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911A - 디지털 송신에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제 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털 송신에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제 방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911A
KR19990062911A KR1019980053843A KR19980053843A KR19990062911A KR 19990062911 A KR19990062911 A KR 19990062911A KR 1019980053843 A KR1019980053843 A KR 1019980053843A KR 19980053843 A KR19980053843 A KR 19980053843A KR 19990062911 A KR19990062911 A KR 19990062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tream
processing
audi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코 오쿠하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19990062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protection control signal, e.g. a record inhibi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트림 처리 수단(1)에 의해 처리되는 화상/음성 / 데이터 등의 다중화된 스트림 정보는 화상/음성 데이터와, 스트림 확인 수단(3)에 의해 다른 데이터로 분리되는데, 그 하나는 디-스크램블 수단(2)을 통해서 재생 처리 수단(8, 9)으로 출력되고, 다른 하나는 스크램블 키 구별 수단(5)과 I/F 수단(6)을 통해서 PC 등과 같은 데이터 버스에 접속된다. 스크램블 키 구별 수단은 스크램블 키 추출 수단(4)의 스크램블 키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의 데이터 포트로 출력되는 신호의 데이터 포맷을 구별하고, 화상 또는 음성에 관한 스크램블 키인 것으로 판정되는 정보를 폐지함으로써 데이터 버스로 출력되지 않고, 화상/음성을 차단하는 스크램블 키만을 출력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송신에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제 방지 회로
본 발명은 화상(디지털 비디오) / 음성(디지털 오디오) / 데이터(소프트웨어 / 웹 정보 / 프로그램 등과 같은 문자 및 그래픽 정보 등) 등과 같은 다중화된 스트림 정보의 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데이터와 같은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처리에 관한 것이다.
화상/음성 신호에 대한 복제 방지 회로는 기존에 아날로그 신호 레벨을 복제하거나, 또는 복제 방지를 위한 제어 신호 등을 특별히 부가함으로써 실현되어 왔다. 종래, 상기한 포맷의 복제 방지 회로의 일례는 비심사된 일본 특허 공보 Hei 3-195064, 즉 195064/1996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후에 더욱 상세히 기술되겠지만, 상기 종래 복제 방지 회로에 있어서는 복제 방지를 위한 제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필요하였다. 데이터의 복제 방지 회로가 요구되어도, 수신 단자측 단독으로 취한 측정으로는 복제 방지 처리가 실현될 수 없었다. 따라서, 데이터의 복제 방지 처리를 위한 조직적 접근을 연구해야 했다. 이것은 송신측 및 수신측 양쪽 모두에 영향을 가져옴으로써, 사이 처리의 실현이 어렵게 된다. 또한, 그 회로의 크기 또는 비용의 증가도 피할 수 없었다.
즉, 상기 방식으로 복제하기 위해 배타적 비트가 새롭게 배치되는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시스템의 제어 포맷에 있어서의 변경(송신측상의 배타적 비트를 위치시키는)을 만드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다. 또한, 수신측에서 그에 대응하는 배타적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이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 복제 방지 회로에서 단독으로 화상/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목표(target)가 있다. 그러므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저장 매체 등을 수반한 PC(개인용 컴퓨터)로 이러한 목표가 실현되는 구조인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의 입력 스트림과 방지로 제한한 감시가 출력 경로에 관계없이 일정한 처리로 처리된다. 따라서, 라이브(live) 또는 디-스크램블된(de-scrambled) 화상 / 음성 신호들도 데이터 처리 경로(PC의 데이터 버스)로 흐르게 된다. 이것은 화상/음성 신호들의 디지털 상태의 복제가 쉽게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을 일으킨다.
