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770A - 흡입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770A
KR19990063770A KR1019980702237A KR19980702237A KR19990063770A KR 19990063770 A KR19990063770 A KR 19990063770A KR 1019980702237 A KR1019980702237 A KR 1019980702237A KR 19980702237 A KR19980702237 A KR 19980702237A KR 19990063770 A KR19990063770 A KR 19990063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ispersion chamber
inhaler
dispersion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나 버그
마그누스 제프슨
존 에이. 마칸드로우
윌리암 제이. 레벨
폴 에이. 로버트슨
Original Assignee
클래스 빌헬름슨
아스트라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스 빌헬름슨, 아스트라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클래스 빌헬름슨
Priority claimed from PCT/SE1996/00118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11732A1/en
Publication of KR19990063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770A/ko

Links

Landscapes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약학적 활성 물질의 흡입용 흡입 장치는 부압 또는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장치 내에서 흡입기를 하우징시키기 위한 수단과 일정 부피로 물질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유동 조절 밸브와 분산된 상태가 아닐 때 물질이 상기 출구를 떠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일정 부피 내의 출구를 둘러싸는 채널형 구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서로 유체 소통가능한 일정 부피와 가변 부피로 구성되고, 상기 부압 또는 진공은 가변 부피에서 부피의 변화를 통해 일정 부피에서 발생되고 이에 의해서 물질은 상기 흡입기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일정 부피에서 분산된다.

Description

흡입 장치
흡입가능한 약학적 활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천식 및 만성 기관지염과 같은 기관지의 및 폐질환의 영역에서 병 치료용으로 사용된다. 다양한 형태의 흡입 장치 또는 기구가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한 형태의 흡입 장치는 호흡 작용 흡입기이고,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특히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약제의 다중 투여량을 포함하는 건식 분말 흡입기이다. 흡입기는 약제의 단위 투여량을 투여 유닛으로 로딩시키기 위한 조작 요소를 포함하고 흡입에 적합한 위치에 상기 투여량을 제공하는 조작 수단을 갖는다. 상술된 형태의 흡입기는 EP-A-0,069,715호 및 EP-A-0,237,50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공지된 장치의 기능은 환자에 의한 흡입으로부터 발생하는 흡입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의 생성에 의존한다. 공기 유동은 활성 물질이 투여 유닛으로 해제 위치로부터 물질이 분산되는 공기 유동으로 이동되도록 야기시킨다. 집합 입자의 분쇄는 집합체가 미세 입자를 갖는 분말 특히 흡입용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미세하게 구분된 분말로 발생하기 때문에 흡입 동안 달성되어야만 한다. 상술된 형태의 특히 유익한 흡입기는 상술된 EP-특허에 일반적으로 개시된 Turbuhaler 상표명의 건식 분말, 호흡 작용, 다중 투여량 흡입기이다.
기관지의 구역에 질환을 갖는 작은 어린이 및 노인과 같은 몇몇 환자들이 호흡 작용 흡입기를 사용하는 것이 그들 환자들에게 필요한 흡입 유동을 달성하는 데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다. 필요한 공기 유동은 약 30 내지 60 l/min 이고 작은 어린이 및 노인과 같은 많은 환자들은 필요한 흡입 유동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들 환자들은 가압 가스, 즉 프레온(CFC)과 함께 흡입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몇몇 흡입기는 환경 및 환자에게 불필요한 부작용과 같은 많은 공지된 단점을 제공한다.
가압 계측된 투여량 흡입기, 소위 pMDI의 사용에 의해 조절되는 약학적 활성 물질의 흡입이 용이하기 위하여, 가압된 가스와 함께 물질이 분산되는 예를 들어, 최대 2000 ml의 상당한 부피를 갖는 분산 챔버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페이서"라 칭해지고 전형적인 스페이서는 GB1,565,029호에 공지되어 있다.
분산 챔버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는 상술된 형태의 호흡 작용, 건식 분말 흡입기용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흡입 장치는 EP-A-0,548,152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활성 물질용 저장소(이것은 흡입 장치 내부에 배열된 건식 분말 흡입기의 일부일 수 있음)와 분산 챔버로 구성된다. 이 분산 챔버는 활성 물질을 건식 분말 흡입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견인하기 위하여 최소 및 최대 부피 사이의 분산 챔버의 부피를 가변시키는 이동가능한 벽부를 갖는다. 이동가능한 부분의 이동은 낮추어졌을 때 분산 챔버 내에서 부압을 발생시키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달성된다. 활성 물질은 이에 의해서 챔버로 견인된다. 환자는 따라서 분산 챔버 내에 분산된 물질을 페이스 마스크 또는 마우쓰피스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사용하기에 복잡하고 어렵다. 또한, 분말과 접촉 및 여러 기계부의 설계는 장치 기능을 신뢰성없게 만든다.
