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1240A -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1240A
KR19990061240A KR1019970081496A KR19970081496A KR19990061240A KR 19990061240 A KR19990061240 A KR 19990061240A KR 1019970081496 A KR1019970081496 A KR 1019970081496A KR 19970081496 A KR19970081496 A KR 19970081496A KR 19990061240 A KR19990061240 A KR 19990061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ommunication
node
inter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택
김규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8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1240A/ko
Publication of KR1999006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1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68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dynamic selection of recovery network elements, e.g. replacement by the most appropriate element afte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2Alternate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기 노드 사이의 통신 채널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그 통신 채널을 이중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 노드간 메시지의 통신을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로 전송하고 케이블이 이상이나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의 이상이 발생시 이를 우회하여 노드간 통신을 원할히 하기 위한 방법은,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를 선정하는 제 1단계, 노드간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제 2단계,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이상 발생시 우회 채널을 선택하는 제 4단계 및 발생된 이상이 생긴 채널을 복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드간 통신의 경우 처리가 빠르며,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노드간 통신 채널을 복수개로 설정하고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위 어플레케이션들과의 긴밀한 정보 교환으로 전용 통신 모드의 이상 발생이나 물리 매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운용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중화를 구현함으로써 안정된 노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본 발명은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환기 노드간 통신 채널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중화를 위해 존재하는 다른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교환기 시스템에는 많은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들이 들어가게 되고 각 기능들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어야 시스템에 문제가 없게 된다. 어플리케이션로는 기본적으로 상호 프로세스 통신(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IPC),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CM), 연결 관리(Connection Management: CNM), 장애 관리(Fault Management: FM), 성능 관리(Performance Management: PM) 등의 모듈로 구성된다. 이들 모듈들은 시스템에 실장되는 대부분의 하드웨어 보드에서 각각 따로이 동작해야 하며, 이들 모듈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 바로 상호 프로세스 통신 모듈이다. 상호 프로세스 통신 모듈의 기능은 시스템에 실장되어 있는 다수의 보드들 사이에서, 또는 한 보드내에서 각 모듈간의 메시지들을 목적지로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때 한 노드내의 모듈간의 통신은 큐(Queue)를 사용하고 보드간의 통신은 특정한 채널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노드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노드간 통신 전용의 보드를 설치하고 시리얼 케이블(Serial Cable)이나 기존 랜(LAN)의 이더넷(Ethernet)을 이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전송된 메시지의 오류 유무를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확인하여야 하고 전용 보드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대처할 방법이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의 선정, 노드간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의 설정,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의 확인, 이상 발생시 우회 채널의 선택, 발생된 이상의 복구시 채널의 복구문제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 노드간 메시지의 통신을 비동기 전송 모드 셀(Asynchronous Transceive Mode Cell: ATM Cell)을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통해서 전송하고, 케이블의 이상이나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의 이상이 발생시 이를 우회하여 노드간 통신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노드간 통신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따른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 노드간 메시지의 통신을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로 전송하고 케이블이 이상이나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의 이상이 발생시 이를 우회하여 노드간 통신을 원할히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를 선정하는 제 1단계;
노드간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제 2단계;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이상 발생시 우회 채널을 선택하는 제 4단계; 및
발생된 이상이 생긴 채널을 복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노드간 통신은 통신 전용 보드인 NIA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NIA의 보드 자체의 문제 또는 NIA간 통신 매체인 광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복수의 NIA를 통해 각 노드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IA보드는 한 스위치 포트당 2장씩 할당되어 하드웨어적인 이중화를 구현하고, 상기 스위치 포트는 노드당 2개씩 할당하여 노드간 통신의 이중화를 구현하는, 따라서 한 노드에 통신 전용 보드가 4장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를 선정하는 제 1단계는,
