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927A - 폴리설폰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설폰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927A
KR19990058927A KR1019970079119A KR19970079119A KR19990058927A KR 19990058927 A KR19990058927 A KR 19990058927A KR 1019970079119 A KR1019970079119 A KR 1019970079119A KR 19970079119 A KR19970079119 A KR 19970079119A KR 19990058927 A KR19990058927 A KR 1999005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layer
pore
polysulfone
fib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성
신희국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7007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8927A/ko
Publication of KR1999005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9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21Constructional aspec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1Hollow fibre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fib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01D69/082Hollow fibre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b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6Thre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5Finger 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0Specific permeability or cut-off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설폰 중공사 막 제조시 (i) 폴리설폰 수지 10~30중량%와 글리콜류 화합물 5~15중량%를 포함하는 방사 도프와 (ii) 폴리설폰 수지를 용해시킬 수는 없으나 유기용매와 혼합되기 쉬운 용액을 내부응고액을 사용하여 외부표면층, 외부기공층, 중간층, 내부기공층 및 내부표면층으로 구성된 5층구조를 갖고, 전체 두께가 250~850㎛이고, 각층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조한다.
- 아 래 -
① 외부표면층 두께(Ta) > 중간층 두께(Tc) > 내부표면층 두께(Te)
② 외부기공층 두께(Tb) = 내부기공층 두께(Td)
③ 외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b) > 내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e)

Description

폴리설폰 중공사 막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외압여과방식으로 혈액투석액을 여과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택투과성을 갖는 분리막 재질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셀룰로스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아크릴계, 폴리비닐계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들은 내생물분해성, 내화학성, 내열성 등에 결점이 있어,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엔프라로 사용되는 수지에 대한 분리막 재질에의 응용이 진행되어 폴리설폰 등의 엔프라 수지가 분리막의 재질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설폰 수지는 내생물분해성, 내화학성, 내열성, 난열성 및 기계적 성정 등이 우수하여 혈액투석용, 정밀여과용, 한외여과용, 역삼투용 및 기체분리용 복합막의 지지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설폰 중공사 막은 폴리설폰 수지, 유기용매 및 첨가제로 구성된 방사 도프(dope)와 내부응고액을 2중관형노즐로 공기중으로 방사한 후 외부응고액으로 고화시켜 제조한다.
방사 도프 제조시 용매로는 m-크레졸, 클로로벤젠, N-메틸-2-2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되며, 첨가제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수용성 고분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첨가제들은 방사 도프의 점도 상승과 막의 투수성 증가를 위해 사용된다.
내부 및 외부응고액으로는 주로 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 첨가제들이 함유되어 있는 수용액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분리막(membrane)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2가지 성능은 분리능 및 투과능이나 이 두가지 성능은 서로 양립할 수 없어서 분리능이 커지면 투과능은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밖에 없고 투과능을 키우려면 분리능이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분리막 개발의 주요 과제는 일정한 분리능을 가지면서 더 높은 투과능을 갖는 분리막을 제조하는 것이다.
폴리설폰 수지를 소재로 한 중공 섬유막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폴리설폰 중공 섬유막의 상업적 효시가 되었던 아미콘사 제조법(일본국 특개 소 49-23183호)을 비롯하여, 동 소 54-145379호, 동 소 56-152704호, 동 57-82515호, 유럽 특허 제0121911호, 일본 특개 소 58-91822호, 동 소 58-114702호, 동 소 59-228016호 및 동 소 59-228017호, 동 소 59-112027호 및 동 소 58-132112호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들을 거론할 수 있다.
상기 방법들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교적 초기 기술에 속하는 미국 아미콘사 제조법(일본국 특개 소 49-23183호)에서는 폴리설폰 중공 섬유막 제조에 있어서 중공사 방사시 내부응고액으로서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된 중공상의 구조가 내부면에 치밀한 스킨층이 형성되고 외표면에는 중합체가 결핍되 직경 10㎛이상의 공동이 개구되어 있는 단일 지상구조(finger-structure)의 형태를 갖는다.
