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623A -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623A
KR19990054623A KR1019970074483A KR19970074483A KR19990054623A KR 19990054623 A KR19990054623 A KR 19990054623A KR 1019970074483 A KR1019970074483 A KR 1019970074483A KR 19970074483 A KR19970074483 A KR 19970074483A KR 19990054623 A KR19990054623 A KR 1999005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cylinder
solenoid valve
oi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623A/ko
Publication of KR1999005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623A/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시 크랭킹 전에 미리 메인 겔러리에 오일이 충만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엔진 구동시 각 구동부품에 즉각 윤활이 이루어지면서 기관 구동에 따른 구동부품들의 마모와 마멸을 저감시켜 엔진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펌프(70)에 의해 오일 팬(60)으로부터 압송되는 오일을 오일 필터(80)에 의해 여과되도록 한 후 메인 겔러리(50)를 통해서 각 윤활부위로 공급시키는 오일 공급 구조에 있어서,
메인 겔리러(50)와 연통되도록 하여 기관(100) 일측으로 돌설시킨 연결 파이프(10)와;
유출구(23)가 상기 연결 파이프(10)와 연결되고, 내측 상부에는 스프링(22)에 의해 탄지되는 피스톤(21)이 중설되며, 그 하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도록 한 원통 실린더(20)와;
원통 실린더(20)가 연결되는 상기 연결 파이프(10)의 돌출단부로 고정장착되어 오일 유동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30)를 전자적으로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러(40)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본 발명은 차량에 최초 시동을 걸게 될 때 크랭킹되기 전에 메인 겔러리(Main gallery)에 미리 오일이 충전되도록 하므로서 기관 구동 부품들의 마모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그 작동이 기관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운동하는 기관의 각 마찰 부분에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윤활장치라 한다.
기관에는 실린더와 피스톤처럼 접동하는 부분이나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은 금속끼리 직접 접촉하므로서 마찰열을 발생하고, 마찰면이 거칠어져 빨리 마모되거나 늘러 붙는등의 고장이 발생하여 기관이 운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도록 하므로 이를 방지시키기 위해 금속의 마찰면에 오일을 주입시켜 그 사이에 유막이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마찰 저항과 마모를 줄여 마찰열의 온도 상승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같은 윤활장치는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크게 오일 팬(1), 오일 펌프(2), 오일 필터(3)와 메인 겔러리(4)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엔진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2)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오일 팬(1)내 오일을 펌핑시켜 송출하고, 이렇게 압송되는 오일을 오일 필터(3)를 거치면서 불순물들이 여과되도록 한 후 메인 겔러리(4)를 통해서 각 윤활부위를 윤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차량을 장시간 주차시키게 되면 각 윤활부위로부터 오일이 흘러내려 오일 팬(1)에 다시 저장되는데 따라서 오일 겔러리(4)내에는 오일이 완전 제거된 비어있는 상태가 되므로 시동을 걸게 될 때 오일이 펌핑되어 재충전되기까지에는 일정 시간이 지체되면서 그동안 기관의 각 구동 마찰부위가 마모되면서 기관 수명을 단축시키면서 시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 보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시동시 크랭킹 전에 미리 메인 겔러리에 오일이 충만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엔진 구동시 각 구동부품에 즉각 윤활이 이루어지면서 기관 구동에 따른 구동부품들의 마모와 마멸을 저감시켜 엔진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동시 기관에서의 충분한 오일 공급으로 기관 구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면서 시동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펌프의 구동으로 오일 팬내 오일을 펌핑시켜 압송되는 오일을 오일 필터에 의해 여과되도록 한 후 메인 겔러리를 통해서 각 윤활부위로 공급하는 오일 공급 구조에 있어서,
유출구가 메인 겔러리와 연통되게 장착되고, 내부의 상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는 피스톤이 중설되며, 그 하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도록 한 원통 실린더와;