본 발명은 부압(negative pressure) 또는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약학적 활성 물질의 흡입용 장치 및 어떤 적절한 물질을 분산된 상태로 준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장치가 비작동 위치로 회수되고 닫혀질 때 흡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는 장치의 작동의 초기 단계를 나타낸다.
도3은 흡입용 위치에서 도1의 흡입 장치의 도면이다.
도4는 장치가 흡입에 적합하게 작동된 직 후에 물질이 분산 챔버에서 해제되고 분산될 때 공기의 유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5는 바람직한 마우쓰피스 밸브를 갖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6a 내지 도6c는 마우쓰피스 밸브의 부품을 도시한다.
도7a 내지 도7f는 다양한 유동 조절 밸브를 도시한다.
도8a는 도2에 대응하는 장치의 작동의 초기 단계에서 도1의 선 IV-IV를 따르는 도면이다.
도8b는 도3에 대응하여 스페이서가 작동되고 투여량이 해제되는 위치에서 도1의 선 IV-IV를 따르는 도면이다.
도9는 장치의 장착 요소용 기어 링키지를 도시한다.
도10은 수집된 분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체를 갖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11a 및 도11b는 도10의 삽입체의 변형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 작용 흡입기를 사용할 때 능력이 감소된 환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해제 위치로부터 흡입 채널로 투여량을 상승시키고 공기 유동에서 분산시키고 집합체 입자의 소정 분쇄를 달성하는 것이 필요한 공기 유동을 생성시킬 수 있는 분산 챔버를 포함하는 흡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장치는 흡입용으로 작동하고 사용하는 데 단순하고 신뢰성이 있어야 한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경량이고 튼튼하고 환자, 예를 들어 천식 환자가 장치를 항상 입수가능하여야만 하기때문에 관심을 끌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용 물질의 투여량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흡입 장치가 제공되고; 장치는 흡입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역과, 상기 구역과 유체 소통가능한 분산 챔버와, 가변성 내부 부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산 챔버와 유체 소통가능한 흡기 챔버로 구성되어, 상기 흡기 챔버의 내부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부압이 상기 분산 챔버에서 발생되고, 이에 의해서 연속 흡입동안 흡입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물질을 유인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용 물질의 투여량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기와, 상기 흡입기와 유체 소통가능한 분산 챔버와, 가변성 내부 부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산 챔버와 유체 소통가능한 흡기 챔버로 구성되어, 상기 흡기 챔버의 내부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부압이 상기 분산 챔버에서 발생되고, 이에 의해서 연속 흡입동안 흡입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물질을 유인시킨다.
중요한 것은 흡입용 물질이 부압을 생성시키는 흡기 챔버의 어느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분산 챔버는 물질의 보유를 최소화시키는 단순한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기 챔버는 분산 챔버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변위되고 흡입기와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대향 단부에서 분산 챔버에 연결된다. 이 방식에서, 분산 챔버로 유인된 분산 물질은 흡기 챔버에 대한 연결에 도달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 3 내지 6에 설명된다.
따라서, 가압된 계측된 투여량 흡입기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특히 Turbuhaler 상표명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흡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흡입 채널로 물질의 투여량을 해제 및 상승시키고 폐에 도달시키는 데 필요한 흡입 유동을 생성시킬 수 없다는 이유 때문에 상술된 형태의 호흡 작용 흡입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특히 적합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질을 분산된 상태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질을 분배기로부터 가변성 내부 챔버로 이루어진 흡기 챔버가 유체 소통가능한 분산 챔버로 유인시킴으로써 분산 챔버에서 분산된 상태로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이 방법은 상기 분산 챔버 내에 부압을 발생시켜 상기 물질을 분사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유인시키기 위하여 흡기 챔버의 내부 부피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확장가능한 분산 챔버를 갖는 흡입 장치는 물질이 분산 챔버로 흡기되는 것을 허용하는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부분들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제공된 분산 챔버를 충진시키기 위한 힘으로 수동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힘은 사용자가 단지 장치의 인장을 해제시키기만 하는 스프링 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불행하게도, 그러나, 탄성의 특성때문에, 스프링에 의해 제공된 힘은 스프링 팽창에 따라 감소한다. 따라서, 분산 챔버로 가스 유동은 챔버의 충진의 제1 부분에 적합하게 높아야한다. 이것은 가스 유동이 흡입기로부터 물질을 들어올리도록 사용될 때, 예를 들어 건식 분말을 들어올리고 가스 내에 분산시키도록 사용될 때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내에 분산된 물질을 함유하기 위한 분산 챔버와, 상기 분산된 물질이 상기 분산 챔버로 유동하도록 야기시키기 위하여 압력 변화를 생성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와, 상기 분산된 물질의 상기 분산 챔버로의 상기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가변성 제한의 유동 조절 밸브로 구성되고, 상기 유동 조절 밸브의 제한은 스프링 장치의 특징에 적합하게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장치의 작동과 합체하여 변하도록 배열되는 흡입 장치를 제공한다.
