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7586A - 수성 중합체 에멀션 - Google Patents

수성 중합체 에멀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7586A
KR19990067586A KR1019980703610A KR19980703610A KR19990067586A KR 19990067586 A KR19990067586 A KR 19990067586A KR 1019980703610 A KR1019980703610 A KR 1019980703610A KR 19980703610 A KR19980703610 A KR 19980703610A KR 19990067586 A KR19990067586 A KR 19990067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carbon monoxide
emulsion
olefinically unsaturated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르 하이데 에버트 반
게리트 비에체
펜-충 왕
Original Assignee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filed Critical 오노 알버어스
Publication of KR19990067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08G67/02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liphatic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59/00 - C08L71/00;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in the main chai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59/00 - C09J171/00;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6Wood, e.g. woodboard, fibreboard, woodch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4/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4/906Multipackage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39Multipackag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066Wood gra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88Next to cellulosic
    • Y10T428/31895Paper or w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 Y10T428/31989Of woo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eth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수성 희석제에서 분산되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 공중합체의 에멀션;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 및 경화제와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복합물의 목재 부분에 적용하고, 복합물의 목재를 결합시켜 이웃한 목재 부분 사이에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위치시키며,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경화 후 경화 수지가 이웃한 목재 부분 서로에 부착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적층재 복합물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수성 중합체 에멀션
이웃한 목재 부분을 서로 부착시키는 열 경화, 즉, 가교 결합 수지인 바인더-기본 적층재 복합물은 수년간 존재하고 잘 발달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적층재 복합물의 예로는 합판 및 적층 빔 또는 목재가 있다. 종래의 열 경화성 수지의 예는 유레아 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있다. 여러해 동안 이러한 수지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가지고 제조된 목재 복합물은 중요한 시장 분야, 즉, 수분의 존재하에 높은 충격 저항성에 대한 요구 또는 복합물의 우수한 치수 안정성에 대한 요구에 있어 만족스럽지 못한 성능을 가진다.
미공개된 PCT 특허 출원 No. PCT/EP95/04324에 따르면 최근에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 및 경화제와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에 기초한 바인더를 사용하여 증진된 목재 복합물을 수득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 복합물은 증진된 충격 저항성/강도 균형 및 증진된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이는 종래의 복합물보다 강인하고 균질하다. 또한 매우 편리하게는, 바인더를 박층으로 적용할 경우 복합물이 강도 및 강성도를 약 140℃의 온도까지 유지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독창적으로 얇은 바인더층의 사용은 복합물의 전체적인 강도 및 강성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종래의 적층재 복합물의 생성에 있어 바인더는 일반적으로 접착층(참조: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3판, 제2권, p448)에 남아있기 위해 높은 점도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PCT 출원의 적층재 복합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페이스트 경점성을 지닌 바인더를 사용하다. 그러나, 페이스트 경점성을 지닌 바인더는 박층으로 쉽게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바인더를 수성 희석제에서 소위 수-중-유 에멀션과 같이 분산시킬 경우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경화제에 기초한 바인더를 목재 부분으로 매우 적당히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원한다면, 에멀션 형태의 바인더는 분무시켜 적용될 수 있고 박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접착층에 남아있게 된다. 페이스트 경점성을 지닌 바인더를 사용하기 보다, 매우 낮은 적용 속도에서 수성 에멀션 형태의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목재 부분 사이의 접합 부분에 바인더의 좀더 균질한 분포가 수득되는데, 이는 적층재 복합물의 질을 개선시켜 준다.
또한 실질적으로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취급, 수송 및 저장이 용이한, 높은 안정성을 지닌 공중합체의 수성 에멀션을 제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비록 분리가 일어나더라도, 진탕 또는 교반과 같은 기계적인 조작에 의해 에멀션을 쉽게 재분산시킬 수 있다. 경화제의 첨가 후에는 에멀션이 주의를 끌만한 안정성 수준을 보유할 수 있어 목재에 바인더의 즉각적인 적용이 필요없다.
본 발명은 중합체의 수성 에멀션에 관한 것이다.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층재 복합물의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성 희석제에서 분산되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의 에멀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부분이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의 수-중-유 에멀션 또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유화성 조성물 및 공중합체의 수-중-유 에멀션을 형성하기에 적당한 유화제를 포함하고, 제 2 부분이 경화제 및 임의의 희석제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복합물의 목재 부분에 경화성 수지(이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 및 경화제와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중-유 형태의 조성물을 포함함)를 적용하고, 복합물의 목재 부분을 결합시켜 이웃한 목재 부분 사이에 경화성 수지를 위치시킨 다음,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경화 후 경화 수지가 이웃한 목재 부분과 서로 부착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적층재 복합물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목재 부분 및 이웃한 목재 부분을 서로 부착하는 경화 수지를 포함하는 적층재 복합물에 관한 것으로, 이 경화 수지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수득될 수 있으며,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30 g 이하의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기초한 접합 부분의 평방 미터에 대한 양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적층재 복합물을 포함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용어학상 본 에멀션을 "수-중-유" 에멀션으로 나타내더라도, 에멀션의 연속상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수성 희석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연속상이 반드시 물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물과 혼화 가능한 유기 희석제를 함유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에멀션에 있어 분산상은 일반적으로 액체이다. 