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644A -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644A
KR19990062644A KR1019980051889A KR19980051889A KR19990062644A KR 19990062644 A KR19990062644 A KR 19990062644A KR 1019980051889 A KR1019980051889 A KR 1019980051889A KR 19980051889 A KR19980051889 A KR 19980051889A KR 19990062644 A KR19990062644 A KR 19990062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frame
base station
data
hand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394B1 (ko
Inventor
박수원
문현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6433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6264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11996A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79401A/ko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US09/206,056 priority Critical patent/US6154652A/en
Priority to JP10345277A priority patent/JP3043729B2/ja
Publication of KR1999006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3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모드시 기지국 장치가 프레임 데이터를 송신시,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고,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가,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다른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탐색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가 통신 중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셀(cell)을 벗어나 다른 셀로 이동하는 경우에 통신을 유지시켜 주는 두가지의 핸드오프(hand off) 방법이 있다. 하나는 통신중에 핸드오프의 대상이 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채널을 할당받아 현재 서비스 중인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채널과 더불어 복수의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다가 채널 품질이 어느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채널을 끊는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 off)이고, 두번째는 통신중에 먼저 현재 서비스 받는 기지국으로부터 받은 채널을 끊고 인접 기지국으로 접속을 시도하는 하드 핸드오프(hard hand off)이다. 그리고 세 번째 방법으로 핸드오프 요구시 핸드오프 대상이 되는 기지국을 찾기 위해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정해진 약속에 따라, 기지국은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정해진 구간 보다 짧은 시간에 전송 데이터율을 높여서 송신하고, 이에 단말기는 상기 구간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나머지 구간 동안에 인접한 기지국을 탐색하는 방법이 있다.
상술한 방법중 상기 세 번째 방법에 대한 핸드오프 개념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를 참조하면, 단말기가 기지국 #0에서 기지국 #1로 셀간 이동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기지국 #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점차 약해지고, 기지국 #1에 대한 수신신호 세기가 커지고 있음을 인지한다. 결국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 #0의 수신 신호세기가 설정레벨 이하일 경우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메시지 또는 수신신호의 세기 측정값을 현재 통신중인 상기 기지국 #0으로 전송하고, 이에 상기 기지국 #0은 전송 프레임 주기를 송신구간(Ton) 및 비송신구간(Toff)으로 나누어서 상기 송신구간 동안 프레임 데이터를 모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송신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 #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송신구간 동안은 인접 기지국 #1의 신호를 수신하므로서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 설명되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모드 0(기지국 송신모드 0, 단말기 수신모드 0)이라 함은 기지국이 정상적으로 프레임 전체 주기 동안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가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모드 1(기지국 송신모드 1, 단말기 수신모드 1)라 함은 기지국이 프레임 주기의 소정구간 동안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가 상기 송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모드 2(기지국 송신모드 2, 단말기 수신모드 2)이라 함은 기지국이 프레임 주기의 소정구간동안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이에 대응하여 단말기가 상기 구간동안 인접 기지국을 탐색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1에서 모드 2로 전환하기 위해 필요한 가드 타임을 a라 하고, 상기 모드 2에서 모드 1 또는 모드 0으로 전환하기 위한 가드 타임을 b라고 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될 D1은 프레임 구간을 구분함에 있어 프레임의 앞구간을 나타내고, D2는 프레임의 뒤구간을 나타낸다. 그리고 Ton이라 함은 기지국이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을 의미하고, Toff는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을 의미한다. 또한 제1프레임이라 용어는 핸드오프 요구시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최초 전송되는 프레임을 말하며, 제2프레임이라 함은 상기 제1프레임에 연이어 전송되는 다음 프레임을 말한다.
이하 종래의 핸드오프 수행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발생시의 프레임 주기와 기지국 송신 (단말기 수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관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에서 T는 한 프레임의 주기를 나타내고, a는 기지국 송신모드 1(단말 수신모드 1)에서 기지국 송신모드 2(단말 수신모드 2)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guard time)을 나타내며, b는 기지국 송신모드 2(단말 수신모드 2)에서 기지국 송신모드 1(단말 수신모드 1)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을 나타내고, S는 두개의 프레임 주기 2T 동안 단말이 실제로 인접한 기지국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S의 총 시간은 “S=2×(Toff-a-b)=2Toff-2a-2b”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경우, 1프레임 주기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시간 Ton=T/2이고,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시간Toff=T/2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프 수행시 상기 기지국이 도 2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단말기는 도 3과 같이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핸드 오프를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10단계에서 단말기는 기지국에서 정상적으로 송신되는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는 기지국의 신호가 약해지는 등의 이유로 핸드-오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 핸드오프를 통보하고, 도 2와 같이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율을 2배로 하여 프레임 주기 T의 절반의 주기(T/2)동안 데이터를 송신하고, 나머지 반 주기 동안 데이터의 송신 동작을 중단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312단계에서 핸드-오프가 수행되었음을 감지하고, 314단계에서 프레임 주기 T의 절반의 주기(T/2) 동안 전송율이 2배인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T/2 동안 데이터를 수신할 시의 주기와 기지국 송신 전력간의 상관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200과 같다. 이후 상기 단말기는 316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남은 한 프레임의 반주기(T/2)동안은 핸드오프할 인접 기지국을 찾는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남은 한 프레임의 반주기인 T/2 동안 모두 인접 기지국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상기 주기 T/2에 해당하는 시간에서 기지국 송신모드 1(단말 수신모드 1)에서 기지국 송신모드 2(단말 수신모드 2)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a와 기지국 송신모드 2(단말 수신모드 2)에서 기지국 송신모드 1(단말 수신모드 1)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b를 뺀 시간동안 인접기지국을 찾는다. 따라서 상기 316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 S/2는 “S/2=T/2-a-b가 된다. 상기한 316단계가 이루어지는 동안의 주기와 기지국 송신 전력간의 상관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210과 같다.
