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705A -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705A
KR19990063705A KR1019980702172A KR19980702172A KR19990063705A KR 19990063705 A KR19990063705 A KR 19990063705A KR 1019980702172 A KR1019980702172 A KR 1019980702172A KR 19980702172 A KR19980702172 A KR 19980702172A KR 19990063705 A KR19990063705 A KR 19990063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splay
image
input signals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야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63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7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동시에 공급된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복수의 화상이 형성되어 동일 화면상에 표시될 때,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스위치 수단을 스위칭하므로서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부가적인 정보 디코딩 수단으로 전송되고, 각각의 입력 신호에 포함된 부가적인 정보는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검출되어 디코딩된다. 따라서, 상기 부가적인 정보에 대응하는 각 화상의 표시는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텔레비전 수상기(1)의 경우, 안테나(2)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로서 튜너(3)에 의해 선택되는 제 1 영상 신호(S1) 및 제 1 음성 신호(S10)와 VTR의 제 2 입력원으로부터 단자(EX)를 통하여 전송된 영상 신호의 제 2 영상 신호(S2) 및 제 2 음성 신호(S20) 등은 스위치(SW1)로 각각 전송된다.
상기 스위치(SW1)는 상기 제 1 영상 신호(S1)와 제 1 음성 신호(S10) 또는 제 2 영상 신호(S2)와 제 2 음성 신호(S20) 측 내의 입력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5)의 제어하에서 주영상 신호(SA)로 선택하여 그것을 영상 처리기(6)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에 전송한다.
상기 영상 처리기(6)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SH)와 수직 동기 신호(SV)로 분리하고, 상기 주 영상 신호(SA)를 CRT7로 전송하고, 상기 수평 동기 신호(SH)와 수직 동기 신호(SV)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와 상기 CRT7을 구동하는 편향 회로(8)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에 부가된 캡션 신호인 폐쇄(closed) 캡션 데이터를 캡션 비전 디코더(9)를 이용하여 디코딩한다. 또한, 상기 주 영상 신호(SA)에 부가된 XDS(확장된 데이터 서비스 : EDS) 신호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에 의해 디코딩된다.
상기 XDS 신호는 프로그램과 관련된 시작 시간, 내용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폐쇄 캡션 데이터의 스페이스에 삽입되도록 전송된 패킷 신호이다.
따라서, 상기 XDS 신호를 사용하는 미성년자의 시청이 곤란한 TV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표시의 제어가 검토되어 왔다.
방송국은 각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하여 허용가능한 시청자의 연령을 평가하여 시청자의 연령(등급)에 대한 코드를 XDS 신호로써 전송한다. 다른 한편으로, 수신자 측에서는 시청자의 연령 레벨이 설정되어 상기 전송된 코드와 비교된다. 그리고 규정된 조건이 만족될 때만, 방송 프로그램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등급과 방송국에 의해 설정되어 전송된 등급 단계를 비교하고,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상기 "등급"은 영화에서의 폭력적인 장면과 같은 내용이 미성년자가 시청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스텝 평가를 의미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을 설정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의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는 먼저 상기 XDS 신호를 디코딩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단계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의 결과, 만약 규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화면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YS)가 발생되어 상기 비디오 프로세서(6)로 공급된다.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는 또한 상기 주 영상 신호(SA)의 폐쇄 캡션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얻어진 폐쇄 캡션 신호(SA2)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기(6)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를 R, G 및 B의 삼원색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제어 신호(YS)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상에 주 화상(main picture)의 표시의 온/오프 제어를 행한다.
반면에, 상기 텔레비전 수상기(1)는 단지 하나의 캡션 비전 디코더(9)만 구비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픽처-인-픽처 화상 화면(주 화면(main screen), 부 화면(sub screen))이라 일컬어지는 동일 화면상에 둘 이상의 입력원으로부터 얻어진 영상 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픽처-인-픽처(Picture-in-picture) 기능과, 복수 채널의 화상을 선형으로 표시하는 멀티-픽처 기능을 가지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단지 주 영상 신호(SA)만을 위한 상기 폐쇄 캡션 데이터 또는 상기 XDS 데이터는 디코딩될 수 있지만, 부 화상(sub picture)을 위한 상기 폐쇄 캡션 데이터 또는 상기 XDS 데이터는 디코딩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 등급을 설정할 때에도, 상기 화면상의 표시 규정은 주 화상에 대해서만 유효하고 상기 규정은 XDS 데이터가 디코딩되지 않은 상기 부 화상에 대하여는 유감스럽게도 적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부 화상은 바람직스럽지 않지만 표시되어져 왔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상기 부 영상 신호(SB)에 대하여 디코드 폐쇄 캡션 데이터와 XDS 데이터에 두 개의 캡션 비전 디코더가 각각 제공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일한 화면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 구조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 구조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3a 내지 3d는 영상 디스플레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YUV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 구조의 블록 다이어그램.