이 구조는 막의 외표면으로 갈수록 중합체가 결핍을 이루는 공동이 크게 존재하고 외부표면층에 치밀층이 없으므로 투수성은 높으나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내압밀성이 작다. 또한 제조시 응공력이 강력한 물을 내부응고액으로 사용함으로써 중공사 내부표면이 손상되거나 방사중 중공사가 절단되기 쉽다.
상기 구조 중공 섬유사는 그 구조 특성에 의하여 여과가 섬유 내부면에서 섬유 바깥면으로 행하여지게 되어 여과중 섬유 중공내막에 케이크(cake)가 형성되기 쉽고 또한 형성된 케이크의 제거가 어려워 여과액 순환이 있어 파열되기 쉽고 내경에 따라 여과액의 점도가 제한되어 큰 점도 용액의 여과를 위하여서는 보다 큰 내경이 필요하게 된다.
미국 특허 4822489호에서는 외부표면층, 외부기공층, 중간층, 내부기공층 및 내부표면층으로 구성된 5층구조를 갖고, 전체 두께가 100~600㎛이고, 각층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안하고 있다.
- 아 래 -
① 외부기공층에 대한 내부기공층의 두께비 : 1.5~0.6배
② 중간층의 두께 : 5~70㎛
③ 평균 공극 직경 : 0.1~9㎛
④ 분획분자량 : 1,300이하
상기 폴리설폰 중공사 막은 내압성 및 내압밀화성이 낮고, 외부기공층 보다 내부기공층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경우도 포함하므로 내압여과방식에 적합하다.
내압여과방식의 분리막을 혈액투석액의 여과용 분리막으로 사용할 경우, 여과된 투석액이 분리막 모듈과 접촉하는 공간이 많기 때문에 여과된 투석액이 재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혈액투석액의 여과용으로는 외압여과방식의 분리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압여과방식의 폴리설폰 중공사 막에 대한 종래 기술로 일본국 특개 소 54-145379호에서는 방사용액에 전해질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분리막의 내,외 표면에 치밀한 스킨층을 갖고 이 치밀층 양 표면 사이에 지상구조를 갖는 중공 섬유막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조는 기계적 강도가 크다는 장점은 있으나 투수성의 막 두께 의존성이 커서 막 두께가 200㎛를 넘으면 투수성이 급격히 저하되며, 또한 내부에 치밀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응고력이 강한 내부응고력을 사용함으로써 방사 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구조외에 분리막의 내,외 표면에 치밀한 스킨층을 갖고 이 치밀층 양표면 사이에 다공성 망상지지체를 갖는 중공 섬유막이 일본국 특개 소 56-152704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여전히 상기의 문제점들이 해결되지 않는 상태로 있다.
유럽 특허 제0121911호에는 중공사의 내,외 표면에 치밀한 스킨층이 존재하지 않는 다공성 망사구조를 갖는 중공사 막이 개시되어 있으나 제거 대상 물질의 분자량이 큰 문제점이 있다.
일본국 특개 소 59-228016호 및 동 소 59-228017호에 공기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중공사의 어느 한쪽에 치밀한 표면 및 연속하는 망상다공질 층을 부여하고 다른 한쪽에는 치밀하지 않은 표면 및 연속하는 다공성 망상구조를 부여하고 그 중간을 막의 반경 방향에 따르는 지상구조를 부여하는 높은 투수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기계적 강도를 높힌 중공 섬유막이 제안되어 있다.
