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846A -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846A
KR19990064846A KR1019990017317A KR19990017317A KR19990064846A KR 19990064846 A KR19990064846 A KR 19990064846A KR 1019990017317 A KR1019990017317 A KR 1019990017317A KR 19990017317 A KR19990017317 A KR 19990017317A KR 19990064846 A KR19990064846 A KR 1999006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oil
rear en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621B1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101999001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62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51Including fibers
    • E02D2300/0054Including fibers made from plastic
    • E02D2300/0057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여러 가닥으로 합쳐진 여러줄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매설되고,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부에 고점착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길다란 띠형태를 이루는 옹벽지지용 보강재에 있어서, 보강재(1)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원형 구멍(4)이 천공되고, 그 상,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폭향향으로 상,하 저항돌기(5)(6)가 교차 형성되며, 양측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부 저항돌기(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이며, 이 보강재(1)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10)를 지지함에 있어 보강재(1)는 그 유효거리(L)에서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이격되게 배치하고, 그 후단(E)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지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보강토체를 다져 보강재(1)의 후단(E)이 보강토체에 대하여 저항력을 갖도록 한 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Reinforcement For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It's Constructing Methods}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보강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의 옹벽 지지용 보강재는 다음과 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 그 첫째로는 지오그리드(Geogrid 또는 Tensagrid)등의 망형 보강재가 있으며, 이는 그 사용범위가 블록식 옹벽에 국한되어 있다.
둘째로는,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재 띠 보강재로서 이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의 철판 표면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도금을 시행한 것으로, 이는 인장력에 대한 신뢰성은 높으나 부식의 우려가 있었고 고가(高價)이며 금속재이므로 단위중량이 커서 보강재 설치작업시 취급 및 운반이 불편하고, 보강토 옹벽 벽체와의 연결방법 및 연결형태가 다양하지 못하며, 연결부위에 핀이나 볼트로 일일이 결속을 시켜주어야 했었으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셋째로는, 롤(Roll)형 띠 섬유 보강재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여러가닥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폴리에티렌으로 피복성형된 것으로, 100~150M 정도의 긴 띠가 두루마리 상태로 감겨져 있어 보강재의 설치작업시 롤 상태로 감겨진 보강재를 손으로 당겨서 풀어야 하고 보강재를 보강토체 전방인 보강토 옹벽 벽체의 연결구와 연속하여 핀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결속시켜야 했었으므로 이때 발생되는 접힌 부분들의 느즈러짐을 펴주기 위해 여러 사람이 보강재를 손으로 감싸잡고 당긴 상태에서 펼 수 있도록 보강토체 후방부에 전방의 옹벽 벽체와 평행하게 일직선으로 임시고정바를 설치하여야 했었다. 따라서 보강재 앞,뒤의 각 접힌 부분에 발생되는 느즈러짐의 크기와 접혀진 부분의 느즈러짐을 손으로 감싸잡고 당겨서 펼 수 있는 정도는 보강재의 폭과 함수관계가 있으므로 보강재를 힘을 가해 손으로 감싸잡고 당길 수 있는 크기 이상의 보강재 두께 및 폭증대는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고점착 폴리에틸렌에 유착피복되어 보강재의 인장강도와 마찰력을 결정하는 내부의 섬유질 폴리에스테르의 두께와 양의 증대는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었고, 또한 보강재 내부의 섬유질 보호 및 각종 화학적 침해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피복재인 폴리에틸렌의 두께 및 폭의 증대도 제한을 받게 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로울형 띠 섬유 보강재는 옹벽 벽체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태의 사선방향으로 두가닥을 겹쳐 깔아야 하고 보강재 이음시 겹이음을 2M 이상 확보해주어야 하므로써 보강토체 후방의 유효거리 부분에서 옹벽 벽체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직각을 이룬 상태로 설치되었을 경우와 비교할 때, 보강재의 길이에 비해 요구로 하는 마찰력이 감소되므로 불필요한 보강재의 낭비가 뒤따르는 문제점 등이 있었으며, 보강재 설치시 보강재를 지그재그로 깔아 당겨주는 작업을 한쪽 방향이나 한 곳에서 밖에 할 수 없는 문제점과 아울러 옹벽 벽체마다 연결된 보강재의 느즈러짐을 펴주기 위한 당김작업시 인력에 의존하여 당겨하 하므로써 발생되는 당긴후의 느즈러짐 잔류분과 또한 보강재마다 일정한 장력을 가해 똑같이 당기지 못하므로써 옹벽 벽체의 변형 및 부분적인 뒤틀림이 극심하였다.