시스템의 초기화시에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각 노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고, 알고 있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각 노드와의 통신용 비동기 전송 모드 고정 가상 회선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설정된 각 연결이 비동기 전송 모드 소자의 드라이버에 등록되는 과정;
이로부터 생성되는 모든 비동기 전송 모드 셀들을 스위치 보드에서 해당 포트로 내보내기 위해 스위치 보드가 참조하는 메모리에 그 경로 정보를 적어두는 과정; 및
상기 비동기 전송 모드 셀들을 스위치 보드에서 해당 포트로 내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 노드와의 통신용 비동기 전송 모드 고정 가상 회선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가상 패스 식별자/ 가상 채널 식별자는 NIA의 스위치 포트 번호를 가상 패스 식별자로 사용하고, 노드간 통신을 이용하는 모든 가상 채널 식별자 값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노드간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제 2단계에서, 각 통신 채널은 각 노드의 초기화시에 노드 제어부의 NMA 보드와 SIGA 보드에 설정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노드간 통신에 있어서 상기 설정은,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을 이용하는 노드간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NMA 보드와 SIGA보드내의 SARA라는 비동기 전송 모드 소자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사용하는 헤더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셀들이 전달되어야 하는 스위치 포트 번호를 NIA 보드의 번호로 하여, 상기 정보를 스위치 보드에 알려주기 위해 스위치 보드가 참조하는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모리 영역에 기록할 때 이중화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통신 채널의 설정과 더불어 현재 사용할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 3단계는,
노드내의 오류를 감시하는 상위 어플리케이션인 장애 관리 모듈과 구성 관리 모듈에서 ALRAM_NOTI라는 메시지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
상기 미리 설정한 메시지에 오류 발생과 오류 복구의 플래그를 기입하는 과정; 및
오류 발생과 오류 복구의 플래그가 기입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오류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ALRAM_NOTI라는 메시지는 상기 장애 관리 모듈의 보드 장애 및 물리 매체의 장애에 대한 감시 정보와 상기 구성 관리 모듈의 보드의 실장 및 탈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노드에서 초기화시에는 노드간 통신 채널에 대한 오류가 없다고 가정하고 채널 관리 플래그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3단계에서 이상 발생시 우회 채널을 선택하는 상기 제 4단계는,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류 정보를 입수하는 과정;
채널의 상태가 오류로 보고되면 초기에 설정한 채널에 대한 포인터와 각 채널의 오류를 관리하는 플래그를 시용하여 해당 채널을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채널을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애 관리 모듈과 구성 관리 모듈로부터 오류 통보를 받게 되면, 플래그에 오류 발생을 설정하고 채널 정보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이와 함께 운용자에게 오류 발생을 콘솔 화면을 통해 알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계속하여 이중화 통신 채널에도 오류가 발생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채널이 없으면 노드간 통신 채널이 모두 사용 불가임을 알리고 채널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발생된 이상이 생긴 채널을 복구하는 제 5단계는,
상위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오류가 복구되었다고 통보가 오는 과정;
다시 그 채널로 채널 정보 포인터를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로 옮기고 채널 관리 플래그에 오류 해제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처음에 사용하던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여 이중화 채널을 사용하던 중에 오류가 복구되면 사용하는 채널은 다시 처음 통신 채널로 바뀌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노드간 통신 채널의 우선권은 먼저 설정된 통신 채널에 높은 우선권을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은 노드간 통신 채널의 구성부와 채널 관리부,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정보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의 세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드간 통신 채널의 구성부에서는 시스템의 초기화시에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각 노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노드와의 통신용 비동기 전송 모드 고정 가상 회선(Permanent Virtual Circuit: PVC) 연결을 설정한다. 이때 사용하는 가상 패스 식별자(Virtual Path Identifier: VPI)/가상 채널 식별자(Virtual Channel Identifier: VCI)는 NIA(Node Interface Assembly)의 스위치 포트 번호를 가상 패스 식별자로 사용하고 노드간 통신을 이용하는 모든 가상 채널 식별자 값을 미리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각 연결은 비동기 전송 모드 소자의 드라이버(Driver)에 등록이 된다. 이로부터 생성되는 모든 비동기 전송 모드 셀들을 스위치 보드(Cell Switching Assembly: CSA)에서 해당 포트로 내보내기 위해 스위치 보드가 참조하는 메모리에 그 경로 정보(Routing Information)를 적어둔다.
한편, 노드내의 오류를 감시하는 상위 어플리케이션인 장애 관리 모듈과 구성 관리 모듈로부터 미리 설정한 메시지에 오류 발생과 오류 복구의 플래그(Flag)를 기입하여 주고 받으면서 오류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정보 처리부를 구성한다.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정보 처리부에서 입수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 채널을 관리하는 채널 관리부에서는 채널의 상태가 오류로 보고되면 초기에 설정한 노드간 통신 채널에 대한 포인터와 각 채널의 오류를 관리하는 플래그를 사용하여 해당 채널을 통하지 않고 우회하는 다른 채널을 사용한다.