한편 상기 셀룰러단말기는 318단계에서 상기 316단계의 수행에 의해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찾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318단계에서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찾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셀룰러단말기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기지국으로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며, 핸드-오프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310단계로 되돌아가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318단계에서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찾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314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프레임 주기의 반 주기 T/2 동안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316단계로 진행하여 인접 기지국을 찾는 단계를 재 수행하게 된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과 송신 전력의 상관 관계는 상기 도 2의 220 및 23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Toff에 해당하지만 실질적으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소요된 시간은 “S=2Toff-2a-2b”가 된다. 다시말해 단말기가 도 2에서도 볼 수 있듯이 수신 모드 1을 마치자 마자 수신 모드 2로 바뀌는 것도 아니고 수신 모드 2를 마치자 마자 수신 모드 1 또는 모드 0이 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상기 인접기지국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기 모드를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줄어드는 결과를 얻게 된다.
즉, 종래의 핸드오프 방식은 데이터의 전송과 인접 기지국을 찾는 동작이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찾을 때까지 반복하여 이루어지므로 송,수신 모드의 전환에 따른 가드 타임의 불필요한 잦은 소비로 인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 할당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과 빈번한 모드 전환을 위한 부담이 기지국 및 단말기에 모두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요구 요구시 프레임 기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간과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을 효율적으로 설정하여 단말기가 핸드오프 대상의 기지국을 신속하게 탐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가 프레임 데이터를 송신할 시,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고,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므로, 단말기 장치가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의 탐색 시간을 확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가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고,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여 송신하며, 단말기 장치가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다른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탐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모드를 수행할 시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고,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여 송수신하는 기지국 및 단말기 장치가 상기 각 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기간을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간 및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송 프레임과 기지국 송신 전력 사이에 관계도.
도 3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송 프레임과 기지국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도.
도 5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과 단말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7에서 단말기의 단말기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과 단말기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데이터를 송신할 시, 기지국 장치가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고,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다른 기지국신호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탐색한다.
따라서 연속하는 두 프레임 주기로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을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간이 되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은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이 된다. 또한 상기 제1기간 및 제2기간은 기지국과 단말기 간에 파라미터 정보 송수신시 설정되는 값으로,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기간 및 제2기간은 프레임 기간의 반 기간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프레임의 제1기간은 앞 구간으로 설명하며, 제2기간은 뒷 구간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핸드오프 모드(hand-off mode)라는 용어는 단말기 또는 기지국의 핸드오프 요구에에서 단말기가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탐색하여 기지국과 단말기가 핸드오프 절차를 종료하는 과정 까지의 동작을 의미하며, 정상동작모드(normal mode)는 정상적으로 프레임 기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발생시의 프레임 길이와 기지국 송신 (단말 수신) 전력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에서 참조 부호 T, S, a, b는 상기 도 2에 사용된 참조 부호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프 방식은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제1프레임 뒷 구간에서 핸드오프 절차를 종료하지 못하면, 이어지는 제2프레임의 앞 구간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핸드오프 절차를 연속하여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속 수행되는 핸드오프 수행 시간은 총 시간은 “S=Toff-a-b”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방법은 상기 핸드-오프 요구가 발생될 시 셀룰라단말기가 한 프레임의 반주기 동안 데이터를 수신한 후 모드 전환 시 요구되는 가드 타임을 뺀 나머지 반 주기 동안 첫 번째 인접 기지국을 찾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첫 번째 동작에서 인접 기지국을 찾지 못할 시 모드 전환시 요구되는 가드 타임을 뺀 다음 프레임의 반 주기 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 두 번째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또한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는 핸드-오프 수행시, 상기 핸드-오프 요구의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과정과, 상기 요구가 발생할 시 한 프레임의 반주기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반주기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모드 전환 시 요구되는 제1가드 타임 동안 모드를 전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1가드 타임을 뺀 나머지 반 주기와 모드 전환시 요구되는 제2가드 타임을 뺀 다음 프레임의 반주기 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 과정과, 상기 인접 기지국을 찾는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가드 타임 동안 모드 전환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또는 송신시간(Ton)) 및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구간(또는 비송신시간(Toff))는 프레임의 반주기 구간이 꼭 아니어도 되며, 그 구간은 가변적인 구간(또는 시간)이 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의 수신기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채널부호기(channel encoder)511은 입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부호화율(coding rate : R = Rc)로 부호화하여 심볼로 출력한다. 인터리버(interleaver)512는 상기 채널부호기511의 출력을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레이트 변환기(Rate Converter)513은 상기 인터리버512에서 출력되는 심볼 데이터의 전송율(bit rate)을 T/Ton배 만큼 빠르게 조정하여 제2증폭기515로 출력한다. 제1증폭기514는 상기 인터리버512에서 출력되는 심볼 데이터를 해당 증폭도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증폭기515는 상기 데이터압축기513에서 출력되는 심볼 데이터를 해당 증폭도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증폭기514로 출력되는 심볼 데이터는 모드 0에 따른 원래의 정상적인 프레임 데이터이고, 상기 제2증폭기515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해 전송율을 빠르게 조정한 프레임 데이터이다. 따라서 전송율이 빨라질수록 야기될 수 있는 에러율(BER : bit error rate)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증폭기515의 증폭도를 상기 제1증폭기의 증폭도 보다 상기 조정된 전송율에 비례해서 크게 설정한다.
