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476B1 -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476B1
KR100426476B1 KR10-1999-0047293A KR19990047293A KR100426476B1 KR 100426476 B1 KR100426476 B1 KR 100426476B1 KR 19990047293 A KR19990047293 A KR 19990047293A KR 100426476 B1 KR100426476 B1 KR 100426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access network
protocol
information
switch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070A (ko
Inventor
주철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47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66Bandwidth allocation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을 정합하는 V5.2 프로토콜 메시지에 C-채널 검증 절차 정보를 추가하여 데이터 링크의 장애 발생으로 인한 이중화 절체시 C-채널 형상 정보의 불일치로 인한 이중화 절체의 실패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 메시지에 C-채널 관리를 위한 메시지를 추가하여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간에 사용되는 C-채널들에 대한 할당 상태 확인 및 각 액티브 C-채널들에 대한 논리 C-채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 간에 데이터 링크 설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데이터 링크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로컬 교환 시스템은 자신의 C-채널 정보를 엑세스 망측에 통보하는 과정과, 엑세스 망은 수신된 C-채널의 정보를 자신의 C-채널 정보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C-채널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엑세스 망에서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의 변경이 완료되면 C-채널의 검증 결과를 로컬 교환 시스템측에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V5.2 서비스를 제공하며, 링크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링크로의 절체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C-Channel Management of V5.2 Protocol}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Protocol)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컬 교환 시스템(Local Exchange;LE)과 엑세스 망(Access Network ;AN)을 정합하는 V5.2 프로토콜 메시지에 C-채널 검증 절차 정보를 추가하여 링크의 장애 발생으로 인한 이중화 절체시 C-채널 형상 정보의 불일치로 인한 이중화 절체의 실패를 방지하도록 한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제적 표준(ETSI 300 324-1, ETSI 300 347-1, ITU-T G.964, ITU-T G.965)에서 제공하고 있는 V5.2프로토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의 사이에서 PROTECTION 프로토콜과 LINK CONTROL 프로토콜, CONTROL 프로토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프로토콜, BCC(Bearer Channel Connection) 프로토콜을 통한 인터페이스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아날로그 일반 전화 및 공중 전화의 접속과, 권고안 ITU-T G.960과 I.430을 준수하는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BRA(Basic Rate Access)접속과, 권고안 ITU-T G.962와 I.431을 준수하는 ISDN PRA(Primary Rate Access)접속 및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전용회선 접속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간의 PSTN 프로토콜은 엑세스 망(AN)이 호 진행을 제어하지 않고 V5.2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날로그 상태 정보를 로컬 교환 시스템(LE)의 프로토콜 실체에 전달하는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고, BCC 프로토콜은 로컬 교환 시스템(LE)의 제어하에 엑세스 망(AN)의 특정 사용자 포트와 특정 V5.2 인터페이스 타임 슬롯간에 하나의 호 단위로 호 연결의 설정 및 해제를 엑세스 망(AN)측에 요청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간을 정합하는 V5.2 프로토콜에서 C-채널들은 각각의 논리 C-채널 번호가 부여된다.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간의 V5.2 인터페이스가 서비스 가능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시동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 시동 절차에는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는 사이의 각 C-채널들에 할당된 논리 C-채널 번호들에 대한 확인 절차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논리 C-채널 번호들은 V5.2 링크 상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액티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C-채널을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링크의 C-채널로 이중화 절체시키는데 필요한 PROTECTION 프로토콜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이중화 절체의 경우 엑세스 망(AN)의 개시에 의한 절체의 동작과 로컬 교환 시스템(LE)의 개시에 의한 절체의 동작으로 구분된다.