그러나, 숙련인은 몇몇 양태에서 분산상이 고체를 포함하거나 고체일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이는 본 발명의 양태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인더는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기초한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중합체 쇄내에 1,4-디카보닐 존재를 함유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배열이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폴리-1급-아민에 의한 경화와 같은 임의의 경화 반응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예를 들면, EP-A-121965, EP-A-181014, EP-A-372602 및 EP-A-516238로부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팔라듐으로 촉매된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중합체는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로써, 즉, 실질적으로 중합체 쇄의 4번째 탄소 원자에 카보닐 그룹이 존재하도록, 중합체 쇄의 공중합체는 일산화탄소(즉, 카보닐 그룹)에서 비롯된 단량체 단위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에서 비롯된 단량체 단위를 함유한다. 1,4-디카보닐 존재를 함유한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교호 공중합체는 임의 공중합체, 즉 중합체 쇄가 상기 단량체 단위를 비순차적으로 함유한 공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US-A-2495286 및 US-A-4024326에서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라디칼로 개시된 중합에 의해 후자의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임의 공중합체보다 중합체 내에 보다 높은 함량의 카보닐 그룹을 가지고 있어 높은 수준의 가교 결합에서 쉽게 경화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낮은 수준의 가교 결합을 원하더라도, 경화 반응에서 전환되지 않는 카보닐 그룹의 존재는 바인더의 기계적인 특성에 유리하게 기여하고, 이로인해 목재 복합물의 특성에도 유리하게 기여할 수 있다.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같은 탄화수소에 기초할 수 있으나,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은 또한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N-비닐피롤리돈에서와 같이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는 특히 10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올레핀계 불포화 탄화수소, 적당하게는 α-올레핀에 기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α-올레핀, 특히 6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진 지방족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에 기본한다. 특히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및 좀더 특히는 프로펜, 1-부텐, 1-펜텐 및 1-헥센과 같은 직렬형 탄소쇄를 가진 지방족 α-올레핀이 매우 적당하다. 프로펜이 가장 바람직하다.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 내지 20,000 범위, 좀더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 범위 및 특히 1000 내지 3000 범위인, 상대적으로 저분자량을 가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는 전형적으로 Q값(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의 몫)이 1.1 내지 5이고, 좀더 전형적으로는 1.5 내지 3인 분자량 분포를 가진다. 전형적으로 120℃ 이하, 좀더 전형적으로는 100℃ 이하이고 빈번하게는 10 내지 80℃ 범위, 좀더 빈번하게는 20 내지 60℃ 범위인 공중합체 또는 바인더의 프로세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온도에서 액체인 공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공중합체의 프로세싱은 하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에멀션의 제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에 기초하는 상대적으로 낮은 분자량을 가진 공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0 내지 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진 일산화탄소 및 프로펜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를 이용해 매우 좋은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같이 유화제로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수성 희석제로 분산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수 평균 분자량은 전형적으로는 최소 200, 좀더 전형적으로는 최소 300이고 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실행가능한 최대 범위는 50,000, 특히 40,000이다.
특히 분자 구조 내에 폴리(에텐 옥사이드)의 일부인 친수성 부분 및 친액성 부분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좀더 명확히하기 위해, 이러한 친수성 및 친액성 부분은 이들 자체내에 소위 블록 공중합체의 중합체 블록으로 존재한다. 적당한 친액성 부분의 예로는 폴리에스테르 부분 및 폴리아미드 부분이 있다. 바람직한 친액성 부분은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의 부분이고 이 중 알킬렌은 에텐이 제외된, 예를 들면 프로펜 또는 1-부텐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친액성 부분은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 특히 분산성 공중합체와 동일 구조의 공중합체 부분이다.
후자의 경우 계면활성제는 유화 가능한 공중합체로 폴리(에텐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그래프팅시켜 형성될 수 있는 그래프트 계면활성제이다. 계면활성제를 형성할 수 있는 적당한 중합체는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에 존재하는 작용 그룹을 향해 반응하는 작용성 그룹, 바람직하게는 말단 또는 캡핑 그룹을 함유하는데, 이의 예로는 공중합체의 주요 쇄내의 카보닐 그룹 또는 공중합체의 올레핀성 단량체 단위 내에 존재할 수 있는 기타 작용 그룹이 있다. 가장 적당한 반응성 그룹은 1차 아미노 그룹이다. 이러한 중합체의 예로는 아미노로 캡핑된 폴리(에텐 옥사이드) 및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가 있다. 그래프팅은 원 위치에서, 즉, 에멀션의 제조 공정 단계에서 적당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분자 구조내에 폴리(에텐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로 그래프팅시켜 수득될 수 있는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의 에멀션은 일반적으로 안정성 수준을 가지고 있어 30 분 내에 분리는 나타나지 않고, 특히 60 분내에는 눈으로 확인 가능한 분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매우 적당한 높은 안정성 수준을 수득하는 시점에서 1000이상, 바람직하게는 1,200 이상의 수 평균 분자량을 지닌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 및 8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의 수 평균 분자량을 지닌 친액성 블록을 가진다. 예로는 약 3700의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의 이중블록이 있고 이 중 폴리(에텐 옥사이드)블록은 62%의 (상표명 "TERGITOL XH" 하에 입수 가능한)블록 공중합체 중량을 나타낸다. 또다른 예로는 약 6500의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폴리(에텐 옥사이드)의 삼중 공중합체가 있고 이 중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은 각각 25%의 (상표명 "SYNPERONIC PE/P105" 하에 입수 가능한)블록 공중합체 중량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블록중합체 분산제는 상표명이 "BASF-Wyandotte"인 플루로닉류이다. 예로는 말단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으로 중간 부위를 차단하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을 지닌 80 중량%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20 중량%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블록 공중합체(이는 약 8000의 평균 분자량을 가짐)인 플루로닉 88이 있다.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기타 유용한 분산제는 본원에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되는 미국 특허 제 5,236,974 및 4,122,067 호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을 다가 페놀의 폴리글리시딜 폴리에테르와 반응시켜 제조된 중합체이다.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은 약 200 내지 약 20,000 범위 내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폴리글리시딜 폴리에테르는 약 300 내지 약 2000의 평균 분자량을 가진다.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과 폴리글리시딜 폴리에테르를 2 : 1 내지 1.2 : 1의 몰비로 반응시킨다. 바람직한 분산제는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Union Carbide사로부터 수득된 Carbowax 8000) 2몰을 450 내지 550의 에폭사이드 당량을 가진 비스페놀 A의 글리시딜 폴리에테르 1몰과의 반응 산물이다.
