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7501A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7501A
KR19990057501A KR1019970077554A KR19970077554A KR19990057501A KR 19990057501 A KR19990057501 A KR 19990057501A KR 1019970077554 A KR1019970077554 A KR 1019970077554A KR 19970077554 A KR19970077554 A KR 19970077554A KR 19990057501 A KR19990057501 A KR 19990057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ylinder
shock absorber
out cylinder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길준
임상호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7007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7501A/ko
Publication of KR1999005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501A/ko

Link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감쇠력 가변을 위한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의 아웃실린더에 코일을 권선시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인너실린더와 아웃실린더 사이에 충진된 MR유체의 전단 항복 응력을 변화시키면서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은 쇽업소버(1)의 인너실린더(2) 바깥쪽으로 아웃실린더(3)가 부설되는 2중구조로 되는 것에 있어, 상기 아웃실린더(3)에는 코일(4)을 권선되고, 상기 코일(4)은 베이스 셀(5)에 관통되는 전극봉(50)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자장을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인너실린더(2)와 아웃실린더(3) 사이의 닥트(6)에는 MR유체가 충진되며, 상기 인너실린더(2)와 아웃실린더(3)는 그 상·하 부측에 고정되는 절연체(61,63)에 의해 절연되며, 상기 베이스 셀(5)에 스프링 시트(55)가 고정되는 구성으로 된 것임.

Description

쇽업소버
본 발명은 차량의 감쇠력 가변을 위한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의 아웃실린더에 코일을 권선시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인너실린더와 아웃실린더 사이에 충진된 MR유체의 전단 항복 응력을 변화시키면서 감쇠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대부분의 감쇠력 가변을 위한 쇽업소버는 미디움 모드(Medium Mode)와 소프트 모드(Soft Mode)의 상태에서 댐퍼가 리바운드 챔버(Rebound)행정을 하게 되는 경우 피스톤의 리바운드 유로를 통과한 오일은 그 하단에 있는 디스크밸브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하고, 댐퍼가 콤프레션(Compression) 행정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피스톤의 콤프레션 유로를 통과한 오일이 밸브스프링을 밀어애는 구성을 통해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되고 있다.
종래에는 인너실린더(In cylinder)와 아웃실린더(Out cylinder)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특성에 의해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되고, 응답성이 낮고, 댐퍼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시프링 시트에 장착되어 차량의 무게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인하여 베이스 셀에 변형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자기장을 걸었을 때 전단응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된 MR유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된 신규한 감쇠력 가변용 쇽업소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인 바, 이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쇽업소버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쇽업소버2 : 인너실린더
3 : 아웃실린더4 : 코일
5 : 베이스 셀6 : 닥트
7 : 리바운드 챔버8 : 콤프레션 챔버
21,23 : 오리피스55 : 스프링 시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1)의 인너실린더(2) 바깥쪽으로 또 다른 아웃실린더(3)가 부설되는 2중 구조로 되는 것에 있어, 상기 아웃실린더(3)에는 코일(4)을 권선되고, 상기 코일(4)은 베이스 셀(5 : Base Shell)의 일측으로 관통되는 전극봉(50)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어지며 자장을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인너실린더(2)와 아웃실린더(3) 사이의 닥트(6)에는 MR유체가 충진되며, 상기 인너실린더(2)와 아웃실린더(3)는 그 상·하부측에 고정되는 절연체(61,63)에 의해 절연되는 구조로 되고 있다.
베이스 셀(5)에 스프링 시트(55)를 고정되게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 시트(5)에 실차 장착시 차량을 지지하도록 된 스프링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리바운드 행정시 MR유체는 리바운드 챔버(7)에서 인너실린더(2)의 상부측에 형성된 오리피스(21)를 통해 덕트(6)로 유입된 후, 다시 인너실린더(2)의 하부측에 있는 오리피스(23)를 통해 콤프레션 챔버(8)로 흐르며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반대로 콤프레션 행정시에는 유체는 인너실린더(2)의 하부에 있는 오리피스(23)를 통해 덕트(6)로 유입된 후, 인너실린더(1)의 상부에 있는 오리피스(21)를 통해 리바운드 챔버(7)로 흐른다.
이처럼 본 발명은 아웃실린더(3)에 스프링 시트(30)를 설치하여 외부로 부터의 충격 및 스프링 시트(30)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발생하는 아웃실린더(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덕트(6)가 안정되게 된다.
아웃실린더(3)에 감겨지는 코일(4)에 전류가 흐르도록 베이스 셀(5)의 전극봉(50)에 전류를 인가하면 코일(4)에서는 자장을 형성한다.
아웃실린더(3)에 감겨진 코일(4)에서 자장이 형성됨에 따라 인너실린더(2)와 아웃실린더(3) 사이를 통과하는 MR유체는 상기 코일(4)에 의한 자장의 영향을 받게 되고, 상기 코일(4)의 직경과 길이에 따라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키면 MR유체의 전단 항복응력이 변화되어지며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 부터의 충격 및 스프링 시트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서 발생하는 베이스 셀의 변형이 일어나려 할 때 아웃실린더에 감겨지는 코일에 자기장을 걸어 인너실린더와 아웃실린더 사이의 틈새로 흐르는 MR유체 특성에 의한 전단력 발생으로 틈새 유지가 비교적 용이하고, 코일의 길이 및 직경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쇽업소버(1)의 인너실린더(2) 바깥쪽으로 아웃실린더(3)가 부설되는 2중구조로 되는 것에 있어, 상기 아웃실린더(3)에는 코일(4)을 권선되고, 상기 코일(4)은 베이스 셀(5)에 관통되는 전극봉(50)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자장을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인너실린더(2)와 아웃실린더(3) 사이의 닥트(6)에는 MR유체가 충진되며, 상기 인너실린더(2)와 아웃실린더(3)는 그 상·하 부측에 고정되는 절연체(61,63)에 의해 절연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셀(5)에 스프링 시트(55)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실린더(3)에 감겨지는 코일(4)의 직경 및 길이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KR1019970077554A 1997-12-30 1997-12-30 쇽업소버 KR19990057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554A KR19990057501A (ko) 1997-12-30 1997-12-30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554A KR19990057501A (ko) 1997-12-30 1997-12-30 쇽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501A true KR19990057501A (ko) 1999-07-15