먼저, 로컬 교환 시스템(LE)의 개시에 의한 C-채널의 절체에 대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컬 교환 시스템(LE)과 엑세스 망(AN)간의 V5.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로 할당된 C-채널을 운용하는 도중에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로컬 교환 시스템(LE)의 프로세서는 해당 링크에 운용 중인 액티브 상태의 C-채널을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링크로 절체시키기 위하여 엑세스망(AN)측으로 절체를 요구하는 'SWITCH-OVER COM'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C-채널의 절체 요구에 대한 'SWITCH-OVER COM' 메시지를 수신한 엑세스 망(AN)의 프로세서는 로컬 교환 시스템(LE)측에서 수신한 논리 C-채널의 번호를자신이 가지고 있는 논리 C-채널의 번호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절체 동작을 수행하고, 서로 다른 경우에는 로컬 교환 시스템(LE)측으로 절체 불가능에 대한 메시지, 즉 'SWITCH-OVER REJ'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이중화 절체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엑세스 망(AN)의 개시에 의한 절체 동작의 경우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컬 교환 시스템(LE)과 엑세스 망(AN)간의 V5.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로 할당된 C-채널을 운용하는 도중에 링크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엑세스 망(AN)의 프로세서는 해당 링크에 운용 중인 액티브 상태의 C-채널을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링크로 절체시키기 위하여 로컬 교환 시스템(LE)측으로 절체를 요구하는 'SWITCH-OVER REQ'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C-채널의 절체 요구에 대한 'SWITCH-OVER REQ' 메시지를 수신한 로컬 교환 시스템(LN)의 프로세서는 엑세스 망(AN)측에서 수신한 논리 C-채널의 번호를자신이 가지고 있는 논리 C-채널의 번호와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절체 동작을 수행하고, 서로 다른 경우에는 엑세스 망(AN)측으로 절체 불가능에 대한 메시지, 즉 'SWITCH-OVER REJ' 메시지를 전송한 다음 이중화 절체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을 정합하는V5.2 프로토콜에서 링크 장애의 발생에 따라 해당 링크에서 운용중인 액티브 상태의 C-채널을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링크로 절체를 요구되더라도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 간의 논리 C-채널 번호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이중화 절체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해당 V5.2 인터페이스를 통한 호 처리가 불가능해지거나 서비스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엑세스 망과 로컬 교환 시스템을 정합하는 V5.2 프로토콜에 논리 C-채널의 정보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추가하고, 데이터 링크의 설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로컬 교환 시스템에서 엑세스 망측에 자신의 C-채널 정보를 전송하여 엑세스 망으로 하여금 수신된 C-채널의 정보가 자신의 정보와 상이한 경우 로컬 교환 시스템에서 제공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를 변경하거나 운용자에게 통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링크 장애에 의한 이중화 절체시에 V5.2 서비스의 제공에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V5.2 인터페이스를 통한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의 정합을 보이는 일반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의 정합에서 로컬 교환 시스템에 의한 C-채널의 절체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로컬 교환 시스템과 억세스 망의 정합에서 엑세스 망에 의한 C-채널의 절체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V5.2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되는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의 시동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을 정합하는 V5.2 프로토콜에서 C-채널의 검증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N : 엑세스 망 LE : 로컬 교환 시스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에 있어서, V5.2 프로토콜 메시지에 C-채널 관리를 위한 메시지를 추가하여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간에 사용되는 C-채널들에 대한 할당 상태 확인 및 각 액티브 C-채널들에 대한논리 C-채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 간에 데이터 링크 설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데이터 링크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로컬 교환 시스템은 자신의 C-채널 정보를 엑세스 망측에 통보하는 과정과, 엑세스 망은 수신된 C-채널의 정보를 자신의 C-채널 정보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C-채널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엑세스 망에서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의 변경이 완료되면 C-채널의 검증 결과를 로컬 교환 시스템측에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V5.2 프로토콜을 이용한 로컬 교환 시스템(LE)과 엑세스 망(AN)의 정합은 전술한 도 1의 구성과 같이 이루어지며, C-채널들에 대한 검증은 V5.2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5가지의 프로토콜(PROTECTION, LINK CONTROL, CONTROL, BCC, PSTN)중에서 'PROTECTIO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시하며, C-채널들에 대한 검증은 V5.2 인터페이스의 시동 절차에 포함된다.