제조될 수 있는 높은 안정성 수준을 지닌 에멀션과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로 그래프팅시키기에 적당한 폴리(에텐 옥사이드)의 예로는 분자량 약 5000을 가진 메톡시-폴리(에텐 옥사이드)-아민, 분자량 약 2000을 가진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의 모노 아미노로 캡핑된 이중블록 공중합체(여기서 폴리(에텐 옥사이드)블록은 이중 블록 공중합체(상표명 "JEFFAMINE M2070"하에 입수 가능) 중량의 70%를 나타냄) 및 분자량 약 2000을 가진 폴리(프로펜 옥사이드)-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의 비스-아미노로 캡핑된 삼중블록 공중합체(여기서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은 삼중블록 공중합체(상표명 "JEFFAMINE ED2001"하에 입수 가능) 중량의 94%를 나타냄)가 있다. 특히 경화제를 포함하는 에멀션의 경우, 앞서 지적한 상표명 "JEFFAMINE M2070"하에 입수 가능한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의 모노-아미노로 캡핑된 이중블록 공중합체와 화학식 1의 블록 공중합체(이는 약 26,000의 분자량을 가짐)의 50/50(중량부) 혼합물을 적용하여 상당히 좋은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RE-PO)2N-CH2-CH2-N(-PO-PE)2
상기 식에서,
PE 및 PO는 각각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 및 폴리(프로펜 옥사이드) 블록을 나타낸다(폴리(에텐 옥사이드)블록은 블록 공중합체(상표명 "SYNPERONIC T908"하에 입수 가능) 중량의 80%를 나타냄).
계면활성제의 양은 광 범위에 걸치고 각각의 경우 일상 실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적당한 양은 분산 가능한 공중합체의 중량과 비교해서, 0.1 내지 10 중량% 범위이고, 특히 0.2 내지 8 중량% 범위이다. 그래프트될 수 있는 폴리(에텐 옥사이드)는 적당하게는 분산 가능한 공중합체의 중량과 비교해서, 0.05 내지 5 중량% 범위, 특히 0.1 내지 4 중량% 범위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보다 낮은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수성 희석제는 전형적으로 에멀션의 용적과 비교해서 적어도 26 용적%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희석제와 공중합체를 1 : 2 내지 5 : 1, 특히 1 : 1.5 내지 2 : 1 범위의 중량비로 사용한다. 앞서 지적했듯이, 수성 희석제는 물이지만 저급 케톤 또는 알콜, 예를 들면 메탄올 또는 메틸에틸케톤과 같이, 물과 혼화 가능한 유기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저급"은 화합물이 분자당 5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유기 희석제는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에멀션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수성 희석제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50 중량%, 좀더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60 중량%의 물을 포함한다. 유기 희석제는 수성 희석제의 중량과 비교해 볼때, 50 중량%이하, 예를 들면 1 내지 30 중량% 범위와 같이, 전형적으로는 40 중량%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폴리(에텐 옥사이드)와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를 혼합하고 필요할 경우 열을 적용하여, 충분한 정도의 반응 시간을 허용함으로써 그래프팅을 수행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을 단축시키거나 보다 낮은 반응 온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촉매를 첨가할 수 있다. 반응성 그룹이 1차 아미노 그룹일 경우, 하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폴리-1차-아민과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경화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해, 적당한 촉매는 동일한 성질의 약산이고, 동일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래프팅은 0 내지 150℃, 특히 10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적당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션은 수성 희석제를 유화제 및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와 혼합시키고, 혼합 도중 및/또는 후에, 예를 들면 프로펠러 혼합기 또는 콜로이드 분쇄기를 사용하여, 전단을 적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경화제, 임의의 경화 촉매, 또는 임의의 추가적인 경화 촉매, 및 임의의 첨가 성분을 이후 즉시 또는 이후의 단계, 원한다면 목재 부분으로의 적용 바로 전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션에 있어 분산 상의 입자크기는 광 범위로 변할 수 있다. 입자크기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0 μm 범위이고, 좀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μm 범위이다. 에멀션의 점도도 또한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특히 분무에 의해 적용되는 에멀션능의 관점에서 볼때, 10 내지 18℃ 범위의 온도에서 측정할 경우, 바람직한 점도는 0.3 mPa.s 내지 5 mPa.s, 특히 0.5 mPa.s 내지 2 mPa.s 범위이다.
원칙적으로는 다수의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경화제 또는 경화 시스템은 EP-A-372602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어, 아민, 티올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제 중 몇몇을 이용해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유도체를 초기에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유도체를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추가로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민, 특히 폴리-1차-아민이다. 분자 구조에서 3 개의 1차 아미노 그룹을 가지는 매우 적당한 아민은 2,4,6-트리아미노-1,3,5-트리아진 또는 멜라민이다. 경화제는 좀더 특히 분자 구조에서 2개의 1차 아민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화학식 2에서 나타내고 있다:
H2N-R-NH2
상기 식에서,
R은 브리지에 전형적으로는 20 개 이하의 탄소 원자, 좀더 전형적으로는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 및 특히 2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이가 유기 브리징 그룹을 나타낸다.
브리징 그룹은 브리지 또는 브리지에 부착된 치환체 그룹에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브리징 그룹은 방향족 그룹이 가능하지만, 빠른 경화를 제외하고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브리징 그룹, 특히 알킬렌 그룹, 좀더 특히 직쇄 알킬렌 그룹도 가능하다. 적당한 디아민의 예는 2,4-디아미노톨루엔, 비스(4-아미노페닐)메탄,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메탄,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및 테트라에틸렌펜타민이 있다. 직쇄 지방족 디아민은 예를 들면, 1,2-디아미노에탄,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및 특히, 1,6-디아미노헥산이 있다. 빠른 초기 경화(소위 겔링)의 달성 및 연장된 경화 후 복합물의 높은 기계적 강도를 고려해 보면, 경화제의 혼합물, 특히 1,6-디아미노헥산 및 2,4-디아미노톨루엔과 같이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큰 경화제와 반응성이 작은 경화제의 혼합물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경화제는 임의의 적당한 형태, 예를 들면, 용융되거나 물과 같은 희석제에서 경화제 용액으로 첨가될 수 있다.
