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961A -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961A
KR19990063961A KR1019980702435A KR19980702435A KR19990063961A KR 19990063961 A KR19990063961 A KR 19990063961A KR 1019980702435 A KR1019980702435 A KR 1019980702435A KR 19980702435 A KR19980702435 A KR 19980702435A KR 19990063961 A KR19990063961 A KR 19990063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lock body
slider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히로 가와구찌
다다시 히로까와
Original Assignee
데라마찌 아끼히로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라마찌 아끼히로, 티에치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라마찌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1999006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33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 F16C29/0652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 F16C29/0654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 F16C29/0657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with a bearing body defining a U-shaped carriage, i.e. surrounding a guide rail or track on three sides whereby the return paths are at least partly defined by separate parts, e.g. covers attached to the legs of the main body of the U-shaped carriage with balls with two rows of balls, one on each side of the r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 F16C29/0602Details of the bearing body or carriage or parts thereof, e.g.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 베드, 칼럼 등의 고정부에 설치된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하중을 부하하면서 공작기계의 워크 테이블이나 공업용 로보트 등의 가동체를 안내하는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이 슬라이더는 볼의 부하 구름면을 갖는 금속제 블록본체에 대하여 사출성형으로 합성수지를 덧붙여 제작되고, 이 블록본체의 외측면에는 볼 복귀구멍을 형성하는 측면성형부가 덧붙여지는 한편, 전후 양끝면에는 볼의 방향전환부를 구성하는 끝면성형부가 덧붙여지고, 또한, 상기 블록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측면성형부 및 끝면성형부와 동시에 상면성형부를 덧붙이고, 이 상면성형부로 상기 블록본체의 양끝면에 위치하는 끝면성형부를 상호 연결하고 있다.

Description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종래, 이와 같은 직선 안내장치로서는, 베드 등의 고정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볼의 구름면이 형성된 궤도레일과, 다수의 볼을 통하여 이 궤도레일에 붙여져, 테이블 등의 가동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상기 슬라이더는 볼을 통하여 궤도레일의 구름면과 대향하는 부하 구름면 및 이 부하 구름면과 평행인 볼 복귀구멍을 가지며, 상기 볼의 전동에 의해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이동블록과, 이 이동블록의 전후 양끝면에 각각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부하 구름면과 볼 복귀구멍을 연이어 통하게 연결하는 볼의 방향전환로를 갖는 1 쌍의 커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를 이동블록의 전후 양끝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부하 구름면과 볼 복귀구멍의 단부 사이가 방향전환로에서 연결되고, 볼의 무한순환로가 슬라이더 내에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서는, 그 이동블록에 대하여 볼 복귀구멍의 천공가공 등이 필요하게 되고, 또, 볼의 방향전환로를 갖는 커버의 형상이 복잡해져, 이들의 제작에 매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본원 출원인은 과거에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당해 슬라이더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317762 호 공보).
도 12 는 이 방법에 의해 제작된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궤도레일 (100) 에 장착된 슬라이더 (101) 는 이 예에서도 이동불록 (102) 및 1 쌍의 커버 (103, 103) 로 구성되어 있다. 단, 상기 이동블록 (102) 은 부하 구름면 (104) 을 갖는 금속제의 블록본체 (105) 에 대하여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으로 덧붙여 형성되어 있고,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본체 (105) 의 외측면의 하방에 덧붙여진 측면성형부 (106) 에 의해 상기 부하 구름면 (104) 에 대응한 볼 복귀구멍 (107)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커버 (103) 의 형상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상기 블록본체 (105) 의 전후 양끝면에는 상기 측면성형부 (106) 와 연속하는 끝면성형부 (108) 가 덧붙여져 있고, 이 끝면성형부 (108) 에는 상기 부하 구름면 (104) 을 다 구른 볼을 상기 볼 복귀구멍 (107) 으로 안내하는 반원형상의 볼 안내부 (도시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을 이용한 슬라이더 (101) 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블록본체 (105) 에 대하여 합성수지를 덧붙이는 것만으로 복잡한 형상의 이동블록 (102) 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 외에, 무부하상태의 볼이 전동(轉動) 하는 볼 복귀구멍 (107) 및 볼의 방향전환로를 합성수지로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볼 순환의 원활화 및 볼 전동시의 소음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이점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사출성형에 의한 합성수지의 성형품은 그 두께방향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볼 복귀구멍 (107) 을 형성하기 위해 블록본체 (105) 의 외측면에 측면성형부 (106) 를 덧붙이면, 이 측면성형부 (106) 는 그 길이방향, 즉, 볼 복귀구멍 (107) 과 평행인 방향으로 수축되게 된다.
