 함수 곡선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상도가 300 dpi일 때의 헤드 이동 단계량과 객관적 평가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상도가 300 dpi일 때의 헤드 이동 단계량과 주관적 평가점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해상도가 300 dpi와 600 dpi일 때의 헤드 이동 단계량과 객관적 평가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프린터 전체의 주요부 구성도.
도 9는 잉크젯 프린터의 이상적인 화상 형성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농도 불균일이 생기는 경우의 잉크젯 프린터의 화상 형성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농도 불균일을 억제할 때의 화상 형성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해상도를 높일 때의 화상 형성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해상도를 높이는 화상 형성 제어를 행했을 때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농도 불균일을 억제하는 화상 형성 제어와 해상도를 높이는 화상 형성 제어를 혼합한 경우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본체 케이스
22 : 드럼
23, 24 : 급지(給紙) 롤러
25 : 기록지
29 : 수송 트레이
32 : 대전(帶電) 롤러
33 : 잉크젯 기록 헤드
33a : 잉크 토출구
35 : 왕복 이동 기구
36 : 모터 유닛
청구 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배열한 기록 헤드를 설치하고,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기록 매체를 반송시키면서 기록 헤드에 의해 기록 매체에 도트 기록을 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기록 헤드를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의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기록 소자 사이의 피치보다도 작은 피치로 도트 기록을 행하고, 기록 매체의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반복할 때마다 기록 헤드를 사람의 시각 특성에 대응하여 결정한 이동량 만큼 이동하는데 있다.
청구 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각 잉크 토출구의 격차에 의한 농도 불균일이 두드러지는 것을 크게 억제시킴으로써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상 형성에 필요한 시간의 스피드 업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잉크젯 방식의 라인 프린터에 적용한 것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1은 프린터 전체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본체 케이스(21)내에, 일정한 회전 속도로 도면중 화살표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22)을 설치하여, 이 드럼(22)에 급지 롤러(23, 24)를 통해 급지되는 기록 매체인 기록지(25)를 둘러 감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 케이스(21)의 저부에 급지 카세트(26)를 설치하고, 이 급지 카세트(26)의 장착판(27)의 위에 얹어 놓은 기록지(25)를 급송 롤러(28)에 의해 1장씩 꺼내어 상기 급지 롤러(23, 24)로 급송하고,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21)의 측방으로 개폐가 자유롭게 장착한 수동 트레이(29)로 동작시킨 기록지(25)를 급송 롤러(30)에 의해 상기 급지 롤러(23, 24)에 급송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급송 롤러(28)에 의한 급송과 상기 급송 롤러(30)에 의한 급송의 전환을 급송 전환 수단(31)에 의해 행하고 있다.
상기 드럼(22)에는 상기 급지 롤러(23, 24)로부터 급지되는 기록지(25)를 드럼면에 흡착시키는 대전 롤러(32)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22)에는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배열한 잉크젯 기록 헤드(33)를 이 기록 헤드(33)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인 상기 드럼(22)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한 인자(印字) 기구(34)를 대향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기록지(25)는 드럼(22)의 회전에 의해 잉크젯 기록 헤드(33)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되게 된다.