경화 도중 일어나는 가교 결합의 정도는 특히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양에 비례하여 사용되는 경화제의 양에 좌우된다. 경화제의 상대적인 양은 광 범위에 걸쳐 변할 수 있고 일상적인 실험에 의해 바람직한 상대적인 양을 설정할 수 있다. 폴리-1차-아민을 경화제로 사용할 경우 공중합체 중의 카보닐 그룹과 경화제 중의 1차 아민 그룹의 몰비는 적당하게는 0.25 내지 8.0 범위이고 좀더 적당하게는 0.5 내지 4.0 범위이다.
경화 촉매의 존재 또는 임의의 경화 촉매의 부재하에 공중합체의 경화를 수행할 수 있다. 촉매 사용의 이점은 일반적으로 경화가 저온에서 또는 단기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는데 있다. 앞서 지적된 다양한 경화 반응을 위해 적당한 촉매는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경화제가 폴리-1차-아민인 경우 20℃ 물에서 측정할 경우에 적당한 촉매는 약산, 특히 pKa가 2 내지 5.5 범위,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 범위를 가지는 산이다. 경화 가능한 공중합체에서 최소한 어느 정도로는 용해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촉매류는 유기산, 특히 카복실산이다. 카복실산은 전형적으로 2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공중합체에서 용해성이 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모노카복실산이 좀더 바람직하다. 모노카복실산의 예는 니코틴산, 피발산, 발레르산, 아세트산, 벤조산 및 특히, 살리실산이 있다. 또다른 적당한 약산은 인산이 있다.
약산은 소량이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양은 공중합체의 중량에 비해 0.1 내지 15.0 중량%이다. 좀더 적당하게는, 약산은 동일한 기준으로, 0.2 내지 10.0 중량%, 특히 0.5 내지 8.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인더는 농후제, 난연제, 틈 충진제, 항산화제, UV안정제 및 착색제와 같은 추가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적당한 틈 충진제는 실리카, 곡류 가루 또는 코코넛 껍질 가루가 있다. 적당한 농후제는 예를 들면,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기타 셀룰로스 유도체, 천연 검 및 점토가 있다.
본 발명 바인더 시스템은 유리하게도 앞서 표시한 바와 같은 부분으로 된 키트의 형태로 저장되고, 취급되며 사용될 수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부분은 추가 성분으로 경화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부분의 희석제는 전형적으로는 수성 희석제, 예를 들면 물 또는 저급 알콜, 특히 메탄올이나 저급 케톤, 특히 에틸메틸케톤과 같은 수 혼화성 유기 희석제와 물의 혼합물이 있다. 키트의 제 1 부분이 유화성 조성물을 포함할 경우 수성 희석제에서 유화성 조성물의 분산에 의해 유화제가 최초로 제조될 수 있음을 이해하면서, 키트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조성물을 혼합시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이더를 제조할 수 있다.
매우 유리하게도, 수성 또는 극성 유기 희석제에 용해되는 키트의 제 2 부분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폴리-1차-아민 사용에 의한 공중합체의 경화시 경화 촉매로 이용될 수 있는 약산과 결합하는 폴리-1차-아민을 포함한다. 즉, 약산, 또는 이의 일부와 폴리-1차-아민을 결합시킴으로써, 성분을 용해시키기에 필요한 희석제의 양은 동일한 조건, 예를 들어 20℃의 온도를 사용하여 폴리-1차-아민만을 용해시키기에 필요한 양보다 훨씬 더 적을 수 있다(예를 들면 최소 10% 이하, 좀더 전형적으로는 최소 20% 이하).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서 키트의 제 2 부분은 적당하게는 60 내지 97 중량%, 특히 70 내지 95중량% 양의 폴리-1차-아민, 0.25 내지 10 중량%, 특히 0.5 내지 5 중량% 양의 약산, 및 3 내지 40 중량%, 특히 5 내지 20 중량% 양의 희석제를 함유하고, 이 양은 제 2 부분의 중량에 비례한다. 바람직한 제 2 부분의 예는 1,6-디아미노헥산, 살리실산 및 물이 88 : 2 : 10의 중량비이거나 1,6-디아미노헥산, 살리실산 및 에틸메틸케톤이 88 : 2 : 10의 중량비를 함유하는 액체이다.
적층 복합물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목재 부분의 종류 및 형태는 중요하지 않다. 목재는 높거나 낮은 밀도의 목재 및 낙엽성 또는 침엽수성 목재가 가능하다. 적당한 종류의 예는 오크, 밤나무, 양물푸레나무, 단풍나무, 티크나무, 오코우메, 마호가니, 머란티 및 소나무가 있다. 너도밤나무, 가문비나무 및 포플러를 이용해 매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목재는 종래의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전처리도 필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적층재 복합물의 유형을 위해 원하는 크기 및 모양의 목재 부분을 생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적당하게는 목재는 판자, 베니어, 재목 또는 박판의 형태로 사용된다.
바인더는 임의의 종래 기술, 예를 들면, 브러시 또는 롤러를 사용하여 목재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바인더를 에멀션의 형태로 사용하는데 있어 특별한 이점은 분무, 예를 들면, 연속 선상 분무와 같이 압축 가스가 운반되는 노즐 또는 페인트-분무기에 의해 바인더를 적용할 수 있다는데 있다. 목재의 양에 대한 바인더의 양은 광범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이 양은 이웃한 목재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접합 부분의 평방 미터로 지정된다. 전형적으로 바인더의 양과 같은 접합 부분의 평방 미터에 대해서는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5 내지 400 g 및 특히 10 내지 300 g에 기본하여 사용된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페이스트 형태 대신, 에멀션 형태의 바인더의 적용은 바인더의 적용 속도가 매우 낮을 경우 보다 양질의 적층재 복합물을 생성하게끔 해준다. 이는 공중합체의 30 g 이하, 특히 25 g 이하, 및 좀더 특히 20 g 이하를 기본으로 한 접합 부분의 평방 미터로 바인더의 양을 사용할 경우이다.
