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110A -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110A
KR19990058110A KR1019970078195A KR19970078195A KR19990058110A KR 19990058110 A KR19990058110 A KR 19990058110A KR 1019970078195 A KR1019970078195 A KR 1019970078195A KR 19970078195 A KR19970078195 A KR 19970078195A KR 19990058110 A KR19990058110 A KR 1999005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ubscriber
business
tim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8110A/ko
Publication of KR1999005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110A/ko

Links

Landscapes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에서 가입자가 업무와 관계없이 개인적으로 통화한 요금을 정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가입자들이 사적으로 비업무 통화를 행함을 허용하면서도 그에 따른 통화요금을 가입자들이 부담하도록 하는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따르면, 가입자들이 비업무 통화를 행할시 통화중에 그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가입자에게 표시시켜 준다. 또한 일정한 기간별로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정산하여 프린팅되도록 함으로써 가입자가 비업무 통화에 따른 통화요금을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사가 가입자들의 사적인 비업무 통화에 따른 별도의 경비를 부담하여야 하는 불합리성을 해소시키며, 또한 공중전화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러감에 따라 업무효율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통화요금 정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무와 관계없는 사적인 통화에 따른 요금을 일정한 기간마다 정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PABX: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나 키폰시스템(Key Phone)과 같은 교환시스템은 다수의 사람들이 운집해 있는 사무실과 같은 환경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교환시스템은 다수의 사람들을 가입자로서 수용하고 있지만, 그 가입자들의 수에 비해서 점유가능한 국선의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가입자가 급박한 업무로 전화를 걸기 위해서 국선의 점유를 시도하는 경우에도 종종 국선이 모두 점유된 상태에 봉착하게 된다. 이때 많은 가입자들은 공적으로 전화를 사용하기도 하겠지만, 사적인 일로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도 꽤 많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회사가 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 교환시스템을 설치한 근본 취지와는 달리 교환시스템은 사적인 일을 도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회사는 가입자들이 개인적으로 사용한 비업무 통화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경비를 부담하여야 한다는 불합리성이 있다.
물론 회사원들이 개인적인 전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선통화를 차단시키도록 함으로써 회사는 비업무 통화에 대한 경비부담을 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회사원들이 개인적으로 시간을 내어서 공중전화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회사의 입장에서는 업무의 효율저하를 가져오게 되며, 개인의 입장에서는 시간을 내어서 공중전화를 찾아가서 전화를 걸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을 설치한 회사가 개인들의 비업무 통화에 따른 경비부담을 행하여야 하는 불합리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의 가입자들이 개인적으로 비업무 통화를 행하는 경우 그에 따른 경비를 부담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교환시스템의 가입자들이 비업무 통화를 위해 공중전화를 찾아가서 전화함에 따라 업무효율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가입자들이 사적으로 비업무 통화를 행함을 허용하면서도 그에 따른 통화요금을 가입자들이 부담하도록 하는 처리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처리방법에 따르면, 가입자들이 비업무 통화를 행할시 통화중에 그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가입자에게 표시시켜 준다. 또한 일정한 기간별로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정산하여 프린팅되도록 함으로써 가입자가 비업무 통화에 따른 통화요금을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사가 가입자들의 사적인 비업무 통화에 따른 별도의 경비를 부담하여야 하는 불합리성을 해소시키며, 또한 공중전화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러감에 따라 업무효율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요금 정산을 위한 메모리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동작시 가입자전화기상에 표시되는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동작시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의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정산된 비업무 통화요금을 프린트하는 처리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교환시스템의 가입자회로 10에는 가입자들의 전화기 2가 내선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교환시스템의 국선회로 30는 국선을 통해서 전화국(C.O.: Central Office)에 연결된다.
도 1에서 제어부 70은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가입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제어부 70은 가입자가 비업무 통화를 행할 시 그 통화에 따른 시간 및 요금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 전화기 2의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 B상에 표시시켜 준다. 또한 제어부 7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에 따라 비업무 통화요금을 정산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각 가입자별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80상에 저장한다.