유동을 제한하고 조절하기 위하여, 밸브는 유동 통로 내의 모든 곳, 즉 분산 챔버의 유입구 또는 출구 또는 그의 상류부 또는 하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밸브의 위치, 구조 및 특성은 흡입 장치의 형태, 스프링 장치의 특징 및 물질에 따라 선택되어야 한다. 비록 일반적이지만, 스프링 장치는 그의 작동의 마지막 부분 동안보다는 그의 작동의 초기 부분 동안 분산 챔버로 더 큰 유동을 생성시키도록 의도될 것이다. 그러므로, 유동 조절 밸브는 이것을 보상하고 스프링 장치의 작동의 초기 부분 동안 대부분 제한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 장치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하고, 제한은 피스톤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감소되어야 한다.
확장가능한 분산 챔버를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것들을 포함하는 분산 챔버를 갖는 장치에서, 몇몇 분산 물질은 가스 중에 부양된 상태로부터 떨어져서 분산 챔버의 내부면 상에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치를 뒤집어엎으면, 분말 또는 액체는 분산 챔버 출구로부터 끼워진 상태라면 마우쓰피스로부터 쏟아질 수 있다. 이것은 불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 중에 분산된 흡입용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상기 분산된 물질을 포함하기 위한 분산 챔버를 한정하고 상기 분산된 물질이 분산된 상태로 상기 분산 챔버를 관통할 수 있는 상기 분산 챔버 내의 출구를 한정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상기 벽 상의 모든 물질이 상기 채널형 구역을 한정하는 벽을 가로질러 이동하고 상기 출구를 관통하도록 야기될 수 없다.
채널형 구역은 내부로 연장하는 깔대기 또는 원추형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단순히 내부로 연장하는 파이프로서 제공될 수 있다. 중요한 특징은, 사용자가 장치를 뒤집는다면, 측면 상에 수집된 모든 물질이 벽을 따라 출구를 관통하기보다는 채널형 구역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출구는 챔버의 일반적 주연의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물질은 그로부터 부어질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흡입 장치는 가변성 부피의 흡기 챔버가 형성된 제1 챔버(2)와 일정한 부피를 갖는 제2 챔버(3), 분산 챔버로 구성된 하우징(1)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챔버는 원통형이지만 다른 형태도 가능하다. 두개의 챔버(2, 3)는 축상으로 배열되고 서로에 대해 삽통식으로 이동가능하며 유체 연결이 두개 챔버 사이에 제공된다.
제2, 또는 분산 챔버(3)에는 그의 상부를 덮는 뚜껑(31)이 제공된다. 뚜껑(31)은 분리형 부품일 수 있거나 또는 챔버(3)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뚜껑(31)에는 장치가 사용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입에 삽입되도록 의도된 마우쓰피스(32)가 제공된다. 마우쓰피스는 예를 들어 강제 끼워맞춤(bayonet fitting)에 의해 뚜껑(31)으로부터 바람직하게 분리가능하다. 이 방식에서, 세척을 위해 제거될 수 있다.
뚜껑의 내부에서, 흡입 채널(33)은 분산 챔버(3)와 마우쓰피스(32) 사이에 유체 소통가능하게 배열된다. 장치가 사용되고자 할 때, 상기 마우쓰피스는 도1 및 도2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회수된 위치와 도3 및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어린아이가 흡입 장치를 사용한다면, 공지된 형태의 페이스 마스크는 마우쓰피스 상에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마우쓰피스는 이러한 페이스 마스크를 위해 교환될 수 있다.
일방향 밸브(5)는 상기 흡입 채널(33)에 제공된다. 장치가 사용되고 사용자가 마우쓰피스(32)를 통해 흡입할 때, 밸브는 흡입 공기가 마우쓰피스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유입되기 위하여 개방한다. 사용자가 배기할 때, 밸브(5)는 배기 공기가 채널 및 분산 챔버(3)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닫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방향 밸브(5)는 소위 플랩 밸브(flap valve)이지만, 토페도(topedo) 또는 볼 밸브와 같이 다른 형태의 밸브도 사용될 수 있다.