상기한 기존의 보강재는 보강토체와의 마찰력에만 의존하여 옹벽벽체를 지지했었으므로 충분한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하여는 그 뒷길이가 길어져야 했었고 보강토의 재료도 마찰각이 큰 사질토 만을 사용했었으므로 흙의 사용범위도 국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고 지지저항력의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보다 견고하게 조립식 보강토 옹벽을 지지할 수 있는 보강재(보강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은 종래 인력에 의하여 보강재를 당겨주는 작업에서 보강재의 폭과 두께를 증가시키지 못했던 단점을 보완하여 별도의 기구에 의하여 보강재를 당겨주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보강재의 폭과 두께 증대에 제한을 받지 않는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재의 당김작업을 동시다발적으로 실시가능하고, 보강토체 후방의 임시고정철근 설치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공기단축과 최소한의 재료 및 최소한의 인력으로 견고하고 옹벽 벽체의 뒤틀림현상 등 변형과 하자의 발생이 없는 보강구조를 갖는 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여러 가닥으로 합쳐진 여러줄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매설되고,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부에 고점착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길다란 띠형태를 이루는 옹벽지지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원형 구멍이 천공되고, 그 상,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폭향향으로 상,하 저항돌기가 교차 형성되며, 양측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부 저항돌기가 형성된 옹벽 지지용 보강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재의 표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는 홈이 형성되어 보강토체와의 마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보강재를 사용하여 또는 공지된 연속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의 걸림부에 띠형 보강재를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옹벽 벽체 후부에서 보강토체에 매몰시켜 옹벽을 지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그 유효거리에서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이격되게 배치하고, 그 후단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지도록 임시고정한 상태에서 보강토체를 다져 보강재의 후단이 보강토체에 대하여 저항력을 갖도록 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구멍에 임시고정못을 박아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느즈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보강재의 후단은 인접하는 보강재에 천공된 양측 고정구멍에 강선을 관통시켜 지면에 대하여 세워지도록 하므로써 보강재의 후단이 보강토체에 대하여 저항체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보강재의 후단에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부분인 저항체 부분이 보강토의 성토작업중 세워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태유지구를 끼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 - A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 B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부분 확대사시도,
도 8a는 도 6의 D부분 확대사시도,
도 8b는 도 8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보강재의 후단을 뒤집은 상태를 도시
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강재 2 : 폴리에스테르 섬유
3 : 폴리에틸렌 피복 4 : 고정구멍
5,6: 저항돌기(상,하) 7 : 측부 저항돌기
10 : 옹벽 벽체 12 : 연결구
14 : 임시고정못 20 : 형태유지용 강선
30 : 형태유지구 40 : 당김기구
L : 유효거리
이하, 본 발명의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강재(1)는 내부에 여러 가닥으로 합쳐진 여러줄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2)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매설되고,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2)의 외부에 고점착 폴리에틸렌 피복(3)이 씌워져 길다란 띠형태를 이루는 옹벽지지용 보강재이며, 이 보강재(1)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원형 고정구멍(4)이 천공되고, 그 상,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폭향향으로 상,하 저항돌기(5)(6)가 교차 형성되며, 양측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부 저항돌기 (7)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및 개략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은 옹벽 벽체(10)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12)에 띠형 보강재(1)를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옹벽 벽체(10)후부에서 보강토체에 매몰시켜 옹벽 벽체(10)를 지지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1)는 그 유효거리(L)에서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이격되게 배치하고, 그 후단(E)은 지면에 대하여 일정각도이상 세워지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보강토체를 다져 보강재(1)의 후단(E)이 보강토체에 대하여 저항력을 갖도록 한 것이며, 상기 보강재(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구멍(4)에 임시고정못(14)을 박아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보강재(1)의 후단(E)은 인접하는 보강재(1)에 천공된 고정구멍 (4)에 형태유지용 강선(20)을 관통시켜 지면에 대하여 세워지도록 하므로써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길이에 맞춰 전,후단을 접어 놓은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그 선단을 옹벽 벽체(10)의 연결구(12)에 연결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고 보강토체상에 설치하므로써 신속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보강재(1)의 후단(E)을 지면에 대하여 세워서 보강토체 내부에 매몰된 상태에서 지지저항체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고 유효거리(L)에서 인접하는 보강재(1)끼리 상,하 겹침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써 보강재(1)가 옹벽 벽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점이며, 종전과 같이 보강재의 후단에 별도의 임시고정철근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며 소재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보강토체의 유효거리(L)부분에서 인접하는 보강재(1)간의 상,하 