이때 채널을 지시하는 포인터는 사용 가능한 채널을 가리키고 있게 하고 오류 발생 채널의 상태가 복구로 바뀌면 다시 그 채널로 복귀하게 된다. 즉 사용 채널의 우선 순위는 설정된 채널중 먼저 설정된 채널에 우선권을 주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구성부의 동작을 통해 노드간 통신 채널의 오류 발생시에 그 오류를 복구할 때까지 통신 채널을 우회시켜 이중화를 구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한 설명에 부가하여 동작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신 시스템의 구조와 관련된 전용 보드인 NIA(Node Interface Assembly)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어 있는 시스템인 ATM-MSS 시스템은 본 스위치 노드(Host Switching Node: HSN)와 다수의 원격 스위치 노드(Remote Switching Node: RSN)로 구성되는데 본 스위치 노드에는 네트웍 전반에 걸친 운용과 관련된 정보들을 처리하는 기능이 있어서 네트웍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S)이 연결되고 원격 스위치 노드에는 가입자 보드들이 설치되어 네트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본 스위치 노드와 원격 스위치 노드 간의 통신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노드간 통신이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드간 통신에 대해 살펴보면, 노드간 통신은 통신 전용 보드인 NIA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NIA의 보드 자체의 문제 또는 NIA 간의 통신 매체인 광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복수의 NIA를 통하여 각 노드를 연결한다. 즉, 각 NIA 보드는 한 스위치 포트당 2장씩 할당되어 하드웨어적인 이중화를 구현하고 노드간 통신의 이중화를 위해 노드당 스위치 포트를 2개씩 할당하여, 한 노드에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가 4장이 설치된다.
이러한 각 통신 채널은 각 노드의 초기화시에 노드 제어부(Control shelf)의 NMA(Network Management Assembly) 보드와 SIGA(SIGnalling Assembly) 보드에 설정이 된다. 이 설정은 노드간 통신 방법을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을 이용하도록 하여 NMA, SIGA보드내의 SARA라는 비동기 전송 모드 소자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사용하는 헤더(Header) 정보를 설정하고 이들 셀들이 전달되어야 하는 스위치 포트 번호를 NIA 보드의 번호로 하여 이 정보를 스위치 보드(Cell Switching Assembly: CSA)에 알려주기 위해 스위치 보드가 참조하는 메모리 영역에 기록한다. 이때 이중화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통신 채널의 설정과 더불어 현재 사용할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설정한다.
각 노드에서 초기화시에는 노드간 통신 채널에 대한 오류가 없다고 가정하고 채널 관리 플래그를 설정하고 장애 관리 모듈과 구성 관리 모듈로부터 오류 통보를 받게 되면 플래그에 오류 발생을 설정하고 채널 정보 포인터를 이동시킨다. 이와 함께 운용자에게 오류 발생을 콘솔(Console) 화면을 통해 알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이중화 통신 채널에도 오류가 발생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채널이 없으면 노드간 통신 채널이 모두 사용 불가임을 알리고 채널을 사용하지 않는다. 한편 오류가 복구되었다는 통보가 상위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오면 다시 그 채널로 채널 정보 포인터를 옮기고 플래그에 오류 해제를 설정한다.
처음에 사용하던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여 이중화 채널을 사용하던 중에 오류가 복구되면 사용하는 채널은 다시 처음 통신 채널로 바뀌게 된다. 즉, 노드간 통신 채널의 우선권은 먼저 설정된 통신 채널에 높은 우선권을 주도록 한다.
이러한 통신 채널의 이중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장애 관리 모듈과의 오류 발생 및 해제의 통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애 관리 모듈의 보드 장애 및 물리 매체의 장애에 대한 감시 정보와 구성 관리 모듈의 보드의 실장 및 탈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ALRAM_NOTI라는 메시지를 정의하여 메시지내에 오류 발생과 오류 해제를 포함하도록 하여 이벤트(Event) 발생시 본 발명의 모듈로 알리게 하여 채널 정보 포인터와 채널 관리 플래그를 운용한다.