메모리 80은 롬(ROM: Read Only Memory) 및 램(RAM: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되며,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 70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제어부 7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본 발명의 경우 메모리 8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을 위한 테이블이 구조된다. 상기 메모리 80에는 가입자 전화기별, 즉 내선별로 비업무 통화일시,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이 저장된다.
실시간클럭(RTC: Real Time Clock) 60은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어부 70에 포함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이 될 때마다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이 사실을 제어부 70에 알려준다. 본 발명의 경우 RTC 60은 8초마다 인터럽트를 발생하며, 또한 1개월마다 인터럽트를 발생한다. 스위칭회로 20은 제어부 70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터를 스위칭한다.
가입자회로 10은 제어부 70의 제어하에 전화기 2에 통화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전화기 2와 스위칭회로 20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국선회로 30은 제어부 70의 제어하에 국선을 점유(seizure)하여 국선 통화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스위칭회로 20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여기서 국선이라 함은 국선회로 30과 전화국(C.O.: Central Office)간을 연결하는 선로이다.
이중톤복합주파수(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수신기 40은 스위칭회로 20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 70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위칭회로 20을 통해 DTMF수신기 40에 수신되는 DTMF신호는 국선을 통한 외부 가입자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DTMF송신기(발생기) 50은 제어부 70이 출력하는 디지털데이터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회로 20으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교환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톤발생기 및 링발생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위한 교환시스템에는 시스템 입출력(SIO: System Input Outpu)장치로서 프린터 4가 연결될 수 있다. 이 프린터 4는 제어부 70의 제어하에 일정한 기간(1개월)마다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을 위한 통화일시,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가입자별로 프린팅 출력한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80에 구조되는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을 위한 테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이 테이블에는 내선별(가입자별)로 비업무 통화일시, 통화시간, 통화요금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을 위해 가입자의 통화시 제어부 70이 처리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의 동작을 위해 전화기 2에 구비된 다수의 키들(C)중에서 어느 한 키는 비업무용 키로 설정된다.
지금, 가입자가 전화기 2의 송수화기(A)를 훅크오프(hook off)하였다고 가정하면, 제어부 70은 이를 401단계에서 판단한다. 이러한 후에 가입자가 비업무 통화를 위해 전화기 2에 구비된 비업무용 키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 70은 이를 판단하고 403단계 내지 409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가입자가 업무용으로 통화를 함에 따라 비업무용 키를 누르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 70은 이를 판단하고 411단계 내지 415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가입자가 업무용 통화를 행함에 따라 비업무용 키를 누르지 않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입자가 비업무용 키를 누르지 않는 경우 제어부 70은 이를 402단계에서 판단하고, 411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가 국선점유를 위한 키를 눌렀는가를 판단한다. 이때 전화기가 키폰전화기인 경우에는 소위 국선키라 불리우는 키가 눌리어지게 된다. 국선이 점유된 후 가입자가 호출을 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 70은 412단계에서 DTMF수신기 40을 이용하여 이를 판단한 후 스위칭회로 20과 국선회로 30을 제어하여 다이얼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다이얼링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상대방이 응답하는 것으로 413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414단계에서 제어부 70은 스위칭회로 20과, 가입자회로 10과, 국선회로 30을 제어하여 상기 호출 가입자와 이 가입자의 상대방인 피호출 가입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통화동작중에 가입자가 통화종료를 위해 송수화기(A)를 훅크온(hook on)하면, 제어부 70은 이를 415단계에서 판단한 후 통화동작을 종료시킨다.
다음에, 가입자가 비업무용 통화를 행함에 따라 비업무용 키를 누르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가입자가 비업무용 키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 70은 이를 402단계에서 판단하고, 403단계로 진행하여 가입자가 국선점유를 위한 키를 눌렀는가를 판단한다. 제어부 70은 403단계에서 가입자가 국선점유를 위한 키를 누름에 따라 국선이 점유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404단계에서 RTC 60을 제어하여 시간 카운팅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시간 카운팅 동작은 8초로 설정된다. 국선이 점유된 이후에 가입자가 호출을 위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 70은 405단계에서 DTMF수신기 40을 이용하여 이를 판단한 후 스위칭회로 20과 국선회로 30을 제어하여 다이얼링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다이얼링 동작이 수행됨에 따라 상대방이 응답하는 것으로 406단계에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70은 407단계의 동작을 수행한다.