상기한 원통 실린더의 메인 겔러리와 연통되는 유출구에 장착되어 원통 실린더내 오일의 유출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그리고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전자적으로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비되는 구성이 특징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 공급장치의 상세 구조도
도 3은 종래의 오일 공급 구조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 파이프
20 : 원통 실린더
21 : 피스톤
22 : 스프링
23 : 유출구
30 : 솔레노이드 밸브
40 : 컨트롤러
50 : 메인 겔러리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 구조도로서, 기관(100)에서의 오일 공급이 오일 펌프(70)의 펌핑력에 의해 오일 팬(60)내 오일을 압송시켜 오일 필터(80)에 의해서 여과한 후 메인 겔러리(50)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에서는 종전과 동일하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메인 겔러리(50)에 시동전 오일이 충분히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오일 공급장치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은 크게 연결 파이프(10)와 원통 실린더(20)와 솔레노이드 밸브(30)와 컨트롤러(40)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기한 연결 파이프(10)는 실린더 블록에서 실린더 헤드로 연결되는 메인 겔러리(50)를 기관(100) 일측으로 외부와 연통되게 천공시킨 단부와 결합되어 기관(100) 일측으로 돌설되도록 한 구성이며, 상기 원통 실린더(20)는 저부로 오일이 채워지도록 하면서 그 상부에서는 스프링(22)에 의해 탄지되는 피스톤(21)이 중설되는 오일 보조 탱크로서 상기 피스톤(21)에 의해서는 그 저부의 오일이 일정 압력으로 항상 가압되고, 피스톤(21) 상부는 대기와 연통되게 에어 홀(14)이 형성되도록 한 구성이다.
특히 상기 원통 실린더(20)는 하단부의 유출구(23)가 기관(100) 일측으로 돌설시킨 연결 파이프(10)의 돌출된 끝단부에 체해결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30)는 원통 실린더(20)의 하단부 유출구(23)가 연결되는 연결 파이프(10) 끝단부로 장착되어 원통 실린더(10)내 오일의 인출입을 단속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시동 스위치에서 시동 키가 온위치에 있게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20)를 개방시켜 원통 실린더(20)로부터 오일이 메인 겔러리(50)로 공급되도록 하고, 그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밸브(20)를 닫혀지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20)의 작동 제어 수단이다.
한편 상기한 구조에서 원통 실린더(20)의 하단부 유출구(23)와 연결 파이프(10)는 나사체결에 의해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상기 연결 파이프(10)는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실린더 헤드로 연결되는 메인 겔러리(50)의 실린더 헤드측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겔러리(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구조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기관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시동 키를 키홀에 삽입 후 온(ON) 위치로 돌리게 되면 컨트롤러(40)에서는 즉시 솔레노이드 밸브(30)를 작동시켜 원통 실린더(20)를 기관의 메인 겔러리(50)와 연통시키게 되고, 이때 원통 실린더(20)내 오일은 스프링(22)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21)을 하강시키면서 일정 가압력에 의해 연결 파이프(10)를 통해서 오일을 내부가 비어있는 상태인 메인 겔러리(50)로 공급한다.
계속해서 시동 키를 스타트(START) 위치로 돌리게 되면 엔진이 크랭킹되면서 오일 펌프(70)가 구동하기 시작하고, 이때부터 오일 팬(60)으로부터 오일이 압송되어 메인 겔러리(50)로 공급되면서 오일이 충만해지게 되면 메인 겔러리(50)내 압력은 점차 상승하게 되어 계속 개방된 상태인 솔레노이드 밸브(30)를 통해 원통 실린더(20) 내로 오일을 주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일 주입은 원통 실린더(20)내 스프링(22) 탄력이 오일 공급압보다 커지게 되는 시점에서 중지되는바 이는 컨트롤러(40)에 기설정한 경과 시간과 거의 근접하므로 컨트롤러(40)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30)를 자동으로 작동 오프시키게 되는 시점에는 이미 원통 실린더(20)내에 일정량의 오일이 채워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메인 겔러리(50)로의 균일한 오일 공급을 위해 메인 겔러리(50)의 연결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연장단부를 실린더 헤드측 상단부로부터 연장시키게 되면 원통 실린더(20)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이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헤드에 동시에 균등하게 오일 공급을 하게 되므로 시동전 윤활성 증대로 보다 원활한 엔진 구동이 이루어질 수가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해 시동직전에 미리 메인 겔러리(50)에 오일을 충만하게 공급시키게 되면 시동시 오일 펌프(70)에 의해 오일이 압송되기 시작할 때 바로 구동 및 습동부품들을 윤활시킬 수가 있게 되어 보다 안정된 구동성을 수행시키게 된다.
