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9018A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9018A
KR19990059018A KR1019970079213A KR19970079213A KR19990059018A KR 19990059018 A KR19990059018 A KR 19990059018A KR 1019970079213 A KR1019970079213 A KR 1019970079213A KR 19970079213 A KR19970079213 A KR 19970079213A KR 19990059018 A KR19990059018 A KR 1999005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program
computer
data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9018A/ko
Publication of KR1999005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9018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또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등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기지국 시험장치(BASE TRANSCEIVER SUBSYSTEM SIMULA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에 로딩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구동화일을 저장하며, 기지국의 로딩 요구시 상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전송선로를 통해 접속되어, 로딩을 요구하는 기지국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브 시스템에서 기지국 운영 보전모듈(BSM)이나 호제어프로세서(CCP)로 보내는 로딩 관련 신호를 시험장치로 보내지도록 어드레스를 조정하면, 컴퓨터가 이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로딩해주고, 응답신호를 서브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BSM과 CCP의 로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또는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등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기지국 시험장치(BASE TRANSCEIVER SUBSYSTEM SIMULA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운용을 위한 제어국의 역할을 컴퓨터를 통해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제어국 없이 기지국을 설치, 증설 및 시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통신에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시스템, 디지탈(DIGITAL) 방식을 사용하는 CDMA 시스템 및, TDMA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주파수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 등이 있다.
CDMA 시스템은,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AMPS 시스템의 서비스와 CDMA 시스템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지원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장치인 단말기(MOBILE STATION)(1)와; 상기 단말기(1)와 함께 무선구간에서 IS-95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BASE TRANSCEIVER SUBSYSTEM)(2)과;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고, 가입자가 이동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HAND OFF)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BASE STATION CONTROLLER)(3)과;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하고 타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4)과; 가입자정보가 들어가며, 상기 교환국(4)과 신호를 주고받는 홈위치등록기(HOMEE LOCATION REGISTER)(5)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기지국(2)과 제어국(3) 및 교환국(4)을 통해 단말기(1)의 통화를 실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홈위치등록기(5)는,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가입자 상호간을 연결시켜 주는 상기 교환국은, CS(CONTROL SUB- SYSTEM)와 IS(INTERCONNECTION SUBSYSTEM) 및 SS(SWITCHING SUBSYSTEM)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CS는, 국환국 운용 및 유지보수와 이동가입자의 억세스(ACCESS), 등록, 취소 및 변경처리를 수행하는 서브시스템(SUBSYSTEM)으로, 시스템차원의 유지, 시험 및 측정, 통계, 디스크제어관리, 운영자와의 각종 입출력문 제어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CS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경보패널, 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VIDEO DISPLAY TERMINAL), 자기 테이프 장치(MAGNETIC TAPE EQUIPMENT), 광 디스크 장치(OPTICAL DISK EQUIPMENT) 및 디스크 장치(DISK EQUIPMENT) 등과 같은 입출력장치 및 운영보전센터와의 정합기능을 갖는다.
다시말해, 이동통신 교환국의 이동통신 교환기는, 주 프로세서(MAIN PRO- CESSOR)와, 주 프로세서의 제어를 통해 주변장치를 제어하는 주변장치 프로세서(PERIPHERAL PROCESSOR) 및, 교환기의 운용 및 보전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유지보수 프로세서(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각 프로세서는 할당된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여 단말기(1)의 통신을 실현한다.
즉, 발신자 단말기를 기지국(2)과 제어국(3) 및 교환국(4)을 통해 이동통신 망(예: CDMA 망, PSTN(PUBLIC SWITCHED DATA NETWORK) 등)에 접속시켜 착신자 단말기와의 접속을 실현하는 장치이다.
이때, 기지국이 설치되고 동작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운용 보전 모듈(BASE STATION MANAGER : 이하 BSM이라 한다.)과 제어국을 통하여 기지국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다운 로딩 받아야 한다.
따라서 기지국의 설치, 시험 또는 유지 보수 시에는 기지국과 제어국간에 중계선(TRUNK)이 설정되어 BSM과 제어국의 지원이 있어야만 지원이 가능하다.