도 6a 내지 6d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디스플레이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복수의 입력 신호가 동일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화면에 대한 상기 입력 신호의 표시가 각각의 입력 신호의 부가적인 정보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코더와 관련된 본 발명은 부가적인 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여 이들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를 미리 정해진 스위치 타이밍으로 스위칭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각각의 입력 신호 내에 포함된 부가적인 정보를 검출하여 디코딩하는 부가 정보 디코딩 수단과,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화상의 표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제공한다.
복수의 화상이 동시에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형성되어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면,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하여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부가적인 정보 디코딩 수단에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각각의 입력 신호에 포함된 부가적인 정보는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검출되어 디코딩된다. 따라서, 상기 부가적인 정보에 따른 각각의 화상의 표시는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하기에 상세히 기술된다.
도 2에서, 도 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가되었고, 10은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를 나타낸다. 안테나(2)에 의해 수신된 텔레비전 신호는 튜너(3)로 전송되고, 소망된 방송국은 사용자에 의한 원격 제어기(11) 조정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SC1)에 따라서 선택되고, 제 1 영상 신호(S1)와 제 1 음성 신호(S10)는 스위치로 전송된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영상 신호(S2)와 제 2 음성 신호(S20) 입력이 VTR과 같은 제 2 입력원으로부터 외부 터미널을 통하여 상기 스위치(SW1)로 전송된다.
상기 스위치(SW1)는 내부 제어 버스(CB)를 통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의 제어 하에서 상기 튜너(3)에 의한 입력 신호를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VTR에 의한 입력 신호를 선택한다. 저음, 고음, 가이트 및 레프트 밸런스, 서라운드 효과 및 음성 볼륨등이 음성 처리기(12)를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상기 내부 제어 버스(CB)를 거쳐 출력된 제어 신호(SC10)의 제어 하에서 조정되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음성 신호는 증폭 회로(13)에 의해 음성 증폭되고 상기 음성 증폭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4)를 통하여 출력된다.
그 동안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사용자의 상기 원격 제어기(11)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내부 제어 버스(CB)를 통하여 상기 스위치(SW1)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영상 신호(S1) 또는 상기 제 2 영상 신호(S2)의 입력 신호를 주 영상 신호(SA)로 선택하여 상기 신호를 영상 처리기(6)에 전송하고 제 1 영상 신호(S1) 또는 제 2 영상 신호(S2)의 입력 신호를 부 영상 신호(SB)로서 화상 뮤트(mute)(16)를 통하여 픽처-인-픽처 처리기(17)로 전송한다.
상기 스위치(SW1)로부터 출력된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는 동시에 분기되어 스위치(SW2)로 또한 출력된다.
상기 주 영상 신호(SA)는 상기 스위치(SW1)를 통하여 영상 처리기(6)로 입력되는 반면에, 상기 부 영상 신호(SB)는 상기 픽처-인-픽처 처리기(17)로부터 문자 발생기(18)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기(6)로 입력된다.
상기 영상 처리기(6)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SH)와 수직 동기 신호(SV)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주 영상 신호(SA)와 상기 동기 신호를 CRT(7)와 편향 회로(8)로 각각 전송한다. 그 다음에, 영상 처리기(6)의 출력 신호인 R, G 및 B 신호가 상기 수평 동기 신호(SH)와 수직동기 신호(SV)로 동기되고 상기 동기된 신호는 상기 편향 회로(8)에 의해 주사되어 상기 CRT7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CRT7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의 화질은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나온 내부 제어 버스(CB)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기(6)를 제어하므로서 조정된다.
상기 영상 처리기(6)는 또한 상기 수평 동기 신호(SH)와 수직 동기 신호(SV)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 및 픽처-인-픽처 처리기(17)로 전송한다.