그러나, 블록본체 (105) 의 양끝면에는 역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끝면성형부 (108, 108) 가 덧붙여져 있고, 이 끝면성형부 (108) 는 측면성형부 (106) 와 연속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이유에 의해 측면성형부 (106) 에 수축력이 발생하면, 이 수축력이 끝면성형부 (108) 에 대하여 불균일하게 작용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사출성형의 종료후 조금 지나면,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끝면성형부 (108) 가 측면성형부 (108) 에 당겨져 변형을 일으켜, 이 끝면성형부 (108) 가 블록본체 (105) 의 끝면으로부터 부상되어, 양자 (105, 108) 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 끝면성형부 (108) 에는 커버 (103) 가 고정되고, 이에 의해 볼의 방향전환로가 슬라이더 (101) 에 구비되는데, 상기 끝면성형부 (108) 가 변성을 일으키면 커버 (103) 를 긴밀하게 고정할 수 없어, 상기 방향전환로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부하 구름면 (104) 을 다 구른 볼을 볼 복귀구멍 (107) 에 대하여 원활하게 안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베드, 칼럼 등의 고정부에 설치된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하중을 부하하면서 공작기계의 워크 테이블이나 공업용 로보트 등의 가동체를 안내하는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금속제의 블록 본체에 대하여 합성수지를 덧붙여 형성하는 슬라이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직선 안내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직선 안내장치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3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블록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블록의 정면도 및 단면도,
도 5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배면도,
도 6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 구비된 볼의 무한순환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버와 이동 블록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8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록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직선 안내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직선 안내장치의 평면도,
도 11 은 도 10 의 XI-XI 선을 따라서 취해진 단면도,
도 12 는 종래의 직선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낸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14 는 종래의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서의 끝면성형부의 변형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궤도레일 2 : 슬라이더
40 : 블록본체 48 : 측면성형부
49 : 끝면성형부 50 : 상면성형부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금속제의 블록 본체에 대하여 합성수지를 덧붙여 볼 복귀구멍이나 볼의 방향전환로를 구비한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를 형성하는데 있어, 상기 블록 본체의 전후 양끝면에 덧붙인 끝면 성형부의 변성을 방지하고, 이로써 상기 방향전환로를 좋은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활한 볼 순환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낸 2 개의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를 제공한다.
즉, 제 1 발명은 수평부 및 당해 수평부에서 늘어뜨려진 1 쌍의 스커트부를 가지며 끝면이 대략 새들 (saddle)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스커트부의 내면측에는 볼이 구르는 부하 구름면이 형성된 금속제의 블록 본체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각 스커트부의 외측면에 덧붙여져 상기 부하 구름면에 대응한 볼 복귀구멍을 형성하는 측면 성형부와, 역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끝면에 덧붙여져 상기 측면성형부와 연속하고, 상기 부하 구름면을 다 구른 볼을 상기 볼 복귀구멍으로 안내하는 원호상의 볼 안내부를 형성하는 끝면 성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구름면을 구르는 볼을 통하여 궤도레일과 