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180A - 파워 스타트회로 - Google Patents

파워 스타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180A
KR19990056180A KR1019970076159A KR19970076159A KR19990056180A KR 19990056180 A KR19990056180 A KR 19990056180A KR 1019970076159 A KR1019970076159 A KR 1019970076159A KR 19970076159 A KR19970076159 A KR 19970076159A KR 19990056180 A KR19990056180 A KR 19990056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transistor
turn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보현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6180A/ko
Publication of KR1999005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180A/ko

Links

Landscapes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스타트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온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1 정류부(10)와; 로우상태일 때는 턴 오프되고, 상기 제 1 정류부(10)를 통해 DC전압이 인가되어 하이상태일 때 턴 온됨으로써 전원 IC(20)에 VCC전압을 공급하는 제 1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3)를 통해 VCC전압을 공급받아, 출력단자(OUT)를 통해 구형파를 출력하고, 제 2 정류부(40)가 변압시킨 DC전압을 통해 VCC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IC(20)와; 상기 전원 IC(20)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구형파 펄스에 의해 턴 온되어 전압유기부(30)로 전류를 출력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전류신호를 받은 제 1 인덕턴스(L1)의 전류에 변화가 생겨 제 2 인덕턴스(L2)로 전압을 유기하는 전압유기부(30)와;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2 정류부(40)와; 상기 제 2 정류부(40)를 통해 입력한 DC전압에 의해 턴 온됨으로써,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3)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전원 IC(20)의 VCC로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전원 온시 전원IC의 VCC를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전원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되며, 텔레비전 수상기를 포함한 기타 여러 종류의 모니터 전원회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워 스타트회로
본 발명은 모니터 전원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의 전원 온시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기 전후에 전원회로의 구동IC에 공급되는 전압을 제어해주는 스위치를 부착함으로써, 모니터 전원회로 뿐만 아니라 TV 및 기타 여러 종류의 전원회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워 스타트회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통해 입력시킨 소정의 영상을 시청자에게 그대로 전송하거나, 사용자가 입력시킨 소정의 정보데이터를 입력시킨 그대로 또는 소정의 제어처리를 실행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인 각종 모니터장치는, 장치가 진행시킨 해당 처리내용을 운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화상출력장치나 정보처리기기에서는 필수불가결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데이터 디스플레이장치는 일반적으로, 입력된 전원을 정류하는 수단과, 정류된 신호를 증폭하는 수단과, 증폭된 신호에 전압을 걸어 출력하는 수단 등으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의 작동에는 해당 신호의 스위칭기능을 담당하기 위해 일정 개수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특히, 모니터에 경우에 있어서는 입력되는 전원을 단속해서 출력까지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조절해주어야하며, 미세한 구성요소로 되어있는 회로에 있어서는 해당 신호가 잘못 입/출력됨으로써 장치간 문제를 초래하게 되며, 전원을 단속하여 과전류/과전압이 인가될시에는 장치에 심대한 오동작 또는 훼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한 것으로, 전원 단속을 위한 2개의 트랜지스터와 제 2의 정류수단을 부착함으로써, 전압을 입/출력하기전에 안정적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파워 스타트회로는, 전원 온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1 정류부와; 로우상태일 때는 턴 오프되고, 상기 제 1 정류부를 통해 DC전압이 인가되어 하이상태일 때 턴 온됨으로써 전원 IC에 VCC전압을 공급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해 VCC전압을 공급받아, 출력단자를 통해 구형파를 출력하고, 제 2 정류부가 변압시킨 DC전압을 통해 VCC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IC와; 상기 전원 IC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구형파 펄스에 의해 턴 온되어 전압유기부로 전류를 출력하는 제 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신호를 받은 제 1 인덕턴스의 전류에 변화가 생겨 제 2 인덕턴스로 전압을 유기하는 전압유기부와;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2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를 통해 입력한 DC전압에 의해 턴 온됨으로써,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전원 IC의 VCC로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타트회로의 기본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파워 스타트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정류부 20 : 전원 IC
30 : 전압유기부 40 : 제 2 정류부
이하, 상술한 내용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회로와 제 1 커패시터로 이루어져, 전원 온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1 정류부(10)와; 로우상태일 때는 턴 오프되고, 상기 제 1 정류부(10)를 통해 DC전압이 인가되어 하이상태일 때 턴 온됨으로써 전원 IC(20)에 VCC전압을 공급하는 제 1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3)를 통해 VCC전압을 공급받아, 출력단자(OUT)를 통해 구형파를 출력하고, 제 2 정류부(40)의 제 3 다이오우드(D3)와 제 3 커패시터(C3)의 DC전압을 통해 VCC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IC(20)와; 상기 전원 IC(20)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구형파 펄스에 의해 턴 온되어 전압유기부(30)로 전류를 출력하는 제 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전류신호를 받은 제 1 인덕턴스(L1)의 전류에 변화가 생겨 제 2 인덕턴스(L2)로 전압을 유기하는 전압유기부(30)와; D2+C2, D3+C3에 의해 정류되어,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2 정류부(40)와; 상기 제 2 정류부(40)를 통해 입력한 DC전압에 의해 턴 온됨으로써,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3)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전원 IC(20)의 VCC로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제 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워 스타트회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워온시 BD1과 C1으로 이루어진 제 1 정류부(10)에 의하여 AC전압은 DC전압으로 정류되어 노드 A에는 DC전압이 뜬다. 그러나, 전원 IC(20)에 VCC공급이 되지 않으므로, 전압유기부(30)의 2차단에는 전압이 유기되지 않는다.
노드 A에 DC전압이 유기되면 도 1에 도시한 기본원리도와 같이, 제 1 트랜지스터(Q3)가 턴 온되어 전원 I(20)C에 VCC전압이 공급되고 전원 IC(20)는 OUT단자를 통하여 구형파를 발생시킨다.
이 구형파는 제 3 트랜지스터(Q5)를 거쳐 전압유기부(30)의 제 1 인덕턴스(L1)전류를 변화시키고 전압유기부(30)의 2차측에 전압을 유기시킨다.
제 2 인덕턴스(L2)에 유기된 전압은 제 2 다이오우드(D2)와 제 2 커패시터(C2), D3C3에 의해 정류되어 DC전압으로 바뀐다.
D2와C2에 의해 정류된 DC전압은 제 2 트랜지스터(Q4)를 턴 온, 제 1 트랜지스터(Q3)을 턴 오프시켜 VA(노드 A 전압)로 부터 전원 IC(20)에 공급되는 VCC전압을 차단하고, D3와 C3로 이루어진 제 2 정류부(40)에 의해 정류된 DC전압이 전원 IC(20)의 VCC에 공급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파워 스타트회로는, 전원 온시 전원IC의 VCC를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전원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되며, 텔레비전 수상기를 포함한 기타 여러 종류의 모니터 전원회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원 온시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1 정류부와; 로우상태일 때는 턴 오프되고, 상기 제 1 정류부를 통해 DC전압이 인가되어 하이상태일 때 턴 온됨으로써 전원 IC에 VCC전압을 공급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통해 VCC전압을 공급받아, 출력단자를 통해 구형파를 출력하고, 제 2 정류부가 변압시킨 DC전압을 통해 VCC전압을 입력하는 전원 IC와; 상기 전원 IC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구형파 펄스에 의해 턴 온되어 전압유기부로 전류를 출력하는 제 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를 통해 전류신호를 받은 제 1 인덕턴스의 전류에 변화가 생겨 제 2 인덕턴스로 전압을 유기하는 전압유기부와; AC전압을 DC전압으로 변압하는 제 2 정류부와; 상기 제 2 정류부를 통해 입력한 DC전압에 의해 턴 온됨으로써,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턴 오프될 때 상기 전원 IC의 VCC로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제 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타트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류부는 브릿지회로와 제 1 커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타트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류부는 제 2 다이오우드+제 2 커패시터, 제 3 다이오우드+제 3 커패시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타트회로.
KR1019970076159A 1997-12-29 1997-12-29 파워 스타트회로 KR199900561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159A KR19990056180A (ko) 1997-12-29 1997-12-29 파워 스타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6159A KR19990056180A (ko) 1997-12-29 1997-12-29 파워 스타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180A true KR19990056180A (ko) 1999-07-15

