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976A -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슬라이드 -오버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슬라이드 -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976A
KR19990067976A KR1019990001403A KR19990001403A KR19990067976A KR 19990067976 A KR19990067976 A KR 19990067976A KR 1019990001403 A KR1019990001403 A KR 1019990001403A KR 19990001403 A KR19990001403 A KR 19990001403A KR 19990067976 A KR19990067976 A KR 1999006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over device
finger
conveying
suppor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9792B1 (ko
Inventor
죠오지요하네스 반지이데르벨드
프란시스코스조셉퍼스마리아 반이치
Original Assignee
조오지 요하네스 반 지데르벨트
엠씨씨 네델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오지 요하네스 반 지데르벨트, 엠씨씨 네델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조오지 요하네스 반 지데르벨트
Publication of KR1999006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7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6Fixed platforms or combs, e.g. bridges betwee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이송 방향으로 전환휘일사이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두 전환휘일사이로 연장하는 무한 콘베이어 매트를 포함하며, 추가로 콘베이어 매트의 이송 면으로부터 또는 향하여 전환휘일에 인접하고, 전환휘일을 향해 또는 부터 콘베이어 매트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슬라이드 -오버 장치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이송면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개별 분리가능한 핑거를 포함한다. 이송면은 거의 평평하고 이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거의 직선의 슬롯을 가진다. 각 핑거는 슬롯과 협력한다. 핑거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되도록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슬라이드 -오버 장치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PRODUCTS, AND SLIDE-OVER DEVICE}
본 발명은 이송 방향으로 전환휘일사이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두 전환휘일사이로 연장하는 무한 콘베이어 매트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이송 시스템은 추가로 콘베이어 매트의 이송 면으로부터 또는 향하여 전환휘일에 인접하고, 상기 전환휘일을 향해 또는 부터 콘베이어 매트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슬라이드 -오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이송면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개별 분리가능한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면은 거의 평평하고 이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거의 직선의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각 핑거는 슬롯과 협력한다.
본 발명은 또한 콘베이어 매트의 이송 면으로부터 또는 향하여 전환휘일에 인접하고, 상기 전환휘일을 향해 또는 부터 이송 방향으로 콘베이어 매트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이송면과 협력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분리가능하고 거의 평행하게 외향으로 연장하는 핑거를 포함한다.
이런 이송 시스템 및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여러 다른 환경에서 모든 종류의 물품을 이송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이런 콘베이어 매트와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정확한 적용분야는 운송수단에 관한 것이고 물품을 저온 살균하기 위한 저온 살균기를 통해 물품을 운송한다.
저온 살균동안, 물품, 특히 음료수는, 패키지내에 들어간 후, 물품의 저장기간을 연장하도록 얼마동안 가열된다. 결국, 물품을 포함하는 밀봉 패키지는 이송 트랙위에 놓여지고 긴 물기밀 터널을 형성하는 용기를 통과한다. 이송 트랙은 종종 25-35m의 길이와 3-5m 폭을 가진다. 이송 트랙은 영역마다 다른 온도의 따뜻한 수온 예를 들어 20-40-60-80-60-40℃로 분사되어지는 다수의 영역을 따라서 터널내로 물품을 통과시킨다. 이런 이송 트랙은 물품을 약 0.5 m/초의 속도로 이송하고 시간당 약 30-70,000 패키지의 용량을 가진다. 온도 영역에서, 약 시간당 25m3은 트랙 표면적 m2당 물품상에 분사된다. 보다 효율적으로 물을 이용하기 위해서, 이송 트랙은 양호하게 이층 형상(double-decked design)으로 되어 있다. 이송 트랙에 의해 저온 살균기로 이송된 패키지는 대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조된 폿 또는 병이다.
비용 때문에, 제 2 전환휘일을 둘러싸고 있는 무한 콘베이어 매트로서 이송 트랙을 설계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이런 콘베이어 매트는 EP 0 339 309에 공지되어 있다. 콘베이어 매트는 상호 결합된 플라스틱 모듈의 다수로 만들어져 있으며, 각각은 이송 방향으로 평행하고 나란한 관계로 연장하는 다수의 핀으로 만들어져 있다. 다수의 이들 핀에는 돌출 리브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리브의 상부 측면은 함께 이송 면을 이룬다. 전환휘일에 인접해서, 물품은 날형 돌출부를 지지하는 평평부를 가지는 콤(comb)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의해 이송 면을 향해 또는 부터 운송된다. 상기 날은 방출동안 가장 전방의 물품이 이송 면으로부터 운송되고 다음의 물품에 의해 날을 통해 콤의 평평부상에 밀려지도록 상승 리브사이에 돌출하며, 반면에, 제 2 전환휘일을 경우해서, 모듈은 이들 무한 통로를 계속한다. 물품의 공급동안, 최전방 물품은, 제 2 전환휘일의 위치에서, 다음의 물품에 의해 날을 통해 이송 면상의 콤의 평평부로부터 밀려진다.