제1스위치516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의 제어하에 정상 동작시에는 제1증폭기514에 연결되고, 핸드오프 수행시에는 제2증폭기515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치516은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일 경우에는 상기 제1증폭기514의 출력을 제1스위치517에 전달하고, 핸드오프 모드의 데이터 전송일 경우에는 상기 제2증폭기515의 출력을 상기 제2스위치517에 전달하도록 스위칭 제어된다. 상기 제2스위치517은 역시 도시하지 않는 제어기의 제어하에 정상 동작시에는 온상태를 유지하며, 핸드오프 모드시에는 송신 구간에서 온 상태를 유지하고 비송신 구간에서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제2스위치517은 핸드오프 요구시의 데이터 전송일 때 프레임의 송신구간/비송신구간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상기 송신구간 동안에만 온(on)되어 상기 제1스위치516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변조기517로 출력한다. 변조기518은 상기 제2스위치516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발진기519에서 발생되는 자신의 기지국 반송파(f0)로 변조하여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와, 제1스위치516 및 제2스위치517은 기지국의 송신을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응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한다) 통신시스템으로 가정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기는 채널부호기511, 인터리버512, 레이트 변환기513, 증폭기515, 변조기518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트 변환기513은 직교확산(orthogonal modulation) 및 PN 확산(PN sequence spreading)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증폭기515는 이득제어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는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레이트 변환기513 및 증폭기515를 제어한다. 즉, 핸드오프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어기는 레이트 변환기513을 제어하여 빠른 데이터 전송 클럭을 사용하며, 직교부호 길이가 짧은 직교부호를 사용하여 직교 확산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증폭기515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증폭도를 크게하여 정상동작모드 보다 큰 송신전력을 갖도록 제어하고, 데이터틀 송신하지 않는 구간(제1프레임의 제2구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증폭기515의 출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두 번째로 상기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수신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복조기612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발진기611에서 해당 기지국의 반송파(f0 또는 fi(i≠0))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즉,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f0로 복조를 하고, 인접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인접기지국의 반송파(fi)로 복조를 한다. 제3스위치613은 상기 복조기612의 출력 신호를 제2스위치614 또는 신호세기측정부615로 스위칭한다. 여기서 상기 제4스위치614로 스위칭하는 경우는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는 동안(Ton;기지국 송신구간)이고, 상기 신호세기측정부615로 스위칭하는 경우는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동안(Toff;기지국 비송신구간)이다.
상기 신호세기측정부615는 상기 비송신구간동안에 다른 인접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핸드오프 결정부615에 출력한다. 상기 핸드오프 결정부616은 상기 신호세기측정부615에서 출력되는 인접기지국 신호세기 측정값을 근거로 핸드오프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4스위치614는 모드 0 또는 모드 1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모드(모드 0)일 경우에는 상기 제3스위치613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인터리버618에 스위칭하고, 핸드오프요구시의 데이터수신모드(모드 1)일 경우에는 상기 제3스위치613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레이트 역변환기617에 스위칭한다.
여기서 상기 디인터리버618에 스위칭되는 데이터는 정상적인 전송율을 가진 데이터이고, 레이트 역변환기617에 스위칭되는 데이터는 전송율이 원래의 데이터보다 빠른 데이터이다. 상기 레이트 역변환기617은 상기 제4스위치614를 거쳐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율을 원래의 전송율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디인터리버618은 상기 제4스위치614를 거쳐 바로 전달된 데이터 또는 상기 레이트 역변환기617를 거쳐 원래의 전송율로 조정된 데이터를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하여 출력한다. 채널복호기619는 상기 디인터리버618의 출력을 해당 채널 부호화율(Rc)로 디코딩(decoding)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도 6과 같은 같은 단말기 장치가 CDMA 통신시스템인 경우, 복조기612, 스위치613 및 레이트 역변환기617, 디인터리버618, 채널복호기619, 신호세기 측정부615, 핸드오프 결정부616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단말기 제어기는 레이트 역변환기617 및 스위치613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레이트 역변환기617은 직교 역확산 및 PN 역확산기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드오프 모드시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는 상기 스위치613을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은 복조기612의 출력을 레이트 역변환기617에 연결하고,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구간(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 복조기612의 출력을 신호세기 측정부615에 연결한다. 또한 레이트 역변환기617은 기지국 장치에서 사용된 빠른 클럭 및 짧은 길의 직교부호를 사용하여 직교 역확산하여 디인터리버618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디인터리버618에 저장된 데이터를 프레임 기간으로 리드하면 레이트는 원래의 데이터 레이트로 역변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기가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711단계 및 713단계는 기지국이 데이터를 한 프레임의 전체 주기 T동안 전송하고, 이를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이다. 즉, 모드 0에 해당하는 단계로서 이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정보는 (Ton = T, Toff = 0) 이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715단계에서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 값이 설정레벨 이하일 경우 이를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 값을 통보받은 기지국은 717단계에서 상기 측정값을 근거로 핸드오프가 요구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프가 요구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711단계로 되돌아가 모드 0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송을 재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717단계에서 상기 핸드오프가 요구될 경우, 상기 기지국은 719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 정보(Ton=T1, Toff=T2, T1+T2=T)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단말기는 721단계에서 상기 핸드오프용 각종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결과를 ack 신호로서 응답한다. 한편 상기 핸드오프용 각종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한 상기 기지국은 72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로 부터 ack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ack 신호가 소정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파라미터 정보를 재전송하기 위해 상기 719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723단계에서 상기 ack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지국은 725단계로 진행하여 전송율이 T/Ton배 만큼 빨라진 프레임 데이터를 프레임의 앞구간 [0,Ton)에서 Ton 시간동안 송신하고, 이에 단말기는 727단계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앞구간(D1)에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Ton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할 시의 주기와 기지국 송신(단말기 수신) 전력간의 상관 관계는 도 4의 400과 같이 동일한 비트 에너지를 유지하기 위해 원래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보다 T/Ton배 만큼 증가된 송신전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729단계에서 상기 제1프레임의 뒷구간(D2) [Ton,T)에서 Toff 시간 동안 인접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이 발견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Toff 시간동안 모두 인접 기지국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상기 Toff 시간에는 모드 1에서 모드 2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729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S=Toff-a가 된다.