목재 부분이 결합하는 목재 표면상에 바인더를 적용한 후, 또는 이와 동시에, 바인더는 이웃한 목재 부분 사이에 존재하게 되고, 경화 조건이 적용된다. 적층 복합물은 하나 이상의 방향, 전형적으로는 하나 또는 두 방향으로 층을 이룰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방향의 층 수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데; 실행 가능한 층 수는 예를 들면, 2 내지 50 이하 또는 심지어 60 범위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온도를 증가시켜 경화를 행한다. 바인더의 보다 큰 부분이 목재 부분 사이의 얇은 바인더 층에 존재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고 생성 가능한 목재 복합물의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경화가 진행되는 동안 압력을 적용할 수 있다. 온도 및 압력은 광 범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온도는 일반적으로 경화제 및 경화 촉매의 존재에 좌우될 것이다. 또한, 압력은 목재의 종류, 특히, 목재 부분의 유형에 좌우될 것이다. 폴리-1차-아민을 경화제로 사용할 경우 온도는 적당하게는 50℃ 이상, 예를 들면 80 내지 200℃, 특히 100 내지 160℃ 범위일 것이다. 전형적인 압력은 1 내지 30 kg/㎠, 특히 2.5 내지 25 ㎏/㎠ 범위이지만, 이보다 높거나 낮은 압력도 또한 가능하다. 일상 실험에 의해 숙련인은 적당한 경화 시간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합판 및 적층 빔 또는 목재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목재 복합물이 생성될 수 있다. 복합물은 우수한 충격 저항/강도 균형을 가지고 수분의 존재하에 서로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이는 매우 낮은 전기 전도성 및 매우 높은 전기 강도와 같이 뛰어난 전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복합물은 유리하게도 예를 들어, 문, 마루 바닥, 하키용 스틱과 같은 스포츠 용품, 및 배전 박스용 배전반 및 패널과 같은 전기 기구의 생산에 적용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수성 에멀션은 코팅 적용 및 접착제 적용을 위해서도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본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비교용)
선형 교호 일산화탄소/프로펜 공중합체를 하기와 같이 제조한다.
300 ㎖ 용적을 지니면서 기계적으로 교반된 오토클레이브를 100 ㎖의 메탄올 및 15 g의 프로펜으로 충진시킨다. 오토클레이브를 밀폐시키고 일산화탄소를 흘려 보낸다.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물을 70℃까지 가열한다. 일산화탄소를 가해 압력이 50 바가 되도록 한다. 10 ㎖ 중의 357 ㎎ 코발트 퍼클로레이트, 1.5 g 나프토퀴논 및 43.2 ㎎ 팔라듐 아세테이트의 용액을 오토클레이브로 도입한다. 일산화탄소를 연속적으로 도입시켜 압력을 50 바로 유지한다. 22 시간 후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물을 냉각시키고 압력을 낮춘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중합체 산물을 제조한다.
점성 오일의 표면을 지닌 중합체를 수득한다. GPC 분석은 중합체가 260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바인더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된다.
일산화탄소와 프로펜의 공중합체 샘플을 용융된 1,6-디아미노헥산 샘플과 60℃에서 혼합한다. 살리실산과 메탄올의 혼합물을 이 혼합물에 첨가한다. 성분의 양은 생성 혼합물에서 공중합체, 1,6-디아미노헥산, 살리실산 및 메탄올의 중량비가 3 : 0.9 : 0.2 : 0.021이 되게끔 한다.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 후 페이스트형 물질을 수득한다.
실시예 2(비교용)
5 ㎜ 두께의 너도밤나무 박판을 사용하여 EN 204에 따른 4개의 단일 축 2-겹 목재 샘플을 제조하고, 비교 실시예 1에 따라 바인더로서,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바인더를 일산화탄소와 프로펜의 공중합체, 1,6-디아미노헥산 및 살리실산의 총 중량에 의해 계산된 90 g/㎡의 속도로 박판 표면에 고르게 분배한다(90 g/접합 부분의 ㎡). 나뭇결과 평행하게 결합된 박판을 미리 가열된 프레스에 두고 140℃ 및 20 ㎏/㎡의 박판의 단면압에서 1 시간 동안 유지시킨다.
EN 204에 따라 측정된 전단 강도는 평균 10.6 ± 1.4 MPa이다.
유사한 실험에서 접합 부분의 ㎡ 당 40 g의 속도로 바인더를 적용한다. 전단 강도는 평균 11.5 ± 0.5 MPa이다.
실시예 3
일산화탄소와 프로펜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는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300 ㎖의 용적을 지니면서 기계적으로 교반된 오토클레이브를 70 ㎖의 메탄올 및 30 g의 프로펜으로 충진시킨다. 오토클레이브를 밀폐시키고 일산화탄소를 가한다.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물을 85℃까지 가열한다. 일산화탄소를 가하여 72 바의 압력을 수득한다. 10 ㎖ 중의 6.9 ㎎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12.3 ㎎ 1,3-비스[비스(2-메톡시페닐)포스피노]프로판, 4.94 ㎎ 팔라듐 아세테이트 및 8.7 ㎎ 피리딘의 용액을 오토클레이브로 도입한다. 일산화탄소를 연속적으로 주입시켜 압력을 75 바로 유지한다. 40 시간 후 오토클레이브의 내용물을 냉각하고 압력을 내린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중합체 산물을 제조한다.
점성 오일의 외관을 지닌 중합체를 수득한다. GPC 분석은 중합체가 418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4
수성 유화제 형태의 바인더는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샘플 15 g을 약 2000의 분자량을 지닌 폴리(프로펜 옥사이드)-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의 비스-아미노로 캡핑된 삼중블록 공중합체 1.5 g과 5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며, 이 때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은 삼중블록 공중합체 (상표명 "JEFFAMINE ED2001"하에 수득)중량의 약 94%를 나타낸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방치한다. 혼합물이 높은 전단 교반을 받는 동안 0.5 g 부분에 물(10 g)을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에멀션의 분리에 대한 가시적인 표시 없이 주위 온도에서 여러 날동안 저장될 수 있다.
1,6-디아미노헥산의 용융 샘플(0.3 g/공중합체 g)을 교반된 새로운 에멀션 샘플로 2 분내에 첨가한다.