종래의 이송 시스템과 현재의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결점은 이들이 저온 살균기를 통해 유리 패키지를 이송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사실상, 저온 살균 동안 패키지내의 압력은 증가한다. 이것은 유리내의 약한 스폿 및/또는 패키지의 과도하게 높은 충전도의 결과로서 유리 패키지의 약 1%의 파괴를 야기한다. 종래의 콘베이어 매트와 종래의 이송 시스템에서, 파손된 패키지의 유리 파편은 모듈의 리브 및/또는 핀사이에 박혀진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손상하게 된다. 특히, 리브 및/또는 핀사이에 박혀진 유리 파편에 의해 콤의 날이 파괴되거나 굽혀지며, 이 결과로 이들은 패키지의 방해물을 형성한다. 더욱이, 유리 파편이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콤의 평평부 아래에 축적될 수 있어서, 콤이 이송 평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날이 물품에 대해 방해물를 형성하게 한다.
그러므로, 실제로 유리 패키지에 넣어진 물품용 저온 살균기에서, 이런 이송 시스템과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이송 트랙으로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플라스틱 이송 시스템과 플라스틱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내온성, 내마모성 및 강성의 높은 조건이 부과되어진 다른 환경에서도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독일 특허 20 38 966호에는 콘베이어 벨트와 같은 콘베이어의 이송 면내에 길이방향 홈과 각각 협동할려고 하는 핑거를 가진 핑거판의 형태의 슬라이드 -오버 장치를 교시하고 있다. 핑거판은 핑거 각각이 나사에 의해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가능한 지지빔을 포함한다.
핑거판의 결점은 핑거가 분리되기 위해 직접 접근할 수 없지만, 먼저 지지빔과 함께 상향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특히 핑거가 나쁘게 접근가능하고/ 또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가 상당히 큰 수의 핑거를 포함하는 경우에, 저온 살균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서 처럼, 분리과 교환이 문제를 이르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의 일부분과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상부에서 본 도 1의 이송 시스템의 콘베이어 매트의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바닥에서 본 도 1의 이송 시스템의 콘베이어 매트의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이송 시스템의 지지 바디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이송 시스템의 장착 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부분적으로 해체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시스템 2 : 콘베이어 매트
3 : 이송방향 4 : 모듈
5 : 전환 휘일 16 : 슬라이드-오버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 언급한, 특히 저온 살균기를 통해 유리 패키지를 이송하는데 적합하고 상술한 결점을 가지지 않는 이송 시스템에 내온성, 내마모성 및 강성을 제공하고,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내온성, 내마모성 및 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핑거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거의 분리가능하게 되도록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특히 핑거가 파괴되거나 굽혀지면, 개별 유닛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반면 다른 핑거는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핑거를 슬라이드 -오버 장치 및/또는 서로 스냅 연결부에 의해 연결함으로서, 제거 및 교환은 더욱더 용이해질 수 있다. "핑거"는 홈과 함께 작용하는 부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핑거는 다수의 부품으로 만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핑거 각각이 반대 단부에 인접한 한 부재를 지지하는 거의 평평한 지지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 바디는 개방 사이공간을 가진 이송방향으로 수직으로 이격된 개별 표면을 이룬다. 결국, 전환휘일의 위치에서, 슬롯은 파편의 침입에 대해서 보호될 수 있으며, 반면 파편은 개별 표면사이로 방출될 수 있다. 지지 바디사이의 개방 공간이 메워진다면, 바로 관찰자가 지각할 수 있으므로, 개방 공간을 제 시간에 간단한 방법으로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핑거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분리하기 위한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핑거가 각각 슬라이드 -오버 장치 및/또는 서로 스냅 연결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고정 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서, 경제적으로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는 핀의 한 포켓을 형성하도록 핑거를 연결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오버 장치는 지지 바디들이 프레임에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위치되어 있는 평면과 거의 횡축으로 프레임에 대해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코베이어 매트의 팽창중에, 핑거는 이송 방향에 대해 횡축으로 미끄럼 이동된다. 더욱이, 미끄럼 이동을 통하여, 이송 방향에 대해 횡축으로 콘베이어 매트의 플레이는 이루어진다.
이송 시스템의 추가의 특징과 장점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다수의 실시예를 근거로 이후에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개략적인 대표도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양호한 실시예가 기술된다.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대응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1)의 상세내용이 본원에 기술된다. 상기 이송 시스템(1)은 두 전환 휘일 주위에 대해 변위되는 무한(endless) 콘베이어 매트(mat, 2)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전환 휘일(5) 주위에 대해 콘베이어 매트(2)가 이동하는 위치에서 콘베이어 매트(2)의 “ 단부 " 에 인접한 콘베이어 매트(2)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콘베이어 매트(2)는 다수의 플라스틱 모듈(4)의 열(row)을 구비하고, 상기 모듈의 열들은 이송 방향(3)으로 서로 연속하고 이송방향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도 1에는 각 열의 한 모듈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송방향에서, 모듈(4)들은 각기 전방면(6) 및 후방면(7)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 및 후방면(6,7)에서 모듈(4)들에는 힌지 루프(8)가 각기 제공된다. 이송 방향(3)에서 서로 연속하는 모듈(4)들의 힌지루프(8)들은 함께 이동되며, 이송방향(3)에 횡축으로 연장되는 힌지 핀(9)에 의해 결합된다. 힌지 핀(9)들은 콘베이어 매트(2)의 너비를 거쳐 이송 방향에 대해 횡축으로 연장되며, 플라스틱으로 부터 양호하게 제조된다. 모듈들의 상부면(10)들은 이송 면(11)으로 구성된다.