이때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 기지국 발견메시지를 전송한 후 737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73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 데이터를 전송한 후 소정시간동안 기지국 발견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기지국은 7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이어지는 제2프레임의 앞구간(D1) [T,T+Toff)에서 Toff 시간동안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나머지 뒷구간(D2) [T+Toff,2T)에서 Ton 시간동안 전송율이 빨라진 프레임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는 733단계에서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73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2프레임의 앞구간(D1)에서 상기 Toff 시간동안 인접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이 발견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기지국 발견 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737계로 진행하여 핸드오프를 발생하고,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프레임 데이터를 다시 수신하기 위해 상기 727단계로 되돌아간다. 결국, 상기 핸드오프가 발생하면, 상기 단말기는 739단계에서 모드 0에 대한 파라미터를 재설정하고, 741단계에서 새로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한 기지국을 연속하여 찾을 수 있는 시간과 송신 전력의 상관 관계는 상기 도 4의 400 내지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Ton만큼 송신 전력이 증가된 모습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 4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소요되는 주기는 종래 소요 시간인 “S=2Toff-2a-2b” 보다 a+b 만큼이 단축된 “2Toff-a-b”가 된다. 다시말해 단말기가 한 프레임의 [Ton,T) 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동작에 의해 인접국을 찾지 못할 경우 연속되는 다음 프레임의 [T,Toff) 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 동작을 중단없이 계속 수행한다. 그로 인해 인접 기지국을 찾는 상태(모드 2)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모드 1)로 반복하여 전환하는 동작을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모드의 전환에 필요한 스위칭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도 7은 단말기가 송신되는 수신 세기를 검출한 후, 측정 값이 설정 레벨 이하인 경우 수신 세기 값을 기지국에 전송하고, 기지국이 이를 분석하여 단말기에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단말기가 수신되는 세기를 분석한 후, 수신 세기가 설정 레벨이 이하인 단말기가 핸드오프 요구 유무를 판단하여 기지국에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는 정상적인 통신 동작 중에 수신 감도의 세기가 설정된 기준값 보다 낮아지는 경우, 기지국에 핸드오프를 요구하고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파라미터 정보에 따라 도 4와 같은 절차로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도 4와 같은 방법으로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할 시 단말기의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은 상기 핸드오프를 위한 데이터 송신 및 송신 주기가 각 프레임의 반주기(T/2)로 가정한 경우의 단말기 핸드오프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810단계 내지 814단계에서는 단말기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중에 수신되는 기지국의 신호를 체크하여 핸드-오프 동작이 요구되면, 상기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요구하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기지국은 전송할 데이터의 전송율을 2배로 하여 한 프레임 주기 T에서 앞 반주기 동안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제1프레임의 앞 반주기 동안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기지국 송신 전력은 도 4에 도시된 400과 같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제1프레임의 앞구간 동안 데이터를 수신하고, 816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남은 제1프레임의 뒷 반주기 동안 핸드오프할 인접 기지국을 찾는다. 이때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고 남은 한 제1프레임의 뒷 반주기 모두 인접 기지국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상기 송신 모드에서 수신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a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816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 S/2는 “S/2=Toff-a가 된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818단계에서 상기 816단계의 수행에 의해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찾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818단계에서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찾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는 82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826단계로 진행하면 수신모드에서 송신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b를 지연한 후 새로운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발생한다. 상기 826단계에서 핸드-오프가 이루어지면 상기 810단계로 리턴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전송단계를 연속하여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818단계에서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찾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820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프레임의 앞 반주기 중 기지국 송신모드 2(단말 수신모드 2)에서 기지국 송신모드 1(단말 수신모드 1)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b를 뺀 주기 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다. 즉, 상기 820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 S/2는 “S/2=T/2-b가 된다. 상기 인접 기지국을 찾기 위한 주기인 S/2가 경과하면 상기 단말기는 822단계로 진행하여 기지국 송신모드 2(다말 수신모드 2)에서 기지국 송신모드 1(단말 수신모드 1)로 전환하는데 요구되는 가드 타임 b를 지연한 후 T/2 동안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T/2는 한 프레임 주기중 상기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소요한 주기와 상기 가드 타임 b를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 주기가 된다. 상기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셀룰러단말기는 82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820단계의 수행에 의해 인접 기지국을 찾았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824단계에서 인접 기지국을 찾았다고 판단되면 826단계로 진행하여 인접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발생한다. 한편 상기 826단계에서 핸드-오프가 완료되면 상기 810단계로 진행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프 수행 과정을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프를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 및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도 9는 기지국의 송신기를 나타내고, 도 10은 단말기의 수신기를 나타낸다.
