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876A - 고흡수성 수지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876A
KR19990051876A KR1019970071294A KR19970071294A KR19990051876A KR 19990051876 A KR19990051876 A KR 19990051876A KR 1019970071294 A KR1019970071294 A KR 1019970071294A KR 19970071294 A KR19970071294 A KR 19970071294A KR 19990051876 A KR19990051876 A KR 19990051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omer
styrene
absorption
superabsorbent resi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017B1 (ko
Inventor
김철환
정동욱
김성호
권오승
Original Assignee
차동천
한솔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동천, 한솔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동천
Priority to KR101997007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01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0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4Preparation of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산 단량체를 가교결합하여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의 표면을 이오노머와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함유된 복합표면처리제로 처리함으로써, 물 또는 염(Salt)용액의 흡수량 및 흡수속도를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흡수시의 겔 강도 개선효과를 상승적으로 향상시키고, 또한 유독한 저분자량 물질을 대신하여 고분자량의 물질을 표면처리제로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고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
본 발명은 고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산 단량체를 가교결합하여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의 표면을 이오노머와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함유된 복합표면처리제로 처리함으로써, 물 또는 염(Salt)용액의 흡수량 및 흡수속도를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흡수시의 겔 강도 개선효과를 상승적으로 향상시키고, 또한 유독한 저분자량 물질을 대신하여 고분자량의 물질을 표면처리제로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한 작업환경을 만들 수 있는 새로운 고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성 수지는 종이 기저귀, 생리대 등의 위생용품 분야에 널리 이용되어져 왔고 그 응용범위가 다양하여 원예용, 건축, 식품 등의 산업용 용도로서도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는 의료, 전기, 전자 등으로 용도가 확대되고 있는 물질이다.
고흡수성 수지는 주로 아크릴산,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등 수용성 고분자를 주성분으로 하여 3차원적으로 가교반응시켜 제조한다.
아크릴산을 예로 하여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질소가스 주입구와 냉각기, 교반기가 장착된 500㏄ 용량의 반응기에 80㏄/분의 유속으로 고순도 질소(순도 99.99%)를 2시간 동안 흘려주면서 산소를 제거한다. 그 다음 아크릴산 단량체, 용매로서 증류수, 가교제로서 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Methylene bisacrylamide; MBA) 및 개시제로서 황산칼륨(K2SO4)을 정량하여 반응기에 주입한다. 주입된 반응물에 질소기체를 통하면서 용존산소를 제거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하면서 냉각기에 냉각수를 흘려주고 교반한다. 이때 반응기에 주입되는 질소의 유속을 20 ㏄/분으로 낮추어 주면서 4 시간동안 반응시키면, 아크릴산 단량체를 기준으로하여 전환율이 95% 이상인 겔을 얻게된다. 이후 2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가하여 약 70%의 아크릴산을 중화하고, 중화된 겔을 120℃의 오븐에서 10시간 건조하여 아크릴계 수지의 백색 분말을 얻는다.
그 다음은 상기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수지의 백색분말을 메탄올 등의 용매에 분산시킨 뒤, 표면처리제인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 등의 저분자물질을 사용하여 표면에 가교결합을 유도하고 이를 120℃의 오븐에서 건조하면서 표면가교반응을 시켜 원하는 고흡수성 수지를 얻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는 순수(pure water)의 흡수량은 많지만, 실제 생리액과 유사한 염용액에 대해서는 흡수량이 적은 문제점이 있다. 이는 염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온화된 염, 즉 양이온과 음이온이 고흡수성 수지에 결합한 다음 물을 흡수하므로 고분자 사슬의 강성이 높아져 팽창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 가교에 사용되는 표면처리제 성분을 변화시켜 수지의 표면을 개질화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행하여져 왔다.