양호하게도, 콘베이어 매트(2)는 측면(12)들이 서로에 대향하여 인접하게 되는 모듈(4)의 열로 이루어지며, 이송방향(3)에서 서로 이어지는 모듈(4)의 열은 브릭스톤 방식(brickstone patter)에서와 같이 서로에 대해 파상형상(stagger)으로 배치된다. 모듈(4)들에는 각각 이송면(11)에 거의 횡축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13)가 제공된다. “ 이송면(11)에 거의 횡축으로 연장되는 구멍(13) "라는 문구는 모듈(4)의 상부면(10)으로 부터 하부면(37)까지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송 방향(3)에서 연장되는 홈(14)이 제공되는 거의 판형의 상부면(10)을 상기 모듈(4)은 구비한다. 상기 모듈들은 이송면(11)이 거의 판형으로 구성되도록 결합되며, 거의 직선형인 다수의 슬롯(15)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롯은 콘베이어 매트(2)의 길이를 거쳐 이송방향(3)으로 연장되고 홈(14)을 확립한다.
상기 이송 시스템(1)은 이송방향(3)에서 콘베이어 매트(2)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을 이송면(11)에서 전환 휘일(5)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전환휘일(5)에 인접하게 배열된 슬라이드-오버(slide-over)장치(16)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드-오버 장치(16)는 그 한단부가 핑거(18)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대향단부가 원통형 고정부재(19)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판형상의 지지바디(17)를 다수 포함한다. 상기 고정 부재(19)들에 의해서, 상기 지지 바디들(17)은 각각의 핑거(18)들이 슬롯(15)들중의 하나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장착 블록(20)에서 고정형 개구(21)에 각기 장착되며, 지지바디들(17)사이에는 공간(28)이 존재한다.
이송 시스템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콘베이어 매트(2)의 이송면(11)상에 위치된 물품은 화살표(22)방향으로 전환 휘일(5)을 구동하므로서 이송방향(3)에 위치된다. 결국, 전환 휘일(5)의 외측 원주(25)상에 제공된 돌출부(23,24)는 챔버(26)내의 모듈(4)들과 결합된다. 전환 휘일(5)의 위치에서, 콘베이어 매트(2)의 모듈(4)들은 먼저 약 180°정도로 전환 휘일의 외측 원주(25)를 뒤따르고, 그들의 무한(endless)통로의 복귀면을 연속하여 뒤따른다. 전환휘일에서, 물품은 슬라이드-오버 장치(16)를 통하여 이송면(11)으로 부터 멀리 이송된다. 정말로, 전환 휘일(5)의 위치에서 슬라이드-오버 장치(16)의 핑거(18)들은 슬롯(15)속으로 돌출되어 바람직하게는 전환 휘일(5)의 중앙선 위 또는 넘는 위치로 돌출되며, 이송 방향(3)으로 유도되는 물품을 이송면(11)으로 부터 다음 물품에 의해 이동된다. 그리고, 핑거(18)를 거쳐 장착 블록(20)의 방향에서 지지 바디(17)들의 상부면(27)상으로 밀리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물품은 통상의 공지된 방법으로 방출된다.
물품은 제 1 전환 휘일에 인접하게 배열된 슬라이드-오버 장치(17)에 의해 이송면(11)상에 놓여질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오버 장치의 핑거(18)는 이송방향(3)에서 슬롯(15)속으로 돌출한다.(도시되지 않음) 이때문에 상기 물품들은 이송방향에서 후속되는 물품에 의해서 지지 바디(17)의 상부면(27)위로 핑거(18)를 거쳐 이송면(11)에 전송되며, 반면에 이물질(dirt)등이 지지 바디(17)사이의 공간(28)에 떨어지게 된다.