상기 도 9를 참조하여 기지국의 송신기를 설명하면, 채널부호기911 및 912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각각 대응되는 부호화율(coding rate : R = Rc 및 Rc*T/Ton)로 부호화하여 심볼로 출력한다. 인터리버(interleaver)913 및 914는 각각 대응되는 상기 채널부호기911 및 912의 출력을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레이트 변환기915는 상기 인터리버914에서 출력되는 심볼 데이터의 전송율(bit rate)을 T/Ton배 만큼 빠르게 조정하여 제2증폭기917로 출력한다. 제1증폭기916은 상기 인터리버913에서 출력되는 심볼 데이터를 해당 증폭도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증폭기917은 상기 레이트 변환기915에서 출력되는 심볼 데이터를 해당 증폭도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2증폭기917의 증폭도는 상기 조정된 전송율에 비례하여 상기 제1증폭기916의 증폭도보다 크게 설정한다. 왜냐하면, 데이터 전송율이 빨라지면서 야기될 수 있는 데이터 에러율(BER : bit error rate)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제1스위치918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의 제어에 의해 정상 동작시 제1증폭기916에 연결되고, 핸드오프 기능 수행시 제2증폭기917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치918은 정상적인 데이터 송신일 경우에는 상기 제1증폭기916의 출력이 제1스위치919로 전달하고, 핸드오프 요구시의 데이터 송신일 경우에는 상기 제2증폭기917의 출력이 상기 제1스위치919로 전달되도록 스위칭 출력한다. 상기 제1스위치919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의 제어하에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제1프레임들의 앞구간 및 제2프레임의 뒷 구간에서 온되고 상기 제1프레임들의 뒷 구간 및 제2프레임의 앞 구간에에서 오프된다. 따라서 상기 제2스위치919는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일 때 프레임의 송신구간/비송신구간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상기 송신구간 동안에만 온(on)되어 상기 제1스위치918로 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변조기920으로 출력한다. 상기 변조기920은 상기 제2스위치919를 거쳐 출력된 데이터를 발진기921에서 발생되는 자신의 기지국 반송파(f0)로 변조하여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와, 제1스위치918 및 제2스위치919는 기지국의 송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응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한다) 통신시스템으로 가정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기는 채널부호기912, 인터리버914, 레이트 변환기915, 증폭기917, 변조기92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트 변환기915는 직교확산 및 PN 확산기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증폭기917은 이득제어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는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채널부호기912, 인터리버914, 레이트 변환기915 및 증폭기917를 제어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이 정상동작모드에서 핸드오프 모드로 천이되면, 상기 제어기는 채널부호기912의 부호화율을 정상동작모드의 부호화율 보다 낮춰 부호화되는 심볼 데이터 수를 감소시키며, 인터리버914를 제어하여 심볼 데이터 수가 감소된 프레임 데이터를 인터리빙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부호화율을 1/2로 낮추면 상기 프레임 데이터의 심볼 수가 반으로 줄기 때문에 별도의 레이트 변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레이트 변환을 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는 레이트 변환기915를 제어하여 빠른 데이터 전송 클럭을 사용하며, 직교부호 길이가 짧은 직교부호를 사용하여 직교 확산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증폭기917을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증폭도를 크게하여 정상동작모드 보다 큰 송신전력을 갖도록 제어하고, 데이터틀 송신하지 않는 구간(제1프레임의 제2구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증폭기917의 출력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 하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간에 프레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도 5와 같이 레이트 변환을 수행하는 방법이고, 나머지 하나는 도 9와 같이 채널 부호기의 부호화율을 낮춰 심볼 데이터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프레임 기간 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 보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간 보다 더 크게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호화율을 낮춰 심볼 데이터 수를 감소시키고 레이트를 빠르게 변환하는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여 단말기의 핸드오프 절차 수행 동작을 설명하면, 복조기1012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발진기1011에서 발생하는 해당 기지국의 반송파(f0 또는 fi(i≠0))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즉,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f0로 복조를 하고, 인접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인접기지국의 반송파(fi)로 복조를 수행한다. 제3스위치1013은 상기 기지국 송신기의 제2스위치919와 동일하게 스위칭된다. 즉, 상기 제3스위치1013은 상기 복조기1012의 출력 신호를 제2스위치1024 또는 신호세기측정부1025에 스위칭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4스위치1014에 스위칭 연결되는 경우는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는 동안(Ton;기지국 송신구간)이고, 상기 신호세기측정부1015로 스위칭하는 경우는 프레임 데이터가 수신되는 않는 동안(Toff;기지국 비송신구간)이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와, 상기 제3스위치1013 및 제4스위치1014는 단말기의 수신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에 대응된다.
상기 신호세기측정부1015는 상기 비송신구간동안(Toff) 수신되는 인접기지국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핸드오프결정부1016로 출력한다. 상기 핸드오프결정부1016은 상기 신호세기측정부1015에서 출력되는 인접기지국 신호세기 측정값을 근거로 핸드오프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제4스위치1014는 상기 기지국 송신기의 제1스위치918과 동일하게 스위칭된다. 즉, 상기 제4스위치1014는 모드 0 및 모드 1에 대한 스위칭을 수행하여, 정상적인 데이터 수신모드(모드 0)일 경우에는 상기 제3스위치101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인터리버926로 스위칭 출력하고, 핸드오프 요구시의 데이터수신모드(모드 1)일 경우에는 상기 제3스위치102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레이트 역변환기1017에 스위칭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1디인터리버1018에 스위칭 출력되는 데이터는 정상적인 전송율을 가진 데이터이고, 상기 레이트 역변환기1017에 스위칭 출력되는 데이터는 전송율이 원래의 데이터보다 빠른 데이터이다. 상기 레이트 역변환기1017은 상기 제4스위치10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송율을 원래의 전송율로 조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1디인터리버1018은 상기 제4스위치101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2인터리버1019는 상기 레이트 역변환기1017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디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채널복호기1030 및 1031은 각각 대응되는 디인터리버1018 및 1019의 출력을 각각 대응되는 부호화율(Rc 및 RC*T/Ton)로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도 6과 같은 같은 단말기 장치가 CDMA 통신시스템인 경우, 복조기1012, 스위치1013 및 레이트 역변환기1017, 디인터리버1019, 채널복호기1021, 신호세기 측정부1015, 핸드오프 결정부1016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단말기 제어기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레이트 역변환기1017, 스위치1013, 디인터리버1019, 채널복호기1021을 제어한다.