이러한 예로, 2차 가교제로서 친유성(hydrophobic) 물질을 사용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미국특허 제 4,666,983호]. 그러나, 이 경우는 수지의 흡수속도는 향상되지만 흡수량에는 별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표면처리용 가교제로서 디아민(diamin) 또는 디올(diol) 같은 유독한 저분자 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표면처리용 가교제로서 바륨아세테이트, 알루미늄아세테이트 또는 코발트아세테이트와 같은 단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 바[미국특허 제 4,043,952호], 이 경우도 흡수속도는 향상되나 흡수량에는 별다른 효과 향상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이오노머를 각각 표면처리제로 사용한 고흡수성 수지를 특허출원한 바도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7-022294호 및 제97-022297호]. 이오노머를 표면처리제로 사용한 아크릴계 수지는 상대적으로 흡수량이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표면처리제로 사용한 아크릴계 수지는 흡수속도가 보다 향상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흡수량과 흡수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처리제를 개발하고자 노력하였고, 그 결과 상기한 각각의 표면처리제를 함께 사용하게 되면 흡수량과 흡수속도가 동시에 향상되며 이러한 복합표면처리제의 사용은 통상적으로 예측될 수 있는 정도 이상의 효과를 가짐을 알게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오노머와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혼합된 복합표면처리제를 사용하여 두 성분의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흡수량 및 흡수속도를 동시에 큰 폭으로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용액 흡수시 형성되는 겔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인체에 무해한 고흡수성 수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단량체를 가교결합시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에 있어서, 상기 수지표면을 이오노머 및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으로 이루어진 복합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하여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를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수지 표면에 대한 흡수량 개선효과가 우수한 이오노머와 흡수속도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하, "PSE 공중합체"라 함)를 혼합한 복합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각 성분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을 발휘함은 물론이고 서로간의 상승작용에 의해 보다 향상된 흡수성 및 흡수속도 개선 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고흡수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합표면처리제의 구성성분으서 이오노머는 이온화할 수 있는 화학단위구조를 가진 것이라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이오노머로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티렌계 이오노머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이오노머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공지의 것이다[미국특허 제3,870,841호].
상기 화학식들에 있어서, M은 알칼리금속이온 또는 알칼리토금속이온이고; x는 3 ∼ 20의 유리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티렌계 이오노머는 스티렌을 주쇄로 하고 여기에 술폰화된 금속이온이 측쇄기로 도입된 것이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이오노머는 아크릴산을 주쇄로 하여 아크릴화된 금속을 도입하여 이온이 흡착할 수 있는 이온단위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이오노머의 측쇄기로 도입되는 금속 양이온은 스티렌계 또는 아크릴계 이오노머의 전량에 대하여 3 ∼ 20 몰%가 포함된 것을 말한다. 이때, 만일 금속 양이온의 함량이 3 몰% 미만이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흡수량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 몰%를 초과하면 흡수량 및 흡수속도가 오히려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오노머를 표면처리제로 사용하는 이유는 이들을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의 표면에 가교반응시켜 도입하면, 염용액이 수지에 흡수될 때에 측쇄의 양이온이 염용액의 음이온과 결합하여 고정화하는 역할을 하게되고, 따라서 실제적으로 흡수되는 염용액의 이온농도가 낮아지게 되므로 그만큼 흡수량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합표면처리제의 또다른 구성성분으로 PSE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PSE 공중합체는 친유성을 갖는 스티렌을 주쇄(backbone)로 하고, 친수성을 갖는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가 측쇄기(pandant group)에 도입되어 있다. 