물품이 유리병이고, 상기 시스템(1)이 상술된바와 같이 저온살균기 (pasteurizer)에서 이송트랙으로서 사용될때, 다수의 병들은 이송중에 파손될 것이고, 모듈(2)의 형상으로 인하여 유리파편 및 대형의 이물질등이 콘베이어 벨트에 누적되게 될 것이다. 모듈(4)의 관통 구멍(13)들을 통하여 물, 소형의 이물질 및 유리 가루들이 이송중에 이송면(11)으로 부터 방출될수 있다. 유리 파편 및 대형의 이물질등은 핑거(18)에 의해서 이송면으로 부터 제거되고, 지지 바디(17)들 사이의 공간(28)을 거쳐 떨어진다. 만약 지지바디(17)들 사이의 개방형 공간(28)이 막히게되면, 이것은 바로 관측자가 인지할수 있으므로, 개방형 공간은 바로 깨끗하게 될수 있다. 핑거(18) 또는 지지 바디(17)가 파손 또는 굽혀질때, 예를들어 이송면(11)에 유리파편이 부딪칠때, 이것도 상기와 같이 바로 인지될수 있다. 핑거(17)가 파손되거나 그자체가 파손되는 지지바디(17)는 수직방향에서 장착 블록(20)으로 부터 지지바디(17)를 제거하고, 장착블록(20)을 설명하는 곳에서 상세히 기술되는 방법으로 수직방향에서 새로운 핑거를 연속적으로 피팅(fitting)하므로서 루즈 유니트로서 간단히 대체될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라이드-오버 장치 및 이송 시스템의 다른 부분들은 보다 상세히 검토될 것이다. 검토된 통상의 실시예는 단지 양호한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이며, 청구범위 사상내에서 다른 여러 실시예가 실시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모듈(4)이 도시되어 있다. 모듈(4)의 상부면(10)은 거의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홈(4)들 사이에 위치된 상부면의 일부에 고정방식으로 물품을 고정시킨다. 상기 홈(4)들이 각기 베이스(31)를 통해 연결되는 두 측벽(29,30)을 구비하므로, 모듈을 통해 떨어지는 파편들이 감소된다. 이송방향에 횡축으로, 상기 홈(4)들이 핑거(8)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된다. 콘베이어 매트(2)가 전환 휘일(5)주위로 이동될때, 이 위치의 슬롯(15)이 전환 휘일(5)의 중앙선(도 2에 도시됨)에 원호(circular arc)로 형성되도록, 홈(14)의 베이스(31)는 거의 대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슬롯(15)의 종축방향으로 물의 유동을 방지하며, 전환 휘일(15)의 위치에서 다각형 형상 만큼 콘베이어 매트의 변형으로서 이송면(11)에 대해 핑거(18)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며, 핑거(18) 및 슬롯(15)사이의 개폐 간극의 형성을 방지한다.
모듈(4)의 전방면(6) 및 후방면(7)에 인접한 이송방향(3)에 횡축인 상기 홈(14)의 섹션은 홈(14)속으로 핑거(18)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듈(4)의 중앙(33)에 인접한 것보다 크다. 관통구멍(13)은 상부면(10)에 제공된 홈(14)의 베이스(31) 및 모듈(4)의 상부면(10)에 형성된 라운드(round)형 구멍으로 설계된다.
이송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관통구멍(13)은 15㎜ 이하의 대형치수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가장바람직하게는 7㎜이하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관통구멍에서 부딪치는 유리 파편은 감소된다.
모듈(4)은 힌지 루프(8)와 동일한 갯수가 제공된 전방면(6) 및 후방면(7)을 구비한다. 이송방향(3)에 횡축인 방향에서 힌지 루프(8)는 힌지 루프(9)의 너비와 거의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모듈(4)의 전방면(6) 및 후방면(7)에서 그들은 하나의 힌지 루프의 너비에 의해 서로에 대해 파상형상(stagger)으로 배치된다. 결론적으로, 특히 콘베이어 매트의 짧은 길이는 모듈(4)의 한 열만 최소화할 필요가 없다. 힌지 루프(8)들이 서로에 대해 파상형상으로 배치되고, 전방면(6) 및 후방면(7)에서 힌지 루프(8)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모듈(4)은 청구범위의 사상내에서 또한 가능하다.
힌지 루프(8)들에는 일정한 크기의 반경을 갖고 수평하게 모듈의 상부면(10)과 접촉하며, 힌지 핀(9)의 중앙선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송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필렛(34)이 각기 제공되며, 상기 힌지 루프(8)의 공간에는 필렛(34)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리세스(35)가 제공된다. 그래서, 콘베이어 매트(2)는 모듈의 열사이의 변위 위치에서 판형상의 이송면(11)을 또한 구비한다. 더욱이, 콘베이어 매트(2)의 굽힘 작용중에, 상부면(10)으로 부터의 유리 가루는 모듈(4)사이의 공간에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모듈(4)의 힌지 루프(8)는 힌지 핀(9)을 수용하기 위해 힌지 구멍(36)을 각기 구비한다. 힌지 구멍(36)을 길게 설계하므로서, 힌지 핀(9)의 조립 및 분리는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힌지 구멍(36)의 중앙선은 모듈(4) 높이의 반보다 작게 위치되며, 예를들어 상부면(10)보다 하부면에 더 가깝게 아래에 위치되어 하부면으로 부터 유리가루의 이동을 방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핑거(18)를 수행하는 지지 바디(17)가 도시되어 있다. 지지 바디(17)는 플라스틱으로 양호하게 제조된다. 그 대향측면상에는, 지지바디(17)가 고정부재(19)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바디(19)는 전환휘일의 위치(도 2에 도시됨)에서 콘베이어 매트(2)내의 슬롯(15)의 곡률과 결합되는 곡면(43)을 구비한다. 바람지하게도, 이송 방향(3)에 대해 횡축으로 있는 곡면(43) 및 핑거(18)의 섹션이 홈(14)에 대응하여 설계되며, 특히 사다리꼴로 설계되므로, 핑거(18) 및 곡면(43)은 유리 침입에 대향하여 슬롯(15)의 측벽을 적어도 보호한다. 