도5에는 바람직한 마우쓰피스 밸브를 갖는 장치가 도시되고 도6a 내지 도6c에는 유사한 밸브의 부품이 도시된다. 밸브는 밸브 시트(valve seat; 52)와, 개구(53)와 베어링(54)을 갖는 삽입체(51)로 구성된다. 도6b 및 도c에 도시된 밸브 플랩(55)은 플랩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54)으로 삽입하기 위한 축을 포함한다. 삽입체(51)가 마우쓰피스에 끼워맞춰질 때, 마우쓰피스의 벽은 베어링(54)을 닫는다.
하우징(4)의 내부에는, 하우징(1)에 분리식으로 장착되거나 또는 그의 내부 부품일 수 있는 흡입기(7)를 장착시키고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6)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흡입기는 상표명 Turbuhaler으로 판매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챔버(2)에 제공된 챔버에 장착된다. 흡입기(7)는 흡입되고자 하는 물질용 저장소와, 흡입기의 흡입 채널에 제공된 투여 유닛과, 물질의 단위 투여량을 투여 유닛에 급송시키고 흡입 채널 및 마우쓰피스(72)에서 흡입을 위한 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조정 수단(71)으로 구성된다. 비록 흡입기는 Turbuhaler 상표명이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형태 또는 유사한 형태의 다른 흡입기가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기(7)의 조정 수단(71)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흡입 장치의 장착 및 작동 수단에 장착된다.
하우징(1)에 장착될 때, 흡입기(7)의 마우쓰피스(72)는 대체로 L형인 채널(8)의 제1 단부를 경유하여 분산 챔버(3)에 연결된다. 장치가 흡입을 위해 준비될 때, 채널(8)의 타단부는 분산 챔버(3)의 벽(37)에 제공된 개구(34)를 경유하여 분산 챔버(3)와 유체 소통가능하게 배열된다. 밀봉부(81)는 L형 채널(8)로부터 떨어져 위치되고 기밀 밀봉은 흡입기와 분산 챔버(3) 사이에 형성된다.
많은 약학적 활성 물질은 흡습성(hydroscopical)이다. 이들은 습도에 민감하고 안정적 습도를 갖는 분위기에 유지되어야만 한다. 흡입기로 습기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기가 배열된 챔버는 기밀 방식으로 분위기성 공기에 대향하여 밀봉된다. 이 밀봉은 장치가 흡입용으로 작동될 때, 즉 분산 챔버(3)가 활성 위치로 복귀될 때 파괴된다. 활성 위치에 있을 때, 제1 챔버(2)에 인접하는 벽 내의 개구는 개방되고 공기 유입구(75)가 생성된다. 흡입이 종료되고 분산 챔버가 복귀되어 회수된 위치로 낮추어질 때 개구 또는 공기 유입구는 다시 닫혀지고 공기 기밀 밀봉이 다시 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챔버(2) 및 분산 챔버(3)는 이동가능하고 서로에 대해 신축성 있게 배열된다. 안내 요소는 서로에 대해 챔버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안내 요소는 챔버 중 하나의 표면 상의 핀과 다른 챔버의 벽의 표면 상에 제공된 대응하는 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안내 수단의 기능은 장치의 기능과 관련하여 하기에 더욱 설명될 것이다.
분산 챔버(3)는 분산 챔버의 바닥벽(35)이 제1 챔버의 상부 벽을 한정하도록 제1 챔버(2)의 내부면에 배열된다. 피스톤(4)은 제1 챔버(2)의 내부면에 배열된다. 피스톤은 도2 및 도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된 제1 위치와 해제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피스톤(4)과 제1 챔버(2)의 벽(35) 및 측면은 함께 흡기 챔버를 한정한다. 흡기 챔버의 부피는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변하게 된다. 피스톤(4)에는 피스톤의 대부분의 이동 동안 제1 챔버의 벽에 대향하는 유체 기밀 밀봉을 제공하는 밀봉부(41)가 제공된다. 분산 챔버의 바닥벽(35)과 피스톤(4) 사이에는 피스톤이 그의 회수된 제1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해제된 제2 위치로 강제시키는 편향 수단(43)이 제공된다. 편향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다. 러그(42; lug)는 분산 챔버(3)의 바닥 상에 제공된 홈(21)으로 래칭하는 피스톤 상에 제공되어 스프링의 편향력에 대향하여 피스톤을 보유하고 그를 제1 위치에 체결시킨다.