이러한 PSE 공중합체가 아크릴계 수지의 표면에 도입되면, 수지 표면에 친유성 및 친수성을 동시에 부여하여 물과 염용액에 대한 흡수속도와 흡수력을 향상시키고, 표면처리제의 친유성으로 인하여 겔 블로킹(Gel Blocking)현상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또한 표면처리제의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의 수산기와 수지 표면의 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가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수지의 공유결합에 의한 표면가교반응에 의해 흡수시 겔의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공중합체가 표면처리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스티렌 부분이 50 ∼ 95 몰%, 특히 75 ∼ 90 몰%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긴 측쇄기로서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가 5 ∼ 50 몰%, 특히 10 ∼ 25 몰%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이러한 공중합체내의 스티렌 함량이 50 몰% 미만이면 겔 블로킹(Gel Blocking)현상이 나타나 겔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고, 반면에 그 함량이 95 몰%을 초과하면 표면 가교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쇄기로서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5 몰% 미만이면 공유결합 형성이 어려워져 가교효율이 좋지 않으며, 50 몰%를 초과하여 함유하면 겔의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합표면처리제의 구성성분인 상기 PSE 공중합체에 있어서, 친유성 단량체로서 스티렌 단량체외에도 알파메틸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비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하여 중합하여도 이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표면처리제는 상기한 이오노머와 PSE 공중합체가 녹아 있는 용액으로서, 이들 성분을 녹이기 위한 용매로는 테트라히드로퓨란, 메탄올, 톨루엔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한다. 또한, 이오노머와 PSE 공중합체의 혼합비율에 따라 흡수량 및 흡수속도에 다소 차이가 나타나는 바, 이들 혼합사용에 따른 최대 상승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오노머 : PSE 공중합체가 20 ~ 80 : 80 ~ 2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합표면처리제를 아크릴계 수지의 표면에 가교처리하여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공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공정은 아크릴 단량체의 가교중합 반응에 의한 아크릴계 수지의 합성 및 건조공정이다.
질소가스 주입구와 냉각기, 교반기가 장착된 500㏄ 용량의 반응기에 고순도 질소(질소함량 99.99% 이상)를 80 ㏄/분의 유량으로 2시간 동안 흘려주면서 산소를 제거한다. 여기에 아크릴산 단량체, 용매로서 증류수, 가교제로서 메틸렌 비스 아크릴아미드 또는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개시제로서 과황산칼륨(K2(SO4)2)을 정량하여 반응기에 주입한다. 이때, 가교제의 함량은 아크릴산 단량체를 기준으로 0.05 ~ 1 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05 ~ 0.25 몰%를 사용한다. 만일, 가교제의 함량이 1 몰%를 초과하면 흡수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고, 그 함량이 0.05 몰% 미만이면 겔의 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그 후, 질소기체를 통하면서 용존산소를 제거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하면서 냉각수를 냉각기를 통하여 흘려준다. 교반을 시작하면서 반응기에 주입되는 질소의 유량을 20 ㏄/분으로 낮추어 4시간 동안 반응시키면 아크릴산 단량체를 기준으로 전환율이 95%이상인 겔상의 아크릴산 고분자가 합성된다.
이후 2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총 투입한 아크릴산 단량체를 기준으로 70%의 아크릴산을 중화한다. 이때, 중화방법의 선택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중화방법으로는 단량체 상태에서 모두 중화하는 방법, 단량체 상태에서 35%를 중화하고 중합후에 35%를 중화하는 방법, 또는 중합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 중화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중합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지만, 제조 후의 흡수량을 고려하면 중합이 완전히 종료된 후에 중합하는 방법이 가장 우수한 흡수성을 나타내므로 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중화된 겔을 120℃의 오븐에서 10시간 건조하여 백색 분말상태인 아크릴계 수지를 얻는다.
제 2 공정은 상기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를 이오노머 및 PSE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복합표면처리제로 표면처리하는 공정이다.