결합하고, 상기 궤도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부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측면성형부 및 끝면 성형부와 동시에 상기 블록 본체에 덧붙여져, 상기 블록본체의 양끝면에 위치하는 끝면 성형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면 성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발명은 수평부 및 당해 수평부의 일단에서 늘어뜨려진 스커트부를 가지며 끝면이 대략 L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하면측 및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측에는 볼이 구르는 부하 구름면이 형성된 금속제의 블록 본체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 본체의 수평부의 선단 및 스커트부의 외측면에 덧붙여져, 상기 부하 구름면에 대응한 볼 복귀구멍을 형성하는 측면성형부와, 역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끝면에 덧붙여져 상기 측면성형부와 연속하고, 상기 부하 구름면을 다 구른 볼을 상기 볼 복귀구멍으로 안내하는 원호상의 볼 안내부를 형성하는 끝면 성형부를 구비하여, 상기 부하 구름면을 구르는 볼을 통하여 궤도레일과 결합하고, 상기 궤도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로, 상기 블록 본체의 수평부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측면성형부 및 끝면 성형부와 동시에 상기 블록 본체에 덧붙여져, 상기 블록본체의 양끝면에 위치하는 끝면 성형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면 성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기술적 수단에 의하면, 볼 복귀구멍을 형성하고 있는 측면 성형부에 수축이 발생하여, 이 수축력이 블록 본체의 양끝면에 덧붙여진 끝면 성형부에 작용했다고 하여도, 상기 블록 본체의 수평부의 상면에 대해서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으로 상면 성형부가 덧붙여져 있고, 이 상면 성형부는 상기 블록 본체의 양끝면에 덧붙여진 1 쌍의 끝면 성형부와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면 성형부가 측면 성형부의 수축력에 저항하여 끝면 성형부를 당겨, 이 끝면성형부는 블록 본체의 끝면에 대하여 부상하지 않고 밀착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슬라이더를 궤도레일과 조합된 직선 안내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동일 도면에서, 부호 1 은 공작기계의 베드 등의 고정부에 대하여 설치되는 궤도레일, 부호 2 는 테이블 등의 가동체를 상기 궤도레일 (1) 을 따라 안내하는 슬라이더, 부호 3 은 이들 궤도레일 (1) 과 슬라이더 (2) 와의 사이에서 하중을 부하하면서 전동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 (2) 내에서 무한순환하는 볼이다.
먼저, 상기 궤도레일 (1) 은 끝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에는 상기 볼 (3) 의 구르는 볼 구름면 (11) 이 길이방향 (도 2 의 끝면수직방향) 을 따라 계 2 조 형성되어 있다. 이 궤도레일 (1) 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적당히 간격을 두어 볼트 장착구멍 (12) 이 형성되어 있으며, 궤도레일 (1) 은 이 볼트 장착구멍 (12) 에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부에 고정된다.
또, 상기 슬라이더 (2) 는 테이블 등의 가동체의 장착면 (41) 및 당해 가동체의 고정 볼트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탭 구멍 (42) 을 갖는 이동블록 (4) 과, 이 이동블록 (4) 의 전후 양끝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1 쌍의 커버 (5, 5) 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커버 (5) 를 이동블록 (4) 에 고정함으로써 당해 슬라이더내에 볼 (3) 의 무한순환로가 구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블록 (4) 은 장착면 (41) 이 형성된 수평부 (4a) 및 이 수평부 (4a) 로부터 늘어뜨려진 1 쌍의 스커트부 (4b, 4b) 를 구비하여 끝면이 대략 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스커트부 (4b) 의 내면측에는 궤도레일 (1) 의 볼 구름면 (11) 에 대향하는 부하 구름면 (43)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스커트부 (4b) 에는 각 부하 구름면 (43) 에 대응한 볼 복귀구멍 (44) 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부하 구름면 (43) 을 다 구른 하중으로부터 해방된 볼 (3) 이 부하 구름면 (43) 상에서의 구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구르도록 되어 있다.