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3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소자로서 다수의 잉크 토출구(33a)를 피치 L로 배열하고, 이 각 잉크 토출구(33a)에 대응하여 내부에 잉크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자 기구(34)는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33)를 얹어 놓은 왕복 이동 기구(35)와, 왕복 이동 로드 및 리니어 모터를 갖는 모터 유닛(36)과, 진퇴 이동 수단(3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진퇴 이동 수단(37)에 의해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33)를 상기 드럼(22)에 대하여 진퇴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터 유닛(36)에 의해 왕복 이동 기구(35)를 드럼(22)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제어하여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33)를 드럼(22)의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드럼(22)에는 이 드럼면과 기록지(25) 사이에 삽입할 수 있는 박리 부재(38)을 갖는 기록지 박리 수단이 배치되고, 이 박리 부재(38)에 의해 박리한 기록지(25)를 기록지 배출 반송 수단(39)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록지 배출 반송 수단(39)은 기록지(25)의 비기록면에 접하는 벨트 컨베이어(40)와 상기 기록지(25)를 벨트 컨베이어(40) 면에 압압하는 압압 수단(41)으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40)의 종단부에는 이 벨트 컨베이어(40)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25)는 본체 케이스(21)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이 장치의 화상 형성의 해상도는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33)의 각 잉크 토출구(33a)의 피치 L의 해상도의 K(단, K는 2 이상의 정수)배로 설정하고, 상기 드럼(22)이 1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33)는 드럼(22)의 회전축 방향으로 T×L/K(단, T는 헤드 이동 단계량으로 양의 정수)만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헤드 이동 단계량 T는 사람의 시각 특성을 고려한 결과로부터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사람의 눈은 어떤 주파수 대역을 통과하는 대역 필터(band pass filter)인 것이 알려져 있고, 사람의 눈에 비치는 화상과, 그것을 검지한 망막이 뇌로 전달한 화상과는 눈이라는 대역 필터에 의해 약간 다른 화상이 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하는 것은 잉크젯 기록 헤드(33)의 각 잉크 토출구(33a)의 피치 L의 해상도의 2배의 해상도로 화상 형성하고, 또한 드럼(22)이 1 회전하는 동안에 잉크젯 기록 헤드(33)가 드럼(22)의 회전축 방향으로 3×L/2 만큼 이동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헤드 이동 단계량 T=3으로 설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드럼(22)의 1 회전째에서는 잉크젯 기록 헤드(33)의 각 잉크 토출구(33a)로부터의 잉크 토출에 의해 도면중 ○(51)의 화소 도트를 기록하고, 드럼(22)의 2회전째에서는 잉크젯 기록 헤드(33)의 각 잉크 토출구(33a)로부터의 잉크 토출에 의해 도면중 좌측 하강의 사선으로 도시하는 원(52)의 화소 도트를 기록한다.
이러한 화소 도트의 기록을 행함으로써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사람의 눈으로 보아 가장 양호하다고 평가되는 화상 형성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드럼(22)을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만 회전하면 좋고, 검은 줄이나 흰 줄을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한 회전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적은 회전수로 해상도를 높이고, 각 잉크 토출구(33a)의 격차에 의한 농도 불균일이 두드러지는 것을 크게 억제할 수 있어 화상 품질의 향상 및 화상 형성에 필요한 시간의 스피드 업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이동 단계량 T의 결정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에 있어서 기록된 화소 도트의 농도 형상이라고 하는 것은 자연 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가우스 분포로 근사시킬 수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33)의 각 잉크 토출구(33a)의 배열 방향의 좌표를 x, 기록지(25)의 반송 방향의 좌표를 y로 하면, 화상 데이타의 농도 분포 함수는 이하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Dmax는 농도 최대치, x0, y0는 화소 도트의 오프셋 위치, a, b는 x 방향 및 y 방향의 스폿 지름의 1/e2에서의 반경이다. 또한, x 및 y의 범위를 1 화소내로 한정한 경우, 상기 수학식 1의 농도 분포 함수는 화상을 형성하는 최소 단위가 되고 모든 화상은 이 최소 단위의 농도 분포가 합성된 것으로 된다. 즉, 이 최소 단위는 화상 형성을 위한 기본 분포 함수로 간주할 수 있다.
예컨대, 잉크젯 프린터가 면적 변조의 잉크젯 프린터였을 경우, 이 기본 농도 함수는 Dmax, a 및 b가 각 계조에 의존한 변수가 된다. 그러나, 실제의 잉크젯 프린터의 도트 농도 형식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가우스 분포와는 다소 다르기 때문에, 상기 수학식 1을 변형한 이하의 수학식 2를 사용한다. 도 4에 가우스 분포 함수에 의한 곡선 g1과 실제로 시뮬레이션에 사용되는 기본 농도 함수의 곡선 g2와의 비교를 나타낸다. 또, 이 곡선은 x 방향의 1차원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합성되어 생기는 화상의 농도 분포는 기본 분포 함수의 합성으로 구할 수 있고, 이하의 수학식 3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m은 잉크 토출구(33a)의 배열 방향의 화소수, n은 기록지(25)의 반송 방향의 화소수, 그리고, M 및 N은 각각 x 방향 및 y 방향의 샘플링수(각 화소의 분할수에 대응)이다.