상기 픽처-인-픽처 처리기(17)는 상기 부 영상 신호(SB)의 Y, U 및 V 신호를 포함하는 부 화상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나온 상기 내부 제어 버스(CB)를 통하여 출력된 제어 신호(SC10)에 따라서 상기 문자 발생기(18)를 통하여 상기 영상 처리기(6)로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 화상(P2)으로 선택되는 채널 번호가 채널 번호 문자(PC2)로서 상기 부 화상(P2)에 표시된다. 상기 부 화상은 상기 영상 처리기(6)에 의해 주 화상의 한 부분으로 삽입된다. 상기 영상 처리기(6)의 출력 신호인 상기 R, G 및 B 신호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SH)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SV)와 동기되어 상기 편향 회로(8)에 의해 주사되고 이에 의해 얻어진 영상이 상기 CRT7의 화면에 표시된다.
결국,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 화상(P1)보다 더 작은 부 화상(P2)이 상기 CRT7의 표시화면 상에 주 화상(P1)의 한 부분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기(6)는 주 화면의 상기 캡션 비전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나온 제어 신호(YS)에 기초된 수평 동기 신호(SH) 및 상기 수직 동기 신호(SV)와 동기시키고, 이에 따라서 얻어진 영상이 상기 CRT7의 화면의 소정 위치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부 화상의 캡션 비전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나온 내부 제어 버스(CB)를 통하여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SC10)에 따라서 상기 부 화상의 소정 위치로 삽입시키도록 설계된다. 캡션 비전 또는 채널 번호 등과 같은 부 화상의 문자가 삽입되는 상기 문자 발생기(18)의 출력 신호는 상기 영상 처리기(6)로 전송된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 화상(P2)으로 선택되는 채널 번호는 채널 번호 문자(PC2)로서 상기 부 화상(P2)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이 때 선택되는 상기 주 화상(P1)의 채널 번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나온 상기 제어 신호(SC10)에 의해 주 화상의 일부에 채널 번호 문자(PC1)로서 표시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제어 신호 발생부(19)에 의해 발생되는 스위칭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SC15)에 의해 상기 스위치(SW2)를 전환하여 상기 주 영상 신호(SA)와 상기 부 영상 신호(SB)를 캡션 비전 디코더(9)에 교대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스위치(SW2)를 통하여 선택되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의 수평 동기 신호(SH)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검출 후 주사선(21 선)의 21번째 라인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치(SW2)를 전환하는 상기 제어 신호(SC15)를 발생하여 상기 SW2를 상기 부 영상 신호(SB) 측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로부터 전환된 상기 부 영상 신호(SB)의 수평 동기 신호(SH)가 상기 수직 동기 신호(SV)가 검출되는 위치로부터 카운트하는 상기 21번째 라인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 신호 발생부(19)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SC15)를 다시 발생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스위치(SW2)를 상기 주 영상 신호(SA) 측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스위치(SW2)에 대한 전술한 스위칭 제어를 반복한다.
이 동안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 내의 제어 신호 발생부(19)에 의해 스위치되어 교대로 입력되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로부터 상기 주 영상 신호(SA)와 상기 부 영상 신호(SB)의 필드(2)의 21번째 라인에서 각각 전송된 XDS 신호(SX1 및 SX2)에 대하여 설정된 상기 화면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각각 검출하여 디코딩한다.
상기 XDS 데이터는 텔레비전 신호의 필드(2) 내의 상기 라인(21) 상에 패킷을 형성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비디오 신호의 부가적인 정보로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는 상기 XDS 신호(SX1 및 SX2)에 부가된 화상 표시 제어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주영상 신호(SA)와 부 영상 신호(SB)에 부가된 상기 XDS 신호(SX1 및 SX2)를 각각 디코딩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측에서 주 화상 및 부 화상으로 미리 설정된 등급이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에 의한 상기 주 화상과 부 화상에 대한 등급 구분의 결과를 사용자에 의해 수신 측의 마이크로프로세서(5)에서 미리 설정된 등급 데이터와 비교한다.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 화상과 부 화상의 화면상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SC20 및 SC21)를 발생하여 화상 뮤트(mute)(16) 및 OR 회로(21)로 전송한다.
상기 화상 뮤트(16)는 상기 스위치(SW1)로부터 상기 픽처-인-픽처 처리기(6)로 전송된 상기 부 영상 신호(SB)를 블랙 레벨로 세팅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SC2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된다.
상기 OR 회로(21)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SC21)에 의해 제어된 화면상에 상기 주 화상을 표시하는 타이밍과 상기 픽처-인-픽처 처리기(6)로부터 제어 신호(SC22)로서 전송된 화면상의 부 화상을 표시하는 타이밍의 논리적 OR을 도 2에 도시된 영상 처리기(6)의 YUV 스위치(SW10)로 전송한다.
상기 YUV 스위치(SW10)는 상기 제어 신호(SC22)에 따라서 상기 주 영상 신호(SA)와 부 영상 신호(SB)를 전환하여 상기 CRT7로 출력한다.