겹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므로써 보강재의 단위길이에 대한 마차력과 지지저항력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강재(1)는 그 상,하면과 측부에 저항돌기(5)(6)(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토체와의 마찰력은 물론 지지저항력을 갖게 하므로써 옹벽 벽체(10)의 뒤틀림 등 시공후의 하자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보강재(1)에 형성된 고정구멍(4)에 임시고정못(14)을 박아주므로써 보강재(1)를 보강토체에 밀착시켜 마찰효과를 향상시키고 보강재의 느즈러짐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기한 뒤틀림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 보강재의 당김작업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1000호의 개량된 보강재 당김기구를 한사람이 혼자서 사용하여 동시에 인접하는 2줄의 보강재를 당겨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당김기구를 사용하여 한번에 여러 사람이 동시에 당김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으므로 보강재 설치작업을 단축할 수도 있고, 당김기구에는 장력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보강재를 균일한 장력이 되도록 팽팽하게 펼쳐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재는 기구에 의하여 당겨지게 되므로 그 폭과 두께에 제한이 없어 다양한 칫수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1)의 후단(E)을 바로 세우거나 또는 그 후단(E)을 역을 뒤집어서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보강재의 후단(E)이 보강토체의 성토작업중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별도의 형태유지구(30)를 설치한 상태에서 보강재의 후단이 지면에 깔리지 않도록 성토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형태유지구(3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재로 제작하거나 또는 철판을 보강재(1)의 후단(E)형상에 일치되도록 제작하여 이를 보강재의 후단(E)에 에 끼워준 후 성토작업을 실시하므로써 보강재의 형태유지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재는 시공방법에서는 보강재(1)의 후단이 겹치지 않게 되므로 전면의 옹벽 벽체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최대의 지지마찰력을 갖게 되어 종전 지그재그식 연속시공방법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재는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구멍을 통하여 못을 박아 보강재를 보강토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그 상,하면에 지지저항돌기가 형성되며 연속으로 지그재그 식으로 설치되는 보강재의 후단은 보강토체에 대하여 세워져 있므므로 마찰력과는 다른 개념의 지지저항력이 발생되고, 유효거리부분에서 보강재가 상호 겹침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보강재 길이소요분에 비해 마찰력이 종래시공방법에 비해 대폭 향상되므로 보강토 옹벽의 견고한 지지 및 시공후 변형되는 등의 하자 발생이 없는 장점을 가지며, 보강토체 후방의 임시고정철근 설치작업이 생략되고 성토 및 다짐전에 상,하 저항돌기의 육안식별에 의해 수치를 가늠할 수 있어 보강재를 미리 접어 옹벽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당김기구로 1인이 혼자서 2가닥의 보강재를 동시에 당겨줄 수 있고, 이 당김작업은 여러곳에서 동시다발로 할 수 있으므로 공기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보강재의 상,하 좌,우 측면 전반에 걸쳐 저항돌기가 형성되고 보강재의 후단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보강토체가 다져지므로 마찰력에 부가하여 지지저항력이 발생하므로 보강재의 폭과 길이를 단축하고 보강ㅌ의 재료도 사질토가 아닌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토공량 또한 감소시킬 수 있어 재료와 노무량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을 견고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내부에 여러 가닥으로 합쳐진 여러줄의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매설되고, 이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외부에 고점착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길다란 띠형태를 이루는 옹벽지지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원형 구멍(4)이 천공되고, 그 상,하 표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폭향향으로 상,하 저항돌기(5)(6)가 교차 형성되며, 양측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측부 저항돌기(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의 표면에는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는 홈이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3. 옹벽 벽체의 내측면으로 돌출된 다수 연결구의 걸림부에 띠형 보강재를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키고 옹벽 후부에서 보강토체에 매몰시켜 옹벽을 지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1)는 그 유효거리(L)에서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상,하로 겹쳐지지 않도록 이격되게 배치하고, 그 후단(E)은 지면에 대하여 세워지도록 임시고정한 상태에서 보강토체를 다져 보강재(1)의 후단(E)이 보강토체에 대하여 저항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고정구멍(4)에 임시고정못(14)을 박아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보강재(1)의 후단(E)은 인접하는 보강재에 천공된 고정구멍에 형태유지용 강선(20)을 관통시켜 지면에 대하여 세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후단에는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부분이 성토작업중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태유지구(3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는 미리 정해진 길이에 맞춰 전,후단을 접어 놓은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그 선단을 옹벽 벽체에 연결하고 보강토체상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KR1019990017317A 1999-05-14 1999-05-14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KR10032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17A KR100328621B1 (ko) 1999-05-14 1999-05-14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317A KR100328621B1 (ko) 1999-05-14 1999-05-14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846A true KR19990064846A (ko) 1999-08-05
KR100328621B1 KR100328621B1 (ko) 2002-03-14

Family