그러나, 화소 도트의 기록 위치는 헤드의 제조 공정상에 있어서 발생하는 원인에 의해, 각 잉크 토출구(33a)에 생기는 격차에 의해 벗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각 화소에 있어서의 x 방향 및 y 방향의 화소 도트 기록 위치의 오차 함수 g(xi) 및 h(yj)를 고려하면 이하의 수학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화상 신호를 주파수 공간에 있어서 해석하는 경우, 통상은 2차원 주파수 해석을 행하지만, 계산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1차원 신호로서 취급하면 화상의 기본 농도 분포 함수는 이하의 수학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합성되어 생기는 화상의 농도 분포는 화소 도트 기록 위치의 오차도 고려하면, 이하의 수학식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사람의 시각 특성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대역 통과형 필터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의 공간 주파수 특성과 시각의 공간 주파수 특성을 중첩시킬 필요가 있다. 주파수 공간에 있어서는 중첩은 2개의 함수의 곱이 되기 때문에, 이하의 수학식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최종적인 평가량은 G(μ)을 유효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적분한 값이 된다. 즉, 수학식 8이 된다.
따라서, 이 수학식 8로 표시되는 평가량이 크면 클수록 잉크 토출구(33a)의 격차에 의한 흰 줄이나 검은 줄에 대한 눈의 감도가 좋다고 말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평가량이 낮을 때의 헤드 이동 단계량 T의 값을 선택함으로써 사람의 눈으로 보아 가장 좋은 화상을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실제로 해상도 300 dpi로 화상 형성을 행한 경우의 평가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5는 잉크 토출구(33a)의 간격이 150 dpi, 화상 형성의 해상도가 300 dpi로 하고, 헤드 이동 단계량 T의 값을 1, 3, 5, 7로 할 때의 시뮬레이션에 의한 각 평가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그래프 g3, g4, g5는 잉크 토출구의 격차가 다른 3 종류의 잉크젯 헤드를 사용한 경우의 평가량을 나타내고 있다.
각 그래프 g3, g4, g5로부터 어떤 헤드에 있어서도 헤드 이동 단계량 T=3일 때의 평가량이 가장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해상도 300 dpi로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경우는 헤드 이동 단계량 T=3일 때가 가장 화질이 좋게 된다.
이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또 주관적인 입장에서도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 평가 방법으로서는 한 쌍의 대상에 대하여, 한쪽이 예(또는 아니오)의 판단을 복수의 피험자가 행한 한 쌍 비교법을 사용하여 행하였다. 이 방법은 원칙적으로 모든 조합nC2: n(n-1)/2 에 대해서, 순서 또는 위치를 교체하여 판단한다.
도 6의 그래프는 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그래프 g6, g7, g8은 잉크 토출구의 격차가 다른 3 종류의 잉크젯 헤드를 사용한 경우의 평가를 나타내고 있다. 평가로서는 화질이 좋은 쪽에 2점, 나쁜 쪽에 0점이라는 점수 방식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평가점이 높은 쪽이 겉보기에 화질이 좋게 된다. 따라서, 주관 평가에 있어서도 헤드 이동 단계량 T=3일 때 가장 평가점이 높고, 가장 화질이 좋게 된다.
이와 같이 시뮬레이션에 의해 산출한 객관적 평가 결과와 실제로 사람에 의해서 평가된 주관적 평가 결과가 일치하였기 때문에 헤드 이동 단계량 T를 사람의 시각 특성에 대응하여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해상도를 300 dpi와 600 dpi의 2 종류의 경우에 대해서 각 헤드 이동 단계량 T와 평가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면 도 7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그래프 g9는 300 dpi, 그래프 g10은 600 dpi를 나타내고 있다. 평가량의 최저치는 300 dpi에서는 헤드 이동 단계량 T=3일 때이고, 600 dpi에서는 헤드 이동 단계량 T=5일 때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상 형성의 해상도에 의존하여 헤드가 가장 적합한 헤드 이동 단계량 T가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는 프린터의 해상도마다 헤드 이동 단계량 T를 조정함으로써 사람의 시각 특성을 이용한 가장 가장 적합한 즉, 화질이 양호한 화상 형성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은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배열한 1개의 잉크젯 기록 헤드(33)를 드럼(22)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한 인자 기구(34)를 사용한 잉크젯 프린터를 예로 들어 기술하였지만, 이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배열한 4개의 잉크젯 기록 헤드(331, 332, 333, 334)를 드럼(22)의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한 인자 기구(341)를 사용한 잉크젯 컬러 프린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잉크젯 기록 헤드(331)를 옐로우, 잉크젯 기록 헤드(332)를 시안, 잉크젯 기록 헤드(333)를 마젠타, 잉크젯 기록 헤드(334)를 블랙으로 하고, 각 헤드를 전술한 잉크젯 기록 헤드(33)와 같이 사람의 시각 특성에 대응하여 결정한 헤드 이동 단계량 T에 기초하여 구동 제어하면 좋다. 또, 4개의 잉크젯 기록 헤드(331∼334)를 왕복 이동 기구(35)에 얹어 놓고 동시에 이동 제어하게 된다.
