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1621A -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621A
KR19990061621A KR1019970081900A KR19970081900A KR19990061621A KR 19990061621 A KR19990061621 A KR 19990061621A KR 1019970081900 A KR1019970081900 A KR 1019970081900A KR 19970081900 A KR19970081900 A KR 19970081900A KR 19990061621 A KR19990061621 A KR 19990061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arallel
series
battery
back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근석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8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1621A/ko
Publication of KR19990061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621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사용시간이 중요한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Back Light)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고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발광제어부에서 백라이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직/병렬발광 표시부의 발광여부를 제어하고, 직/병렬발광 표시부는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직/병렬로 구성된 다이오드를 발광시킴으로써,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고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개선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본 발명은 키패드(Key-Pad) 및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용 백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사용시간이 중요한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Back Light)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고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개선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노트북, 무전기, 코드리스폰 등의 휴대용품에서는 배터리 사용하는 시간이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휴대폰이나 노트북에에서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한다.
도1은 종래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병렬발광 표시부(2)의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1)와; 상기 발광제어부(1)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병렬로 구성된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병렬발광 표시부(2)로 구성되었다.
상기에서 발광제어부(1)는, 백라이트 제어신호가 로우로 입력되면 제1 내지 제5 발광다이오드(DS1 - DS5)를 발광시키는 제1 트랜지스터(TR1)와; 백라이트 제어신호가 로우로 입력되면 제6 내지 제10 발광다이오드(DS6 - DS10)를 발광시키는 제2 트랜지스터(TR2)로 구성되었다.
상기에서 병렬발광 표시부(2)는, 상기 발광제어부(1)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발광되도록 각각 병렬로 연결된 제1 내지 제10 발광다이오드(DS1 - DS10)로 구성되었다.
여기서 R1 내지 R4는 저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는, 백라이트 제어신호(BCKLGHT)가 하이로 입력되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R1)(TR2)의 베이스 단자로 연결된 저항 R1과 R3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R1)(TR2)에 하이 신호를 공급하게 되고,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R1)(TR2)는 접지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백라이트 제어신호가 로우로 입력되면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TR1)(TR2)는 저항 R2와 R4를 통해 병렬발광 표시부(2)에 배터리의 전원이 흐르도록 하여 제1 및 제10 발광다이오드(DS1 - DS10)가 발광되도록 동작하였다.
이때 배터리 전원은 4.8V로 하고, R1 및 R3은 10K로 하며, R2 및 R4는 36으로 설정하면, 병렬발광 표시부(2)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발광다이오드(DS1 - DS10)의 전압강하가 1.7V일 때 3.1V가 된다. 그리고 R2와 R4에서의 전류는 86mA = 3.1V/36이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5 발광다이오드(DS1 - DS5)에서 각각 소모되는 전류는 17.2mA이고, 제6 내지 제10 발광다이오드(DS6 - DS10)에서 각각 소모되는 전류는 17.2mA이 되어, 총 소모전류는 172mA가 된다.
