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680A -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680A
KR19990056680A KR1019970076690A KR19970076690A KR19990056680A KR 19990056680 A KR19990056680 A KR 19990056680A KR 1019970076690 A KR1019970076690 A KR 1019970076690A KR 19970076690 A KR19970076690 A KR 19970076690A KR 19990056680 A KR19990056680 A KR 19990056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ntrol
control unit
airbag
distribution system
lo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6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680A/ko
Publication of KR1999005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680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을 추가할 때마다 전자 제어 유니트의 로직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설계되는 에어백의 수에 대응되는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를 구성하고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와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의 역할을 분리함으로써, 에어백이 추가되더라도 추가되는 에어백에 대응되는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의 로직만을 설계하면 각각의 에어백의 기능이 발휘되는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에어백에 대응되게 국부 전자 제어 유니트를 구성하고, 상기 국부 전자 제어 유니트와 주 전자 제어 유니트의 기능을 분리하여, 에어백은 각각의 대응되는 국부 전자 제어 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므로 주 전자 제어 유니트의 로직을 직접 수정할 필요가 없는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엔진 룸의 좌·우 하단 측면 멤버에 위치한 프론트 임팩트 센서(Front Impact Senser) 두 개와 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진단 유니트에 내장된 세이핑 임팩트 센서(Safing Impact Senser)하나로 구성되며, 각 센서 내부에는 G-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충격 센서(22)의 감지에 의해 제어되는 각각의 에어백(24a,24b,24c)의 전개 여부를 제어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전자 제어 유니트(20)에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상기 세이핑 임팩트 센서는 병렬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프론트 임팩트 센서와 직렬 연결되며, 각각의 센서에서 동시에 충격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첨부 도면 도 2b를 참조하여 종래의 에어백 전개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프론트 임팩트 센서 두 개와 세이핑 임팩트 센서로부터 충격이 감지되는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20)에서 각각의 에어백(24a,24b,24c)으로 에어백의 전개 명령을 내린다.
상기 전개 명령을 받으면, 각각의 에어백(24a,24b,24c)에 내장되어 있는 고성능 점화 장치가 폭발하여 에어백이 전개된다.
또한, 에어백이 한번 폭발하면 재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새로운 에어백으로 교환해야 한다.
한편, 이러한 경우 에어백이 추가될 때마다 에어백 전개에 관한 전자 제어 유니트(20) 내부의 로직(logic)과 하드웨어를 새롭게 수정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에어백을 추가할 때마다 전자 제어 유니트의 로직을 수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각 에어백에 대응되는 국부적인 전자 제어 유니트를 구성하여 주 전자 제어 유니트와 국부 전자 제어 유니트의 역할을 분리함으로써, 에어백이 추가되더라도 주 전자 제어 유니트의 로직을 수정할 필요가 없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의 개략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를 위한 알고리즘,
도 2a는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에 관한 시스템의 개략도,
도 2b는 종래의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를 위한 알고리즘.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 12,22 : 충격 센서
14a,14b,14c : 국부 전자 제어 유니트 16a,16b,16c : 각 방향의 에어백
20 : 전자 제어 유니트 24a,24b,24c : 각 방향의 에어백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에 에어백의 전개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충격 센서(12)가 연결되고, 다수 개의 에어백(16a,16b,16c)에 각각 대응되는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가 구비되어 이것이 상기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와 버스(bus)로 연결됨에 따라, 각각 신호의 이동이 가능하여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와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의 역할이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에어벡(16a,16b,16c)은 이 에어백에 대응되는 국부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1b에 도시한 알고리즘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가 충격 센서(12)의 감지를 통하여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에어백(16a,16b,16c)에 대응되게 각각의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가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에 버스(bus)로 연결된다.
따라서,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는 각각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로 에어백(16a,16b,16c)의 폭발 여부를 알리며, 상기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는 대응되는 각 에어백(16a,16b,16c)의 폭발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1b에 도시한 알고리즘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100은 두 개의 프론트 센서와 세이핑 센서로 이루어진 충격 센서(12)로부터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충격이 없으면 단계 100을 반복하여 충격의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충격이 있다면 단계 102로 넘어가서, 충격 센서(10)의 신호가 버스(bus)를 이용하여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에 전달된다.
단계 104에서는, 충격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은 상기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가 각각의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로 에어백의 폭발을 알리는 동작을 한다.
단계 106에서, 각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가 대응되는 에어백(16a,16b,16c)에 부착되어 있는 점화 장치의 폭발을 지시한다.
단계 108에서, 각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로부터 점화 장치의 폭발 명령을 받은 에어백(16a,16b,16c)은 전개된다.
따라서, 주 전자(main) 제어 유니트(10)와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의 역할이 분리되어 작용하며 따라서,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동작의 명령을 제어하는 하나의 전자 제어 유니트를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와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로 분리하여 역할을 분배함으로써, 에어백을 첨가하더라도 첨가되는 에어백에 대응되는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의 로직만 설계하고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의 로직 전체를 수정하지 않아도 되어 복잡성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에 연결되며 에어백의 전개 여부가 결정되도록 하는 충격 센서(12)와, 다수 개의 에어백(16a,16b,16c)에 각각 대응되는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가 상기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와 버스(bus)로 연결됨에 따라, 각각 신호의 이동이 가능하여 주(main) 전자 제어 유니트(10)와 국부(local) 전자 제어 유니트(14a,14b,14c)의 역할이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KR1019970076690A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KR199900566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690A KR19990056680A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690A KR19990056680A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680A true KR19990056680A (ko) 1999-07-15

Family

ID=6617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690A KR19990056680A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68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559A (ja) * 1992-04-27 1994-10-11 Nippon Denshi Kogyo Kk 自動車のエアバック装置
KR970039627A (ko) * 1995-12-29 1997-07-24 배순훈 자동차의 에어백 조절장치
KR19990039934A (ko) * 1997-11-14 1999-06-05 정몽규 자동차의 에어백용 이.시.유 연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559A (ja) * 1992-04-27 1994-10-11 Nippon Denshi Kogyo Kk 自動車のエアバック装置
KR970039627A (ko) * 1995-12-29 1997-07-24 배순훈 자동차의 에어백 조절장치
KR19990039934A (ko) * 1997-11-14 1999-06-05 정몽규 자동차의 에어백용 이.시.유 연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8849B1 (en) Collision sensing system for side air bag system
US5285188A (en) Vehicle collision detecting system
US5547149A (en) Aircraft airbag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08508147A (ja) 引裂き継目および展開速度センサを有するエアバッグ
US6045156A (en) Supplement restraint system having deployment inhibit apparatus
US7225069B2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retaining means
KR19990056680A (ko) 자동차용 에어백 전개의 분배 시스템
JP2001180429A (ja) エアバッグ装置の展開制御装置
KR102074761B1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5345556A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937215B1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충돌 판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167710B2 (en) Airbag driv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358021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作動制御装置
KR10021092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 제어장치
JP3316904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GB2369708A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 safety device
KR100229466B1 (ko) 자동차의 탑 에어백 도어 장치
KR10036209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작동을 위한 충돌판별 방법
KR940011925B1 (ko) 3방향(3축) 감속 신호 및 그 합성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 장치
KR100203418B1 (ko) 이중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에어 백
JPH11278209A (ja) エアバッグ展開制御装置
KR100308699B1 (ko) 분산형 에어백 전자 제어 장치
JPH08188114A (ja) エアバッグ作動制御装置
KR100383959B1 (ko) 차량의 측면 에어백 구동장치
KR100239641B1 (ko) 에어백 모듈 도난방지수단을 갖는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