우선, 상기 복합표면처리제는 톨루엔 등의 용매에 이오노머 및 PSE 공중합체가 용해되어 있는 1 ~ 50 w/v% 용액으로서, 복합표면처리제 용액에 상기 제 1 공정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를 분산시켜 표면가교를 시킨다. 이때, 복합표면처리제의 표면가교량은 아크릴계 수지에 대하여 1 ~ 10 중량부 범위가 바람직한 바, 만일 표면 가교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겔강도가 자하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흡수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를 가열교반기(hot plate)에서 70 ~ 120℃의 온도로 30 ~ 100 분 동안 가열하면서 용매를 휘발시키면 표면이 이오노머 및 PSE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복합표면처리제로 코팅처리된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열과정에서 수지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아크릴산의 카르복실기는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의 수산기와 결합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며, 이로써 실제로 물 또는 염용액이 흡수되었을 때 이 결합이 계속 유지되면서 형성되는 겔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수지표면에 친수성기가 새로이 도입되므로써 수지의 흡수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흡수속도가 향상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복합표면처리제의 합성
(1) 이오노머의 합성
미국특허 제3,870,841호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합성방법에 의하여 술폰화나트륨이 치환된 스티렌계 이오노머를 제조하였으며, 이오노머의 치환량은 3 ~ 20 mol% 범위내에서 이온함량을 변화시켜 제조하였다.
(2) PSE 공중합체의 합성
질소가스 주입구와 냉각기, 교반기가 장착된 500cc 용량의 반응기에 고순도 질소(질소함량 99.99%이상)를 80 cc/분의 유량으로 2시간동안 흘려주면서 산소를 제거하였다. 여기에 단량체로서 스티렌 80 몰%와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20몰%, 반응매질로서 톨루엔 첨가량은 단량체 부피기준으로 5배로 하고, 개시제로서 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AIBN) 0.005 몰%를 정량하여 반응기에 주입하였다. 그 후 질소 기체를 통하면서 용존산소를 제거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하면서 냉각수를 냉각기를 통하여 흘려주었다. 교반을 시작하면서 반응기에 주입되는 질소의 유량을 20 cc/분으로 낮추어 6시간 동안 반응시키면 스티렌 단량체를 기준으로 공중합율이 55% 이상인 PSE 공중합체가 합성되었다. 이것을 비용매인 메탄올에 떨어뜨려 백색의 침전물을 생성시키고 100℃의 진공오븐에서 10시간 정도 건조하여 백색의 PSE 공중합체 분말을 얻었다.
실시예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1) 아크릴계 수지의 합성 및 건조
질소가스 주입구와 냉각기, 교반기가 장착된 500cc 용량의 반응기에 고순도 질소(질소함량 99.99%이상)를 80 cc/분의 유량으로 2시간동안 흘려주면서 산소를 제거하였다. 여기에 아크릴산 단량체 30g, 증류수 100㎖, 아크릴계 단량체를 기준으로 가교제인 메틸렌 비스아크릴아미드 0.1 몰%, 과황산칼륨 0.05g을 정량하여 반응기에 주입하였다. 그 후, 질소 기체를 통하면서 용존산소를 제거하고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승온하면서 냉각수를 냉각기를 통하여 흘려주었다. 교반을 시작하면서 반응기에 주입되는 질소의 유량을 20 cc/분으로 낮추어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산 단량체를 기준으로 전환율이 95% 인 겔상의 아크릴산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이후 중합이 종료되면 2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총 투입한 아크릴산 단량체를 기준으로 70%의 아크릴산을 중화하였다.
그 후, 중화된 겔을 120℃의 오븐에서 10 시간 건조하여 백색 분말 상태인 아크릴산 수지를 얻었다.
(2) 표면처리 공정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이오노머와 PSE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인 톨루엔에 용해시켜 복합표면처리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이 용액내에 상기에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를 분산시켰다.
그리고, 이 용액을 가열 교반기에서 100 ∼ 120℃에서 10 ~ 30분 동안 가열하면서 용매를 휘발시키면 표면이 공중합체와 이오노머로 코팅된 본 발명의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를 얻게 되었다.