Family

ID=6617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554A KR19990057501A (ko) 1997-12-30 1997-12-30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75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50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쇼크업소버
KR100445987B1 (ko) * 2000-12-06 2004-08-25 주식회사 만도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87B1 (ko) * 2000-12-06 2004-08-25 주식회사 만도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KR20040023050A (ko) * 2002-09-10 2004-03-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쇼크업소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2361A (en) Vibration damper,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s
US6547044B2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with ferromagnetic housing insert
US78744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gnetorheological-fluid damping utilizing porous media
US6382369B1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with an external coil
US6497309B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with an external coil
US6419058B1 (en) Magnetorheological damper with piston bypass
US6497308B2 (en) Magneto-rheological fluid damper piston-flux ring attachment
US20020092721A1 (en) Power-off damping in mr damper
JP2002106624A (ja) 振動ダンパー用ピストン
KR20060121586A (ko) 자기유동성 유체를 이용한 비대칭 감쇠성능 제어식 댐퍼
US6811168B2 (en) Wheel suspension of a motor vehicle
JPH08226486A (ja) Er流体を使用する振動緩衝装置
WO2023279748A1 (zh) 一种基于混合阻尼模式的高输出力隔振悬置
JP2002257189A (ja) 電磁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867367B1 (ko) 제어가능형 er/mr 유체 댐퍼
KR19990057501A (ko) 쇽업소버
KR20190049104A (ko) 항공기용 엠알유체 댐퍼를 포함하는 착륙장치
JP3016263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20044445A (ko)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쇽 업소버
KR100215366B1 (ko) 가스봉입형 충격흡수장치
JPH0791479A (ja) 緩衝器
RU2449188C2 (ru) Регулируемый магнитореологический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амортизатор
KR100212798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우버 구조
KR101563962B1 (ko) Mr 댐퍼
JPH10339343A (ja) 車両用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