V5.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간의 시동 절차는 첨부된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링크의 설정 절차(S101)와 각각에 대한 인터페이스 ID의 확인 절차(S102), 링크 식별의 절차(S103), PSTN 재시동(RESTART)의 절차(S104) 및 UBA(Unblock All)의 절차(S10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C-채널에 대한 검증 절차는 V5.2 프로토콜을 이용한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간의 시동 절차중에 적절한 시점이면 언제든 개시 가능하나 'PROTECTION' 프로토콜을 위한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어 있어야 가능하므로, 데이터 링크의 설정이 완료된 이후에 C-채널의 검증 절차를 개시함을 전제로 하며, C-채널의 검증 절차 개시는 로컬 교환 시스템(LE)측에서만 개시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을 정합하는 V5.2 프로토콜 인터페이스에서 C-채널의 검증 절차를 위해서 하기의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V5.2 프로토콜의 5개 프로토콜 중 하나인 'PROTECTION' 프로토콜의 'Set of protection protocol message'내에 'CHANNEL-INFO REQ'와 'CHANNEL-INFO ACK'의 새로운 메시지를 추가한다.
coding within the message type information element7 6 5 4 3 2 1 message of the protection protocol
1 0 0 0 0 0 0 CHANNEL-INFO REQ
1 0 0 0 0 0 1 CHANNEL-INFO ACK
상기의 표 1에서 새로이 추가된 메시지의 경우 첨부된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HANNEL-INFO REQ' 메시지의 경우 로컬 교환 시스템(LE)에서 자신의 C-채널에 대한 정보를 엑세스 망(AN)측에 통보하는데 사용되어지고, 'CHANNEL-INFO ACK' 메시지의 경우 엑세스 망(AN)이 자신의 C-채널에 대한 검증 결과를 상기 로컬 교 시스템(LE)측에 통보하는데 사용되어지며, 'CHANNEL-INFO REQ' 메시지의 경우 하기의 표 2와 같은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와 전송 방향(Direction), 메시지 형태(Type) 및 데이터 길이(Length)를 갖으며, 'CHANNEL-INFO ACK' 메시지의 경우 하기의 표 3과 같은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와 전송 방향(Direction), 메시지 형태(Type) 및 데이터 길이(Length)를 갖는다.
Information element Direction Type Length
Protocol Discriminator LE to AN M 1
Logical C-Channel identification LE to AN M 2
Message Type LE to AN M 1
Sequence Number LE to AN M 3
Physical C-Channel identification LE to AN M 4
C-Path information LE to AN M 3
Information element Direction Type Length
Protocol Discriminator AN to LE M 1
Logical C-Channel identification AN to LE M 2
Message Type AN to LE M 1
Sequence Number AN to LE M 3
Physical C-Channel identification AN to LE M 4
C-Path information AN to LE M 3
또한, 상기의 표 2와 표 3에서 'Information element'내의 'C-Path information'을 위해 추가되는 메시지의 정보는 하기의 표 4와 같이 된다.
(1) Protection protocol specific information element
Information element coding8 7 6 5 4 3 2 1 Message of the protection protocol
0 1 0 1 1 0 0 0 C-Path information
(2) C-Path Information element
8 7 6 5 4 3 2 1
0 1 0 1 1 0 0 0
Length the information element content
1Ext 0 0 0 0 C-path information
상기에서 C-Path information은 다음과 같이 코딩된다.
해당 C-Path 정보가 할당된 경우는 '1'로 셋팅하고 C-Path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는 '0'으로 셋팅하며, 각 프로토콜의 C-Path는 하기의 표 5와 같이 사용된다.
3 2 1
ISDN_Ds ISDN_P ISDN_F
상기한 바와 같이 V5.2 프로토콜의 'PROTECTION' 에 상기한 표와 같이 정의되는 새로운 메시지가 추가된 상태에서의 C-채널에 대한 검증 동작은 다음과 같다.