도 1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핸드오프 수행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1111단계 및 1113단계는 채널부호화율 Rc로 코딩한 데이터를 한 프레임 전체 주기 T 동안 송신하고, 상기 송신 데이터를 단말기가 수신하는 단계이다. 즉, 모드 0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이에 해당하는 파라미터 정보는 (Ton=T, Toff=0, R=Rc) 이다. 이때 상기 단말기는 1115단계에서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값이 설정레벨 이하일 경우 이를 상기 기지국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값을 통보받은 기지국은 1117단계에서 상기 측정값을 근거로 핸드오프가 요구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핸드오프가 요구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1111단계로 되돌아가 모드 0에 대한 데이터 송신을 다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설정 값 보다 작은 경우에 기지국에 핸드오프를 요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1017단계에서 상기 핸드오프가 필요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1119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프용 각종 파라미터 정보(Ton=T1, Toff=T2, T1+T2=T)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핸드오프용 각종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한 상기 단말기는 1121단계에서 수신결과를 ack 신호로서 응답한다. 한편 상기 핸드오프용 각종 파라미터 정보를 송신한 상기 기지국은 1123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ack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ack 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을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프용 각종 파라미터 정보를 재전송하기 위해 상기 1119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ack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기지국은 11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모드 0에 해당하는 채널부호화율(R)을 상기 핸드오프용 부호화율로 재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재설정된 부호화율(R)은 (모드 0에 해당하는 부호화율)*(프레임주기)/(송신시간)으로 산출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1127단계로 진행하여 제1프레임의 앞구간(D1) [0,Ton)에서 Ton 시간동안 심볼율 및 그에 따른 전송율이 변경된 제1프레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는 1129단계에서 상기 제1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Ton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기지국 송신(단말기 수신) 전력과 기지국 및 단말기의 채널부호화율의 각 모드별로의 상관 관계는 도 4에 도시된 400과 같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의 앞구간 [0,Ton)에서의 데이터 심볼수는 채널 부화화율의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지만 채널복호화에 이용될 수 있는 심볼의 수가 감소하고 인터리빙의 효과도 줄어든다. 한편 상기 변경된 채널부호화율에 맞추어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는 11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프레임의 뒷구간(D2) [Ton,T)에서 Toff 시간동안 인접기지국의 신호세기(signal power)를 측정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이 발견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를 수신하고 남은 상기 Toff 시간동안 모두 인접 기지국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상기 Toff(=T-Ton) 시간에는 모드 1에서 모드 2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a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1131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Toff-a가 된다.
이때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 인접 기지국 발견메시지를 전송한 후 1139단계로 진행하여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1135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 데이터를 송신하고 소정시간동안 기지국 발견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한 기지국은 113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1프레임에 이어지는 제2프레임의 앞구간(D1) [T,T+Toff)에서 Toff 시간동안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고, 나머지 뒷구간(D2) [T+Toff,2T)에서 Ton 시간동안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2프레임 데이터를 송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는 1135단계에서 상기 제2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1137단계에서 상기 제2프레임의 앞구간(D1)인 비송신구간 [T,T+Toff)에서 Toff 시간동안 연속하여 인접기지국의 신호세기를 측정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이 발견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Toff 시간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상기 Toff 시간동안에는 모드 2에서 모드 1로 전환되는데 소요되는 가드 타임 b를 포함한다. 즉, 상기 1137단계에서 실질적으로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Toff-b가 된다. 이때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인접 기지국 발견메시지를 전송한 후 상기 1139계로 진행하여 핸드오프를 발생하고,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이 발견하지 못할 경우 상기 단말기는 다시 또 다른 제1프레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1129단계로 되돌아간다. 결국, 상기 핸드오프가 수행되면, 상기 단말기는 1141단계에서 모드 0에 대한 파라미터(Ton=T, Toff=0)를 재설정하고, 1143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한 기지국을 연속하여 찾을 수 있는 구간, 기지국 송신 (단말 수신) 전력과 각 모드에서의 채널부호화율의 상관 관계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 8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라 인접 기지국을 찾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종래 소요 시간인 “2Toff-2a-2b” 보다 a+b 만큼이 단축된 “2Toff-a-b”가 된다. 다시말해 단말기가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한 프레임의 [Ton,T) 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동작에 의해 인접국을 찾지 못하는 경우 연속되는 다음 프레임의 [T,Toff) 동안 인접 기지국을 찾는 동작을 중단없이 계속 수행한다. 그로 인해 인접 기지국을 찾는 상태(모드 2)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모드 1)로 반복하여 전환하는 동작을 반으로 줄일 수 있어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모드의 전환에 필요한 스위칭에 대한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른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비교해 보건데, 전송 프레임 데이터의 심볼율를 일차적으로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심볼율을 가지고 전송율을 조정하기 때문에 전송율 조정에 대한 부담을 간소화시켰다. 이를 원래 데이터의 전송율을 25bps라 가정하고 수치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원래의 채널부호율이 1/4라 하면, 이에 따른 심볼율은 100bps가 된다. 이때 전송률을 2(T/Ton)배 만큼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100bps의 데이터는 200bps의 전송율로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부담이 크다. 하지만 채널부호화율을 1/2(1/4*T/Ton)로 일차로 조정하여 심볼율을 50bps로 하면, 송신 데이터의 전송율이 50bps에서 100bps으로 조정되면 되기 때문에 상기한 방법(심볼수를 조정하지 않는 방법) 보다는 구동상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드오프시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구간(기지국의 데이터 송신구간)과 인접 기지국을 찾는 구간(기지국의 데이터 비송신구간)을 바꾸어 수행함으로써 단말기의 현재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에서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인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에서 현재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로 전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합을 인접 기지국을 찾는 시간에 더 포함 시킬 수 있고 모드 (기지국의 경우 송신, 단말의 경우 수신) 전환에 따른 스위칭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 핸드오프 수행시 한 프레임의 주기의 활용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3)

  1. 프레임 단위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되고,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송신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송신하는 프레임 데이타의 전송율을 빠르게 변환하는 레이트 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부호화율을 낮춰 프레임 단위의 송신 데이타를 부호화하는 채널부호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상기 부호화된 프레임 데이터의 전송율을 빠르게 변환하는 레이트 변환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전송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크게하는 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이 1프레임 기간의 반주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가,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상기 채널부호기와,
    상기 채널부호기의 출력을 인터리빙하여 출력하는 상기 인터리버와,
    상기 인터리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전송율을 빠르게 조정하여 출력하는 레이트 변환기와,
    상기 레이트 변환된 신호의 송신전력을 다른 모드시의 송신전력보다 크게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부호기가 부호화율을 낮춰 프레임의 심볼 데이타 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
  9.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데이타를 처리하는 수신기와,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기와,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 및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되고,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 현재 통신 중인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인가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 다른 기지국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핸드오프 처리기에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수신되는 데이타의 레이트를 정상 데이터 레이트로 역변환하는 레이트 역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수신되는 부호화 데이타를 대응되는 부호화율의 복호율로 복호하는 채널복호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수신되는 데이타의 레이트를 정상 데이터 레이트로 역변환하는 레이트 역변환기와,
    상기 레이트 변환된 데이타를 대응되는 송신측 부호율의 복호율로 복호하는 채널복호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이 프레임 기간의 반기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프레임 데이타를 원래의 정상 데이터 전송율로 변환하는 레이트 역변환기와,
    상기 레이트 역변환된 신호를 디인터리빙하는 디인터리버와,
    상기 디인터리빙된 신호를 부호화율에 대응되는 복호율로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복호기가 상기 기지국 송신기의 채널부호기에 의해 낮춰진 부호화율에 대응되는 복호율로 수신 데이타를 복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프 결정기가,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출력하는 신호세기 측정부와,