407단계에서 제어부 70은 스위칭회로 20과, 가입자회로 10과, 국선회로 30을 제어하여 상기 호출 가입자와 이 가입자의 상대방인 피호출 가입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 70은 통화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가입자의 비업무용 통화에 따른 통화시간(CALL TIME) 및 통화요금(CALL CHARGE)을 계산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전화기 2의 액정표시기(B)상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자신의 비업무용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비업무용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의 계산동작은 통화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8초로 설정된 시간 카운팅 동작이 종료하는 경우에 수행되도록 하고 있다. 왜냐하면, 통상 가입자가 국선이 점유되었음을 확인한 후 다이얼링을 하고, 상대방이 응답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8초정도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 70은 다이얼링 동작 및 상대방 응답의 판단 동작과 함게 RTC시간 카운팅 동작을 시작한 후 8초가 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병행하여 수행한다. 가입자의 비업무용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의 계산동작을 위해 제어부 70은 국선의 지역별/국가별 코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화동작중에 가입자가 통화종료를 위해 송수화기(A)를 훅크온(hook on)하면, 제어부 70은 이를 408단계에서 판단하고, 409단계에서 훅크온되는 시점에서 액정표시기(B)상에 표시되던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메모리 80에 저장시킨다. 이때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과 함께 그 비업무용 통화가 행해진 일시가 함께 저장되며, 이 통화일시,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가입자별로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가입자가 비업무용 통화를 하는 경우에 그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표시시켜줌으로써 가입자는 자신이 비업무용 통화를 어느 정도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통화요금이 얼마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입자가 비업무용 통화중 자신의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확인하였더라도, 회사의 측면에서는 일정한 기간별로 가입자들이 어느 정도 비업무용 통화를 행하며 그에 따른 경비가 어느 정도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그 확인결과를 해당하는 가입자에게 통보해 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 7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처리흐름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부 70에는 RS-232C케이블을 통해 교환시스템의 SIO인 프린터 4가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 70은 RTC 60에 미리 비업무 통화내역(가입자별 통화일시, 통화시간, 통화요금)을 출력시키고자 하는 일자(바람직하기로는 매월)를 지정해주게 되면, 이때 지정된 일자에 인터럽트가 발생하게 된다. 제어부 70은 상기 인터럽트로부터 비업무 통화내역의 출력일자가 되었는지를 501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다. 비업무 통화내역 출력일자가 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 70은 502단계에서 RS-232C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프린터 4를 제어하여 메모리 80상에 저장된 가입자별로 비업무 통화일시, 통화시간, 통화요금이 프린팅 출력시킨다. 이렇게 프린팅 출력된 비업무 통화내역으로부터 해당하는 가입자들은 자신이 설정기간마다 얼마만큼 비업무 통화를 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통화요금이 얼마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비업무 통화내역을 프린팅 출력한 후 제어부 70은 503단계에서 프린팅된 비업무 통화내역을 메모리 80상에서 클리어시킨다. 이와 같이 프린팅 내역을 클리어시키는 것은 교환시스템의 메모리 80은 대부분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그 메모리 80의 사용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들이 비업무 통화를 행할시 통화중에 그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가입자에게 표시시켜 준다. 또한 일정한 기간별로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정산하여 프린팅되도록 함으로써 가입자가 비업무 통화에 따른 통화요금을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회사가 가입자들의 사적인 비업무 통화에 따른 별도의 경비를 부담하여야 하는 불합리성을 해소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입자들이 공중전화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러감에 따라 업무효율이 저하됨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1)

  1.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에 따른 통화요금을 정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의 가입자가 비업무 통화를 행할 시 상기 가입자의 전화기에 부착된 액정표시기상에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표시시켜 줌으로써 비업무 통화요금을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에 따른 통화요금을 정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시스템의 가입자들이 비업무 통화를 행할 시 통화를 행하는 가입자의 전화기에 부착된 액정표시기상에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표시시켜 주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가입자별로 메모리상에 저장시키는 과정과,