이를 더욱 분석하여 보면 상기 방법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가 1) 중공사 내부에 치밀한 스킨층을 부여하고 외부에는 다공성 망상구조를 부여하며 중간을 내측에서 발달한 지상구조의 공동으로 연결하는 구조와, 2) 내부를 다공성 망상구조로 하고 외부를 치밀한 스킨층으로 형성한 다음 중간을 외측에서 발달한 지상구조의 공동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1)의 구조는 이미 내부여과방식의 불리한 기술로서 의미가 없고 2)의 구조를 주의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상기의 2)의 구조는 외부에만 치밀한 스킨층을 갖고 있으므로 앞에서 기술한 외부스킨층을 가진 중공사 상의 외압여과방식은 거의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2)구조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 내부응고제로 고습도의 수증기를 사용하는데 방법은 수증기가 응고력이 약하며, 불안정한 압축성의 기체이므로 중공사 내부의 습도의 안정적인 공급 장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방사 높이에 제약을 주며 또한 중공사의 고른 형태유지가 어렵고 고속 방사시 중공사의 절단이 일어나기 쉽고, 중공사의 내부가 기체로 되어 중공사의 방사시 물위로 부유하게 되는 등 실용화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의 중공 섬유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일본국 특개 소 59-112027호 및 동 소 58-132112호에서는 내부응공액으로 벤젠, 핵산, 파라핀을 사용하였는데 중공사의 외부응고액 및 중공사의 수세에 쓰이는 물과 상기 유기화합물들이 전혀 섞이지 않으므로 그 구조의 완전 응고가 힘들고 상기 유기화합물을 제품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알콜, 아세톤 등의 용제로 후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알콜-아세톤 등은 폴리설폰을 일부 팽윤시키는 성질이 있어 중공 섬유막 구조 안정성도 해치게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93-7497호에서는 외표면은 미세한 기공으로 이루어진 치밀한 스킨층이고, 이에 인접하여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기공의 크기가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상구조(finger-structure)가 발달되어 있고, 막의 내표면은 스릿트(slit) 상의 표면기공을 갖는 다공성 망상구조로서 스킨층-지상구조-망상구조의 3중구조의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중공사 막은 강도, 내압성, 투수성이 우수하여 외압여과방식에 적합하지만 분획분자량이 낮은 문제가 있다.
즉 35,000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혈액투석액에 존재하는 저분자량의 엔도톡신 등을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중공사 막은 한외여과용, 초순수 제조용 또는 혈액투석용 분리막으로 부적합하다.
본 발명은 분리능과 투과능이 동시에 우수하고, 내압성 및 내압밀화 지수가 높고, 분획분자량이 낮고, 외압여과방식에 적합하며, 혈액투석액 여과용 분리막으로 특히 유용한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설폰 중공사의 단면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a : 외부표면층 두께 Tb : 외부기공층 두께
Tc : 중간층 두께 Td : 내부기공층 두께
Te : 내부표면층 두께 øb : 외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
øe : 내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
본 발명은 형액투석액내의 파이로젠 제거용 필터 등으로 사용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외부표면층, 외부기공층, 중간층, 내부기공층 및 내부표면층으로 구성된 5층구조를 갖고, 전체 두께가 250~850㎛이고, 각층들이 아래 조적능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에 관한 것이다.
① 외부표면층 두께(Ta) > 중간층 두께(Tc) > 내부표면층 두께(Te)
② 외부기공층 두께(Tb) = 내부기공층 두께(Td)
③ 외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b) > 내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e)
또한 본 발명은 폴리설폰 수지, 유기용매 및 첨가제로 구성된 방사 도프(dope)와 내부응고액을 2중관형노즐로 공기중으로 방사한 후 외부응고액으로 고화시켜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설폰 수지 10~30중량%와 글리콜류 화합물 5~15중량%를 포함하는 방사 도프를 사용하고, 폴리서폰 수지를 용해시킬수는 없으나 유기용매와 혼합되기 쉬운 용액 내부응고액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폴리설폰 수지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여기에 글리콜류 화합물을 첨가하여 방사 도프를 제조한다.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소량 첨가할 수도 있다.
글리콜류 화합물을 중공사 막내 공경(pore)을 형성하여 투과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내압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글리콜류 화합물로는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및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사용한다.