지지바디(17)는 장착 블록(20)의 방향에서 이송면(11)으로 부터 물품을 이동시키기 위해 판형 상부면(27)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 부재(19)는 하부면(45)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부면(44)을 구비하며, 이것에 대해서는 장착 블록의 검토부분에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또한, 지지바디(17)는 장착블록(20)에서의 대응 리세스(47)와 결합하기 위해 스냅 핑거(46)로서 설계되는 스냅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스냅 핑거(46)는 유리 파편 및 떨어지는 물질로부터 스냅 핑거(46)를 보호하는 커버(48)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스냅 핑거(46)를 작동시키기 위해 결합부재로서 작동된다. 브래킷(48)과 스냅 핑거(46)사이에 나사 드라이버와 같은 바아를 위치설정시키므로서, 상기 드라이버는 블래킷(48)과 결합할수 있으며, 압축된 상태에서 스냅 핑거(46)의 차단이 이루어 질수 있다. 이것은 장착블록(20)상에 지지 바디(17)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착 블록(20)의 횡축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평행한 고정 개구(21)들을 구비한 장착블록(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장착블록(20)은 길이방향에서 단계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상부 구멍(49)의 열과, 리세스(47) 및 하부구멍(50)의 열을 구비한다. 넓은 콘베이어 매트(2)의 경우에, 다수의 장착 블록 (20)이 이송방향(3)에 대해 횡축으로 나란히 위치설정된다. 장착 블록(20)은 양호하게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장착 블록(20)에서 지지바디(17)의 조립중에, 지지 바디(17)의 스냅 핑거(46)는 스냅(46) 및 커버(48)사이의 나사 드라이버와 같은 바아를 통과시키므로서 접혀지는 위치에서 먼저 고정된다. 다음으로, 고정 부재(19)는 고정부재(19)의 하부면(45)이 하부 구멍(50)의 열의 대응 구멍속으로 위치될때까지, 상부 구멍(49)의 열들중의 하나를 통해 거의 수직방향으로 통과된다. 나사 드라이버를 제거하는 중에, 스냅 핑거(46)는 리세스(47)와의 결합을 통하여 고정 부재(19)를 제동하기 위해 되돌아가게 된다. 위로부터 바아를 슬라이드-오버 장치속으로 통과시켜 스냅 핑거(46) 및 브래킷(48)사이에 위치설정시키므로서, 스냅 연결부는 제동되지 않을수 있고, 지지 바디(17)는 수직방향으로 바아와 함께 제거될수 있다. 도면에서, 수직방향은 화살표 P로 표시된다. 특히, 슬라이드-오버 장치가 저온 살균기와 같이 에워싸여지는 것내에 사용될때, 핑거의 제거 및 분리는 매우 단순히 이루어진다. 상기 스냅 핑거(46)에 베벨를 제공할수 있으므로, 삽입중에 스냅 핑거는 장착 블록(20)의 에지와의 접촉을 통해 접혀진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립중에 바아의 사용이 필요없게 된다.
상기 지지 바디(17)들을 블록(20)에 조립한 후에, 핑거(18)는 슬라이드-오버 장치(16)에 각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 바디(17)는 공동의 공간(28)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고, 이들은 이송방향(3)에 대향하여 슬라이드-오버 장치(16)로부터 슬롯(15)속으로 돌출하는 핑거(28)를 각기 구비한다.
하부부분(45)보다 직경이 큰 고정부재(19)의 상부부분(44)을 제공하므로서, 고정부재(19)의 상부부분은 이송방향(3)으로 힘을 가하는데 충분한 물질을 함유한다. 상부구멍(49)열을 설계하므로서, 장착방향에서 그들은 단계적으로 직경이 감소되며, 더욱이 상기 구멍(49,50)사이 장착블록(20)의 횡축방향으로의 물질은 상기 구멍(49,50)사이 횡축으로 장착블록(20)을 짧게할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구비한다.이러한 경우에, 에지에 인접한 구멍(49)의 대부분 물질은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외향으로의 굽힘없이 지지 바디(17)를 지지한다. 만약 직경이 구멍(49)의 길이를 통해 크게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굽힘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장착 블록(20)에는 이송방향(3)에 횡축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대향 슬롯(51,52)이 제공되므로, 상기 장착블록(20)은 프레임(53)상에 장착될수 있다. 저온 살균기에서의 온도로 인하여, 이송 매트(2)는 60℃의 온도 상승에서 m당 10㎜까지 팽창된다. 상기 슬롯(51,52)은 콘베이어 매트(2)의 팽창중에 장착 블록 (20)이 이송방향(3)에 횡축으로 미끄럼될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슬롯(51,52)은 열로 인한 장착 블록(20)의 비틀림 없이 프레임(53)에 대해 장착 블록(20)의 팽창을 허용한다. 또한, 슬롯(51,52)을 사용하므로서, 모듈(4)의 힌지 루프들 사이의 공간 및 힌지루프(8)들의 너비의 작의 편차로 인한 이송방향에 대한 횡축의 콘베이어 매트(2)의 플레이는 잘 이루어질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오버 장치(16)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분리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역시, 지지 바디(17)들은 한 평면내에 거의 위치되며, 핑거(18), 직선 에지(27) 및 곡선 에지(43)를 구비한다. 그러나, 지지 바디(17)들은 고정 부재(55)가 제공되어 있는 측면(54)들을 구비한다. 고정 부재(55)에 의해서, 지지 바디(17)들은 분리가능하게 상호 연결될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고정부재 (55)는 다음 지지바디(17)의 측면(도 7에 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다.