이 이동 블록 (4) 의 전후 양끝면에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원형상의 볼 안내부 (46) 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커버 (5) 의 U 형 홈 (51) 과 함께 볼 (3) 의 방향전환로를 형성하고, 볼 복귀구멍 (44) 을 출입하는 볼 (3) 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동 블록 (4) 의 전후 양끝면에는 상기 커버 (5) 의 위치결정용 보스 (47) 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5 는 상기 커버 (5) 의 이동블록 (4) 과의 맞닿은 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 맞닿은 면에는 볼 (3) 의 방향전환로를 구성하는 U 자형 홈 (51) 이 형성되어 있고, 이 U 자형 홈 (51) 의 단부에는 상기 궤도레일 (1) 의 볼 구름면 (11) 을 굴러온 볼 (3) 을 U 형 홈 (51) 내에 떠올리는 돌편 (52)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커버 (5) 에는 이동블록 (4) 측의 위치결정용 보스 (47) 가 결합하는 위치결정 구멍 (5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은 상기 슬라이더 (2) 에 구비된 볼 (3) 의 무한순환로를 나타낸 단면도로, 이 무한순환로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5) 를 이동블록 (4) 의 끝면에 고정함으로써 완성된다. 즉, 커버 (5) 를 이동블록 (4) 에 고정하면, 커버 (5) 측의 U 형홈 (51) 내에 이동블록 (4) 측의 볼 안내부 (46) 가 결합되어 U 자형상의 방향전환로 (54) 가 완성되고, 이 방향전환로 (54) 에 의해 이동블록 (4) 의 부하 구름면 (43) 과 상기 볼 복귀구멍 (44) 이 연결된다.
이로써, 궤도레일 (1) 의 볼 구름면 (11) 과 이동블록 (4) 의 부하 구름면 (43) 과의 사이에서 하중을 부하하고 있던 볼 (3) 은, 슬라이더 (23) 의 이동에 따라 상기 부하 구름면 (43) 을 다 구르면 상기 하중으로부터 개방되어 일방의 커버 (5) 의 방향전환로 (54) 에 들어가, 그대로의 무부하상태에서 부하 구름면 (43) 에서의 구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향하여 이동블록 (4) 의 볼 복귀구멍 (44) 을 구른다. 또, 볼 복귀구멍 (44) 을 다 구른 볼 (3) 은 타방의 커버 (5) 의 방향전환로 (54) 를 통하여 다시 궤도레일 (1) 과 이동 블록 (4) 과의 사이에 들어가, 하중을 부하하면서 상기 부하 구름면 (43) 을 구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직선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2) 를 구성하는 이동 블록 (4) 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블록 (4) 은 기계가공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의 블록본체 (40) 에 대하여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으로 덧붙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가동체 장착면 (41) 이나 볼 (3) 의 부하 구름면 (43) 등,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부위는 당해 블록본체 (40) 에 형성되는 한편, 볼 복귀구멍 (44), 볼 안내부 (46), 위치결정용 보스 (47) 등의 기계적 강도가 중요하지 않은 부위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가능한 한 이동블록 (4) 의 경량화가 꾀해지고 있다.
도 8 은 합성수지가 덧붙여지기 전의 블록본체 (40) 를 나타낸 것이다. 이 블록본체 (40) 는 먼저 드로잉가공에 의해 수평부 (4a) 및 스커트부 (4b, 4b) 등의 개략 형상이 형성되고, 이 때 상기 스커트부 (4b) 의 외측면에는 나중에 합성수지를 덧붙이기 위한 오목부(47) 가 형성된다. 또, 드로잉가공에 의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본체 (40) 에 대해서는 연삭가공이 실시되고, 이로써 상기 가동체 장착면 (41) 및 부하 구름면 (43) 이 소정의 정밀도로 형성된다.