유기용매로는 m-크레졸,클로로벤젠,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방사 도프 제조시 많은 양의 폴리설폭 수지를 사용한다. 방사 도프내의 폴리설폰 수지가 10~30중량%, 글리콜류 화합물이 5~15중량%가 되도록 한다.
폴리설폰 수지가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중공사 막의 중간층 두께가 너무 얇아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3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성 및 막의 투과성이 저하한다. 특히 폴리서폰 수지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5층구조의 중공사 막을 제조할 수 없다.
글리콜류 화합물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중공사 막내에 충분한 공극이 형성되지 않아 투과성 및 내압성이 저하하고, 1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리능이 저하한다.
다음으로는 통상의 2중관형노즐을 사용하여 상기 방사 도프와 내부응고액을 공기중으로 방사하고, 외부응고액에서 응고, 수세 및 권취하여 폴리설폰 중공사를 제조한다.
이때 2중관형노즐로는 외경 0.35㎜, 내경 0.2㎜, 내부노즐 지름 0.15㎜ 수준의 환상 슬릿 구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사시 2.5g/분 수준으로 폴리머를 토출하고, 에어 갭(air gap)은 약 5~10㎝ 정도가 되도록 한다.
이때 내부응고액 및 외부응고액으로는 폴리설폰 수지를 용해시킬 수 없으나 유기용매와 혼합되기 쉬운 용액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물을 많이 사용하나 메탄올, 에탄올, 폴리에틸렌글리콜 수용액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제조한 중공사를 80℃정도의 물에서 40~60시간 정도 세정하고, 10중량%의 글리세린 수용액에서 하루 정도 침지한 다음 건조하여 후처리 가공한다.
후처리한 중공사를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에폭시 수지로 양끝을 모듈내에 접착하여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폴리설폰 중공사 막은 외부표면층, 외부기공층, 중간층, 내부기공층 및 내부표면층으로 구성된 5층구조를 갖는다.
상기 외부기공층 및 내부기공층에 형성된 공경은 지상-라이크(finger-like)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리설폰 중공사의 단면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폴리설폰 중공사 막의 외부표면층, 중간층 및 내부표면층의 두께를 비교해보면 외부표면층이 가장 두껍고, 다음으로는 중간층이 두껍고, 내부표면층이 가장 얇다. 또한 외부기공층과 내부기공층의 두께는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중공사 막은 외압여과방식 적용시 내압성, 특히 내압밀화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외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b)는 내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e)보다 크다. 그 결과 중공사 막의 투수기능과 분리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폴리설폰 중공사 막은 두께가 250~280㎛이고, 분획분자량이 20,000이하이고, 내압밀화 지수가 0.8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순수투과성능, 단백질 배제율 및 내압밀화 지수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순수토과계수(LP) 평가
길이 15㎝의 중공사 20가닥을 사용하여 소형 아크릴관 모듈을 제작하여 막간 압력을 약 1kgf로 유지시킨 상태에서의 순수투과계수를 산출한다.
(LP : ㎖/분/㎠/kgf/㎠)
단백질 제거율 평가
길이 15㎝의 중공사 20가닥을 사용하여 소형 아크릴관 모듈을 제작하여 막간 압력을 약 1kgf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혈액투석액을 투과시켜 모듈 투과 전후의 혈액투석액내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한 다음 이들을 아래 식에 대입하여 산출한다.
식에서, A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 투과전 혈액투석액내 단백질의 농도이고 B는 투과후 혈액투석액내 단백지의 농도이다.
내압밀화 지수 평가
길이 15㎝의 중공사 20가닥을 사용하여 소형 아크릴과 모듈을 작성하여 막간 압력을 1kgf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순수투과계수를 측정한다.
한편 막간 압력을 특정 값(χ) kgf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순수투과계수를 측정한 다음 이들 측정값들을 아래식에서 대입하여 내압밀화 지수를 평가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설폰 수지(P-3500 : 아모코 회사 제품) 17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2중량% 및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를 N-메틸피롤리돈 71중량%에 투입한 후 교반, 용해시켜 투명한 방사 도프를 제조한다.