다시 말해서, 정보의 재생성이 스크램블로 제한되는 구조의 경우에 있어서는 디-스크램블된 화상/음성 /데이터 신호들(또는 스크램블 키 및 스크램블된 여러 종류의 신호들)이 자유(free) 상태(PC의 데이터 버스로 데이터가 흐르는)로 물리적으로 유지된다. 데이터 신호들은 그러므로 디지털 신호들로서 PC의 저장 수단에 쉽게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디지털 상태에서 화상/음성 신호들의 복제를 방지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다중화된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에서의 변경을 요구하지 않고 화상/음성 신호의 디지털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제 방지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후의 기술로서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복제 방지 회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우선적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의 복제 방지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61: 디지털 VCR 62: 테이프 카세트
64: 기록 회로 65: 재생 회로
66: 타이밍 데이터 생성부 71: 자기 테이프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음성 신호들의 디지털 상태에서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처리에 있어서, 화상/음성(디지털 비디오 / 디지털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처리 경로와, 다른 화상/음성 신호들(웹 정보 프로그램 등 및 그래픽 정보 등의 문자 / 소프트웨어) 이외의 데이터 신호들에 대한 처리 경로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화상/음성 데이터에 관한 스크램블 키 정보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갖는 데이터 처리 경로로 송신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화상/음성 / 데이터 스트림의 재생성을 수행하기 위한 스트림 정보 저장 기능을 유지하는 장치는; 스트림 입력 처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 스크램블된 신호를 해제하기 위한 디-스크램블 수단; 스트림 지시 신호로 지명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트림 확인 수단; 지명된 스트림 정보의 스크램블 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 스크램블 키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스트림 포맷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스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PC 등과 같은 화상/음성 신호들 이외의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I/F 수단; 화상 신호를 재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음성 신호를 재생성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또한 이러한 처리는 데이터가 스크램블되는 경우에 S.W. 디-스크램블 수단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에서 처리하는 입력 스트림은, 통신 시스템의 처리, 방송 시스템의 처리, 및 저장 매체 시스템 등의 처리와 같은 데이터 송신측 각각의 입력 포맷에 대응하는 I/F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의 스트림 확인 처리는, 화상/음성 신호들 및 데이터 신호의 처리가 화상/음성 신호들 및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2개의 시스템의 출력 포트를 배치함으로써 분리 경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장치의 스트림 확인 수단은 데이터 출력 포트를 지명된 스트림의 데이터 포맷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화상 및 음성 신호에 관한 스크램블 키 정보는 화상 및 음성 신호들에 관한 스크램블 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매체와 접속된 데이터 포트로 출력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시청 기능한 디지털 상태에서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 시스템, 방송 시스템 및 저장 파일 시스템 등과 같은 여러 포맷에 있어서의 시스템에 대응하는 장치에 적용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처리는 화상/음성 신호들에 관한 모든 정보를 저장 매체를 갖는 처리부로 출력하지 않고 실현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도 1을 참조해서, 여기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술한 비심사된 일본 특허 공보 Hei 3-195064, 즉 195064/1996에 나타난 종래 복제 방지 회로에 관한 제 1 예이다.
도 1에 있어서, 디지털 VCR(61)은 컨디션 판단 논리 회로(63)가 제공된 디지털 VCR(61), 기록 회로(64), 재생 회로(65) 및 타이밍 데이터 생성부(66)가 제공된다. 디지털 VCR(61)의 테이프 카세트(62)는 컨디션 저장 메모리(69)가 제공된다. 컨디션 저장 메모리(69)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기록 매체 모두에 대해 장착되고, 이 컨디션 저장 메모리(69)는 예컨대 자기 테이프(71)의 주어진 영역 또는 테이프 카세트(62)에 완전히 고정된 반도체 메모리에 배치된다.
입력부(67)로부터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또는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 신호가 아날로그 입력 신호인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수직 블랭킹 기간 및 입력 신호가 디지털 비디오 신호인 경우에 있어서 판권 방지 정보가 첨가되고, 판권 방지 정보는 디지털 데이터에 첨가된다. 입력 신호는 기록 회로(64)에서의 주어진 처리가 주어지고, 기록/자기 재생 헤드(70)를 통해서 자기 테이프(71)에 기록된다. 기록 모드에 있을 때, 컨디션 판단 논리 회로(63)는 컨디션 저장 메모리(69)의 판권 보호 정보와 입력 신호에서 판권 보호 정보에 기초해서 이하의 3가지 패턴으로 기록 회로(64)를 제어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입력 신호의 판권 방지 정보에 이용 가능한 더블링 금지 또는 제한이 없으며, 입력 신호의 기록 회로(64)에 의해 노멀 기록이 기록 회로(64)에 의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더블링 금지 또는 제한이 입력 신호의 판권 방지 정보에서 이용 가능하고, 기록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컨디션 저장 메모리(69)의 판권 방지 정보에서 이용 가능하며, 기록 회로(64)에 의한 입력 신호의 노멀 기록이 가능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노멀 기록을 불가능하게 하는 일례로서 입력 신호 등, 또는 금지된 입력 신호의 스크램블된 또는 디-스크램블된 입력 신호에 반하여 AGE 동작을 방해함으로써 기록 레벨이 노멀 값과 다르게 되는 예가 있다. 더블링 금지 또는 제한의 정보가 입력 신호의 판권 방지 정보와 기록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정보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에는 컨디션 저장 메모리(69)의 판권 방지 정보에서 이용 가능하고, 기록 회로(64)에 의한 입력 신호의 노멀 기록은 허용된 더블링의 기록 타이밍 정보 또는 기록 시간에 대응하는 진보적 지불 보상 정보에 따라 이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입력 신호가 기록되는 경우, 입력 신호의 판권 방지 정보는 컨디션 저장 메모리(69)와 다른 자기 테이프(71)의 주어진 영역에 기록된다.
