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626A -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626A
KR19990059626A KR1019970079838A KR19970079838A KR19990059626A KR 19990059626 A KR19990059626 A KR 19990059626A KR 1019970079838 A KR1019970079838 A KR 1019970079838A KR 19970079838 A KR19970079838 A KR 19970079838A KR 19990059626 A KR19990059626 A KR 1999005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user
group
present
fai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1151B1 (ko
Inventor
서석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1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5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64Multi-address calling
    • H04N1/32069Multi-address calling simultaneously to a plurality of destinations, e.g. multi-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07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lating to particular apparatus or devices
    • H04N1/0001Transmission systems 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71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ction taken
    • H04N1/00074Indicating or reporting
    • H04N1/00076Indicating or repor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14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related to a single-mode communication, e.g. at the transmitter or at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609Fault detection or counter-measures, e.g. original mis-positioned, shortage of paper
    • H04N1/32646Counter-measures
    • H04N1/32651Indicating or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job status, e.g. successful exec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송신 기능을 갖는 복합기에서 다중 송신 중에 송신 결과를 사용자에 알려주는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설정된 그룹 전화번호로 데이터송신도중 현재까지 완료된 다이얼 정보와 실패한 다이얼 정보를 메모리부에 기록하여 정리해 놓았다가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비트맵 포맷으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송신도중 송신 결과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사용자가 현재까지 진행된 송신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실패한 전화번호 등을 기록보관하고 있다가 추후에 재다이얼링할 수 있게 하며, 다중 송신 중에 복합기에 전원인 단절되는 경우 그룹 내 모든 전화번호에 대해 재전송을 하지 않게 하고, 실패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전화를 해서 원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여 그룹 전화번호에서 삭제하여 무의미하게 다이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본 발명은 송신 결과 보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송신 기능을 갖는 복합기에서 다중 송신 중에 송신 결과를 사용자에 알려주는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프린터, 스캐너 및 팩스 등과 같은 사무 자동화(OA) 기기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각각의 사무 자동화 기기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고가의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한편,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각각의 사무 자동화 기기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는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기를 일반적으로 복합기라고 하고, 복합기는 일반적으로 송신할 전화번호를 그룹으로 관리하여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 송신 기능을 갖는다.
이런 복합기에서 그룹 송신이 시작되면 등록된 그룹의 전화번호를 순서대로 다이얼링하여, 연결된 전화번호에 대해 데이터 송신한다. 이때, 연결된 전화번호에 대해 데이터 송신에 관한 결과를 송신 결과 리스트에 기록하는데, 송신이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 성공한 경우 송신된 데이터의 페이지 수 및 송신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각각 기록한다.
그룹 다이얼링이 완료되면 복합기는 송신 결과를 인쇄하게 되고, 사용자는 인쇄된 송신 결과를 보고 각 전화번호에 대해 데이터 전송 성공 여부 및 전송된 페이지 수, 소요된 시간 등을 알 수 있으므로, 실패한 전화번호를 재 다이얼할 수 있다.
이처럼, 그룹 다이얼링을 통한 다중 송신 중인 경우 종래에 전송 결과 보고 방식은 송신이 완료되고 난 후 송신 결과 리스트를 출력하므로, 그룹 다이얼링 개수가 많은 경우 사용자가 송신 결과를 알기 위해 많은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룹 다이얼링에 의해 다중 송신 중에 복합기에 전원 공급이 단절되는 경우 현재 몇 곳에 데이터가 송신되었으며, 현재까지의 송신 결과를 알 수가 없어 다시 그룹 내의 모든 전화번호에 대해 다중 송신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송신도중 송신 결과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사용자가 현재까지 진행된 송신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실패한 전화번호 등을 기록보관하고 있다가 추후에 재다이얼링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송신 중에 복합기에 전원인 단절되는 경우 그룹내 모든 전화번호에 대해 재전송을 하지 않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패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전화를 해서 원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여 그룹 전화번호에서 삭제하여 무의미하게 다이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중 송신 기능을 갖는 복합기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상태전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메모리
30 : 조작패널 40 : 독취부
50 : 모뎀 60 : 네트워크유니트
70 : 인쇄부 80 : 센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중 송신 기능을 갖는 복합기에서, 기설정된 그룹 전화번호로 데이터송신도중 현재까지 완료된 다이얼 정보와 실패한 다이얼 정보를 메모리부에 기록하여 정리해 놓았다가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비트맵 포맷으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료된 다이얼 정보는 성공한 전화번호, 송신한 페이지 매수, 시작시간 및 송신소요시간 정보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팩스기능을 갖는 복합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시스템을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프로그램데이터 및 프로토콜데이터와 그룹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번호들과 송신결과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액세스하거나 저장하는 메모리부(20)와, 시스템의 키 데이터(key data)를 발생시킬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가지며 송신결과 요청키가 입력되면 이를 중앙처리장치(10)에 입력시키고 중앙처리장치(10)에 의해 메모리부(20)에 저장된 송신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LCD)를 갖는 조작패널(30)과, 원고의 화상을 스캐닝하여 디지털 이미지 데이터로 중앙처리장치(10)에 제공하는 독취부(40)와, 중앙처리장치(10)의 출력 데이터를 아날로그 변조 출력하고 아날로그 수신입력을 복조하여 출력하는 모뎀(50)과, 중앙처리장치(1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되어 종합정보통신망(ISDN)과의 통화 루프를 구성하고 모뎀(50)과 전화라인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하는 네트워크제어유니트(60)와, 중앙처리장치(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수신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70)와, 기록지의 잔량을 감지하거나 원고를 감지하여 이를 중앙처리장치(10)에 제공하는 센서부(80)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데이터 송신도중에 송신결과리스트를 출력하려면 이중 오퍼레이션(dual operation)이 가능하도록 메모리부(20)의 프로그램 구조를 다중 타스크 구조로 설계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 복합기를 운영하는 운영체제로 실시간 운영체제(Real Time Operating System)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복합기는 메모리부(20)에 저장된 그룹 전화번호로 데이터송신도중 현재까지 완료된 다이얼 정보와 실패한 다이얼 정보 등을 메모리부(20)에 기록하여 정리해 놓았다가 출력 명령이 조작패널(30)을 통해 입력되면 이를 비트맵 포맷으로 변환하여 인쇄부(70)를 기동시켜 인쇄한다.