한편 물 50중량%에 폴리에틸렌글리콜 50중량%를 첨가하여 25℃의 내부응고액을 제조한다. 상기 방사 도프와 내부응고액을 통상의 2중관형노즐로 방사하여 외경이 800㎛이고 내경이 390㎛인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5㎝의 에어 갭으로 유도하여 통과시킨 후 50℃의 물(외부응고액) 속에서 응고 / 수세하고 50m/분의 권취 속도로 권취하여 폴리설폰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80℃의 물에서 48시간 세정하고, 욕비 20배의 10중량% 글리세린 수용액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건조한다.
상기 폴리설폰 중공사를 모듈내에 설치하여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조한다.
제조한 폴리설폰 중공사 막의 순수투과계수, 단백질 배제율 및 내압밀화 지수를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폴리설폰 수지(P-3500 : 아모코 회사 제품) 16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2중량% 및 에틸렌글리콜 10중량%를 N-메틸피롤리돈 72중량%에 투입한 후 교반, 용해시켜 투명한 방사 도프를 제조한다.
한편 물 45중량%에 폴리에틸렌글리콜 55중량%를 첨가하여 25℃의 내부응공액을 제조한다. 상기 방사 도프와 내부응고액을 통상의 2중관형노즐로 방사하여 외경이 810㎛이고 내경이 395㎛인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5㎝의 에어 갭으로 유도하여 통과시킨 후 25℃의 물(외부응고액) 속에서 응고 / 수세하고 50m/분의 권취 속도로 권취하여 폴리설폰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80℃의 물에서 48시간 세정하고, 욕비 20배의 10중량% 글리세린 수용액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건조한다.
상기 폴리설폰 중공사를 모듈내에 설치하여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조한다.
제조한 폴리설폰 중공사 막의 순수투과계수, 단백질 배제율 및 내압밀화 지수를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3
폴리설폰 수지(P-3500 : 아모토 회사 제품) 18중량%, 폴리비닐피롤리돈 2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10중량%를 N-메틸피롤리리돈 70중량%에 투입한 후 교반, 용해시켜 투명한 방사 도르를 제조한다.
한편 물 30중량%에 폴리에틸렌글리콜 70중량%를 첨가하여 30℃의 내부응고액을 제조한다. 상기 방사 도프와 내부응고액을 통상의 2중관형노즐로 방사하여 외경이 750㎛이고 내경이 360㎛인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5㎝의 에어 갭으로 유동하여 통과시킨 후 50℃의 물(외부응고액) 속에 응고 / 수세하고 50m/분의 권취 속도로 권치하여 폴리설폰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80℃의 물에서 48시간 세정하고, 욕비 20배의 10중량% 글리세린 수용액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건조한다.
상기 폴리설폰 중공사를 모듈내에 설치하여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조한다.
제조한 폴리설폰 중공사 막의 순수투과계수, 단백질 배제율 및 내압밀화 지수를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폴리설폰 수지(P-3500 : 아모코 회사 제품) 20중량% 및 테트라에틸렌글리콜 9중량%를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71중량%에 투입한 후 교반, 용해시켜 투명한 방사 도프를 제조한다.
상기 방사 도프와 내부응고액(물)을 통사의 2중관형노즐을 방사하여 외경이 780㎛이고 내경이 370㎛인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5㎝의 에어 갭으로 유동하여 통과시킨 후 50℃의 물(외부응고액) 속에서 응고 / 수세하고 50㎝/분의 권취 속도로 권취하여 폴리설폰 중공사를 제조한다. 제조한 중공사를 80℃의 물에서 48시간 세정하고, 욕비 20배의 10중량% 글리세린 수용액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건조한다. 상기 폴리설폰 중공사를 모듈내에 설치하여 폴리설폰 중공사 막을 제조한다.