그러나, 예시적 설명의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복제 방지 회로에서 복제 방지를 위한 제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이다. 반면, 이것은 회로의 규모와 그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종래 복제 방지 회로에서는 아직은 다른 문제가 남아 있다. 즉, 화상/음성 신호의 디지털 상태 복제가 종래 복제 방지 회로에서는 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해서 여기서는 본 발명의 우선적 실시예에 따른 복제 방지 회로로를 설명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의 복제 방지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의 복제 방지 시스템은, 입력 스트림 처리 수단(1); 디-스크램블 수단(2); 스트림 확인 수단(3); 스크램블 키 추출 수단(4) 및 스크램블 키 구별 수단(5); 데이터 처리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I/F 수단(6); 스트림 정보 저장 수단(7), 이미지 디스플레이 처리 수단(8) 및 음성 재생 처리 수단(9) 및 S/W 디-스크램블 수단(10)을 포함한다.
스트림 처리 수단(1)은 여러 입력 포맷에 의한 영상/음성 / 데이터 등으로 다중화된 스트림 정보의 입력 I/F 신호 각각에 대응하는 스트림의 입력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디-스크램블 수단(2)은 확실히 지명된 포맷에 따라 스크램블된 정보의 암호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스트림 확인 수단(3)은 처리부로서, 스트림 지명 신호에 의해 지명된 스트림 정보에 대응하는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들은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되고, 화상/음성 신호 출력 포트 또는 데이터 신호 출력 포트를 처리하는 출력이 주어진다. 스크램블 키 추출 수단(4)은 처리부로서, 스트림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정보의 표준 제어가 화상/음성 출력 포트로 출력된다.
스크램블 키 구별 수단(5)은 스트림 정보와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정보 각각의 데이터 포맷을 구별함으로써 다중화된 스크램블 키 정보 중으로부터 화상/음성에 관한 정보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I/F 수단(6)은 상기 스트림 확인 수단(3)에 의해 데이터 포트로 출력된 신호를 PC 등과 같은 여러 데이터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접속하기 위해 I/F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저장 수단(7)은 화상/음성 이외의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이다. 화상 디스플레이 처리 수단(8)은 화상 신호의 디스플레이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음성 재생 처리 수단(9)은 음성 신호의 재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S/W 디-스크램블 수단(10)은 스크램블 처리가 주어진 데이터 포트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에 있어서 암호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부이다.
(예)
상기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한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시스템의 동작이 이 예를 이용해서 이후에 기술된다. 도 3은 디지털 송신에서의 화상/음성 신호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제 2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신된 제 1 IF 신호에 대한 채널의 선택(트랜스폰더)하는 사용자 튜너로 동일한 처리를 수행한 후에,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의 방송파는 파라볼릭 안테나 또는 VHF/UHF 안테나와 같은 여러 종류의 수신 장치로 다중화 및 디지털-변조되고, 그로부터 필수적 정보로 다중화된 채널을 추출하고, 중간 주파수 대역 등으로 변환한 후, 방송 수신 회로(21)가 A/D 컨버젼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 처리 회로(22)는 디지털 송신 시스템에 통상 주어진 처리를 수행한다. 이 회로에서 수행되는 주요 처리는 디지털 변조 신호의 디지털 복조와, 시스템에 따라 부가된 에러 정정 코드의 디코딩 등이 있다. 또한, 시스템에 의존하는 송신 동안 전파 에러를 분산시키기 위해 송신측에 의해 주어진 인터리브를 해제하기 위한 처리에 대응하는 수신측에서의 처리, 확산 에너지가 변환하지 않도록(1 또는 0 패턴 중 어느 하나의 바이어스) 하기 위한 송신 스크램블에 대한 처리, 및 동기화를 방지하도록 일정한 패킷 모두에 대해 동기화 신호를 반전하기 위한 프레임 정렬 처리 등이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부에서는 송신측의 송신 포맷에 대한 처리가 수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처리 내용은 시스템에 의존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디-스크램블러(25)는 처리부로서, 관찰 또는 데이터 저장 등을 위한 그들 자체의 배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들과 같은 여러 정보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해 암호화되어 송신된 정보가 처리되고, 스크램블 신호는 어느 누구의 시청 또는 데이터 매수 계약이 성립되면 스크램블된 데이터에서 정보만이 해독된다. 따라서, 송신측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불필요한 것으로 판정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스크램블 처리가 주어지지 않으며, 그러므로 정보에 의존해서 특별히 발생될 처리는 어디에도 없다.