소정의 형상으로 마무리된 블록본체 (40) 에 대해서는 사출성형으로 합성수지가 덧붙여지는데, 이 사출성형에서는 블록본체 (40) 의 스커트부 (4b) 에 형성된 오목부 (47) 에 측면성형부 (48) 가, 블록본체 (40) 의 전후 양끝면에는 끝면성형부 (49) 가 덧붙여지고, 전자의 측면성형부 (48) 는 상기 볼 복귀구멍 (44) 을 형성하는 한편, 후자의 끝면성형부 (49) 는 상기 볼 안내부 (46), 위치결정용 보스 (47) 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사출성형의 완료후에서의 합성수지의 수확량을 고려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본체 (40) 의 길이방향을 따라 덧붙여져 있는 측면성형부 (48) 의 수확량의 것이, 블록본체 (40) 의 폭방향을 따라 덧붙여져 있는 끝면성형부 (49) 의 그것 보다도 크다고 생각되며, 상기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이동블록 (4) 을 방치해 두면, 끝면성형부 (49) 가 측면성형부 (48) 에 당겨져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되어, 이 끝면성형부 (49) 와 블록본체 (40) 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겨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블록본체 (40) 의 상면의 1 쌍의 가동체 장착면 (41, 41) 의 사이에 대하여, 상면 끝면성형부 (49) 및 측면성형부 (48) 를 사출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상면성형부 (50) 를 덧붙여, 이 상면성형부 (50) 에서 블록본체 (40) 의 양끝면에 위치하는 1 쌍의 끝면성형부 (49, 49) 를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이 상면성형부 (50) 가 끝면성형부 (49) 의 변형을 구속하므로, 끝면성형부 (49) 는 블록본체 (40) 에 대하여 빈틈을 발생시키지 않고 밀착하게 되어,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된 이동블록 (4) 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끝면성형부 (49) 의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이 끝면성형부 (49) 에 대하여 커버 (5) 를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 커버 (5) 의 고정에 의해 완성되는 볼 (3) 의 방향전환로 (54) (도 6 및 도 7 참조) 를 양호한 정밀도로 형성하고, 볼 (3) 의 원활한 무한순환을 달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의 슬라이더를 궤도레일과 조합한 직선 안내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직선 안내장치도, 상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궤도레일 (6) 과, 볼 (8) 을 통하여 이 궤도레일에 붙여져, 상기 궤도레일 (5) 을 따라 가동체를 안내하는 슬라이더 (7) 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슬라이더 (7) 는, 가동체의 장착면 (71) 및 장착볼트의 탭구멍 (72) 이 가공된 이동블록 (9) 과, 이 이동블록 (9) 의 전후양끝면에 대하여 고정되는 1 쌍의 커버 (10)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궤도레일 (6) 의 측면에도 2 조의 볼 구름면 (61a, 61b) 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상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일방의 측면의 볼 구름면 (61a) 은 수평방향과 45˚ 의 각도를 이루어 상향으로 형성되고, 타방의 측면의 볼 구름면 (61b) 은 수평방향과 12.5˚ 의 각도를 이루어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궤도레일 (6) 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적당히 간격을 두어 볼트 장착구멍 (62) 이 형성되어 있으며, 궤도레일 (6) 은 이 볼트 장착구멍 (62) 에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부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 (9) 은 상기 가동체 장착면 (71) 이 형성된 수평면 (9a) 및 이 수평부 (9a) 의 일단으로부터 늘어뜨려진 스커트부 (9b) 를 구비하여 끝면이 대략 L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수평부 (9a) 및 스커트부 (9b) 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에 상기 궤도레일 (6) 의 윗부분 절반이 들어가 있다. 이 오목부에 면한 상기 수평부 (9a) 의 하면측에는 궤도레일 (6) 의 상향 볼 구름면 (61a) 에 대향하는 부하 구름면 (93a) 이, 상기 스커트부 (9b) 의 내면측에는 궤도레일 (6) 의 하향 볼 구름면 (61b) 에 대향하는 부하 구름면 (93b)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궤도레일 (6) 에 대하여 슬라이더 (2) 의 이동을 지지하고 있는 볼 (8) 은 이들 볼 구름면 (61a, 61b) 과 부하 구름면 (93a, ,93b) 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전동한다.