그러나 병렬발광 표시부의 제1 내지 제10 발광다이오드의 구동을 위해 총 172mA의 전류를 소모하여 배터리의 전력소모가 크고, 발광다이오드의 충분한 밝기를 위해서는 약 2.8mA 씩의 전류가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사용시간이 중요한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Back Light)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고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개선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는,
백라이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직/병렬발광 표시부의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와; 상기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직/병렬로 구성된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직/병렬발광 표시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광 제어부 20: 직/병렬 발광 표시부
R5, R6: 제1 및 제2 구동저항 TR3: 트랜지스터
DS1 - DS10: 발광다이오드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직/병렬발광 표시부(20)의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10)와; 상기 발광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직/병렬로 구성된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직/병렬발광 표시부(2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발광제어부(10)는, 백라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TR3)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저항(R5)과; 상기 직/병렬발광 표시부(20)와 상기 트랜지스터(TR3)의 이미터 단자를 연결시키는 제2 구동저항(R6)과; 상기 제1 구동저항(R5)의 백라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구동저항(R6)을 통해 연결된 직/병렬발광 표시부(20)의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TR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병렬발광 표시부(20)는, 상기 발광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S1)(DS2)와; 상기 발광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3 및 제4 발광다이오드(DS3)(DS4)와; 상기 발광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5 및 제6 발광다이오드(DS5)(DS6)와; 상기 발광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7 및 제8 발광다이오드(DS7)(DS8)와; 상기 발광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9 및 제10 발광다이오드(DS9)(DS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백라이트 제어신호(BCKLGHT)가 하이로 입력되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 단자로 연결된 제1 구동저항(R5)이 트랜지스터(TR3)에 하이 신호를 공급하게 되어 트랜지스터(TR3)는 직/병렬발광 표시부(20)와의 연결을 차단하고 접지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백라이트 제어신호가 로우로 입력되면 트랜지스터(TR3)는 제2 구동저항(R6)을 통해 직/병렬발광 표시부(20)에 배터리의 전원이 흐르도록 하여 제1 및 제10 발광다이오드(DS1 - DS10)가 발광되도록 한다.
여기서 직/병렬발광 표시부(20)는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S1)(DS2)와, 제3 및 제4 발광다이오드(DS3)(DS4)와, 제5 및 제6 발광다이오드(DS5)(DS6)와, 제7 및 제8 발광다이오드(DS7)(DS8)와, 제9 및 제10 발광다이오드(DS9)(DS10)는 서로 직렬로 연결하고, 제1 제3 제5 제7 및 제9 발광다이오드(DS1)(DS3)(DS5)(DS7)(DS9)는 각각 병렬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DS1 - DS10)의 구동전압은 1.7V(Typ)를 필요로하고, 이때의 구동전류는 20mA가 된다.
또한 배터리 전원은 4.8V(Typ)로 하고, 제1 구동저항(R5)는 10K으로 하며, 제2 구동저항(R6)은 14으로 설정하면,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DS1)(DS2)와 제3 및 제4 발광다이오드(DS3)(DS4)와 제5 및 제6 발광다이오드(DS5)(DS6)와 제7 및 제8 발광다이오드(DS7)(DS8)와 제9 및 제10 발광다이오드(DS9)(DS10)의 전압강하는 각각 3.4V = 1.7V×2가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10 발광다이오드(DS1 - DS10)에 각각 소모되는 전류는 20mA가 된다.
그러면 직/병렬발광 표시부(20)에서 출력되어 제2 구동저항(R6)에 인가되는 전압강하는 발광다이오드(DS1 - DS10)의 전압강하가 3.4V이므로, 1.4V = 4.8V - 3.4V가 된다.
이에 따라 제2 구동저항(R6)에 인가되는 전류는 100mA = 1.4V/14이 된다.
따라서 제1 제3 제5 제7 및 제9 발광다이오드(DS1)(DS3)(DS5)(DS7)(DS9)에 사용되었던 20mA 씩의 전류를 제2 제4 제6 제8 제10 발광다이오드(DS2)(DS4)(DS6)(DS8)(DS10)에 다시 사용하게 되어 전류소모를 72mA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병렬구조에서는 172mA의 전류가 소모되지만, 직/병렬 구조에서는 100mA의 전류가 소모되어, 72mA 만큼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종래의 병렬방식의 백라이트 장치는 표준형 배터리의 용량을 820mA/hour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음성을 사용하는 시간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의 비율인 보이스 액티비티(Voice Activity)가 44%이면, 음성을 사용할 경우의 전류소모는 630mA이 되고, 음성을 사용안할 경우의 전류소모는 375mA이 되며, 평균 전류 소모는 0.44 × 630mA + 0.56 × 375mA = 487.2mA가 되고, 배터리의 사용시간은 820mA/hour / 487.2mA = 1.68 Hour가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직/병렬방식의 백라이트 장치는, 표준형 배터리의 용량을 820mA/hour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음성을 사용하는 시간과 사용하지 않는 시간의 비율인 보이스 액티비티가 44%이면, 음성을 사용할 경우의 전류소모는 558mA(= 630mA - 72mA)가 되고, 음성을 사용안할 경우의 전류소모는 303mA(= 375mA - 72mA)가 되며, 평균 전류 소모는 0.44 × 558mA + 0.56 × 303mA = 415.20mA이 되고, 배터리의 사용시간은 820mA/hour / 415.20mA = 1.97 Hour가 된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직/병렬방식으로 발광다이오드를 배열할 경우 약 0.29 시간의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고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개선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는 배터리 사용시간이 중요한 휴대폰이나 노트북과 같은 장치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의 전류소모를 감소시키고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개선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백라이트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직/병렬발광 표시부의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와;