다시말해, 종래의 시스템은, 도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워크 스테이션에서 동작하는 BSM 로더로부터 CCP 이하 서브 시스템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로딩받아 동작한다. 즉, BSM은 중계선이 설정되었을 때 CCP 이하 기지국에 로딩할 수 있고, 기지국의 프로세서들은 자신의 부터롬(BOOTER ROM)에서 로딩 요구를 하고 일부 프로세서는 하위 프로세서에 로딩을 해주는 로더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어국이 아직 설치되지 않았거나, 기지국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중계선을 통해 기지국으로 로딩시키는 제어국의 CCP(Call CONTROL PROCESSOR : 이하 CCP라 한다.)가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는 기지국을 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첫째, 특정 서브 시스템(예: 채널카드)의 로딩을 위해서는 다른 여러 서브시스템(BSM, CCP, BCP)이 동원되어야 함으로 인해, 제어국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국으로부터 프로그램을 로딩할 수 없어 동작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둘째, 기지국 시스템의 고립이나 제어국과의 통신 단절 상태에서는 기지국 시스템의 독립적인 설치 및 운용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일부 기지국 기능의 시험 및 진단을 위해서는 서비스 중인 제어국을 통해서만 가능함으로 인해 제어국의 부하를 가중시키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운용을 위한 제어국의 역할을 컴퓨터를 통해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운용중인 시스템과 연동하지 않고 또는, 연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기지국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로딩하여 제어국과의 통신 단절 상태에서도 기지국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 특정 목적의 프로그램 등을 개별 기지국에 적용할 수 있게 하여, 한정된 시스템 여건하에서의 개발자들의 시험 기회를 넓히며, 제어국과 연동된 상태에서도 제어국이 정상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에 기지국 개별적인 시험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는, 기지국에 로딩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구동화일을 저장하며, 기지국의 로딩 요구시 상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전송선로를 통해 접속되어, 로딩을 요구하는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송선로는 RS-422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로딩을 요구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는, 서브 시스템에서 BSM이나 CCP로 보내는 로딩 관련 신호를 컴퓨터에서 제작된 시험장치(SIMULATOR)로 보내지도록 어드레스를 조정하면, 상기 컴퓨터가 이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로딩해주고, 응답신호를 서브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BSM과 CCP의 로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종래 기지국 로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로딩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20 : 통신수단
30 : 기지국 40 : 단말기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를 들어 구성,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컴퓨터에 기지국에 로딩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구동화일 등을 저장한 후, 도2에서 되시되는 바와 같이, 통신수단을 통해 기지국에 접속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즉,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컴퓨터(10)의 윈도우즈(WINDOWS 3.1, WINDOWS 95)에서 동작하는 시험장치 실행 파일 이외에 서브 시스템 프로세서에 로딩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시스템의 프로세서들과 주고 받는 데이터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통신수단(직렬통신카드)(20)와 구동화일과, 시스템의 네트워크와 통신용 카드를 연결해주는 케이블(RS-422)과, 시험장치로 로딩을 요구하는 기지국 (30)의 부터롬으로 구성된다.
이때, 시험장치와 시스템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의 네트워크에서 어드레스를 할당받고 기지국(30) 부터롬은 로딩 요구 신호를 이 어드레스로 보내야 한다.
그러면, 기지국 프로세서의 부터롬과 프로세서에서 하위로 로딩을 담당하는 로딩 프로그램의 로딩 요구 신호를 컴퓨터(10)가 받음으로써 로딩 시뮬레이션이 시작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30)의 부터롬으로부터 로딩 요구를 받으면 컴퓨터(10)는 BSM에서 동작하는 로더처럼 기지국에 로딩해야 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테이블을 구성하고, 기지국가 로딩 받아야 할 정보를 통신수단(20)을 통해 기지국(30)로 전송한다.
기지국(30) 부터롬은 자신이 받아야 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다 로딩 받을 때까지 같은 신호를 되풀이 해서 보내고, 컴퓨터(10)는 그에 대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지국에 로딩한다.
또한, 기지국(30)에 로드된 프로그램은 각각 태스크(TASK)로 실행된다. 이때, 하위 프로세서로의 로딩을 담당하는 테스크가 실행되면서 하위 프로세서(채널카드 등)로 로딩할 프로그램을 컴퓨터(10)로 요구하게 된다.
컴퓨터(10)는 이에 해당하는 테이블을 구성하여 기지국의 로딩 프로그램으로 전송하고, 기지국(30)의 하위 프로세서의 로딩 요구가 올라오면 이 로더가 동작하여 로딩한다.