유속이 제어된 방식에서 약 60 l/min의 최대 속도로 증가하는 흡입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또는 가스에 적합한 최적 유동 형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기/가스 유동 조절 장치(9)는 분산 챔버(3) 내에 배열된다. 이것은 스프링 장치, 즉 상술된 피스톤(4)과 편향 수단(43)의 특징을 보상한다.
공기 조절 장치는 유동 조절 밸브(9)로서 바람직하게 제작되고 피스톤(4)에 부착된다. 유동 조절 밸브(9)는 직립 파이프(91)와 직립 파이프(91)의 내부에 배열된 원추형 니들(92)을 갖는 니들 밸브로서 형성된다. 직립 파이프는 분산 챔버(3)의 바닥벽(35)에 장착되고 분산 챔버(3)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한다. 일방향 밸브(93)는 유체, 즉 공기 또는 가스가 직립 파이프로 유입하고 흡기 챔버의 가변성 부피로 하향하는 것을 허용하는 직립 파이프의 상부에 배열된다.
원추형 니들(92)은 피스톤(4) 상에 제공되고 직립 파이프(91)로 상방 돌출한다. 피스톤(4)의 회수된 제1 위치에서, 니들(92)은 직립 파이프의 내부면에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된다. 피스톤이 그의 회수된 위치로부터 해제되어 흡기 챔버의 부피를 증가시키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할 때, 니들은 피스톤과 함께 직립 파이프로부터 이동한다. 니들은 직립 파이의 단면을 제한하고 이에 의해서 직립 파이프 내의 밸브 틈새를 제한한다. 따라서, 직립 파이프를 통한 하향의 공기 유동은 피스톤의 해제의 포인트에서 가장 제한되지만, 이 제한은 니들이 직립 파이프로부터 제1 챔버로 하향 이동함에 따라 감소할 것이다. 장치의 내부에 배열된 흡입기의 가장 최적 사용을 형성하기 위하여, 장치를 통한 공기의 흡기 동안 공기 유동은 장치가 사용되는 매 순간마다 동일하여야 한다. 이것은 직립 파이프와 니들의 배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술된 구조와 함께,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의 속도, 힘 및 공기 유동 형태는 최적화된다. 니들(92)의 형상 및 길이는 상기 최적된 흡입 공기 유동을 달성하도록 물체부터 결정된다.
도7a에는 직립 파이프(91)를 관통하는 부분 단면도가 예시되고 니들(92)의 원추형이 도시된다. 물론, 다른 단면을 갖는 다른 형태도 공기 제한의 요구가 달성되는 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밸브 배열은 도7b 내지 도7f에 예시된다. 도7b 및 도7c에는 도7a의 실시예에서의 변형이 도시된다. 도7d에는 가변 단면 직립 파이프를 갖는 밸브가 도시된다. 도7e 및 도7f에는 중공형 니들과 직립 파이프의 측면 아래에 일련의 구멍을 갖는 밸브가 예시된다. 후자 실시예의 경우에, 직립 파이프로 분산된 물질이 유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1 내지 도4의 장치는 일련의 구멍으로부터 떨어져 분산 챔버 유입구를 이동시키도록 변형되어야 한다. 이들 및 다른 적절한 조절 밸브는 EP-A-0548152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다른 분산 챔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장착 및 작동 수단(6)은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11)을 갖고, 하우징(1)의 바닥벽에 장착되고, 피스톤 및 분산 챔버의 바닥벽(35)에 각각 배열된 구멍(44, 36)을 통해 제1 및 분산 챔버(2, 3)로 돌출하는 축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61)는 축(11)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다른 레버(62a, 62b)가 그들의 제1 단부에서 제1 레버(61)에 연결된다. 이들 다른 레버(62a, 62b)의 제2 단부는 흡입기(7)의 조정 수단(71)이 배열되는 장착 요소(61)에 연결된다. 다른 레버들은 레버(62a, 62b)의 이동이 장착 요소(63)가 회전하도록 야기시키는 방식으로 장착 요소(63)에 연결되고, 이에 의해서 흡입기의 조정 수단(71)도 회전될 것이다. 조정 수단(71)의 회전 이동은 흡입기의 흡입 채널로 투여량을 주입시키기 위한 수단의 소정 이동에 상응한다. 다른 레버의 길이 및 형태는 조정 수단(71)의 소정 회전 이동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는 도9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기어(261)는 축(11)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어(261)는 중간 기어(262)를 경유하여 장착 요소(63)의 일체부에 부착된 장착 기어(263)에 연결된다.