도 7에는, 지지 바디(17)들이 이송방향(3)에 횡축으로 고정부재(55)에 의해서 공동 공간(28)에 연결되어 핀(fin, 60)들의 다발을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핀(60)들의 다발은 경제적인 방식으로 프레임(53)에 바로 연결될수 있다. 콘베이어 매트(2)의 너비에 좌우되어, 상기 다수의 핀(60)다발이 이송 방향(3)에 횡축으로 전환 휘일(5)의 위치에서 나란히 배열되므로, 지지 바디(17)들의 핑거(18)들은 이송면(11)에서 슬롯(15)과 각기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지지 바디(17)들에는 상부 가이드(59) 및 하부 가이드(58) 와 결합되는 대향 슬롯(56,57)이 각기 제공된다. 이것은 이송방향(3)에 횡축으로 핀(60)다발을 미끄럼 이동시키므로서, 이송 방향(3)에 대해 횡축으로 콘베이어 매트(2)의 팽창 및/또는 플레이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진다.
핑거(18) 또는 지지 바디(17)가 파손될때, 상부 가이드(59)는 프레임(53)으로 부터 먼저 분리된다. 하부 가이드(58)로 부터 핀(60)다발의 분리후에, 파손된 지지 바디(17)는 인접한 지지바디(17)의 측면으로 부터 고정 부재(55)를 제거하므로서 핀 다발로부터 제거되고, 다른 인접한 지지바디의 고정부재(55)로부터 제거된다. 고정 부재(55)를 통하여, 핑거(18)들은 서로 분리된다. 지지 바디(17)의 분리후에, 조립체는 반대로 진행될수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이송 방향(3)에 대해 횡축인 핀(60) 다발의 강도는 지지 바디(17)에서 구멍(62)들을 거쳐 핀(60)다발을 통해 인장 바아를 직선으로 배열하므로서 증가될수 있으며, 볼트(63)를 갖춘 바아는 편향된다.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오버 장치는 또한 상술된 슬라이드-오버 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단순한 U-형 가이드를 사용하므로서 지지바디들이 서로 연결될수 있으며, 슬라이드-오버 장치가 바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될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오버 장치(16)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하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핑거(18)들은 대향되어 있는 두개의 웨지-형 고정부재(64)들에 의해서 가이드 판(65)상에 각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전환 휘일(5)에 인접하게 가이드 판(65)이 프레임(53)에 연결되므로, 상기 핑거(18)들은 이송면(11)에서 슬롯(15)과 각기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물품은 핑거(18)를 통하여 가이드 판(65)을 항해 이송면(11)으로 부터 후속 물품에 의해서 밀리어지고, 또한 거의 방출된다. 핑거(18)들에 대한 손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핑거(18)들은 스프링(70)에 의해서 가이드(66)내에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전방으로 핑거(18)와 접촉하고 슬롯(15)내의 이송방향에서 클램프 되는 목적물은 스프링(70)작용에 대향하여 핑거(18)를 가이드(66)속으로 이동시킨다. 목적물이 핑거(18)속으로 이송된후, 핑거(18)는 되돌아오게 된다.
핑거(18)가 파손되거나, 가이드(66)가 망가질때, 가이드 판(65)이 프레임 (53)으로 부터 분리된후 핑거(18)는 서로를 향하여 대향된 고정부재(64)를 압축하므로서 가이드판(65)으로 부터 분리될수 있다. 그러므로서, 핑거는 가이드(66)로부터 취해질수 있다. 가이드(66)속으로 핑거(18)를 압축하므로서, 부착물은 발생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오버 장치(16)의 다른 실시예의 상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핑거(18)들에는 고정부재들과 같은 신장형 아이(67)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핑거(18)들은 곡선으로 구성되며, 전환 휘일(5)에 대하여 곡면의 위치에서 슬롯(15)과 결합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핑거(8)는 스프링(71)에 의해서 부하를 받는다. 상기 핑거(18)는 지지 돌출부(68)와 함께 안내된다. 상기 슬라이드-오버 장치(16)는 핑거(18)를 거쳐 이송면(11)으로 부터 물품이 전달되는 곳에 형성된 가이드 판(도 9에 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한다. 핑거(18)는 스프링(71) 및 피봇(69)의 분리후에 루즈 유니트로서 분리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핑거가 각각 수직방향으로 거의 분리가능하게 되도록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특히 핑거가 파괴되거나 굽혀지면, 개별 유닛으로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반면 다른 핑거는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핑거를 슬라이드 -오버 장치 및/또는 서로 스냅 연결부에 의해 연결함으로서, 제거 및 교환은 더욱더 용이해질 수 있다. "핑거"는 홈과 함께 작용하는 부품으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핑거는 다수의 부품으로 만들 수 있다.