또,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토출구(33a)의 간격이 150 dpi인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300 dpi 또는 600 dpi의 화상을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잉크 토출구(33a)의 간격이 A dpi인 경우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2A dpi또는 4A dpi의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기록 헤드를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 헤드 이동 단계수 만큼 이동함으로써 200 dpi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400 dpi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기록 헤드를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 헤드 이동 단계수 만큼 이동함으로써 200 dpi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800 dpi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록 헤드를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 헤드 이동 단계수 만큼 이동함으로써 180 dpi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360 dpi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기록 헤드를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의해 결정된 헤드 이동 단계수 만큼 이동함으로써 180 dpi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여 720 dpi의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는 기록지를 드럼에 감아 잉크젯 기록 헤드의 잉크 토출구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반송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기록지를 벨트 컨베이어 등에 실어 반송시키는 것이나, 기록지를 고정하여 잉크젯 기록 헤드를 이동하여 기록지가 잉크젯 기록 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반송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한 것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라인형으로 다수의 LED 기록 소자를 배열한 LED 기록 헤드를 사용한 프린터나 라인형으로 다수의 발열체 기록 소자를 배열한 열적 기록 헤드를 사용한 프린터나 라인형으로 다수의 EL 기록 소자를 배열한 엣지 이미터 기록 헤드를 사용한 프린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배열한 기록 헤드와;
    상기 기록 헤드를 기억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기록 매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헤드를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기록 소자 사이의 피치보다도 작은 피치로 도트 기록을 행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기록 헤드를 사람의 시각 특성에 대응하여 결정한 이동량 만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람의 시각 특성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도트의 상기 기록 헤드의 이동 방향의 인자 불균일을 사람의 시각이 느끼는 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등간격으로 배열한 기록 헤드와;
    상기 기록 헤드를 기억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기록 매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헤드를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기록 소자 사이의 피치 L보다도 작은 피치 L/K(단, K는 2 이상의 정수)로 도트 기록을 행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기록 헤드를 사람의 시각 특성에 대응하여 결정한 이동량 T×L/K(단, T는 헤드 이동 단계량으로 양의 정수)만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이동 단계량 T는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의 공간 주파수 특성과 시각의 공간 주파수 특성과의 곱의 합(sum of product)이 최소가 되는 단계량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되는 화상의 공간 주파수 특성은 E(μ)이고, 상기 시각의 공간 주파수 특성은 H(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1/150 인치의 간격으로 배열한 기록 헤드와;
    상기 기록 헤드를 기억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기록 매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헤드를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2회 반복함으로써 기록 소자의 피치 1/150보다도 작은 피치 1/300 인치로 도트 기록을 행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기록 헤드를 이동량 3×1/300(헤드 이동 단계수 T=3)만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라인형으로 다수의 기록 소자를 1/150 인치의 간격으로 배열한 기록 헤드와;
    상기 기록 헤드를 기억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기록 헤드의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기록 매체를 반송시키는 반송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헤드를 기록 소자의 배열 방향으로 이동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4회 반복함으로써 기록 소자의 피치 1/150보다도 작은 피치 1/600 인치로 도트 기록을 행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헤드에 대한 반송을 반복할 때마다 상기 기록 헤드를 이동량 5×1/600(헤드 이동 단계수 T=5)만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1999-0002392A 1998-01-28 1999-01-26 화상 형성 장치 KR100381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15385 1998-01-28
JP10015385A JPH11207998A (ja) 1998-01-28 1998-01-28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136A true KR19990068136A (ko) 1999-08-25