장치의 기능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초기에, 흡입 장치는 분산 챔버(3)가 제1 챔버(2)로 회수되고 마우쓰피스(32)가 회수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1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사용자가 흡입하고자 할 때, 분산 챔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챔버에 관련하여 상승된다. 이 후에, 마우쓰피스(32)는 그의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위치까지 약 90°의 각도 정도로 회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우쓰피스(32)는 뚜껑(31)의 일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일부로서 형성되고 뚜껑(31)은 분산 챔버(3)의 상부의 일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일부로서 형성된다. 마우쓰피스(32)의 이동은 피스톤(4)의 체결 수단을 그의 제1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산 챔버(3)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에 평행한 평면에서 약 90°정도 회전되지만, 각도는 레버 아암의 배열과 장착 및 작동 수단(6) 내의 기어잇수를 변형시킴으로써 간단히 90°미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투여량을 그의 해제 위치로 주입시키도록 조정 수단(71)의 회전 이동이 장착 요소(63)의 소정 이동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장착 요소(63)는 장치가 작동될 때, 즉 분산 챔버(3) 및 마우쓰피스(32)가 회전될 때 레버 아암(61, 62a, 62b) 또는 기어(261, 262, 263)의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뚜껑(31) 및 마우쓰피스(32)가 흡입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회전될 때, 분산 챔버(3) 및 피스톤(4)의 이동은 축(11)을 통해 제1 레버(61) 또는 기어(261)에 전달된다. 제1 레버(61)는 회전하고 이 이동을 다른 레버(62a, 62b)에 전달하거나 또는 기어(261)는 이 이동을 기어(262, 263)에 전달하여 장착 요소(63) 및 흡입기(7)의 조정 수단(71)을 회전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흡입기용 장착 및 작동 수단(6)은 마우쓰피스(32)가 그의 작동 위치로 회전될 때 흡입기(7)의 조정 수단(71)이 회전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 방식에서, 흡입되고자 하는 물질의 투여량은 흡입기의 저장소로부터 투여 유닛으로 주입되어 흡입기의 흡입 채널로 흡입에 적합하게 위치 설정될 것이다.
초기의 회수 위치에서, 피스톤(4)의 러그(42)는 분산 챔버의 바닥벽(35) 내의 잠금 위치로 래치된다. 분산 챔버가 제1 챔버에 관련하여 이동될 때, 피스톤(4)은 단부 위치가 도달될 때까지 분산 챔버를 상방으로 수반할 것이다. 단부 위치가 도달될 때, 마우쓰피스는 회전되고 두개 챔버들 사이에서 안내 수단의 배열은 피스톤(4)이 해제되도록 러그(42)를 잠금 해제시킬 것이다. 스프링(43)의 편향력에 기인하여, 피스톤은 제1 챔버의 내부면의 벽(35)으로부터 떨어져서 하향으로 강제되어 흡기 챔버의 부피를 일정하게 증가시킨다. 부압 또는 진공은 따라서 흡기 챔버 내에 형성된다. 직립 파이프(91)를 통해, 공기는 분산 챔버로부터 흡기 챔버까지 하향으로 유인되고 부압 또는 진공은 분산 챔버 내에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75)는 하우징(1)의 바닥벽에 배열된다. 이들 공기 유입구는 흡입기가 하우징되는 챔버로 공기/가스를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흡입기 주위에 제공된 밀봉부(73)에 기인하여, 공기용 통로만이 흡입기의 흡입 채널을 통과한다. 분말의 투여량은 장치의 작동 동안 흡입 채널 내에 배치될 것이다. 이 투여량은 그의 위치로부터 들어올려져서 공기 유동 내의 공기와 혼합되고 흡입기의 마우쓰피스(72)를 통하는 상방의 공기 유동과 함께 L형 연결 수단(8)을 경유하여 개구(34)를 관통해서 분산 챔버로 이동할 것이다.
직립 파이프(9)는 흡기 챔버까지 하향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부피는 공기가 흡입기로부터 유입되기 전의 분산 챔버의 공기 부피보다 작은 방식으로 구조화된다. 이 방식에서, 직립 파이프로 유입하는 연무질된 물질의 양은 최소화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를 더욱 개선시키기 위하여, 삽입체(100)는 채널형 구역을 제공하고 분산 챔버의 바닥 상에 수집된 분말 입자가 분산 챔버로부터 뚜껑의 흡입 채널(33) 또는 마우쓰피스(32)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산 챔버(3)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체(100)는 깔대기형이고 분산 챔버(3)의 바닥(35)을 향하는 하향으로 팁이 안내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러나, 추구(102) 주위에 채널형 구역을 제공하는 형태는 도1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만곡 단면 및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융기부와 같은 등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채널형 구역은 EP-A-0548152호와 합체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다른 분산 챔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가능한 변형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장치는 물론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우쓰피스 및 분산 챔버는 장치가 흡입용으로 작동될 때 약 90°의 각도를 통해 회전되지만, 안내 수단의 변형에 의해, 회전 각도는 어떤 다른 소정의 각도로 변경될 수 있다.