상술된 슬라이드-오버 장치는 상기 실시예에서 기술된 이송 시스템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내에서 다른 이송시스템에서, 특히 스냅연결부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19)

  1. 이송 방향으로 전환휘일사이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두 전환휘일사이로 연장하는 무한 콘베이어 매트를 포함하며, 추가로 콘베이어 매트의 이송 면으로부터 또는 향하여 전환휘일에 인접하고, 상기 전환휘일을 향해 또는 부터 콘베이어 매트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전달하기 위한 슬라이드 -오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는 이송면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개별 분리가능한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면은 거의 평평하고 이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거의 직선의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의 각 핑거는 슬롯과 협력하는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각각 수직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스냅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핑거는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되도록 슬라이드 -오버 장치 및/ 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냅 팽거와 상기 스냅 핑거를 작동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4.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각각은 한 단부에 인접한 한 핑거를 지지하고 고정 부재를 지지하는 평판한 지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바디는 이송 방향에 수직으로 이격된 개별 표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5.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핑거는 홈을 통해 전환휘일의 중심선 위 또는 뒤의 위치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6. 콘베이어 매트의 이송 면으로부터 또는 향하여 전환휘일에 인접하고, 상기 전환휘일을 향해 또는 부터 이송 방향으로 콘베이어 매트에 의해 이송된 물품을 전달하고, 이송면과 협력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분리가능하고 거의 평행하게 외향으로 연장하는 핑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수직 방향으로 분리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스냅 연결부에 의해서, 상기 핑거는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되도록 슬라이드 -오버 장치 및/ 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냅 팽거와 상기 스냅 핑거를 작동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는 콘베이어 매트내의 슬롯의 적어도 측면에 대해서 인접하기 위한 곡선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전환휘일의 위치에서 곡선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는 물품을 안내하기 위한 직선 에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는 이격된 개별 표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오버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는 프레임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지지 바디가 놓여 있는 평면에 수직으로 프레임에 대해서 미끄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는 장착 블록을 통해서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블록은 지지 바디의 고정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다수의 이격된 평행 고정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삽입방향에서 볼 때 고정 개구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5. 제 8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연결부는 상기 지지 바디상에 제공된 스냅 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디는 스냅 핑거, 특히 스냅 핑거위에 놓여진 브래킷을 작동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7. 제 6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상기 슬라이드 -오버 장치에 스프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8. 제 6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곡선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오버 장치.
  19. 제 6 항 내지 제 18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슬라이드 -오버 장치내에 사용되어지는 장착 블록 또는 지지 바디.
KR10-1999-0001403A 1998-01-19 1999-01-19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슬라이드 -오버 장치 KR1005297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8070A NL1008070C2 (nl) 1998-01-19 1998-01-19 Transportsysteem voor het transporteren van producten, alsmede overschuifinrichting.
NL1008070 1998-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976A true KR19990067976A (ko) 1999-08-25
KR100529792B1 KR100529792B1 (ko) 2005-11-21

Family

ID=1976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403A KR100529792B1 (ko) 1998-01-19 1999-01-19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슬라이드 -오버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296110B1 (ko)
EP (1) EP0930254B1 (ko)
JP (1) JP4180174B2 (ko)
KR (1) KR100529792B1 (ko)
AR (1) AR014427A1 (ko)
AU (1) AU745795B2 (ko)
BR (1) BR9900101A (ko)
CA (1) CA2257478C (ko)
DE (1) DE69906829T2 (ko)
DK (1) DK0930254T3 (ko)
ES (1) ES2197571T3 (ko)
NL (1) NL1008070C2 (ko)
TW (1) TW436456B (ko)
ZA (1) ZA99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6944B2 (en) * 2000-08-21 2003-02-11 Habasit Ag Module with alternating, offset cross-rib
US6481567B2 (en) * 2001-01-06 2002-11-19 Span Tech Llc Conveyor system with intermediate drive and related method
EP1348345B1 (de) * 2002-03-28 2006-09-13 Sander Hansen A/S Vorrichtung zum Pasteurisieren
US6705460B2 (en) 2002-04-23 2004-03-16 Laitram L.L.C. Modular conveyor belt
NL1021038C2 (nl) * 2002-07-09 2004-01-16 Mcc Nederland Transportsysteem en overschuifinrichting.
US7111725B2 (en) * 2004-10-13 2006-09-26 Laitram, L.L.C Non-skid modular plastic conveyor belt
CN101094799B (zh) * 2005-01-03 2012-07-25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用于无间隙端部输送的具有条板包括分段条板的传送带的传送装置
NL1030155C2 (nl) * 2005-10-10 2007-04-11 Rexnord Flattop Europe Bv Transporteur.
DK1927561T3 (da) * 2006-07-27 2010-09-13 Indag Gmbh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opdeling af en strøm af genstande
US7387197B2 (en) * 2006-09-13 2008-06-17 Pratt & Whitney Rocketdyne, Inc. Linear tractor dry coal extrusion pump
ES2300225B1 (es) * 2007-11-07 2009-08-24 Thyssenkrupp Elevator (Es/Pbb)Ltd Pasillo movil.