제조한 폴리설폰 중공사 막의 순수투과계수, 단백질 배제율 및 내압밀화 지수를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폴리설폰 중공사 마의 물성 측정 결과
본 발명의 폴리설폰 중공사 막은 내압성이 우수하여 외압여과방식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내압밀화성 및 투과능이 우수하며, 분획분자량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설폰 중공사 막은 한외여과용, 초순수 제조용 및 혈액투석액의 파이로젠 여과용 분리막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외부표면층, 외부기공층, 중간층, 내부기공층 및 내부표면층으로 구성된 5층 구조를 갖고, 전체 두께가 250~850㎛이고, 각층들이 아래 조건을 만족함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
    - 아 래 -
    ① 외부표면층 두께(Ta) > 중간층 두께(Tc) > 내부표면층 두께(Te)
    ② 외부기공층 두께(Tb) = 내부기공층 두께(Td)
    ③ 외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b) > 내부기공층의 공경 단직경(øe)
  2. 1항에 있어서, 외부기공층 및 내부기공층에 형성된 공경이 지상-라이크(finger-like)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
  3. 1항에 있어서, 분획분자량이 20,000이하이고, 내압밀화 지수가 0.8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설폰 중공사 막.
KR1019970079119A 1997-12-30 1997-12-30 폴리설폰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9990058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119A KR19990058927A (ko) 1997-12-30 1997-12-30 폴리설폰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119A KR19990058927A (ko) 1997-12-30 1997-12-30 폴리설폰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927A true KR19990058927A (ko) 1999-07-26

Family

ID=6618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119A KR19990058927A (ko) 1997-12-30 1997-12-30 폴리설폰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89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29B1 (ko) * 1999-12-29 2006-07-20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설폰계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8118580A1 (en) * 2007-03-28 2008-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forming microporous membra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930A (ja) * 1988-07-11 1990-01-24 Daicel Chem Ind Ltd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
JPH0226627A (ja) * 1988-07-12 1990-01-29 Daicel Chem Ind Ltd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930A (ja) * 1988-07-11 1990-01-24 Daicel Chem Ind Ltd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
JPH0226627A (ja) * 1988-07-12 1990-01-29 Daicel Chem Ind Ltd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429B1 (ko) * 1999-12-29 2006-07-20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설폰계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8118580A1 (en) * 2007-03-28 2008-10-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for forming microporous membranes
KR101461693B1 (ko) * 2007-03-28 2014-11-13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미공성 막의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0977B2 (ja) 編物により補強された複合中空糸膜
US4481260A (en) Aromatic polysulfone type resin hollow fiber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882494B1 (en) Hollow fiber type filtration membrane
JP5433921B2 (ja) 高分子多孔質中空糸膜
US4822489A (en) Aromatic polysulfone type resin hollow fiber membran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2004525755A (ja) アシンメトリー中空ファイバー膜
US5443728A (en) Method of preparing membranes from blends of polyetherimide and polyimide polymers
CN110917911A (zh) 一步成型的中空纤维纳滤膜丝及其制备方法
JPS6356802B2 (ko)
KR101269574B1 (ko) 열유도 상 분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아세틸화된 알킬 셀룰로스 분리막과 이의 제조방법
JP2736992B2 (ja)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78729B2 (ko)
KR100581206B1 (ko) 폴리불화비닐리덴계 다공성 중공사막과 그 제조방법
KR101025755B1 (ko) 투수도 및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한외여과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58927A (ko) 폴리설폰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950006517B1 (ko) 다공성 중공 섬유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602429B1 (ko) 폴리설폰계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EP0824960A1 (en) Hollow-fiber membrane of polysulfone polym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H0323647B2 (ko)
JPS63296939A (ja)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系樹脂多孔性膜およびその製法
KR101310815B1 (ko)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31066B1 (ko) 폴리에테르술폰 중공사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0129816B1 (ko) 이성분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KR100200041B1 (ko) 활성층을 포함한 스폰지 구조 폴리설폰 종공사막
JPS61200805A (ja) ポリエ−テルスルホン微孔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