비록 호흡 작동 건식 분말 흡입기가 상술되었지만, 다른 흡입기는 흡입되고자 하는 물질의 투여량이 흡입용 흡입 채널에 배치되고 공기 또는 가스가 투여량을 흡입 유동과 함께 혼합시키고 환자에게 이송시키기 위하여 흡입 채널을 통해 유인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장치는 장치 주위의 환경으로부터 유인된 공기와 함께 사용되기 위해 기재되었다. 그러나, 필요하거나 요구된다면, 가스 소스가 장치의 공기 유입구에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고 가스는 외부 대기 공기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장치로 유인될 수 있다.
피스톤(4) 하의 챔버(2)에 포함된 공기가 흡입기로부터 분산 챔버(3)로 공기의 유인 동안 흡입기 내에서 생성된 부압 또는 진공을 균일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도록 장치를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챔버(2)로부터 공기는 흡입기에 근접한 공기 유입구를 통해 유인될 것이고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흡입기를 통과할 것이다. 이 배열의 장점은 피스톤 아래의 공기 부피에서 증가된 압력이 투여량 및 공기를 흡입기를 통해 분산 챔버로 해제시키고 및 이송시키도록 외력을 제공한다.
언급된 실시예에서, 장착 및 작동 수단은 레버 아암 또는 기어 구동 장치로 구성되는 레버 기구로 구성된다. 그러나, 구동 기구의 다른 형태, 즉 구동 벨트 등과 같이 흡입기 내 조정 수단용 다른 작동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6)

  1. 흡입용 물질의 투여량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흡입 장치에 있어서,
    흡입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역과,
    상기 구역과 유체 소통가능한 분산 챔버와,
    가변성 내부 부피를 갖고 상기 분산 챔버와 유체 소통가능한 흡기 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 챔버의 내부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부압이 상기 분산 챔버 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후속 흡입에 적합하게 흡입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물질을 유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 흡입용 물질의 투여량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기와,
    상기 흡입기와 유체 소통가능한 분산 챔버와,
    가변성 내부 부피를 갖고 상기 분산 챔버와 유체 소통가능한 흡기 챔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기 챔버의 내부 부피를 증가시킴으로써, 부압이 상기 분산 챔버 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후속 흡입에 적합하게 흡입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물질을 유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 내에서 이동가능한 피스톤을 갖고, 상기 흡기 챔버는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피스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분산 챔버는 상기 제1 챔버 내에 삽통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1 챔버 내의 회수된 위치와 연장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는 상기 제1 챔버로부터 분산 챔버를 분리시키는 벽을 갖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벽에 인접하여 해제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되었을 때 상기 분산 챔버와 함께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과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해제 기구와 상기 피스톤을 상기 벽으로부터 떨어져서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부재를 갖고,
    상기 분산 챔버가 회수된 위치로부터 연장된 위치로 이동될 때 피스톤은 상기 분산 챔버가 연장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분산 챔버와 함께 이동하고, 그 후 해제 기구는 피스톤이 벽으로부터 떨어져 편향되고 상기 흡기 챔버의 내부 부피는 증가되도록 피스톤과의 연결을 해제시키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7.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로부터 상기 흡기 챔버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유체 조절 밸브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직립 파이프와 상기 직립 파이프의 내부로 돌출하는 상기 피스톤 상의 원추형 제한 요소로서 형성되고, 이에 의해서 피스톤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직립 파이프를 통한 유체 소통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0.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기는 물질의 투여량을 흡입기의 흡입 채널로 주입시키기 위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장치는 조정 요소를 장착시키기 위한 장착 요소와 장착 요소와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 배열체로 구성된 장착 및 작동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 배열체는 제1 및 분산 챔버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레버 배열체에 연결되고 상기 분산 챔버의 바닥벽과 상기 피스톤 상에 장착된 축을 구비하여, 흡입기와 관련하여 분산 및 제1 챔버들의 이동은 상기 축과 상기 레버 배열체를 경유하여 조정 요소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기는 물질의 투여량을 흡입기의 흡입 채널에 주입시키기 위한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장치는 장착 요소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어 배열체를 포함하는 장착 및 활성화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 배열체는 제1 및 분산 챔버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3.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 내에 제공된 삽입체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체는 깔대기형이고 분산 챔버의 흡입 출구로부터 떨어져 지향된 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4.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은 약학적 활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5.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기는 건식 분말 흡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6.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입기는 Turbuhaler 상표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7. 분배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물질을 유인시킴으로써 분산 챔버 내에서 분산된 상태로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가변성 내부 부피를 갖는 흡기 챔버가 분산 챔버와 유체 소통되게 제공됨-에 있어서,