스트림 확인 회로(23)는 화상/음성 신호를 관찰하거나, 또는 다중화된 스트림들 중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스트림 지명 신호에 의해 정해진 데이터를 분리하고, 선택된 스트림 정보만을 출력한다. 스트림 확인 회로(23)의 출력에서의 데이터 신호들과 화상 및 음성 신호들에 대해 분리적으로 출력 포트를 설치함으로써, 배타적 처리가 각각 수행된다.
화상/음성 및 데이터에 대한 출력 포트 각각이 그렇게 구성되어 다수의 스트림이 동시에 출력될 수 있으며, 이런 이유도, 데이터 정보 등과 같은 다수의 정보도 동시에 취해질 수 있다.
스크램블 키 추출 회로(24)는 이러한 송신 스트림중으로부터 화상/음성 / 데이터에 대한 모든 지명된 스크램블 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회로에 의해, 화상/음성 신호들의 데이터를 관찰하기 위해 대응하는 스크램블 키 정보가 디-스크램블러(25)로 출력된다. 차후의 단계에서 스크램블 키 구별 회로(26)의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신호로서 상기 외의 스크램블 키 정보를 출력한다.
스크램블 키 구별 회로(26)는 데이터 포트로 출력하는 신호의 데이터 포맷이 화상/음성 신호이거나 또는 데이터 신호인지를 판정하며, 스크램블 키 추출 회로(24)의 출력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스트림 포맷을 구별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회로에 의해 화상 또는 음성에 관한 스크램블 키가 폐지되는 것으로 판정되는 정보는 차후의 단계에서 I/F 회로(27)로 출력하지 않는다. 이것은 차후에 단계로 화상/음성을 차단하는 정보의 스크램블 키 정보로 확인되는 정보만을 출력하는 제어를 구성하기 위한 저리 회로이다.
여기서, 동작은 화상/음성 신호 출력 포트에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스트림 정보가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기술된다. 지명된 신호는 화상/음성 /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의 종류에 관계없이 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지만, 이러한 데이터 신호는 화상/음성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통상 재생될 수 없으며 그러므로 의미 없는 데이터가 된다. 더욱이, 정보의 저장 매체(29)는 화상/음성 신호 포트의 출력 시스템의 차후 단계에서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디지털 신호에서의 화상/음성 / 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할 수 없게 된다.
한편, 화상 또는 음성 신호의 스트림 정보가 데이터 신호 출력 포드에서 설정되는 경우에 있어서, 스트림 확인 회로(23)에 의해 설정된 스트림 정보의 데이터 구조가 판정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음성 신호로서 확인된 데이터상에서 스크램블 키 정보는 차후의 단계에서 I/F 회로(27)에 출력되지 않는다. 즉, 화상/음성 신호들의 스트림이 데이터 포트로 출력하도록 설정되어도, 스크램블 키 정보는 폐지되어 이 데이터 포트로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램블되는 화상/음성의 디지털 데이터는 그 차후 단계에 접속되는 저장 매체(29)에 기록되지만, 기록되는 화상/음성 신호들의 스크램블 키 정보가 없기 때문에 스크램블은 해제될 수 없다.
I/F 회로(27)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로 화상 음성 신호들의 스크램블 키와 다르게 되는 스크램블 키 구별 회로(26)에 의해 판단되는 정보를 접속하기 위해 I/F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회로에 있어서, PC 등은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외부 접속 장치 중 하나로서 열거될 수 있다. PC는 데이터의 여러 포맷을 처리할 수 있고 자유롭게 동작될 수 있으며, HDD 등과 같은 저장 매체(29)가 장착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단자로서 송신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장 매체(29)는 화상/음성 신호들 이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음성 신호들 이외의 정보(프로그램, 웹 데이터, 문자 정보, 그래픽 정보 등)는 그 자체의 데이터가 획득되어야 하는 포맷을 취하고, 따라서 사용자 자신에 의해 요구되지 않기까지는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요구한다. S/W 디-스크램블(28)은 I/F 회로(27)로부터 변환된 데이터가 스크램블로 주어지는 경우에만 암호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회로이다. 그러나, 화상/음성 신호들에 관해서, 스크램블 키가 변환된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스크램블이 해제될 수 없다.