US8631927B2 (en) * 2009-06-19 2014-01-21 Aerojet Rocketdyne Of De, Inc. Track with overlapping links for dry coal extrusion pumps
US8439185B2 (en) 2010-04-13 2013-05-14 Pratt & Whitney Rocketdyne, Inc. Multiple moving wall dry coal extrusion pump
US8851406B2 (en) 2010-04-13 2014-10-07 Aerojet Rocketdyne Of De, Inc. Pump apparatus including deconsolidator
US9752776B2 (en) 2010-08-31 2017-09-05 Gas Technology Institute Pressure vessel and method therefor
US8307974B2 (en) 2011-01-21 2012-11-1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Load beam unit replaceable inserts for dry coal extrusion pumps
DE102011105439A1 (de) * 2011-06-20 2012-12-20 Khs Gmbh Transporteur
US9944465B2 (en) 2013-06-13 2018-04-17 Gas Technology Institute Solid particulate pump having flexible seal
CA2914052A1 (en) 2013-06-27 2014-12-31 Gas Technology Institute Particulate pump with rotary drive and integral chain
CN104750586B (zh) * 2013-12-31 2018-08-03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显卡测试装置
NL2012375B1 (en) * 2014-03-06 2015-12-03 Rexnord Flattop Europe Bv Transfer device, conveyor system including a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transferring conveyed products.
US9932974B2 (en) 2014-06-05 2018-04-03 Gas Technology Institute Duct having oscillatory side wall
US9452896B2 (en) 2014-09-25 2016-09-27 Laitram, L.L.C. Pop-up conveyor transfer system
KR101589868B1 (ko) 2015-03-01 2016-01-28 김윤호 충격하중 방지장치가 장착된 중량측정 컨베이어
CN108367868B (zh) 2015-12-09 2020-10-16 莱特拉姆有限责任公司 输送机传送组件
ES2684984B1 (es) 2017-03-31 2019-04-04 Afher Eurobelt S A Peine de transferencia y sistema de transferencia entre dos transportadores de cint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96775A (fr) * 1961-06-07 1962-06-22 Adamson Stephens Mfg Co Peigne flottant à alignement automatique pour transporteur mécanique sans fin
GB1316089A (en) * 1969-08-07 1973-05-09 Dunlop Holdings Ltd Conveyor systems
US3610394A (en) * 1970-06-09 1971-10-05 Ato Inc Container transfer means for slotted beam type conveyors
US3687257A (en) * 1970-10-26 1972-08-29 Goodyear Tire & Rubber Threshold comb for passenger conveyor
US4765454A (en) * 1981-05-01 1988-08-23 Rexnord Inc. Conveyor chain for use with fingered transfer plate
US4821869A (en) * 1987-11-23 1989-04-18 Rexnord Inc. Low backline pressure chain for use with transfer plate
US4858751A (en) * 1988-03-14 1989-08-22 Rexnord Corporation Wide chain conveyor assembly
IT222737Z2 (it) * 1991-09-19 1995-04-24 Regina Sud Spa Elemento terminale modulare per trasportatore
US5255771A (en) * 1991-07-18 1993-10-26 Montgomery Elevator Company Combplate safety device
US5228554A (en) * 1991-09-20 1993-07-20 Gerber Garment Technology, Inc. Material take-off ramp and system for a conveyor cutter bed and method of use
US5339948A (en) * 1992-12-18 1994-08-23 Kraft General Foods, Inc. Conveyor apparatus with unloader
US5769201A (en) * 1995-12-19 1998-06-23 Silver Creek Holding Co., Inc. Safety apparatus for a novice ski lift
MY119352A (en) * 1997-01-17 2005-05-31 Inventio Ag Moving walkway for passe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6829D1 (de) 2003-05-22
TW436456B (en) 2001-05-28
EP0930254B1 (en) 2003-04-16
ES2197571T3 (es) 2004-01-01
JP4180174B2 (ja) 2008-11-12
JPH11263434A (ja) 1999-09-28
CA2257478A1 (en) 1999-07-19
AU1211999A (en) 1999-08-05
AR014427A1 (es) 2001-02-28
DK0930254T3 (da) 2003-08-11
NL1008070C2 (nl) 1999-07-20
KR100529792B1 (ko) 2005-11-21
US6296110B1 (en) 2001-10-02
CA2257478C (en) 2008-04-01
ZA99312B (en) 1999-07-30
DE69906829T2 (de) 2004-01-22
BR9900101A (pt) 2000-01-04
AU745795B2 (en) 2002-03-28
EP0930254A1 (en) 199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9792B1 (ko)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시스템 및 슬라이드 -오버 장치
US6766901B2 (en) Snap-on side guards
US7841462B2 (en) Side-flexing conveyor chain with pivoting slats and related methods
KR100537283B1 (ko)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매트 및 시스템
CN1964905B (zh) 一种输送带以及具有该输送带的消毒器
CN101918291A (zh) 用于螺旋系统改换的模块化塑料传送带
KR20080078638A (ko) 컨베이어
EP0953522B2 (en) Conveyor mat and conveying apparatus
EP1546011B1 (en) Conveying system with a slide-over device between two belt conveyors and use of an intermediate element
MX2010007933A (es) Transportador acondicionado con proteccion lateral, y elemento de proteccion lateral.
KR101033410B1 (ko) 슬랫 분류 컨베이어
WO2006125331A1 (en) Low back pressure module with l-shaped intermediate support
EP3962839B1 (en) Modular conveyor belt having alternating drive surfaces
US9884727B1 (en) Diverter with roller pushers
MXPA99000750A (en) Conveying system for conveying products, and slide-over device
EP1386861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products from a first conveyor to a second conveyor
MXPA99000731A (en) Transportation mesh and system to transport produ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