실시예 5
5 ㎜ 두께의 너도밤나무 박판을 사용하여 EN 204에 따라 4개의 단일 축 2-겹 목재 샘플을 제조하고, 실시예 4에 따라 바인더로서, 에멀션을 제조한다. 바인더를 1,6-디아미노헥산 및 일산화탄소와 프로펜의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의해 계산된 90 g/㎡의 속도로 박판 표면에 고르게 분배한다(90 g/접합 부분의 ㎡). 기타 과정은 실시예 2에서 지시한 바와 같다.
EN 204에 따라 측정된 전단 강도는 평균 12.1 ± 0.6 MPa이다.
실시예 6
수성 에멀션 형태의 바인더를 하기와 같이 생성한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샘플 15 g을 약 5000의 분자량을 가지는 0.1 g 의 살리실산 및 0.5 g의 메톡시폴리(에텐 옥사이드)아민과 5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방치해 둔다. 혼합물이 높은 전단 교반을 받는 동안 0.5 g 부위에 물(10 g)을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에멀션 분리의 가시적인 표시없이 주위 온도에서 여러 날동안 저장될 수 있다.
용융된 1,6-디아미노헥산 샘플(0.3 g/공중합체 g)을 교반된 새로운 에멀션 샘플로 2 분내에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최소 한 시간 동안 공정 가능한 상태로 남는다.
실시예 7
수성 에멀션은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샘플 15 g을 0.1 g의 살리실산 및 약 6500의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폴리(에텐 옥사이드)의 삼중블록 공중합체 1.5 g과 5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며 이때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은 공중합체 (상표명 "SYNPERONIC PE/P105" 하에 수득)중량의 각각 25%를 나타낸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방치해 둔다. 혼합물이 높은 전단 교반을 받는 동안 0.5 g 부위에 물(10 g)을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에멀션 분리의 가시적인 표시없이 주위 온도에서 여러 날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 8
수성 에멀션의 형태를 한 바인더는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샘플 15 g을 약 2000의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의 모노-아미노로 캡핑된 이중블록 공중합체 0.75 g (여기서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은 이중블록 공중합체(상표명 "JEFFAMINE" 하에 수득) 중량의 70%를 나타냄) 및 화학식 1의 블록 공중합체(이는 약 26,000의 분자량을 가짐) 0.75 g과 100℃에서 90 분 동안 교반한다.
화학식 1
(PE-PO)2N-CH2-CH2-N(-PO-PE)2
상기 식에서,
PE 및 PO는 각각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 및 폴리(프로펜 옥사이드) 블록을 나타낸다(여기서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은 블록 공중합체(상표명 "SYNPERONIC T908" 하에 수득) 중량의 80%를 나타냄).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방치해 둔다. 혼합물이 높은 전단 교반을 받는 동안 1.0 g부위에 물(15 g)을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에멀션 분리의 가시적인 표시없이 주위 온도에서 몇 주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에멀션의 제조 2 일 후 용융된 1,6-디아미노헥산 샘플(0.3 g/공중합체 g)을 에멀션의 교반 샘플로 2 분 내에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적어도 1 주간은 공정 가능하면서 경화 가능한 상태로 존재한다.
실시예 9
수성 에멀션은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250 g을 DMF Pluronic F-88 (BASF-Wyandotte로부터 수득) 25 g 및 D.I.물 55 g 과 3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방치해 둔다. 혼합물이 높은 전단 교반을 받는 동안 0.5 g 부위에 100 g의 물을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0.73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다. 에멀션은 에멀션 분리의 가시적인 표시없이 주위 온도에서 여러 날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 10
수성 에멀션은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샘플 250 g을 에폭사이드 당량 468 및 D.I. 55 g을 가진 비스페놀 A의 글리시딜 폴리에테르 1 몰과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Union Carbide사로부터 수득된 Carbowax 8000) 2 몰을 반응시켜 제조된 계면활성제 25 g과 3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방치해 둔다. 혼합물이 높은 전단 교반을 받는 동안 0.5 g 부위에 D.I.물 100 g을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0.93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다. 에멀션은 분리의 가시적인 표시없이 주위 온도에서 18 개월 이상 안정하다.
실시예 11
수성 에멀션은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실시예 3에서 기술된 과정에 의해 제조된 2870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지닌 공중합체 샘플 250 g을 에폭사이드 당량 468 및 D.I. 55 g을 가진 비스페놀 A의 글리시딜 폴리에테르 1 몰과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Union Carbide사로부터 수득된 Carbowax 8000) 2 몰을 반응시켜 제조된 계면활성제 25 g과 30℃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한다. 혼합물을 주위 온도에서 밤새 방치해 둔다. 혼합물이 높은 전단 교반을 받는 동안 0.5 g 부위에 D.I.물 100 g을 첨가한다. 생성된 에멀션은 0.4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다. 에멀션은 에멀션 분리의 가시적인 표시없이 주위 온도에서 여러 날 동안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 12
Pluronic F-88 대신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Union Carbide사로부터 수득된 Carbowax 8000) 25 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에서 개설한 것과 동일한 과정이 사용된다. 생성된 혼합물은 물속에서 분산될 수 없다.
실시예 13
수성 에멀션 형태인 바인더는 하기와 같이 생성된다.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중합체 샘플 2000 g을 약 2000의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의 모노-아미노로 캡핑된 이중블록 공중합체 100 g과 혼합하고 75℃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하며, 이 때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은 이중블록 공중합체(상표명 "JEFFAMINE M 2070" 하에 수득) 중량의 70%를 나타낸다.
약 26,000의 분자량을 지닌 화학식 1의 블록 공중합체 샘플 100 g을 탈광수 2000 g에 용해시킨다.
화학식 1
(PE-PO)2N-CH2-CH2-N(-PO-PE)2
상기 식에서,
PE 및 PO는 각각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상표명 "SYNPERONIC T 908" 하에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 중량의 80%를 나타냄) 및 폴리(프로펜 옥사이드) 블록을 나타낸다.