바람직하게, 비트맵으로 변환된 현재까지의 송신결과정보를 조작패널(30)의 LCD에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처리장치(10)는 조작패널(39)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그룹 다이얼 작업을 설정하기 위한 키를 입력받는다. 그룹 다이얼 작업은 여러 곳의 전화번호를 입력받고, 시작시간 등을 설정한다(과정 2-A).
이후, 다중 타스크 메인 루틴에서 현재시각이 설정된 시작시간이 도달하면 설정된 그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을 하고 연결된 전화번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과정 2-B).
그룹 전화번호로 다이얼링 및 데이터 전송을 완료한 후, 다이얼링한 송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실패하였는지 등을 메모리부(20)의 보고 영역에 기록한다(과정 2-C). 바람직하게, 보고영역에 기록되는 정보는 성공한 전화번호, 송신한 페이지 매수, 시작시간 및 송신소요시간 등이 기록된다.
이처럼 다이얼링한 송신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실패하였는지 등을 메모리부(20)의 보고 영역에 기록한 후, 다중 타스크 메인 루틴은 설정된 그룹 전화번호 중 다른 하나의 전화번호로 다음 다이얼링 작업을 수행한다.
전술한 경우와 같이 반복하여 다이얼링 작업을 수행하면서 다중 타스크 메인 루틴은 그룹 다이얼링 결과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받게되면(과정 2-D), 다중 타스크 메인 루틴은 메모리부(20)에 저장된 현재까지의 송신결과정보를 포맷팅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준비한다(과정 2-E).
송신결과정보를 포맷팅하여 일정한 형식으로 준비한 후, 인쇄부(70)를 통해 인쇄한다(과정 2-F).
바람직하게, 중앙처리장치(10)는 송신결과정보를 조작패널(30)의 LCD에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송신도중 송신 결과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므로 사용자가 현재까지 진행된 송신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실패한 전화번호 등을 기록보관하고 있다가 추후에 재다이얼링할 수 있게 하며, 다중 송신 중에 복합기에 전원인 단절되는 경우 그룹내 모든 전화번호에 대해 재전송을 하지 않게 하고, 실패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전화를 해서 원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여 그룹 전화번호에서 삭제하여 무의미하게 다이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중 송신 기능을 갖는 복합기에서,
    기설정된 그룹 전화번호로 데이터송신도중 현재까지 완료된 다이얼 정보와 실패한 다이얼 정보를 메모리부에 기록하여 정리해 놓았다가 출력 명령이 입력되면 이를 비트맵 포맷으로 변환하여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된 다이얼 정보는,
    성공한 전화번호, 송신한 페이지 매수, 시작시간 및 송신소요시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KR1019970079838A 1997-12-31 1997-12-31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KR10027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838A KR100271151B1 (ko) 1997-12-31 1997-12-31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838A KR100271151B1 (ko) 1997-12-31 1997-12-31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626A true KR19990059626A (ko) 1999-07-26
KR100271151B1 KR100271151B1 (ko) 2000-11-01

Family

ID=1953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838A KR100271151B1 (ko) 1997-12-31 1997-12-31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1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31B1 (ko) * 2003-12-03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에서 다중 송신 결과 리포트 전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131B1 (ko) * 2003-12-03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팩시밀리에서 다중 송신 결과 리포트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1151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692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71151B1 (ko) 다중 송신 중 송신 결과 보고 방법
CA2013384C (en) Facsimile apparatus
KR100265042B1 (ko) 전송결과정보를 수신측 전자우편주소로 전송하는 방법
KR100189238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송수신 관리 리포트 데이터를 이용한 호출방법
KR0175591B1 (ko) 팩시밀리장치의 데이터 표시방법
KR100245030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하는 송신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전화/팩스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0334100B1 (ko) 특정 문서 수신시 이를 통보하는 방법
KR100193805B1 (ko) 팩시밀리와 컴퓨터 및 프린터를 이용한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18741B1 (ko) 수신측의 출력방식에 따라 팩스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방법
KR100366031B1 (ko) 팩시밀리의 커버시트 전송방법
KR19990001873A (ko) 팩시밀리에서 화상데이터 수신중 기록지 없음 통보방법
JP200113637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KR100223001B1 (ko) 교신시간 단축방법
KR100503073B1 (ko) 외장 메모리를 이용한 팩스 송신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장치
KR950003831B1 (ko) 화상데이타 송수신시스템의 교신상태정보 디스플레이 및 프린팅하는 방법
KR100260909B1 (ko) 팩시밀리 작업정보의 관리방법
KR100233725B1 (ko) 팩시밀리의 잠금장치 및 그 방법
JPH0615286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21708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문서의 페이지 관리를 위한 송신 제어방법
KR19990085864A (ko) 복합기의 원고 축소 전송 방법
KR19980066075A (ko) 팩시밀리의 연속다중 송신방법
KR19980057445A (ko) 송신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H05145727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20040024737A (ko) 커버 페이지 작성기능을 구비한 팩시밀리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