로컬 교환 시스템(LE)과 엑세스 망(AN)이 V5.2 프로토콜을 통해 정합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시동 절차가 완료되면 로컬 교환 시스템(LE)은 상기한 표와 같이 정의되는 추가 메시지 'CHANNEL-INFO REQ'를 통해 자신의 C-채널에 대한 정보를 엑세스 망(AN)측에 전송한다.
이때, 엑세스 망(AN)은 로컬 교환 시스템(LE)로부터 수신되는 'CHANNEL-INFO REQ'에 포함되어 있는 C-채널의 정보를 자신의 C-채널의 정보와 비교 분석한 다음, 서로 상이한 경우 상기 로컬 교환 시스템(LE)에서 제공한 C-채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를 변경하거나 엑세스 망(AN)의 운용자에게 통보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형상 정보를 변경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엑세스 망(AN)측에서 로컬 교환 시스템(LE)간의 V5.2 프로토콜에 대한 C-채널의 정보가 일치되도록 조정되어지면 엑세스 망(AN)은 로컬 교환 시스템(LE)측에 C-채널의 검증 결과에 대한 메시지 'CHANNEL-INFO ACK'를 이용하여 C-채널에 대한 검증 절차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하여 준다.
따라서, 로컬 교환 시스템(LE)과 엑세스 망(AN)간에 V5.2 프로토콜로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데이터 링크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현재 액티브 상태의 C-채널의 정보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스탠바이 상태의 다른 링크로 절체를 수행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연속성을 안정되게 유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C-채널의 검증 절차를 통해 로컬 교환 시스템(LE)과 엑세스 망(AN)간에 접속되는 모든 C-채널들에 대한 할당 상태 확인 및 각 액티브 C-채널들에 대한 논리 C-채널이 일치하는가의 확인을 포함하며, ISDN_Ds, ISDN_P, ISDN_F 가 할당된 C-채널들에 대하여 엑세스 망(AN)과 로컬 교환 시스템(LE)간에 정확한 형상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확인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을 연결하는 V5.2 프로토콜에 C-채널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있는 V5.2 서비스를 제공하며, 링크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다른 링크로의 절체를 안정되게 수행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에 신뢰성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Claims (6)

  1. V5.2 프로토콜에 있어서,
    상기 V5.2 프로토콜 메시지에 C-채널 관리를 위한 메시지를 추가하여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간에 사용되는 C-채널들에 대한 할당 상태 확인 및 각 액티브 C-채널들에 대한 논리 C-채널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되는 메시지는, 로컬 교환 시스템에서 엑세스 망측으로 C-채널의 정보를 통보하는 메시지와 상기 통보된 C-채널에 대한 검증 결과를 엑세스 망측에서 로컬 교환 시스템측으로 통보하는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되는 메시지는, V5.2 프로토콜 중의 하나인 'PROTECTION' 프로토콜 내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된 메시지를 통해 ISDN_Ds, ISDN_P, ISDN_F가 할당된 C-채널들에 대하여 엑세스 망과 로컬 교환 시스템간의 각각에 대하여 정확한 형상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5. 로컬 교환 시스템과 엑세스 망 간에 데이터 링크 설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데이터 링크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로컬 교환 시스템은 자신의 C-채널 정보를 엑세스 망측에 통보하는 과정과;
    엑세스 망은 수신된 C-채널의 정보를 자신의 C-채널 정보와 비교하여 서로 상이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C-채널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를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엑세스 망에서 자신의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의 변경이 완료되면 C-채널의 검증 결과를 로컬 교환 시스템측에 통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과정에서 로컬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C-채널에 대한 정보가 엑세스 망 자신의 C-채널 정보와 서로 상이한 경우 엑세스 망 운용자에게 통지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C-채널에 대한 형상 정보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KR10-1999-0047293A 1999-10-28 1999-10-28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KR10042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293A KR100426476B1 (ko) 1999-10-28 1999-10-28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293A KR100426476B1 (ko) 1999-10-28 1999-10-28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70A KR20010039070A (ko) 2001-05-15