이 경우, 먼저 상기 주 화상의 표시만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를 이용하여 상기 주 화상의 영상 신호를 상기 블랙 레벨로 세팅하므로서 출력을 오프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SC21)가 상기 OR 회로(21)로 전송된다. 그 결과,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YUV 스위치(SW10)는 상기 주 화상의 화면 표시 제어 시간 동안 상기 부 화상 측으로 전환된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주 화상(P1)을 표시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는 블랙으로 제어되고 상기 부 화상(P2)의 일부 영상만 상기 CRT7으로 투영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제어 신호(SC10)를 상기 음성 처리기(12)로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어되지 않는 노말(normal) 상태의 주 화상(P1)에 대응하는 스피커(14)로부터 나오는 사운드 출력을 상기 주 화상(P1)의 디스플레이 제어에 따라서 상기 출력을 중지하는 상태로 제어한다. 이 때, 상기 부 화상(P2)의 사운드가 상기 주 화상(P1)의 사운드 대신에 출력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지 상기 부 화상의 디스플레이가 제어되지 않을 때뿐이다).
또한, 상기 주 화상(P1)의 디스플레이가 블랙으로 제어되면,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SC10)에 의해 상기 CRT7에 표시된 상기 주 화상(P1)의 일부에 등급 표시 문자(PC3)를 표시하여, 상기 주 화상(P1)의 디스플레이가 제어되는 것이 시청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상기 주 화상(P1)의 디스플레이가 제어되면,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SC10)에 의해 상기 주 화상(P1) 내에 채널 표시 문자(PC1)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주 화상(P1)이 블랙 레벨로 제어되어 나타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이 때 선택되는 상기 주 화상(P1)의 채널 번호가 상기 시청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또한, 단지 상기 부 화상의 디스플레이만 차단되면, 상기 화상 뮤트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상기 화상 뮤트(16)로 출력된 제어 신호(SC20)에 의해 턴온되고, 상기 픽처-인-픽처 처리기(6)로 전송된 상기 부 영상 신호(SB)는 블랙 레벨로 설정된다. 이 때, 상기 주 영상 신호(SA) 또는 상기 부 영상 신호(SB)는 상기 제어 신호(SC22)에 의해 전환되어 CRT7로 전송된다. 그 결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영상 신호(SA)에 의해 상기 주 화상(P1)이 상기 CRT7의 표시 화면상에 표시되고 상기 부 화상(P2)은 상기 주 화상(P1)의 일부에 표시된 상기 화상 뮤트(16)에 의해 블랙 레벨로 제어된다.
이 때,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등급 표시 문자(PC4)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SC10)에 의해 블랙 레벨로 제어되며, 따라서 상기 부 화상(P2)의 디스플레이가 제어되는 것이 시청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또한 상기 부 화상(P2)의 디스플레이가 제어되면,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채널 표시 문자(PC2)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SC10)에 의해 상기 부 화상(P2)에 표시하며, 따라서 상기 부 화상(P2)이 블랙 레벨로 제어되어 나타나지 않는 상태에서도, 선택되는 부 화상의 채널 번호는 시청자에게 통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화상과 부 화상의 화면 표시가 모두 차단되면, 상기주 화상의 출력을 오프로 설정하는 제어 신호(SC21)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OR 회로(21)로 출력되고, 상기 화상 뮤트를 설정하는 제어 신호(SC2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상기 화상 뮤트(16)로 출력된다.
그 결과, 상기 YUV 스위치(SW10)는 상기 주 화상 및 부 화상의 화면 표시 제어 시간 동안 상기 부 화상 측으로 전환된 상태로 설정되고, 따라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이 모두 차단되어 CRT7로 출력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제어 신호(SC10)를 상기 음성 처리기(12)로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어되지 않는 노말 생태의 주 화상(P1)에 대응하는 상기 스피커(14)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를 상기 주 화상(P1)의 표시 제어에 따라서 출력 중기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의 디스플레이가 모두 블랙으로 제어되면,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등급 표시 문자(PC3, PC4)를 각각 블랙 레벨로 제어된 상기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의 한 부분에 표시하고, 따라서 상기 주 화상(P1)과 부 화상(P2)의 디스플레이는 모두 청취자에게 감지될 수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또한, 상기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의 디스플레이가 모두 제어되면, 상기 문자 발생기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SC10)에 의해 주 화상(P1)에 채널 표시 문자(PC1)를 표시하고 상기 부 화상(P2)에는 채널 표시 문자(PC2)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이 블랙 레벨로 제어되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이 때 선택되는 상기 주 화상 및 부 화상의 채널 번호는 시청자에게 통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 화상 및 부 화상이 모두 표시되면, 상기 주 화상의 출력을 온으로 세팅하는 제어 신호(SC21)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OR 회로(21)로 출력된다. 이 때, 상기 화상 뮤트(16)는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SC20)에 의해 오프로 설정된다. 이 경우, 상기 YUV 스위치(SW10)는 상기 주 화상 및 부 화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시간 동안, 상기 주 화상의 수평 동기 신호(SH) 및 수직 동기 신호(SV)에 기초하여, 상기 주 화상 및 부 화상의 출력을 턴온하는 각 타이밍과 동기하도록 스위치된다. 결국,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이 모두 상기 CRT7의 동일 화면상으로 출력된다.