    상기 측정값을 입력받아 핸드오프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17.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단위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송신기가,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되고,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송신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와,
    수신되는 데이타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는 수신기와,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기와, 상기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인가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 다른 기지국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핸드오프 결정기에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프레임 데이터의 전송율을 빠르게 변환하는 레이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장치가 수신되는 데이터의 전송율을 역변환하는 레이트 역변환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프레임 데이타의 부호화율을 낮춰 심볼 데이타를 감소시키는 채널 부호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장치가 수신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타를 상기 채널부호기의 부호화율에 대응되는 복호율로 복호하는 채널복호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프레임 데이타의 부호화율을 낮춰 심볼 데이타를 감소시키는 채널 부호기와, 상기 부호화 데이타의 전송율을 빠르게 변환하는 레이트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장치가 상기 수신되는 데이터 전송율을 역변환하는 레이트 역변환기와, 레이트 변환된 수신 데이타를 상기 채널부호기에 대응되는 복호율로 복호하는 채널복호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장치.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크게 하는 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의 프레임 기간의 반 기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장치.
  23. 프레임 단위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모드시 기지국 송신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송신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전송되는 프레임 데이타는 정상 동작모드의 데이타 전송율보다 빠르게 변환시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부호화되는 데이타는 정상 동작모드의 부호화율 보다 낮춰 심볼 데이타를 감소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프레임 데이타는 정상 동작모드의 부호화율 보다 낮춰 심볼 데이타를 감소시키고, 정상 동작모드의 데이타 전송율보다 빠르게 변환시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되는 데이타의 송신 전력은 상기 정상동작모드의 데이타 송신전력보다 크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은 상기 프레임 기간의 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방법.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통신 중에 핸드오프 필요시, 상기 기지국이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을 데이타를 송신하는 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을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프용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 방법.
  30. 제23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기간 경과 후 상기 단말기에서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 발견 통보시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고, 그렇지않으면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핸드오프절차를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송신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설정 값 이하일 시 상기 핸드오프 모드로 천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송신 방법.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기가 핸드오프 요구시 핸드오프모드로 천이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 방법.
  33.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 및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되고,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 현재 통신 중인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 다른 기지국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수신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수신되는 데이타를 정상동작모드의 레이트로 역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수신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수신되는 부호화 데이타를 대응되는 부호화율의 복호율로 복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수신방법.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수신되는 데이타의 레이트를 정상 데이터 레이트로 역변환하고, 상기 레이트 변환된 데이타를 대응되는 송신측 부호율의 복호율로 복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수신방법.
  37.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이 프레임 기간의 반 기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장치.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통신 중에 핸드오프 필요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가간을 데이타를 송신하는 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을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하는 설정하는 핸드오프용 파라미터 정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 핸드오프 수행방법.
  39. 제33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기간 경과 후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 발견시 상기 기지국에 이를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 수신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세기를 분석하여 설정 값 이하일 시 상기 기지국에 이를 통보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핸드오프모드 설정 요구시 핸드오프 모드로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 수신 방법.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수신신호의 세기가 설정 값 이하일 시 상기 기지국에 핸드오프를 요구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응답시 상기 핸드오프 모드로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 수신 방법.
  42.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여 프레임 단위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모드 수행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해당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하며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으며, 상기 단말기가 다른 기지국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오프할 기지국을 탐색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해당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하며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송신되는 데이터 레이트를 빠르게 변환하며, 상기 단말기가 수신되는 상기 레이트 변환된 데이타를 역변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송신되는 프레임데이타의 부호화율을 낮춰 심볼 데이타수를 감소시키며, 상기 단말기가 수신되는 부호화율에 대응되는 복호율로 수신 데이타를 복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송신되는 프레임데이타의 부호화율을 낮춰 심볼 데이타수를 감소시키고 부호화된 데이터의 레이트를 빠르게 변환하며, 상기 단말기가 수신되는 상기 레이트 변환된 데이타를 역변환하고 상기 부호화율에 대응되는 복호율로 수신 데이타를 복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46.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신호의 송신전력을 크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이 상기 프레임 기간의 반 기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48.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와 통신 중에 핸드오프 필요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데이타 송신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을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하는 핸드오프용 파라미터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가 이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49. 제42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프레임 또는 제2프레임 경과후 핸드오프할 대상 기지국을 탐색하였을 시 이를 상기 기지국에 통보하며,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탐색하지 못할 시 상기 기지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송신 및 비송신 과정을 반복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설정 값이 이하일 시 상기 기지국에 핸드오프를 요구하고 핸드오프 모드로 천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수신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설정 값이 이하일 사 상기 기지국에 수신세기 값을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의 수신세기 값을 분석하여 핸드오프모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52.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준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하여 프레임 단위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모드 수행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와 통신 중에 핸드오프 필요시, 기지국이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을 데이타를 송신하는 기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을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핸드오프 파라미터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데이타의 송신을 중단하고 단말기가 다른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탐색하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 발견시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한 후 핸드오프절차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이 발견되지 않을 시, 상기 기지국이 연속되는 상기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타의 송신을 중단하고 단말기가 다른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탐색하며, 상기 기지국이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해당 프레임의 데이타를 송신하고 단말기가 이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 상기 단말기가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 발견시 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한 후 핸드오프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발견하지 못했을 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핸드오프 모드를 반복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핸드오프 수행방법.