사용 전에, 실시예 3의 공중합체 및 JEFFAMINE M 2070을 함유한 혼합물을 전자 레인지에서 70℃까지 가열한다. SYNPERONIC T 908을 함유한 물, 및 실시예 3의 공중합체 및 JEFFAMINE M 2070을 함유한 혼합물을 50℃까지 가열된 콜로이드 밀(Fryma MZ 80/D)에 동시에 첨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은 매우 안정된 것으로 밝혀졌다.

Claims (25)

  1. 수성 희석제로 적어도 50 중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성 희석제에 분산된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의 에멀션.
  2. 공중합체가 120℃ 이하의 온도에서 액체인 수성 희석제에서 분산되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의 에멀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인 에멀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500 내지 5000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공중합체가 3 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에 기초하는 에멀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자 구조에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인 친수성 부분 및 친액성 부분을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에멀션.
  6. 제 5 항에 있어서, 친액성 부분이 폴리(알킬렌(에텐 제외) 옥사이드)의 일부분인 에멀션.
  7. 제 6 항에 있어서, 친액성 부분이 프로펜, 1-부텐, 및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에멀션.
  8. 제 6 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가 폴리(에텐 옥사이드) 부분 및 아미노로 캡핑된 폴리(에텐 옥사이드) 또는 폴리(에텐 옥사이드)-폴리(프로펜 옥사이드)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1차 아미노 그룹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로 그래프팅시켜 수득될 수 있는 그래프트 계면활성제인 에멀션.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부분이 1,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0 이상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텐 옥사이드) 블록이고, 친액성 부분이 8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진 친액성 중합체 블록인 에멀션.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분산되는 공중합체의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 범위인 에멀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래프트 계면활성제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중량과 비교해서, 폴리(에텐 옥사이드) 부분 및 1차 아미노 그룹을 포함하는 중합체의 0.05 내지 5 중량% 를 그래프팅시켜 수득될 수 있는 양으로 존재하는 에멀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 희석제 및 공중합체가 1 : 2 내지 5 : 1, 특히 1 : 1.5 내지 2 : 1 범위의 중량비로 존재하는 에멀션.
  13.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가 중합체 쇄에 1,4-디카보닐 존재를 함유하는 공중합체이고 경화제가 폴리-1급-아민을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폴리-1차-아민이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H2N-R-NH2
    상기 식에서,
    R은 20 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진 이가 유기 브리징 그룹을 나타낸다.
  16. 제 14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공중합체 내의 카보닐 그룹과 폴리-1급-아민의 1급 아민 그룹의 몰비가 0.25 내지 8.0 범위인 경화성 수지 조성물.
  17. 제 13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0℃ 물에서 측정할 경우, 2 내지 5.5 범위의 pKa 값을 가지는 유기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
  18. 제 1 성분이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의 수-중-유 에멀션 또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수-중-유 에멀션 형성에 적당한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화성 조성물을 포함하고 제 2 성분이 경화제 및 임의로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이 성분 키트.
  19. 제 18 항에 있어서, 수성 또는 극성 유기 희석제에 용해되는 제 2 성분이 폴리-1차-아민 및 20℃에서 측정할 경우, 2 내지 5.5 범위의 pKa 값을 가지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이 성분 키트.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2 성분이 제 2 성분의 중량에 대해, 60 내지 97 중량% 양의 폴리-1차-아민, 0.25 내지 10 중량% 양의 유기산, 및 3 내지 40 중량% 양의 희석제를 포함하는 이 성분 키트.
  21.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 에멀션 형태의 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를 복합물의 목재 부분에 적용하고, 목재 부분을 결합시켜 이웃한 목재 부분 사이에 경화성 수지가 놓이도록 한 다음, 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경화 후 경화 수지가 이웃한 목재를 서로 부착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적층재 복합물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경화성 수지의 양과 같은 이웃한 목재 부분 사이의 접합 부분의 평방 미터는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5 내지 60 g을 기초로 하여 적용되는 방법.
  23. 목재 부분 및 이웃한 목재 부분을 서로 부착하는 경화 수지(이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는 일산화탄소와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공중합체 30 g 이하를 기본으로 하여 이웃한 목재 부분 사이의 접합 부분의 평방 미터에 대한 양으로 적용됨)을 경화시켜 수득될 수 있음)를 포함하는 적층재 복합물.
  24. 제 23 항에 따른 적층재 복합물을 포함하는 제품.
  25. 분자 구조에 폴리(에텐 옥사이드) 부분을 포함하는 중합체를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과 일산화탄소의 공중합체에 그래프팅시켜 생성된 중합체.
KR1019980703610A 1995-11-15 1996-11-13 수성 중합체 에멀션 KR199900675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59,523 1995-11-15
US08/559,523 US5684080A (en) 1995-11-15 1995-11-15 Aqueous polymer emulsion
PCT/EP1996/004993 WO1997018266A1 (en) 1995-11-15 1996-11-13 Aqueous polymer emul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586A true KR19990067586A (ko) 1999-08-25

Family

ID=2423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610A KR19990067586A (ko) 1995-11-15 1996-11-13 수성 중합체 에멀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5684080A (ko)
EP (1) EP0861295B1 (ko)
JP (4) JP3856474B2 (ko)
KR (1) KR19990067586A (ko)
AU (1) AU710133B2 (ko)
BR (1) BR9611534A (ko)
CA (1) CA2237322A1 (ko)
DE (1) DE69603032T2 (ko)
NO (1) NO310883B1 (ko)
TW (1) TW375620B (ko)
WO (1) WO1997018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3356A (en) * 1996-12-23 2000-10-17 Shell Oil Company Graft copolymerized compositions
ES2228011T3 (es) * 1998-03-17 2005-04-01 Hutchinson Emulsiones estables, sus procedimientos de preparacion y sus aplicaciones.