그런데, 상기 디스플레이의 취소 방법은 수신측에서 제어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에 코드 번호를 입력하거나 메뉴 화면을 열어 등급의 시청자 나이를 재설정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로부터 나온 폐쇄 캡션 신호에 의해 디코딩된 상기 주 영상의 캡션 비전 신호(SA2)를 상기 영상 처리기(6)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캡션 비전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 신호(YS)를 상기 영상 처리기(6)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내부 제어 버스(CB)를 통하여 상기 문자 발생기(18)로 출력된 제어 신호(SC10)에 의해 상기 부 영상의 폐쇄 캡션 데이터로부터 디코딩된 캡션 비전 신호(SB2)에 따라서 상기 부 화상의 캡션 비전의 디스플레이 여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내부 제어 버스(CB)를 통하여 상기 문자 발생기(18)로 출력된 상기 제어 신호(SC10)에 의해 상기 부 화상의 캡션 비전을 표시하는 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문자 발생기(18)는 상기 영상 처리기(6)로부터 전송된 상기 수평 동기 신호(SH)와 수직 동기 신호(SV)를 상기 제어 신호(SC10)에 기초하여 상기 캡션 비전 신호(SB2)와 동기시켜 상기 캡션 비전을 표시하는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캡션 비전 신호(SB2)에 기초된 상기 부 화상 화면의 캡션 비전을 형성한다.
텔레비전 신호와 상기 영상 신호가 각각 전술한 구조 내에 있는 튜너(3) 및 단자(EX)를 통하여 입력되면, 상기 신호들은 스위치(SW1)에서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로 각각 선택된다. 상기 주 영상 신호(SA)는 상기 영상 처리기(6)로 전송된다. 상기 부 영상 신호(SB)는 상기 픽처-인-픽처 처리기(17)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상기 부 영상 신호(SB)는 또한 동시에 분기되어 스위치(SW2)로 전송된다.
상기 스위치(SW2)에서,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의 제어 하에서 교대로 스위치되어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로 전송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의 각각의 수평 동기 신호(SH)를 카운트하고 각 필드(2) 내의 수직 동기 신호(SV)로부터 카운팅하는 매 21라인에 대한 타이밍으로 상기 스위치(SW2)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SW2)가 상기 주 영상 신호(SA)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의 수직 동기 신호(SV)를 검출한 후, 상기 수직 동기 신호(SV)로부터 카운팅하는 21 라인에 대하여 상기 수평 동기 신호(SH)를 카운트하여 상기 주 영상 신호를 21번째 라인까지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로 인출한다. 따라서 상기 주 영상 신호(SA) 내의 필드(2)의 21번째 라인에 부가된 상기 XDS 신호(SX1)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로 인출된다.
상기 주 영상 신호(SA)의 21라인을 카운트한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스위치(SW2)를 전환하여 상기 부 영상 신호(SB)를 상기 캡선 비전 디코더(9)로 인출한다. 그 다음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부 영상 신호(SB)의 수직 동기 신호(SV)를 검출한 후, 상기 수직 동기 신호(SV)로부터 21 라인에 대하여 수평동기 신호(SH)를 카운트하여 상기 부 영상 신호(SB)를 21번째 라인까지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로 인출한다. 따라서 상기 주 영상 신호(SB) 내의 필드(2)의 21번째 라인에 부가된 상기 XDS 신호(SX1)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로 인출된다.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는 상기 21번째 라인의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영상 신호(SB)에 각각 부가된 상기 XDS 신호(SX1 및 SX2)를 각각 교대로 디코딩하고, 따라서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의 각 화면의 디스플레이 제어가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SW1)를 통하여 선택된 두 영상 신호(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 내에서 각각 설정된 각각의 화면 표시 제어 데이터는 하나의 캡션 비전 디코더(9) 내에서 교대로 반복해서 구별된다.