  53.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프 수행장치에 있어서,
    기지국 장치가,
    정상 모드시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하는 제1송신부와,
    데이타의 레이트를 빠르게 변환하는 레이트 변환기를 포함하여, 핸드오프 모드시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하는 제2송신부와,
    정상모드시 상기 제1송신부의 프레임 데이타를 송신하며, 핸드오프 모드시 적어도 연속하는 제1 및 제2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각각의 기간은 제1기간과 상기 제1기간에 뒤따르는 제2기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서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송신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서 데이타를 송신하지 않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단말기 장치가,
    수신되는 데이타를 처리하는 수신기와,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분석하여 핸드오프 대상 기지국을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기와,
    핸드오프 모드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2기간에 현재 통신 중인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인가하고, 상기 제1프레임의 제2기간 및 제2프레임의 제1기간에 다른 기지국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핸드오프 처리기에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프 장치.
KR1019980051889A 1997-12-04 1998-11-30 이동통신시스템의핸드오프수행장치및방법 KR10037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06,056 US6154652A (en) 1997-12-04 1998-12-04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10345277A JP3043729B2 (ja) 1997-12-04 1998-12-04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ハンドオフ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962 1997-12-04
KR19970065962 1997-12-04
KR1997-65962 1997-12-04
KR1998-11996 1998-04-04
KR1019980011996 1998-04-04
KR1019980011996A KR19990079401A (ko) 1998-04-04 1998-04-04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644A true KR19990062644A (ko) 1999-07-26
KR100377394B1 KR100377394B1 (ko) 2003-06-11

Family

ID=3664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889A KR100377394B1 (ko) 1997-12-04 1998-11-30 이동통신시스템의핸드오프수행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3) EP1036479B1 (ko)
KR (1) KR100377394B1 (ko)
CN (2) CN1155281C (ko)
AU (1) AU739527B2 (ko)
BR (1) BR9815424A (ko)
CA (1) CA2312823C (ko)
DE (3) DE69829311T2 (ko)
MX (1) MXPA00005420A (ko)
RU (1) RU2198477C2 (ko)
WO (1) WO1999029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900B1 (ko) * 1998-05-13 2001-11-15 윤종용 송신다이버시티를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핸드오프수행장치및방법
EP1142401B1 (de) * 1999-01-13 2005-09-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umschalten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auf einen anderen kanal (handover)
JP4387001B2 (ja) 1999-08-27 2009-12-16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局および通信方法
US20030162543A1 (en) * 2002-02-28 2003-08-28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terrupt-free hand-over in a mobile terminal
KR100932482B1 (ko) * 2002-05-03 200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또는 섹터 스위칭을 위한 프레임 전송 방법
JP4639966B2 (ja) 2005-05-31 2011-02-23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データ圧縮方法およびオーディオデータ圧縮回路並びにオーディオデータ伸張回路
JP2008154273A (ja) * 2008-02-29 2008-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9395A (en) * 1989-07-07 1990-08-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ynamically allocating time slots to connections in a digital mobile radio system
US5493563A (en) * 1993-07-26 1996-02-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assisted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883899A (en) * 1995-05-01 1999-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de-rate increased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US5524009A (en) * 1995-06-07 1996-06-04 Nokia Mobile Phones Ltd. Fast AGC setting using RSS (I) measurement procedure
US5884187A (en) * 1996-03-13 1999-03-16 Ziv; Noam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entralized power control administration for a set of base st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8150T2 (de) 2007-11-15
EP1416758A2 (en) 2004-05-06
WO1999029133A1 (en) 1999-06-10
DE69829311D1 (de) 2005-04-14
BR9815424A (pt) 2001-09-25
CN1535049A (zh) 2004-10-06
EP1416757A3 (en) 2004-10-06
AU1509599A (en) 1999-06-16
CA2312823C (en) 2005-01-25
CA2312823A1 (en) 1999-06-10
RU2198477C2 (ru) 2003-02-10
DE69834850T2 (de) 2006-10-19
EP1416757A2 (en) 2004-05-06
EP1036479A1 (en) 2000-09-20
DE69838150D1 (de) 2007-09-06
KR100377394B1 (ko) 2003-06-11
CN1286882A (zh) 2001-03-07
EP1416758B1 (en) 2006-06-07
DE69834850D1 (de) 2006-07-20
CN1155281C (zh) 2004-06-23
AU739527B2 (en) 2001-10-18
MXPA00005420A (es) 2002-04-24
EP1416758A3 (en) 2004-10-06
EP1416757B1 (en) 2007-07-25
EP1036479B1 (en) 2005-03-09
CN1269376C (zh) 2006-08-09
DE69829311T2 (de)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4652A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877248B2 (ja) Cdma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4437793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および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法
KR100276698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셀룰러이동통신시스템에서소프트핸드오프시의순방향링크전력제어방법및장치
JP4778102B2 (ja) ハードハンドオフのような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ハンドオフ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64493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ff in a spread-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EP1207644A2 (en) Method of link adaptation of blind type using acknowledgements in ARQ system
JP2002537676A (ja) 符号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の周波数間のハンドオフのための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EP2012445A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versity reception
KR10036679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전송전력제어방법
EP09223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hannels to enable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JP200134575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装置
KR10037739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핸드오프수행장치및방법
JP2002533985A (ja) 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および圧縮モード操作を有するその操作方法
KR100260711B1 (ko)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방법
KR19980077725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방법
KR1999007940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