    상기 메모리에 가입자별로 저장된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미리 설정된 기간마다 프린팅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간마다 가입자별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이 프린팅 출력된 경우에는 이 프린팅된 가입자별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상기 메모리상에서 클리어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가입자별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은 매월마다 프린팅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상에는 가입자별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과 함께 통화일시가 더 저장되며, 매월마다 가입자별 비업무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과 함께 통화일시가 더 프린팅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비업무용 키와 액정표시기를 구비하는 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행하는 다수의 가입자들을 수용하고 있으며,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에 따른 통화요금을 정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가입자의 전화기가 훅크오프될 시 그 전화기상에 구비된 비업무용 키가 눌리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비업무용 키가 눌리어진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가입자의 통화에 따른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상기 가입자의 전화기에 구비된 액정표시기상에 표시시켜 주는 제2과정과,
    상기 가입자의 전화기가 훅크온될 시 최종적으로 표시된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가입자별로 상기 메모리상에 저장하는 제3과정과,
    미리 설정된 기간이 될 때마다 상기 메모리상에 저장된 가입자별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프린팅 출력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비업무용 키가 눌리어진 것으로 판단될 시 상기 교환시스템이 연결된 국선이 점유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국선이 점유된 것으로 판단될 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가입자의 통화에 따른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을 상기 가입자의 전화기에 구비된 액정표시기상에 표시시키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국선이 점유된 이후에 가입자가 다이얼링을 행하고 이 가입자의 상대방이 응답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시간은 8초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간은 1개월로 설정되며, 이에 따라 가입자의 통화에 따른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은 매월마다 프린팅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상에는 가입자별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과 함께 통화일시가 더 저장되며, 또한 가입자별 통화시간 및 통화요금과 함께 통화일시가 더 프린팅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8195A 1997-12-30 1997-12-30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KR19990058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95A KR19990058110A (ko) 1997-12-30 1997-12-30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95A KR19990058110A (ko) 1997-12-30 1997-12-30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110A true KR19990058110A (ko) 1999-07-15

Family

ID=6618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195A KR19990058110A (ko) 1997-12-30 1997-12-30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81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5450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발신자 번호 표시방법
CA2209568A1 (en) Dual equipment to identify telephone calls
KR19990058110A (ko) 교환시스템의 비업무 통화요금 정산 방법
KR100396276B1 (ko) 키폰시스템에서통화과금검출방법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KR100428481B1 (ko)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JPH08317089A (ja) 電子交換機システム
JPH0720191B2 (ja) 電話機
KR0119476B1 (ko) 리다이얼링 방법
KR920009873B1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전화요금 표시방법
JPH10276283A (ja) 通話料金報知端末
KR20010110254A (ko)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구현방법 및 그 카드리더를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
JP3182353B2 (ja) 電話機
KR940027437A (ko) 교환기의 재다이알 서비스 방법
CN1263410A (zh) 在模拟电话用户端实现通话即时计费的方法
KR950022537A (ko) 일반 전화기에서의 키폰 시스템 메세지 대기 입력 방법
KR100222786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정액통화 제한방법
JPS62284553A (ja) 電話番号の表示方式
KR910005475B1 (ko) 구내교환기에서 특수 가입자의 표시방법
KR100329730B1 (ko) 다기능 전화기의 예약 경보 호출 방법
JPH06303302A (ja) 学習機能付電話装置
JP2886996B2 (ja) 電話装置
JPS63215258A (ja) 電話機
KR19990016540A (ko) 사설 교환기에서 과금 처리방법
JPH02281858A (ja) 最安価回線選択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