이것과 관련하여,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의 각각의 XDS 신호(SX1, SX2)에 부가된 상기 화면 표시 제어 데이터는 영상 내용에 따라서 그 레벨이 설정된다. 따라서, 만약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에서 구별된 각각의 화면 표시 제어 데이터의 레벨이 시청자의 나이에 대응하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더 높으면, 이것은 상기 화면 표시 제어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나이보다 더 어린 시청자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화상 표시 제어 데이터를 가지는 상기 화상의 표시를 제어한다.
상기 표시 규정이 제어되는 화상이 주 화상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영상 처리기(6) 내의 YUV 스위치(SW10)를 부 영상 측으로 전환하여 상기 주 화상이 표시되는 부분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블랙으로 만든다. 상기 주 화상의 표시 제어는 상기 주 영상 신호에 부가된 상기 표시 제어 데이터의 레벨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청자 연령에 대응하는 레벨과 같거나 더 낮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어되는 화상이 부 화상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는 상기 부 영상의 표시를 제어하여 화상 뮤트(16)에 의해 블랙으로 제어한다. 상기 부 화상의 표시 제어는 상기 부 영상 신호(SB)에 부가된 표시 제어 데이터의 레벨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에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청자 연령에 대응하는 레벨과 같거나 또는 더 낮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서, 상기 두 개의 입력원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는 각각 상기 스위치(SW2)에 의해 전환되므로, 상기 주 영상 신호(SA)에 부가적인 정보로 기록된 상기 XDS 신호(SX1)와 상기 부 영상 신호(SB)에 부가적인 정보로 기록된 상기 XDS 신호(SX2)가 검출되어 디코딩된다. 따라서, 상기 XDS 신호(SX1 및 SX2)로 각각 설정되는 화면상의 표시제어와 관련된 등급은 하나의 입력을 가지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에 의해 개별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영상 신호(SA 및 SB)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 표시 제어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에 의해 상기 CRT7의 동일 화면 상에 표시되는 주 화상 및 부 화상 모두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입력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주 영상 신호(SA)와 부 영상 신호(SB)에 각각 부가된 폐쇄 캡션 데이터는 스위치(SW2)를 통하여 스위치되어 하나의 입력을 가지는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로 교대로 공급되어 디코딩되며, 동일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주 화상 및 부 화상에서, 상기 캡션 데이터는 개별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튜너(3)와 외부 단자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2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부가되어 있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튜너(3) 외에 제 2 튜너(4)를 구비하여, 두 개의 영상 신호가 상기 두 튜너(3, 4) 및 외부 단자(EX)로부터 선택되어 주 영상 신호(SA)와 부 영상 신호(SB)로서 상기 영상 처리기(6)와 화상 뮤트(16)로 각각 전송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튜너(4)에 의해 선택된 TV 방송은 제 1 튜너(3)에 의해 선택된 TV 방송국과 상이한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된다. 따라서, 만약 제 2 튜너(4)에 의해 선택된 제 3 영상 신호(S3) 및 제 3 음성 신호(30)가 상기 스위치(SW1)로 전송되어 소정의 신호가 상기 스위치(SW1)에서 선택되면, 제 1 튜너(3)에 의해 선택될 수 없는 다른 TV 방송국의 채널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는 공중 및 외부 단자(EX)의 두 채널로부터 공급된 영상 신호 가운데서 선택될 수 있고, 화면 표시 제어 및 캡션 비전의 표시는 선택되는 주 영상 신호(SA) 및 부 영상 신호(SB)에 기초하여 개별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상기 CRT7의 표시 화면상의 주 화상(P1)의 일부에 상기 주 화상(P1)보다 작은 부 화상(P2)을 표시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표시 영역에 상기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을 선형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CRT7의 표시 화면상에 두 개의 화상(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을 표시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CRT7의 하나의 표시 화면상에 3개 이상의 화상(P1-P7)을 표시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에서 전술한 두 개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SW2) 대신에 3개 이상의 복수의 입력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제공하므로서, 상기 화면 표시 제어가 3개 이상의 복수의 화상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문자 발생기(18)에 의해 상기 주 영상(P1) 또는 부 영상(P2) 내의 채널 번호 문자(PC1및 PC2)를 표시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XDS 신호 형태로 주 화상(P1) 및 부 화상(P2)으로 전송된 로고타입의 방송이 방송국 로고타입 문자(PC5또는 PC6)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시청자는 각 화상을 제공하는 방송국을 알 수 있다. 이것과 관련하여, 도 6d는 주 영상(P1)과 부 영상(P2)이 선형으로 표시될 때 각 화상의 표시가 제어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이 경우에, 등급 표시 문자(PC3또는 PC4)와 방송국 로고타입 문자(PC5또는 PC6)가 표시되기 때문에, 시청자는 화상(P1, P2)의 표시가 각각 제어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화상(P1 및 P2)이 표시 제어 과정에 있기 때문에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상기 화상(P1 및 P2)의 방송국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XDS 신호를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는, 1) 시작 시간, 종료 시간, 현재 전송된 프로그램의 내용과 같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2)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미래에 전송될 프로그램 내용과 같은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 3) 방송하고 있는 방송과 관련된 정보, 4) 시간 정보, 5) 날씨 또는 사고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적용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정보가 