    상기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직/병렬로 구성된 다이오드를 발광시키는 직/병렬발광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어부는,
    백라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저항과;
    상기 직/병렬발광 표시부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단자를 연결시키는 제2 구동저항과;
    상기 제1 구동저항의 백라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구동저항을 통해 연결된 직/병렬발광 표시부의 발광여부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발광 표시부는,
    상기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3 및 제4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5 및 제6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7 및 제8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입력받아 각각 직렬로 연결되어 발광하는 제9 및 제10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KR1019970081900A 1997-12-31 1997-12-31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KR199900616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900A KR19990061621A (ko) 1997-12-31 1997-12-31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900A KR19990061621A (ko) 1997-12-31 1997-12-31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621A true KR19990061621A (ko) 1999-07-26

Family

ID=6618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900A KR19990061621A (ko) 1997-12-31 1997-12-31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1621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83A (ja) * 1994-06-23 1996-01-12 Fujitsu Ltd 放電管の管電流制御回路
KR960024349U (ko) * 1994-12-30 1996-07-22 포토레지터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후광 조절회로
JPH08248383A (ja) * 1995-03-15 1996-09-27 Omron Corp 液晶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0943604A (ja) * 1995-08-02 1997-02-14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付き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130709A (ja) * 1995-10-30 1997-05-16 Seiko Epson Corp 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83A (ja) * 1994-06-23 1996-01-12 Fujitsu Ltd 放電管の管電流制御回路
KR960024349U (ko) * 1994-12-30 1996-07-22 포토레지터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 후광 조절회로
JPH08248383A (ja) * 1995-03-15 1996-09-27 Omron Corp 液晶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H0943604A (ja) * 1995-08-02 1997-02-14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付き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H09130709A (ja) * 1995-10-30 1997-05-16 Seiko Epson Corp バックライト駆動回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7124B2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using same
KR20050003971A (ko) 발광 소자 구동 장치 및 발광 소자를 구비한 전자 기기
EP079731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et having backlighted display
EP1503429A1 (en) Light emitting element driv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light emitting element
KR20040019544A (ko) 이동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백라이트 제어 장치
US7770043B2 (en)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in back-light in data processing device
JP2005116616A (ja) Led駆動回路及びled駆動システム
US20090160359A1 (en) Light emitting diode control circuit with constant-current circuit
JP2002190392A (ja) Led駆動回路
KR19990061621A (ko) 키패드 및 액정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장치
KR100282777B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사용되는 키패드의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
US680743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back-lighting and high key press noise margin
KR100186222B1 (ko) 전화기의 백 라이트 제어회로
CN214338164U (zh) Led亮度调节电路及电子设备
JP2001325824A (ja) 携帯用端末におけるバックライト用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
JP2011155473A (ja) 携帯電子機器
KR0115167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CN216531282U (zh) 驱动与扫描电路、及电子设备
KR20090089527A (ko) Led 구동 회로 및 그를 구비하는 단말
KR900010136Y1 (ko) 무선전화기의 밧데리 로우(battery low) 표시회로
KR1006910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백라이트 전류 가변 방법
KR100568778B1 (ko) 단말기의 발광 제어 장치
KR100243305B1 (ko) 광 감지 휴대 전화 장치
KR20070069790A (ko) 배터리 소모 전류 감소 회로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2001143878A (ja) バックライト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