KR100426476B1 true KR100426476B1 (ko) 2004-04-13

Family

ID=1961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293A KR100426476B1 (ko) 1999-10-28 1999-10-28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4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245A (ja) * 1997-09-25 1999-04-09 Nec Corp 加入者アクセス系の多段接続方法及び装置
KR19990049842A (ko) * 1997-12-15 1999-07-05 윤종용 교환기 프로토콜 디바이스 프로세서의 이중화 처리방법
KR19990055737A (ko) * 1997-12-27 1999-07-15 이계철 광가입자 전송장치와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간의 v5.2 프로비젼처리 방법
KR19990061240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KR20010028719A (ko) * 1999-09-22 2001-04-06 서평원 브이 5.2 피 에스 티 엔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자원 해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245A (ja) * 1997-09-25 1999-04-09 Nec Corp 加入者アクセス系の多段接続方法及び装置
KR19990049842A (ko) * 1997-12-15 1999-07-05 윤종용 교환기 프로토콜 디바이스 프로세서의 이중화 처리방법
KR19990055737A (ko) * 1997-12-27 1999-07-15 이계철 광가입자 전송장치와 디지틀 전전자 교환기간의 v5.2 프로비젼처리 방법
KR19990061240A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노드간 통신 채널의 이중화 방법
KR20010028719A (ko) * 1999-09-22 2001-04-06 서평원 브이 5.2 피 에스 티 엔 프로토콜 메시지를 이용한 자원 해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070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11964A (ja) 電気通信システム用の冗長構成
KR100434348B1 (ko) 지능망 시스템의 특수자원 다중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375117A (en) Maintenan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in an ISDN service
KR100426476B1 (ko) 브이 5.2 프로토콜의 씨 채널 관리방법
JP3544287B2 (ja) 故障した通信リンクからチャネルを回復するためのフレキシブルレートインタフェース(fri)リンクの設定
EP0835038B1 (en) ISDN BRI link restoration without loss of calls
US6584112B1 (en) Exchange guaranteed to have same terminal identifier information as that of subscriber terminal equipment
KR100309187B1 (ko) V5.2 링크 제어방법
KR20050023674A (ko) 브이5.2 프로토콜 처리 시스템의 이중화 처리 방법
KR100326114B1 (ko) 브이5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장치의 가입자 포트 상태관리방법
KR100386561B1 (ko) 데이터 링크 설정 방법
KR100404175B1 (ko) V5.2인터페이스운용방법
KR100419014B1 (ko) 전전자교환기와 전송장비 간의 하나의 링크 스타트업지원방법
KR100451785B1 (ko) 물리링크(e1) 수 변동에 따른 v5.2리 프로비젼 절차방법
KR930010916B1 (ko) CCITT No. 7 신호방식의 신호연결 제어부간 동적주종 방법에 의한 신호망 관련데이터 일치방법
JP3165081B2 (ja) 中央集中化されたパケット処理器を有するisdn交換機において単一モ−ドで動作するdチャネルパケット処理器の二重化方法
KR20040072003A (ko) 브이 5.2 프로토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컬 교환기와 그형상 정보 관리 방법
KR20020095270A (ko) 브이5.2 인터페이스에서 데이터 링크 설정 방법
JP2001268090A (ja) Atm通信パスisdn公衆網迂回方式
KR930010917B1 (ko) CCITT No. 7 신호방식의 신호연결 제어부간 동작대기 방법에 의한 신호망 관련데이터 일치방법
KR100640358B1 (ko) 브이5인터페이스에서가입자포트관리방법
KR100323228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넘버.7신호단말관리장치및그방법
KR20030055563A (ko) 브이5.2 인터페이스 채널 검증방법
KR100236905B1 (ko) 개인휴대통신 시스템의 신호단말 할당방법
KR20000044388A (ko) 브이5.2 보호 프로토콜에서의 보호 절체 절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