모두 디코딩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부가적인 정보가 택스트 또는 21번째 라인 및 상기 폐쇄 캡션 데이터와 XDS 신호 이외의 다른 부분에 수퍼임포즈(superimpose)된 신호와 같은 영상 신호에 부가된 일반적인 신호 정보가 디코딩되는 경우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수직 동기 신호가 검출된 후, 21개의 수평 동기 신호가 카운트되는 타이밍이 스위치(SW2)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타이밍으로 이용되는 경우를 다루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위치(SW2)가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매 하나의 필드마다 스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카운트 수는 상기 수평 동기 신호 내의 카운트 수와 함께 전송된 XDS 신호의 부가적인 위치에 따라서 21개 외의 카운트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SW2)가 스위치되어 클록에 의해 고속으로 예를 들면, 10 또는 수 메가헤르쯔로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주 영상 신호(SA)와 부 영상 신호(SB)는 각각 교대로 판독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로 전송되고 주 영상 신호(SA)를 위한 RAM(랜덤 억세스 메모리)과 부 영상 신호(SB)를 위한 RAM에 저장되며, 그 다음에, 그기에 부가된 상기 XDS 신호가 상기 캡션 비전 디코더(9)에 의해 각각 샘플화되어 디코딩될 수도 있다.
또한, 주 화상 및 부 화상의 상기 수평 동기 신호의 21개의 라인이 주 화상 버퍼 및 부 화상 버퍼 내에 각각 저장되면, 이들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에 공급되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5) 내의 캡션 비전 디코더(9)에 입력하는 기록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각각의 버퍼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본 발명은 동일 표시 화면 상에 다수의 채널의 화상을 선형으로 표시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부가적인 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각각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상을 형성하여 이들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상 표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를 미리 정해진 스위치 타이밍으로 스위칭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각각의 입력 신호에 포함된 부가적인 정보를 검출하여 디코딩하는 부가적인 정보 디코딩 수단과,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화상의 표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디코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는 각각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로 형성된 텔레비전 신호인 디코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신호의 수직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그 다음에 상기 스위치 수단의 스위치 타이밍을 설정하기 위하여 일정한 수의 수평 동기 신호를 카운팅하는 스위치 타이밍 세팅 수단을 더 구비하는 디코더.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텔레비전 신호로부터 각각의 음성 신호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부가적인 정보에 따라서 상기 음성 신호의 출력을 각각 제어하는 디코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 각각에 부가된 상기 각각의 부가적인 정보는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중 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 각각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스텝 평가가 설정되는 표시 제어 데이터인 디코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스텝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의 각각의 표시 제어 데이터와 각각 비교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화상의 표시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디코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정보의 상기 표시 제어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스텝 데이터에 대한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기 부가적인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의 디스플레이를 억제하는 디코더.
  8. 제 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스텝은 청취 가능한 상한 연령에 기초한 데이터이고,
    각각의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의 상기 표시 제어 데이터는 허용되는 화상 시청 연령중 가장 어린 연령에 기초한 데이터이며,
    만약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의 각각의 표시 제어 데이터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스텝보다 높게 되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그것에 대응하는 화상의 표시를 억제하는 디코더.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들로부터 일정 개수의 상기 입력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일정 개수의 입력 신호는 상기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 입력되는 디코더.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제 1 및 제 2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 신호에 기초된 제 1 화상 내부에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기초된 제 2 화상을 상기 제 1 화상보다 더 작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디코더.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들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상기 제 1 입력 신호에 기초된 제 1 화상과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기초된 제 2 화상을 동일한 표시 영역에 각각 선형으로 표시하는 디코더.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주 입력 신호와 복수의 입력 신호를 선택하고,
    상기 화상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해진 화면상에 상기 주 입력 신호에 기초된 주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주 화상과 동일 화면상의 상기 주 화상 보다 더 작은 표시 영역에 상기 복수의 부 입력 신호에 기초된 복수의 화상을 더 표시하는 디코더.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부가된 각각의 부가적인 정보가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의 각각의 화상 신호에 패킷 데이터로서 부가되는 문자 데이터 정보의 한 부분에 부가되는 디코더.