WO1999061508A1 (en) * 1998-05-26 1999-12-02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the copolymerization of carbon monoxide with an olefinically unsaturated compound
US6239250B1 (en) 1999-04-16 2001-05-2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Hot melt adhesives produced from linear alternating polyketones
DE10125138A1 (de) * 2001-05-22 2002-12-0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opolymerisaten aus Kohlenmonoxid und einer olefinisch ungesättigten Verbindung in wässrigem Medium
US6682680B2 (en) 2001-11-10 2004-01-27 Joined Products, Inc. Method of applying an edge sealing strip to a wood product piece
US20040230019A1 (en) * 2003-01-31 2004-11-18 Brandenburg Charles J. Poly (alpha-methylene-gama-methyl-gamma-butyrolactone-c-glycidyl methacrylate): preparation, polymer blends derived therefrom, and end uses thereof
US7371275B2 (en) 2004-07-02 2008-05-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itanium dioxide pigment and polymer compositions
US7969243B2 (en) 2009-04-22 2011-06-28 Acco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circuits including a MOSFET and a dual-gate JFET
JP2009286820A (ja) * 2008-05-27 2009-12-10 Asahi Kasei E-Materials Corp 変性ポリケトン成形体、及び熱変性ポリケトン成形体
US7808415B1 (en) 2009-03-25 2010-10-05 Acco Semiconductor, Inc. Sigma-delta modulator including trunc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US7952431B2 (en) 2009-08-28 2011-05-31 Acco Semiconductor, Inc. Lineariz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power amplification
EP2778188A1 (de) * 2013-03-12 2014-09-17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lefin-CO-Terpolymeren
JP6723155B2 (ja) 2014-01-17 2020-07-15 モメンティブ パフォーマンス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可撓性の増大した組成物
KR101696969B1 (ko) * 2014-01-29 2017-01-16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09705689A (zh) * 2018-12-29 2019-05-03 浙江华固悍马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抗菌瓷砖美缝剂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5286A (en) * 1949-06-08 1950-01-24 Du Pont Inter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3950510A (en) * 1972-08-01 1976-04-13 Lever Brothers Company Conditioning shampoo containing a water-insoluble hair cosmetic agent
US4010147A (en) * 1973-05-25 1977-03-0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Limited Aromatic polymers containing ketone linking group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024326A (en) * 1974-08-29 1977-05-17 Atlantic Richfiel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ethylene-carbon monoxide copolymers using a peroxydicarbonate catalyst
US4122067A (en) * 1977-10-07 1978-10-24 Celanese Polymer Specialties Company Process of reacting a polyepoxide compound with a phenol in aqueous medium
US4192942A (en) * 1978-08-30 1980-03-11 Eastman Kodak Company Emulsifiable ethylene/carbon monoxide copolymer waxes
US4434261A (en) * 1982-08-06 1984-02-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xtrudable self-supporting hot melt adhesive sheet
US4543440A (en) * 1983-03-07 1985-09-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elastomeric terpolymer of carbon monoxide
ATE49010T1 (de) * 1983-04-06 1990-01-15 Shell Int Researc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ketonen.
NL8403035A (nl) * 1984-10-05 1986-05-01 Shell Int Research Werkwijze ter bereiding van polyketonen.
US4797459A (en) * 1985-09-26 1989-01-10 Arco Chemical Company Dispersing agents for producing vinyl polymer polyols utilizing an alkoxylated alkyl or alkylphenyl polyoxyalkylene isopropylamine
ATE136563T1 (de) * 1988-11-10 1996-04-15 Shell Int Research Hitzehärtbare harze
US4983649A (en) * 1989-05-15 1991-01-08 Shell Oil Company Stabilized polyketone blend
US5322876A (en) * 1990-03-14 1994-06-21 Avery Dennison Corporation Elastomer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exhibiting good cutting performance
JPH0458962A (ja) * 1990-06-27 1992-02-25 Nippon Unicar Co Ltd 崩壊性ゴルフ用ティー
US5210177A (en) * 1991-05-31 1993-05-11 Shell Oil Company Polymerization of co/olefin with tetra ethyl diphosphine
DE4128487A1 (de) * 1991-08-28 1993-03-04 Hoechs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essrigen epoxidharz-dispersionen
GB2277520A (en) * 1993-04-28 1994-11-02 Shell Int Research Thermosetting composition, coating derived therefrom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5369170A (en) * 1993-12-13 1994-11-29 Shell Oil Company Composite systems of polyketone and aminated, modified polyolefins
US5633299A (en) * 1994-11-01 1997-05-27 Shell Oil Company Wood compo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7837B2 (ja) 2008-11-05
US5843580A (en) 1998-12-01
WO1997018266A1 (en) 1997-05-22
NO982196D0 (no) 1998-05-14
AU710133B2 (en) 1999-09-16
BR9611534A (pt) 1999-07-13
EP0861295B1 (en) 1999-06-23
JP2009138200A (ja) 2009-06-25
US5869571A (en) 1999-02-09
JP3856474B2 (ja) 2006-12-13
US5684080A (en) 1997-11-04
DE69603032D1 (de) 1999-07-29
JP2006009009A (ja) 2006-01-12
TW375620B (en) 1999-12-01
AU7691996A (en) 1997-06-05
EP0861295A1 (en) 1998-09-02
NO310883B1 (no) 2001-09-10
DE69603032T2 (de) 1999-12-23
US5859125A (en) 1999-01-12
CA2237322A1 (en) 1997-05-22
JP2000500180A (ja) 2000-01-11
JP2005325365A (ja) 2005-11-24
NO982196L (n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7837B2 (ja) 水性ポリマーエマルジョン
ES2367409T3 (es) Composiciones adhesivas que contienen reticulante.
EP1341850B1 (en) Thermally stable binder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binding fibres
CN107848261A (zh) 带树脂的铜箔、及印刷电路板
US5633299A (en) Wood composite
Mousavi et al. Investigation of epoxy‐based wood adhesives
WO2007149589A2 (en) Two-part bio-based furfuryl adhesive composition for engineered wood
US5869576A (en) Graft copolymerized compositions
EP0946619B1 (en) Graft copolymerized compositions
US6225419B1 (en) Polyamine with grafted vinyl polymers
US6201075B1 (en) Graft copolmerized compositions
US5952459A (en) Polymeric amines
KR20010005512A (ko) 중합체 아민
CN1251119A (zh) 聚合胺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