화상 디스플레이 처리 회로(30)는 디-스크램블러(25)로부터 화상 신호 출력을 위해 디스플레이(TV 또는 PC 모니터 등)쪽으로 디스플레이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 회로이다. 이 회로의 출력인 외부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접속하는 신호의 포맷은 아날로그 신호가 되기 때문에, 악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 데이터의 복제가 불가능하다.
음성 재생 처리 회로(31)는 디-스크램블러(25)와 마찬가지로 화상 디스플레이 처리 회로(30)로부터 출력된 음성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화상 신호와 유사하게, 악화 안된 상태에서 외부 음성 재생 장치로 접속 신호의 포맷이 아날로그 신호이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의 복제는 불가능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서, 실제로 디지털 상태에서 실제로 디지털 상태에서 화상/음성 신호들의 복제가 불가능하게 되고, 악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음성 데이터의 불법 복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디지털 송신에서의 화상/음성 데이터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제 2 예를 도시한다. 도 4에 있어서, 통신 처리 회로(41)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포맷으로 다중화된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 시스템에서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차후의 단계로 전달을 처리하기 위한 회로이다. 이 통신 절차는 시스템 각각 및 모두에 대해 정해져 있지만, 처리 내용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작 시스템에 따라 다르다. 방송파의 수신 뿐만 아니라 통신망을 이용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도 이 회로로 처리될 수 있는 것이다.
송신 처리 회로(22), 디-스크램블러(25), 스트림 확인 회로(23), 스크램블 키 추출 회로(24), 스크램블 키 구별 회로(26), I/F 회로(27), 저장 매체(29), S/W 디-스크램블(28), 화상 디스플레이 처리 회로(30) 및 음성 디스플레이 처리 회로(31)의 동작은 도 2와 동일하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실제로 디지털 상태에서의 화상/음성 신호들의 복제가 불가능하게 되고, 악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음성의 데이터의 불법 복제가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디지털 송신에서의 화상/음성 데이터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제 3 예를 도시한다. 데이터 저장 파일 장치(51)는 MPEG 포맷으로 다중화되어 여러 정보의 신호원이 처리되는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 등으로 다중화된 스트림 정보가 저장된다. 이 장치에 저장된 정보는 단자측으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차후의 단계의 처리부로 출력된다. 데이터 저장 파일 장치(51)는 HDD, FDD, 디스크-어레이, 자기 기록 장치, 광학 기록 장치, IC-카드(메모리 카드) 및 메모리 등의 여러 포맷을 갖는다.
파일 제어 회로(52)는 정보 등으로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 파일 장치(51)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로 다중화된 스트림의 판독을 제어하고, 차후의 단계의 처리부와 인터페이스를 이루기 위한 회로이다. 방송파 및 통신망의 수신을 이용해서 디지털 데이터의 송신뿐만 아니라, 파일과 같은 저장 매체로부터 데이터의 입력 포맷도 이 회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스트림 확인 이후의 차후의 처리는 도 3과 동일하다.