따라서 컴퓨터(10)는 기지국의 부터롬에서 로딩 요구 신호가 왔을 때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로딩하고, 로딩한 프로그램 중 하위 프로세서로의 로딩을 해주는 로딩 프로그램이 동작하여 하위 프로세서에 로딩할 프로그램을 요구하는 신호를 컴퓨터(10)에 보내면 컴퓨터(10)는 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로딩한다.
이때, 로딩 프로그램은 CCP가 아닌 컴퓨터로 로딩 요구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한다.
그러면, 컴퓨터(10)에서 재시동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의 로딩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국이 미 설치되었거나 정상 동작중이 아닐 때, 또는 시험을 위해 기지국을 운용할 때에 있어서, 본 시험장치를 통해 BSM과 CCP의 로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는, 특히, 서브 시스템에서 BSM이나 CCP로 보내는 로딩 관련 신호를 시험장치로 보내지도록 어드레스를 조정하면, 컴퓨터가 이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로딩해주고, 응답신호를 서브 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BSM과 CCP의 로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기지국에 로딩할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구동화일을 저장하며, 기지국의 로딩 요구시 상기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신호 입/출력단에 접속되어,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전송선로를 통해 접속되어, 로딩을 요구하는 기지국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KR1019970079213A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KR19990059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213A KR19990059018A (ko)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213A KR19990059018A (ko)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9018A true KR19990059018A (ko) 1999-07-26

Family

ID=6618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213A KR19990059018A (ko) 1997-12-30 1997-12-30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901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408A (ko) * 2000-01-25 2001-08-04 박종섭 이동통신 제어국 시스템에서 호 처리 프로세서의 프로그램로딩방법
KR100386697B1 (ko) * 2000-12-29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호 제어 프로세서의 부하 측정 방법
KR100408654B1 (ko) * 2001-08-31 2003-12-06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제어국 시스템에서 호처리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553808B1 (ko) * 1998-12-30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의 동작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721474B1 (ko) * 2004-07-21 2007-05-23 히다찌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의 진단에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808B1 (ko) * 1998-12-30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의 동작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20010074408A (ko) * 2000-01-25 2001-08-04 박종섭 이동통신 제어국 시스템에서 호 처리 프로세서의 프로그램로딩방법
KR100386697B1 (ko) * 2000-12-29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호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호 제어 프로세서의 부하 측정 방법
KR100408654B1 (ko) * 2001-08-31 2003-12-06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제어국 시스템에서 호처리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721474B1 (ko) * 2004-07-21 2007-05-23 히다찌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및 무선 통신시스템의 진단에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4901A (en) Loading software into field test equipment
RU216097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го интерфейса вызывающего абонента в стационарной сотов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JPH05130009A (ja) セルラー型自動車電話システムの移動端末間試験方式
US5875397A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2299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제어기의 기능 검증방법 및장치
KR1999005901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시험장치
US5361298A (en) Telecommunications service provision equipment transfer
JP2000092201A (ja) 無線デ―タサ―ビス装置の機能試験用回線呼発生器及び機能試験方法
KR100282407B1 (ko) 스위칭 시스템 및 스위칭 시스템에서의 안내방송 운용 방법
US6304757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605635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647104B1 (en) Speech system, extens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up-loading data for communication system
KR960013274B1 (ko) 전자 교환기를 위한 중계선 자동시험장치 및 그를 이용한 중계선 자동시험방법
US6001052A (en) Method for handling call hold service for use in a CDMA switching system
KR100265954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과금데이터제어방법
KR100338546B1 (ko) 이동통신시스템넘버.7장치의내부통신제어방법
US5923732A (en) Talkie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in a switched network system
JP3016457B2 (ja) 通信システム
KR950005991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 수행 방법
KR100287335B1 (ko) 엘에이피디 프로토콜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910006057B1 (ko) 집단전화 교환기의 중계대의 착신호 선택 응답방법
JP2917965B2 (ja) V5通信回線における遠隔局加入者装置試験方法
KR100193826B1 (ko) 교환기의 중계대 호 분배방법
KR19990039822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 등록 안내 제어방법
KR100229435B1 (ko) 사설교환기의 시에프엔(cfn) 리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