ALRAM_NOTI 메시지가 통보되면 오류 발생의 경우, 사용하던 통신 채널에 대한 채널 관리 플래그에 오류 발생을 설정하고 채널 정보 포인터를 이중화 채널로 옮긴다. 한편, 오류 해제의 경우에는 채널 관리 플래그에 오류 해제를 설정하고 채널 정보 포인터를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로 옮긴다. 오류 발생으로 이중화 채널을 사용하던중 다시 이중화 채널에도 오류가 발생하면 노드간 통신은 지원할 수 없다. 따라서 오류 발생의 경우에는 운용자 콘솔 화면에 발생 내용을 알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노드간 통신의 경우 시리얼 케이블이나 이더넷이 아닌 155Mbps의 속도를 갖는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의 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보다 빠르며, 하드웨어에서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의 오류를 감시하고 메시지의 변환 및 복원을 수행하도록 하여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노드간 통신 채널을 복수개로 설정하고 각 채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며 상위 어플레케이션들과의 긴밀한 정보 교환으로 전용 통신 모드의 이상 발생이나 물리 매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운용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오류가 발생한 채널을 우회하여 이중화를 구현함으로써 안정된 노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 노드간 메시지의 통신을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로 전송하고 케이블이 이상이나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의 이상이 발생시 이를 우회하여 노드간 통신을 원할히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를 선정하는 제 1단계;
    노드간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제 2단계;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3단계에서 이상 발생시 우회 채널을 선택하는 제 4단계; 및
    발생된 이상이 생긴 채널을 복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간 통신은 통신 전용 보드인 NIA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NIA의 보드 자체의 문제 또는 NIA간 통신 매체인 광케이블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복수의 NIA를 통해 각 노드를 연결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NIA보드는 한 스위치 포트당 2장씩 할당되어 하드웨어적인 이중화를 구현하고, 상기 스위치 포트는 노드당 2개씩 할당하여 노드간 통신의 이중화를 구현하는, 따라서 한 노드에 통신 전용 보드가 4장이 설치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간 통신 전용 보드를 선정하는 제 1단계는,
    시스템의 초기화시에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각 노드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고, 알고 있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각 노드와의 통신용 비동기 전송 모드 고정 가상 회선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설정된 각 연결이 비동기 전송 모드 소자의 드라이버에 등록되는 과정;
    이로부터 생성되는 모든 비동기 전송 모드 셀들을 스위치 보드에서 해당 포트로 내보내기 위해 스위치 보드가 참조하는 메모리에 그 경로 정보를 적어두는 과정; 및
    상기 비동기 전송 모드 셀들을 스위치 보드에서 해당 포트로 내보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노드와의 통신용 비동기 전송 모드 고정 가상 회선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가상 패스 식별자/ 가상 채널 식별자는 NIA의 스위치 포트 번호를 가상 패스 식별자로 사용하고, 노드간 통신을 이용하는 모든 가상 채널 식별자 값을 미리 설정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간 통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 제 2단계에서, 각 통신 채널은 각 노드의 초기화시에 노드 제어부의 NMA 보드와 SIGA 보드에 설정이 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간 통신에 있어서 상기 설정은, 비동기 전송 모드 셀을 이용하는 노드간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NMA 보드와 SIGA보드내의 SARA라는 비동기 전송 모드 소자를 구동하는 드라이버에 사용하는 헤더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셀들이 전달되어야 하는 스위치 포트 번호를 NIA 보드의 번호로 하여, 상기 정보를 스위치 보드에 알려주기 위해 스위치 보드가 참조하는 메모리 영역에 기록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영역에 기록할 때 이중화를 위해 구성되어 있는 통신 채널의 설정과 더불어 현재 사용할 채널에 대한 정보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설정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위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이용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제 3단계는,
    노드내의 오류를 감시하는 상위 어플리케이션인 장애 관리 모듈과 구성 관리 모듈에서 ALRAM_NOTI라는 메시지를 미리 설정하는 과정;
    상기 미리 설정한 메시지에 오류 발생과 오류 복구의 플래그를 기입하는 과정; 및
    오류 발생과 오류 복구의 플래그가 기입된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오류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LRAM_NOTI라는 메시지는 상기 장애 관리 모듈의 보드 장애 및 물리 매체의 장애에 대한 감시 정보와 상기 구성 관리 모듈의 보드의 실장 및 탈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각 노드에서 초기화시에는 노드간 통신 채널에 대한 오류가 없다고 가정하고 채널 관리 플래그를 설정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이상 발생시 우회 채널을 선택하는 상기 제 4단계는,
    상위 어플리케이션과의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류 정보를 입수하는 과정;
    채널의 상태가 오류로 보고되면 초기에 설정한 채널에 대한 포인터와 각 채널의 오류를 관리하는 플래그를 시용하여 해당 채널을 통과하지 않고 우회하는 채널을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장애 관리 모듈과 구성 관리 모듈로부터 오류 통보를 받게 되면, 플래그에 오류 발생을 설정하고 채널 정보 포인터를 이동시키고, 이와 함께 운용자에게 오류 발생을 콘솔 화면을 통해 알리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계속하여 이중화 통신 채널에도 오류가 발생하여 사용 가능한 다른 채널이 없으면 노드간 통신 채널이 모두 사용 불가임을 알리고 채널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된 이상이 생긴 채널을 복구하는 제 5단계는,
    상위 어플리케이션 모듈로부터 오류가 복구되었다고 통보가 오는 과정;