ID=3747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317A KR100328621B1 (ko) 1999-05-14 1999-05-14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62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8872A1 (en) * 2000-11-08 2002-05-16 Jeung Su Lee Placement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pulling-up device of reinforcing strips
KR20030025369A (ko) * 2001-09-20 2003-03-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파형 옹벽보강재
KR100405200B1 (ko) * 1999-11-04 2003-11-12 비앤티엔지니어링(주)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 보강재와 밴드형 앵커를 사용하는 보강토 공법
KR100411311B1 (ko) * 2000-04-03 2003-12-18 (주) 정도엔지니어링 보강토 옹벽을 이용한 도로확장공법
KR100448442B1 (ko) * 2001-09-20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100660356B1 (ko) *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0722963B1 (ko) * 2004-11-25 2007-05-30 프레이씨네 안정화된 토양 구조물 및 그 토양 구조물 건설용 외장재요소
KR100938829B1 (ko) * 2009-05-12 2010-01-26 유황섭 옹벽 조립체
KR20190081694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소노테크 옹벽녹화용 식생체 및 이를 사용한 옹벽시스템
KR102598492B1 (ko) * 2023-08-11 2023-11-06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패널식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618678B1 (ko) * 2022-12-26 2023-12-28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용 띠형 보강재의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490B1 (ko) 2004-10-26 2006-10-16 최영근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0615472B1 (ko) 2006-01-24 2006-08-25 이정수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299B1 (ko) * 1991-10-17 1994-07-14 삼성전관 주식회사 기체방전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970058516A (ko) * 1995-12-28 1997-07-31 배순훈 불량인쇄회로기판 분리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200B1 (ko) * 1999-11-04 2003-11-12 비앤티엔지니어링(주) 벽면을 조정할 수 있는 띠형 보강재와 밴드형 앵커를 사용하는 보강토 공법
KR100411311B1 (ko) * 2000-04-03 2003-12-18 (주) 정도엔지니어링 보강토 옹벽을 이용한 도로확장공법
WO2002038872A1 (en) * 2000-11-08 2002-05-16 Jeung Su Lee Placement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pulling-up device of reinforcing strips
US6848674B2 (en) 2000-11-08 2005-02-01 Jeung Su Lee Placement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pulling-up device of reinforcing strips
KR20030025369A (ko) * 2001-09-20 2003-03-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파형 옹벽보강재
KR100448442B1 (ko) * 2001-09-20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100660356B1 (ko) * 2004-10-19 2006-12-21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및 이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띠형 섬유보강재
KR100722963B1 (ko) * 2004-11-25 2007-05-30 프레이씨네 안정화된 토양 구조물 및 그 토양 구조물 건설용 외장재요소
KR100938829B1 (ko) * 2009-05-12 2010-01-26 유황섭 옹벽 조립체
KR20190081694A (ko) 2017-12-29 2019-07-09 주식회사 소노테크 옹벽녹화용 식생체 및 이를 사용한 옹벽시스템
KR102618678B1 (ko) * 2022-12-26 2023-12-28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용 띠형 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2598492B1 (ko) * 2023-08-11 2023-11-06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패널식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8621B1 (ko)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621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US6347904B1 (en) Fly clamp for reinforcing bars in concrete construction
KR19980059046U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패널
FI59844B (fi) Balk foer uppbaerande av nedersta tegelskiktet t ex ovanfoer oeppningen av en tegelvaegg eller tegelfasad
US6817151B2 (en) Channel-reinforced concrete wall panel system
KR20200104108A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US8573894B2 (en) Connection device for a reinforced earth structure and related structure and method
KR20080108863A (ko) 보강토 옹벽 지지를 위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형태유지구 및이를 이용한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KR20000015749A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및 그 기구
KR101369209B1 (ko)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4180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0349985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보강재 시공방법 및 그 시공기구
KR200288788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장치
KR101577639B1 (ko) 토목섬유로 보강한 균등분산 압축형 앵커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WO2011132894A2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 조립체
KR100302139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JP3439839B2 (ja) トンネル構造体用セグメントユニット
CN216839490U (zh) 刚柔性复合面层土钉墙
CN219011273U (zh) 一种装配式边坡临时支护结构
KR100857919B1 (ko) 보강토 옹벽 공법
KR200286396Y1 (ko) 보강토 옹벽 결합 구조
WO2018070609A1 (ko) 중공 h빔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
KR200188122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JPH01131798A (ja) トンネル支保工
JPH11350867A (ja) セグメントピース及び地中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