또, 이동블록 (9) 의 부하 구름면 (93a, 93b) 의 양측에는 리테이너부 (92) 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 (7) 를 궤도레일 (6) 에서 떼어냈을 때, 부하 구름면 (93a, 93b) 상에 위치하는 볼 (8) 이 슬라이더 (7) 로부터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 (9a) 및 스커트부 (9b) 에는 상기 부하 구름면 (93a, 93b) 에 대응하여 볼 복귀구멍 (94a, 94b) 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하 구름면 (93a, 93b) 을 다 굴러 하중으로부터 해방된 볼 (8) 이 부하 구름면 (93a, 93b) 상에서의 구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구르게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도, 이동블록 (9) 의 전후 양끝면에는 볼 (8) 을 부하 구름면 (93a, 93b) 으로부터 볼 복귀구멍 (94a, 94b) 으로 안내하는 반원형상의 볼 안내부 (도시생략) 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커버 (10) 를 이동블록 (9) 에 고정함으로써 상기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볼 (8) 의 무한순환로가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직선 안내장치에 있어서도, 그 슬라이더 (7) 를 구성하는 이동블록 (9) 은 금속제의 블록본체 (90) 에 대하여 합성수지를 사출성형으로 덧붙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사출성형에서는 블록본체 (90) 의 수평부의 선단 및 스커트부 (9b) 의 외측면에 측면성형부 (98) 가, 불록본체 (90) 의 전후 양끝면에는 끝면성형부 (99) 가 덧붙여지고, 전자의 측면성형부 (98) 는 상기 볼 복귀구멍 (94a, 94b) 을 형성하는 한편, 후자의 끝면성형부 (99) 는 상기 볼 안내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본 실시예의 이동블록 (9) 도, 사출성형의 완료후에서의 측면성형부 (98) 및 끝면성형부 (99) 의 수축을 고려한 경우, 끝면성형부 (99) 가 측면성형부 (98) 의 수축에 의해 당겨져 변형되고, 이 끝면성형부 (99) 와 블록본체 (90) 와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대책을 실시하고 있다.
즉, 상기 블록본체 (90) 의 상면의 1 쌍의 가동체 장착면 (71, 71) 의 사이에 대하여, 상기 끝면성형부 (99) 및 측면성형부 (98) 를 사출성형하는 것과 동시에 상면성형부 (97) 를 덧붙여, 이 상면성형부 (97) 로 블록본체 (90) 의 양끝면에 위치하는 1 쌍의 끝면성형부 (99, 99) 를 연결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도 상면성형부 (97) 가 끝면성형부 (99) 의 변형을 구속하므로, 끝면성형부 (99) 는 블록본체 (90) 에 대하여 빈틈을 발생하지 않고 밀착하고, 또, 끝면성형부 (99) 의 변형이 방지되기 때문에, 이 끝면성형부 (99) 에 대하여 커버 (10) 를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 의하면, 금속제의 블록본체에 합성수지를 덧붙여 상기 슬라이더를 제작하는데 있어, 이 블록본체의 수평부의 상면에 대하여 상면성형부를 덧붙이고, 이 상면성형부로 상기 블록본체의 양끝면에 덧붙여진 1 쌍의 끝면성형부를 상호 연결했으므로, 끝면성형부를 덧붙인 후에서의 변형을 억제하여, 상기 끝면성형부를 블록본체의 끝면에 대하여 빈틈없이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끝면성형부에 커버를 고정하여 볼의 무한순환로를 구성하는 경우이더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끝면성형부의 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커버를 끝면성형부에 대하여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볼의 원활한 무한순환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

  1. 수평부 및 이 수평부에서 늘어뜨려진 1 쌍의 스커트부를 가지며 끝면이 대략 새들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스커트부의 내면측에는 볼이 구르는 부하 구름면이 형성된 금속제의 블록 본체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각 스커트부의 외측면에 덧붙여져 상기 부하 구름면에 대응한 볼 복귀구멍을 형성하는 측면 성형부와, 역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끝면에 덧붙여져 상기 측면성형부와 연속하고, 상기 부하 구름면을 다 구른 볼을 상기 볼 복귀구멍으로 안내하는 원호상의 볼 안내부를 형성하는 끝면 성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 구름면을 구르는 볼을 통하여 궤도레일과 결합하고, 상기 궤도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의 수평부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측면성형부 및 끝면 성형부와 동시에 상기 블록 본체에 덧붙여져 상기 블록본체의 양끝면에 위치하는 끝면 성형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면 성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2. 