KR100381127B1 KR100381127B1 (ko) 2003-04-21

Family

ID=1188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392A KR100381127B1 (ko) 1998-01-28 1999-01-26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213585B1 (ko)
EP (1) EP0933219B1 (ko)
JP (1) JPH11207998A (ko)
KR (1) KR100381127B1 (ko)
CN (1) CN1105647C (ko)
DE (1) DE69908666T2 (ko)
SG (1) SG680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4149B2 (ja) * 1997-09-30 2006-0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感熱記録装置
US6834586B1 (en) * 1999-05-31 2004-12-28 Fuji Photo Film Co., Ltd. Lithographic method and lithographic device, plate making method and plate making device, and ink jet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device
JP2001063016A (ja) * 1999-08-24 2001-03-13 Canon Inc プリント方法およびプリント装置
US20050225586A1 (en) * 2004-04-08 2005-10-13 Brenner James M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printer dot placement errors
US20120007918A1 (en) * 2010-07-07 2012-01-1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head, inkjet printer, and inkjet recording method
US9984305B2 (en) * 2016-04-19 2018-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fficient SIMD implementation of 3x3 non maxima suppression of sparse 2D image feature point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1991A (en) 1981-10-08 1983-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riable resolution, single array, interlace ink jet printer
US4864328A (en) 1988-09-06 1989-09-05 Spectra, Inc. Dual mode ink jet printer
US5079571A (en) 1990-05-25 1992-01-07 Tektronix, Inc. Interlaced printing using spaced print arrays
JPH04201365A (ja) 1990-11-30 1992-07-22 Hitachi Ltd 記録装置
DE69203101T2 (de) 1991-02-01 1996-01-18 Tektronix Inc Verfahren zum verschachtelten Hochgeschwindigkeitsdruck Gemäss der Abtastrichtung der Druckkopfachse.
US5475497A (en) * 1991-02-22 1995-12-12 At&T Ipm Corp. Two-dimensional display model-based halftoning
JP3155794B2 (ja) 1991-12-13 2001-04-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625389A (en) * 1994-01-31 1997-04-29 Tektronix, Inc. Ink-jet print head array and interlace method
US5625390A (en) * 1995-01-30 1997-04-29 Tektronix, Inc. Pairing of ink drops on a print medium
JP4155472B2 (ja) * 1996-08-28 2008-09-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68091A1 (en) 1999-10-19
CN1105647C (zh) 2003-04-16
JPH11207998A (ja) 1999-08-03
DE69908666T2 (de) 2004-05-13
US6213585B1 (en) 2001-04-10
KR100381127B1 (ko) 2003-04-21
EP0933219A1 (en) 1999-08-04
CN1235089A (zh) 1999-11-17
EP0933219B1 (en) 2003-06-11
DE69908666D1 (de) 200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1371B1 (en) Determination of value of adjustment for recording position variation in printing using two types of inspection pattern
EP0865927B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using multiple nozzle groups
US6769759B2 (en) Printing with selection of sub-scanning
JP2010137553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EP0816103A2 (en) Method for liquid ink printing
WO1998045119A1 (fr) Procede d&#39;enregistrement de points et dispositif d&#39;enregistrement associe
US6669319B2 (en) Ink Jet printer and printing method
JP4006786B2 (ja) テスト用ドット記録方法およびプリンタ
US6203134B1 (en) Dot recording method and dot recording device
JP546863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085442B2 (en) Method of producing a tiled print product
KR100381127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55543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2233260A (ja) 記録装置
EP1525992A1 (en) Printing device
US8201911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US20030043219A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US6416162B1 (en) Color printing using a vertical nozzle array head
JP3291789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1507301A (ja) プリンターおよび印刷方法
US7306314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control method
US6231161B1 (en) Dot recording for preventing adjacency of recording positions
JP3504475B2 (ja) 画像形成装置の画像形成方法
JP2009051063A (ja) 画像形成装置
JP7020211B2 (ja) データ出力設定調整方法、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