    다시 그 채널로 채널 정보 포인터를 우선 순위가 높은 채널로 옮기고 채널 관리 플래그에 오류 해제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처음에 사용하던 채널에 오류가 발생하여 이중화 채널을 사용하던 중에 오류가 복구되면 사용하는 채널은 다시 처음 통신 채널로 바뀌게 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노드간 통신 채널의 우선권은 먼저 설정된 통신 채널에 높은 우선권을 주도록 하는,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KR1019970081496A 1997-12-31 1997-12-31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KR19990061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96A KR19990061240A (ko) 1997-12-31 1997-12-31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1496A KR19990061240A (ko) 1997-12-31 1997-12-31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1240A true KR19990061240A (ko) 1999-07-26

Family

ID=66181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1496A KR19990061240A (ko) 1997-12-31 1997-12-31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124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03A (ko) * 1999-08-19 2000-05-06 이광호 케이블망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시스템
KR20020058636A (ko) * 2000-12-30 2002-07-12 오길록 광네트워크에서 손상된 광링크의 동적인 복구 방법
KR20020061397A (ko) * 2001-01-16 2002-07-24 텔레드림 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통합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광역 통신망구간을 경유하지 않는 구내 전화 연결 서비스 및 랜 구간2중화 시스템
KR20020067336A (ko) * 2001-02-16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의 안정성을 기하는 방법
KR100417817B1 (ko) * 2001-10-22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가변형 보호채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26476B1 (ko) * 1999-10-28 2004-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KR100438547B1 (ko) * 2001-11-07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onet 프레임 헤더를 이용한 물리 링크 이중화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0491882B1 (ko) * 2000-12-28 2005-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의 이중화 기지국운용장치 및 그 방법
KR100932909B1 (ko) * 2007-11-09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코디네이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03A (ko) * 1999-08-19 2000-05-06 이광호 케이블망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시스템
KR100426476B1 (ko) * 1999-10-28 2004-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KR100491882B1 (ko) * 2000-12-28 2005-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의 이중화 기지국운용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58636A (ko) * 2000-12-30 2002-07-12 오길록 광네트워크에서 손상된 광링크의 동적인 복구 방법
KR20020061397A (ko) * 2001-01-16 2002-07-24 텔레드림 주식회사 음성 데이터 통합 서비스 장치를 이용한 광역 통신망구간을 경유하지 않는 구내 전화 연결 서비스 및 랜 구간2중화 시스템
KR20020067336A (ko) * 2001-02-16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의 안정성을 기하는 방법
KR100417817B1 (ko) * 2001-10-22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가변형 보호채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38547B1 (ko) * 2001-11-07 200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Sonet 프레임 헤더를 이용한 물리 링크 이중화 구현시스템 및 방법
KR100932909B1 (ko) * 2007-11-09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코디네이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8568B2 (ja) 冗長制御の切替
US6895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arting fault tolerance in a switch or the like
US6973229B1 (en) Node architecture for modularized and reconfigurable optical networks, and methods and apparatus therefor
US923709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pdating ring network topology information
US200800865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US200301379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anagement of fabric links for a network element
JPH10326261A (ja) 分散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ハードウェア要素によりエラーを報告するシステム
KR19990061240A (ko)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JP2001127761A (ja) Mpls通信方式における通信データ確認試験方法及びその方法を利用するルータ,交換機,通信システム
EP0965196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equipment and switching functionality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3990145B2 (ja) 通信トランスポートネットワークとその動作方法
JPH10326260A (ja) 分散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ハードウェア要素によりエラーを報告する方法
May et al. A fast restoration system for ATM-ring-based LANs
JP4402844B2 (ja) ネットワーク構成装置
JP4781696B2 (ja) Ip電話システム
KR0175737B1 (ko) 비동기식 분산형 교환 시스템
JP3517164B2 (ja) 二重化切替機能を有した通信装置
JPH09266480A (ja) Atmスイッチにおける通信コネクション張り替え方法
JP4153365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制御装置、ネットワーク接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接続制御方法
JP4781697B2 (ja) Ip電話システム
JPH11112504A (ja) Lanエ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atmスイッチ
KR20030064072A (ko) Atm 교환 시스템에서 이중 미디어 게이트웨이 장치 및제어 방법
JP3582647B2 (ja) 通信制御冗長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冗長方法
JP3532762B2 (ja) 情報交換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3776267B2 (ja) 多重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