    상기 분산 챔버 내에 부압을 발생시켜서 상기 물질을 분배기로부터 분산 챔버로 유인시키기 위하여 흡기 챔버의 내부 부피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가스 내에 분산된 물질을 내장하기 위한 분산 챔버와,
    상기 분산된 물질이 상기 분산 챔버로 유동하도록 야기시키기 위하여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와,
    상기 분산 챔버로의 상기 분산된 물질의 상기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가변성 제한의 유동 조절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동 조절 밸브의 제한은 스프링 장치의 특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장치의 작동과 합체하여 변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조절 밸브는 상기 분산 챔버의 출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의 단일 사용 동안, 스프링 장치에 의해 제공된 힘은 감소하고 상기 유동 조절 밸브에 의해 제공된 제한은 동시에 감소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1. 제18항,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는 이동가능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조절 밸브는 긴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 내에서 축상으로 이동가능한 부재로 구성되고, 파이프와 부재의 상대적 단면은 부재가 파이프로부터 외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파이프와 부재 사이의 가장 작은 단면적이 면적 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3. 분산된 물질이 분산 챔버로 유동하도록 야기시키기 위하여 압력 변화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분산 챔버 내에 분산된 상태로 물질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스프링 장치의 특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스프링 장치의 작동과 합체하여 분산 챔버로의 유동에 제공된 제한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흡입용 가스 내에 분산된 물질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물질을 내장하기 위한 분산 챔버를 한정하고, 그것을 통해 상기 분산된 물질이 상기 분산 챔버를 분산된 상태로 떠날 수 있는 상기 분산 챔버 내의 출구를 한정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또한 상기 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형 구역을 한정하여, 상기 벽 상의 어떠한 물질도 상기 채널형 구역을 한정하는 벽을 가로질러 이동하고 상기 출구를 통과하도록 야기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형 구역을 한정하는 상기 벽은 분산 챔버의 내부로 돌출하는 실질적인 원추형 구역으로 구성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원추형 구역의 정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장치.
  26. 분산 챔버 내에 분산된 상태로 물질을 준비하고 분산된 상태가 아닐 때 물질이 분산 챔버의 출구를 떠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형 구역을 한정하는 상기 분산 챔버 내의 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2237A 1995-09-27 1996-09-23 흡입 장치 KR19990063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33444-5 1995-09-27
SE95033444 1995-09-27
PCT/SE1996/001184 WO1997011732A1 (en) 1995-09-27 1996-09-23 Inhal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770A true KR19990063770A (ko) 1999-07-26

Family

ID=6598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237A KR19990063770A (ko) 1995-09-27 1996-09-23 흡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37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08A (ko)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808A (ko) 2016-11-14 2018-05-2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벌통 내 유효성분 흡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2508B1 (en) Inhalation device
KR101735580B1 (ko) 플룸이 에어제트에 부딪히는 호흡동작 흡입기
US6098618A (en) Inhalation device
US5727542A (en) General purpose aerosol inhalation apparatus
EP1339446B1 (en) Medical Inhaler
KR100246082B1 (ko) 에어로졸화된약제를전달하는방법및장치
EP0653946B1 (en) Low flow rate nebulizer
EP0692990B1 (en) Deagglomerators for dry powder inhalers
JP2004508900A (ja) 呼吸−作動
SK278886B6 (sk) Inhalačný prístroj bez hnacieho plynu
US4200093A (en) Steam-air inhalator
HU216770B (hu) Inhalálókészülék por alakú gyógyszerkészítmények adagolására
PL179323B1 (pl) Urzadzenie inhalacyjne do podawania dawki substancji aktywnej farmaceutycznie i sposób podawania dawki substancji aktywnej farmaceutycznie PL PL PL PL
EA003153B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аэрозолизаци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составов
JP2000504603A (ja) ネブライザー装置および方法
SI20363A (sl) Inhalacijska priprava za praškasta zdravila
JP4723785B2 (ja) 粉末吸入装置
US20030164169A1 (en) Inhal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particulate mist for inhalation purposes
KR19990063770A (ko) 흡입 장치
MXPA98002214A (es) Dispositivo para inhala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