Family

ID=6617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159A KR19990056180A (ko) 1997-12-29 1997-12-29 파워 스타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618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823A (ko) * 1992-07-03 1994-02-16 조광추 건강음료 캐로트 제조방법
KR970002995A (ko) * 1995-06-29 1997-01-28 배순훈 브이씨알(vcr)에 있어서 리모콘키입력 표시 방법
KR0124534Y1 (ko) * 1995-05-31 1998-09-15 배순훈 전원공급장치의 출력회로
KR0121874Y1 (ko) * 1994-12-27 1998-10-01 이형도 과전압 보호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823A (ko) * 1992-07-03 1994-02-16 조광추 건강음료 캐로트 제조방법
KR0121874Y1 (ko) * 1994-12-27 1998-10-01 이형도 과전압 보호 회로
KR0124534Y1 (ko) * 1995-05-31 1998-09-15 배순훈 전원공급장치의 출력회로
KR970002995A (ko) * 1995-06-29 1997-01-28 배순훈 브이씨알(vcr)에 있어서 리모콘키입력 표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987B1 (ko) 스위칭 전원 장치
KR100281529B1 (ko)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디바이스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공급 제어 회로
US5161241A (en) CRT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synchronized high and low voltage power supply switching circuits
KR0167645B1 (ko) 전원 공급 장치의 온/오프 제어 장치
KR19990056180A (ko) 파워 스타트회로
US6327161B1 (en) Power-saving circuit
KR970004252A (ko) 스위칭형 전원 장치
JPH0726484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100528146B1 (ko) 전원공급장치
KR200165523Y1 (ko) 영상표시장치의 스폿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
JP2780314B2 (ja) Dc―dcコンバータ
KR1006434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사이즈 제어 회로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910004080Y1 (ko) 초기 구동용 전원공급회로
KR100202081B1 (ko) 전원 구동 차이에 의한 모니터 화면 노이즈 제거회로
KR940002781Y1 (ko) 스위칭 파우어 콘트롤 회로
JP2005124246A (ja) 電圧生成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ング電源
JP2020198703A (ja) 画像形成装置の電源回路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00001357U (ko) 전원트랜스를 이용한 전압 제어 회로
KR100637507B1 (ko) 역률 보상 회로 및 이를 이용한 ic 바이어스 전압 생성방법
KR950006854Y1 (ko) 영상뮤트 음성출력회로
US20050007800A1 (en) Inverter for providing power to lamp circuit
KR970056811A (ko) 음극선관 및 자려 발진 스위치 모드 전원이 있는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96292Y1 (ko) 전원제어장치
JP200601450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