수평부 및 이 수평부의 일단에서 늘어뜨려진 스커트부를 가지며 끝면이 대략 L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하면측 및 상기 스커트부의 내면측에는 볼이 구르는 부하 구름면이 형성된 금속제의 블록 본체와,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 본체의 수평부의 선단 및 스커트부의 외측면에 덧붙여져, 상기 부하 구름면에 대응한 볼 복귀구멍을 형성하는 측면성형부와, 역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블록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끝면에 덧붙여져 상기 측면성형부와 연속하고, 상기 부하 구름면을 다 구른 볼을 상기 볼 복귀구멍으로 안내하는 원호상의 볼 안내부를 형성하는 끝면 성형부를 구비하여, 상기 부하 구름면을 구르는 볼을 통하여 궤도레일과 결합하고, 상기 궤도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수평부의 상면에는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측면성형부 및 끝면 성형부와 동시에 상기 블록 본체에 덧붙여져 상기 블록본체의 양끝면에 위치하는 끝면 성형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면 성형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KR1019980702435A 1996-08-06 1997-08-05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KR19990063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6910 1996-08-06
JP20691096A JPH1047343A (ja) 1996-08-06 1996-08-06 直線案内装置のスライダ
PCT/JP1997/002719 WO1998005877A1 (fr) 1996-08-06 1997-08-05 Chariot de transfert de dispositif de guidage linea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961A true KR19990063961A (ko) 1999-07-26

Family

ID=1653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435A KR19990063961A (ko) 1996-08-06 1997-08-05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11509A (ko)
EP (1) EP0854302A4 (ko)
JP (1) JPH1047343A (ko)
KR (1) KR19990063961A (ko)
TW (1) TW407187B (ko)
WO (1) WO1998005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9455B2 (ja) * 1996-10-14 2002-07-08 テイエチケー株式会社 転がり運動案内装置の移動ブロックの成形方法
JP4447781B2 (ja) * 1998-09-11 2010-04-07 シエツフレル コマンディートゲゼルシャフト リニア転がり軸受け
US6443619B1 (en) * 1998-12-23 2002-09-03 Rexroth Star Gmbh Guide unit
JP3420204B2 (ja) 2000-11-17 2003-06-23 Thk株式会社 案内装置
DE102004026369A1 (de) * 2004-05-29 2005-12-15 Rexroth Star Gmbh Linearwälzlager mit Wälzkörperausrichtung
KR100624772B1 (ko) * 2004-07-29 2006-09-19 주식회사 에스비씨리니어 베어링 블록 및 이 베어링 블록을 채택한 리니어 모션 유닛
ITBS20040040U1 (it) * 2004-08-06 2004-11-06 Gimatic Spa Cuscinetto lineare a ricircolo di sfere
US8220997B2 (en) * 2009-08-04 2012-07-17 Hiwin Technologies Corp. Circulating system for a linear guidewa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5125B2 (ja) * 1992-03-09 1998-07-16 光洋精工株式会社 直動形ガイド装置
JP3412914B2 (ja) 1994-05-20 2003-06-03 Thk株式会社 転がり案内装置および転がり案内装置の移動ブロックの製造方法
US5755516A (en) * 1994-05-20 1998-05-26 Thk Co., Ltd. Rolling guide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vable block of rolling guid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4302A4 (en) 2000-01-26
JPH1047343A (ja) 1998-02-17
EP0854302A1 (en) 1998-07-22
US5911509A (en) 1999-06-15
WO1998005877A1 (fr) 1998-02-12
TW407187B (en) 200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989B1 (ko) 안내 장치
KR860001687B1 (ko) 직선접동용 베어링
US4475776A (en) Linear slide bearing
US4630872A (en) Linear slide bearing
EP0803655B1 (en) Slider of a linear guide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940381B1 (ko) 롤링 안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7004488A1 (ja) 転がり案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25051B2 (ko)
JPH076540B2 (ja) 直線案内装置
KR19990063961A (ko) 직선 안내장치의 슬라이더
JPS6211208B2 (ko)
US4555149A (en) Linear slide bearing and linear slide table using this bearing
EP0489165A1 (en) Table for linear sliding
KR910002179B1 (ko) 직선 접동용 로울러 베어링과 직선 안내장치
JPH09291937A (ja) 直線案内装置のスライダ
KR910002180B1 (ko) 직선 접동용 로울러 베어링
US4514018A (en) Linear slide bearing and linear slide table unit employing the same
JPS6211215B2 (ko)
JP4026864B2 (ja) 転がり案内装置
JP2894089B2 (ja) 直線運動用ベアリング
JPS6156055B2 (ko)
JPS6134934B2 (ko)
JPH0253646B2 (ko)
JPS638331B2 (ko)
JPH0650125B2 (ja) 直線摺動用ボ−ルベア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