상기 기술한 방법에 의해, 실제로 디지털 상태에서의 화상/음성 신호들의 복제가 불가능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악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상/음성의 데이터의 불법 복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는 데이터 시스템의 신호 처리 경로와 화상/음성 시스템이 서로 분리되고, 화상/음성 신호에 관한 스크램블 키 정보는 저장 매체로 통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입력되는 다중화된 스트림의 데이터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화상/음성 신호의 디지털 복제의 방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우선적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관한 공지 기술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도 쉽게 본원 발명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송신되는 데이터 포맷이 화상, 음성, 데이터 및 그 부가 데이터 각각 중 하나인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 다중화된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이용하고, 상기 스트림 정보의 저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제 방지 회로는,
    상기 화상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제 1 경로와, 상기 화상/음성 신호 이외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 2 경로를 서로 분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화상 및 음성 신호에 관한 스크램블 키 정보를 상기 스트림 정보의 저장 기능에 보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
  2. 송신되는 데이터 포맷이 화상, 음성, 데이터 및 그 부가 데이터 각각 중 하나인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 다중화된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이용하고, 상기 스트림 정보의 저장 기능을 가진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제 방지 회로는,
    상기 다중화된 스트림의 입력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스트림 처리 수단;
    스트림 지명 신호에 의해 지명된 데이터를 상기 다중화된 스트림으로부터 분리해서 적용 가능한 포트 각각으로 출력하는 스트림 확인 수단;
    상기 다중화된 스트림내로부터 상기 화상, 음성 및 데이터에 대한 스크램블 키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스크램블 키 추출 수단;
    상기 스크램블 키 추출 수단으로부터 추출된 스크램블 키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화상 및 음성의 스크램블 신호를 해제하기 위한 디-스크램블(de-scramble) 수단;
    상기 디-스크램블된 화상 및 음성 데이터를 각각 재생하기 위한 재생 수단;
    상기 스트림 식별 수단에 의해 분리된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및
    상기 스크램블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스크램블 키 정보로부터 화상/음성에 대한 스크램블 키 정보를 구별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에 대한 출력으로부터 상기 화상/음성에 대한 스크램블 키 정보를 폐지하기 위해, 상기 스트림 구별 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 사이에 접속되는 스크램블 키 구별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처리 수단은, 변조 및 다중화된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의 방송파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방송 수신 회로와,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주어진 송신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송신 처리 회로로 구성된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처리 수단은, MPEG 포맷으로 다중화된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 시스템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통신 처리 회로와, 상기 처리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주어진 송신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송신 처리 회로로 구성된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처리 수단은, MPEG 포맷으로 다중화된 화상/음성 / 데이터 신호 등으로 다중화된 스트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 파일 장치와, 상기 데이터 저장 파일 장치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로 다중화된 스트림의 판독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 제어 회로로 구성된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처리 수단은, 상기 스트림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화상/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하고, 그 하나를 상기 디-스크램블 수단을 통해서 상기 재생 수단으로 출력하고, 다른 하나를 상기 스크램블 키 구별 수단을 통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송신에서의 복제 방지 회로.
KR1019980053843A 1997-12-09 1998-12-09 디지털 송신에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제 방지 회로 KR199900629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54072A JPH11176092A (ja) 1997-12-09 1997-12-09 デジタル伝送におけるコピー防止回路
JP97-354072 1997-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911A true KR19990062911A (ko) 1999-07-26

Family

ID=1843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843A KR19990062911A (ko) 1997-12-09 1998-12-09 디지털 송신에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제 방지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23242A2 (ko)
JP (1) JPH11176092A (ko)
KR (1) KR199900629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8422B2 (ja) 2001-04-04 2007-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データ転送制御システム及び映像データ転送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3242A2 (en) 1999-06-16
JPH11176092A (ja) 199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950E1 (en) Copy prev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video system
US6850619B1 (en) Copyright protection method,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signal output apparatus,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signal output method, informatio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signal recording medium
US6865553B2 (en) Copy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6898578B2 (en)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JP2006295344A (ja) コンテンツ処理装置
US6981272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pying
KR19990037403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US7117534B2 (en) Interfacing a conditional access circuit to a digital device using input and output stream switching
KR100444713B1 (ko) 영상 정보 출력 장치, 영상 정보 수신 장치, 영상 정보출력 방법 및 영상 정보 송신 방법
JP2982750B2 (ja) ディジタル情報処理装置
JPH09214845A (ja) コピープロテクトシステム
US6671290B1 (en) Receiv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system for digital broadcasts
US7174088B2 (en) Digital signal recording method, digital signal reproducing method,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digital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1345430A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5182680A (en) Recording control system
KR19990062911A (ko) 디지털 송신에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화상/음성 신호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복제 방지 회로
JP200232020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
KR100590457B1 (ko) 가전 기록 장치의 제어 장치
KR100546526B1 (ko) 정보 출력 장치 및 정보 출력 방법
JPH10210411A (ja) ディジタル情報受信装置、記録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4500848B2 (ja) デジタル情報記録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情報記録方法
JP4500847B2 (ja) デジタル信号記録方法、デジタル信号再生方法、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および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KR100204236B1 (ko) 영상 기록 재생 장치
JP2006252761A (ja) デジタル信号記録方法、デジタル信号再生方法、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および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8117518A (ja) デジタル信号記録方法、デジタル信号再生方法、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および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