  1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신호에 부가된 상기 복수의 문자 데이터 정보를 각각 디코딩하여 상기 각각의 문자 데이터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 문자를 발생하는 표시 문자 발생 수단을 더 구비하는 디코더.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과정에서 상기 화상에 표시 제어를 오버랩으로 보여주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디코더.
  16. 부가적인 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입력 신호를 미리 정해진 스위치 타이밍으로 스위칭하여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입력 신호 스위칭 단계와,
    상기 스위칭 단계에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로부터 상기 각각의 부가적인 정보를 검출하여 디코딩하는 부가적인 정보 디코딩 단계와,
    상기 복수의 부가적인 정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입력 신호에 기초된 각각의 화상의 표시를 각각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디코딩 방법.
KR1019980702172A 1996-07-26 1997-07-25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KR199900637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15277 1996-07-26
JP21527796 1996-07-26
PCT/JP1997/002588 WO1998005160A1 (fr) 1996-07-26 1997-07-25 Decodeur et methode de cod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705A true KR19990063705A (ko) 1999-07-26

Family

ID=1666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172A KR19990063705A (ko) 1996-07-26 1997-07-25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06764B2 (ko)
KR (1) KR19990063705A (ko)
CA (1) CA2232154C (ko)
WO (1) WO1998005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5023A (en) * 1996-12-19 2000-04-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Television apparatus for simultaneous decoding of auxiliary data included in multiple television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7783B2 (ja) * 1992-08-05 2001-12-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2画面表示テレビ受信機
JPH06125505A (ja) * 1992-10-13 1994-05-06 Sony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JPH06133239A (ja) * 1992-10-16 1994-05-13 Sony Corp モニタ装置
JPH06133238A (ja) * 1992-10-21 1994-05-13 Toshiba Corp 放送視聴状態自動切換え装置
JPH06189214A (ja) * 1992-12-18 1994-07-08 Fujitsu General Ltd 多画面合成映像信号の黒レベル補正装置
JPH06233210A (ja) * 1993-02-04 199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ンスクリーン表示回路
JPH0898172A (ja) * 1994-09-27 1996-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装置
JP3498866B2 (ja) * 1994-11-07 2004-02-2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065227B2 (ja) * 1995-03-10 2000-07-17 ソニー株式会社 視聴制限装置および視聴制限方法
JP3539449B2 (ja) * 1995-04-17 2004-07-0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
JP3536946B2 (ja) * 1995-04-17 2004-06-1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802155A (es) 1998-08-30
CA2232154C (en) 2007-12-04
CA2232154A1 (en) 1998-02-05
WO1998005160A1 (fr) 1998-02-05
JP4006764B2 (ja)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838B1 (ko) 수신장치및수신방법
KR100320267B1 (ko) 텔레비젼수상기
KR100502463B1 (ko) 텔레비전수상기
JPH0799616A (ja) テレビ受像機
JPH06178225A (ja) 多重映像テレビ受像機
US20100134513A1 (en) Pixel display device
JPH1116421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02702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212729A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機器
KR19990063705A (ko)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JP4006714B2 (ja) テレビジヨン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3573166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システム
KR100257056B1 (ko) 텔레비전의 pip출력제어장치
KR0182455B1 (ko) 와이드비전의 음성이퀄라이저레벨 표시장치
JPH11225296A (ja) 映像表示制御装置
KR100271196B1 (ko) 다화면텔레비전의자막신호osd표시제어장치
KR19980057258A (ko) 와이드비전의 줌모드에서의 자막위치제어방법
KR0170974B1 (ko) 텔레비전의 전송데이터에 의한 영상차단제어장치
KR100261355B1 (ko) 텔레비전의영상모션판정에따른영상제어장치
KR0152826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이중화면 캡션장치
KR200155134Y1 (ko) 와이드 스크린 신호를 이용한 화면 자동 조정 장치
JPH109865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0158322B1 (ko) 방송종료채널 표시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0169698B1 (ko) Pip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의 약신호검출에 따른 부화면 재생장치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