따라서 차량을 장시간 주차 후 시동을 걸게 될 때 기관내 각 구동 및 습동부품들로 오일을 공급하는 시점을 대폭 단축시키게 되므로서 시동시의 구동 마찰을 최대한 방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개선으로 시동시의 오일 부족에 따른 구동 부품들의 마모 및 마멸 촉진이 방지되므로서 엔진 내구력이 증강되면서 보다 시동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오일 펌프(70)에 의해 오일 팬(60)으로부터 압송되는 오일을 오일 필터(80)에 의해 여과되도록 한 후 메인 겔러리(50)를 통해서 각 윤활부위로 공급시키는 오일 공급 구조에 있어서,
    메인 겔리러(50)와 연통되도록 하여 기관(100) 일측으로 돌설시킨 연결 파이프(10)와;
    유출구(23)가 상기 연결 파이프(10)와 연결되고, 내측 상부에는 스프링(22)에 의해 탄지되는 피스톤(21)이 중설되며, 그 하부에는 오일이 채워지도록 한 원통 실린더(20)와;
    원통 실린더(20)가 연결되는 상기 연결 파이프(10)의 돌출단부로 고정장착되어 오일 유동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0); 및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30)를 전자적으로 작동 제어하는 컨트롤러(40)가 구비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 파이프(10)는 실린더 블록으로부터 실린더 헤드로 연장되는 메인 겔러리(50)의 실린더 헤드측 상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단부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원통 실린더(20)는 기관(100) 일측으로 돌설시킨 연결 파이프(10)와 나사체결에 의해 체해결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는 시동 키가 키홀에서 온상태에 위치될 때 솔레노이드 밸브(30)를 온작동시키고, 그때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밸브(30)를 작동 오프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KR1019970074483A 1997-12-26 1997-12-26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KR19990054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483A KR19990054623A (ko) 1997-12-26 1997-12-26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483A KR19990054623A (ko) 1997-12-26 1997-12-26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623A true KR19990054623A (ko) 1999-07-15

Family

ID=6609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483A KR19990054623A (ko) 1997-12-26 1997-12-26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62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938B2 (en) Supply pressure pump with separate drive o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55156B2 (en) Injection pump and fuel DME feed device of diesel engine with the injection pump
US5121720A (en) Pre-ignition lubricating system
JP2006249940A (ja) エンジン
JP4687551B2 (ja) 潤滑構造
JP2013204481A (ja) エンジンの暖機装置
KR19990054623A (ko) 시동전 오일 공급장치
KR100401551B1 (ko) 디젤차량의 크랭크 저널 윤활장치
KR100409568B1 (ko) 실린더 냉각을 위한 오일제트구조
KR200211084Y1 (ko) 자동차의 윤활 장치
JP2827408B2 (ja) 二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オイル供給装置
KR100217606B1 (ko) 자동차의 엔진시동시 실린더벽면 보호장치
KR0174020B1 (ko) 내연기관의 오일 공급장치
KR100410918B1 (ko) 엔진이 시동될 때 크랭크 저널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는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 장치
KR100210146B1 (ko) 엔진 오일 공급장치의 이원화로 인한 엔진 수명 연장 시스템
KR0128310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윤활장치
JP2018189026A (ja) エンジンの始動制御装置及び始動制御方法
KR970005789B1 (ko) 시동전 작동되는 엔진윤활장치
JP4238781B2 (ja) ドライサンプ式内燃機関の潤滑システム
KR20020019148A (ko) 엔진 오일 공급장치
CN107664075B (zh) 发动机组件及具有其的车辆
JP4318391B2 (ja) 潤滑装置
KR100251325B1 (ko) 엔진의 윤활구조
KR100552156B1 (ko) 엔진의 시동성 향상을 위한 오일 공급 시스템
KR19990016284U (ko) 엔진의 예윤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