실험예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속도 및 흡수량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미국특허 제4,666,983호에 따라,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 0.2g을 11 × 11㎝ 크기의 부직포의 중앙부에 놓고, 실을 이용하여 묶어 티백(tea bag)의 모양으로 만든 다음, 0.9 중량%의 식염수에 담가두고 24시간이 경과한 후의 흡수량을 무게로 측정하여 흡수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초기 1분동안 흡수한 염용액의 무게를 고흡수성 수지의 무게로 표준화하여 흡수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의 아크릴계 수지에 대한 표면처리과정에서 술폰화나트륨이 10 몰% 치환된 스티렌계 이오노머(화학식 1), 스틸렌 단량체 함량이 78% 몰인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이 50 : 50 중량비로 함유된 복합표면처리제 각각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1, 2.5, 5, 10 중량부로 표면처리했을때의 흡수량, 흡수속도 및 겔강도를 비교측정하여 다음 표 1 에 나타내었다.
표면처리제의 처리량(중량부) 스티렌계 이오노머 PSE 공중합체 복합표면처리제
흡수량 (g/g) 흡수속도 (g/g·분) 흡수량 (g/g) 흡수속도 (g/g·분) 흡수량 (g/g) 흡수속도 (g/g·분)
0 59.1 40.6 59.1 40.6 59.1 40.6
1 62.1 48.1 74.9 55.3 73.0 56.3
2.5 64.8 50.7 74.2 57.6 76.2 58.4
5 80.2 57.3 72.7 59.1 80.5 60.2
10 70.2 58.9 69.5 60.1 72.5 62.1
실험예 2.
상기 실시예에서의 아크릴계 수지에 대한 표면처리과정에서 바륨아크릴레이트가 10 몰% 치환된 아크릴계 이오노머, 스틸렌 단량체 함량이 90% 몰인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이 50 : 50 중량비로 함유된 복합표면처리제 각각은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1, 2.5, 5, 10 중량부로 표면처리했을때의 흡수량 및 흡수속도를 비교측정하여 다음 표 2 에 나타내었다.
표면처리제의 처리량(중량부) 아크릴계 이오노머 PSE 공중합체 복합표면처리제
흡수량 (g/g) 흡수속도 (g/g·분) 흡수량 (g/g) 흡수속도 (g/g·분) 흡수량 (g/g) 흡수속도 (g/g·분)
0 59.1 40.6 59.1 40.6 59.1 40.6
1 61.5 49.4 71.4 55.0 73.2 56.0
2.5 63.4 53.7 71.7 57.6 72.1 58.0
5 68.4 55.8 72.0 58.1 74.7 60.1
10 67.4 56.5 69.5 60.1 75.9 64.5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개질제로 유효한 이오노머와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이를 혼합한 복합표면처리제로 처리했을 때 물 또는 염용액에 대하여 이들 각각이 지니는 흡수량 및 흡수속도는 물론 겔강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아크릴계 수지를 표면처리하여 제조한 고흡수성수지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제로는 이오노머 및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혼합된 복합표면처리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오노머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스티렌계 이오노머 또는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크릴계 이오노머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화학식 1
    화학식 2
    상기 화학식들에서: M은 알칼리금속이온 또는 알칼리토금속이온이고; x는 3 ∼ 20의 유리수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이오노머는 술폰화된 알칼리금속이온 또는 알칼리토금속이온이 스티렌계 이오노머의 전량에 대하여 3 ∼ 20 몰%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이오노머는 아크릴화된 알칼리금속이온 또는 알칼리토금속이온이 아크릴계 이오노머의 전량에 대하여 3 ∼ 20 몰%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표면처리제는 이오노머 :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20 ~ 80 : 80 ~ 20 중량%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스티렌 단량체 50 ∼ 95 몰%와 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 50 몰%가 공중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흡수성 수지.
KR1019970071294A 1997-12-20 1997-12-20 고흡수성 수지 KR10025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294A KR100258017B1 (ko) 1997-12-20 1997-12-20 고흡수성 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294A KR100258017B1 (ko) 1997-12-20 1997-12-20 고흡수성 수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876A true KR19990051876A (ko) 1999-07-05
KR100258017B1 KR100258017B1 (ko) 2000-06-01

Family

ID=1952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294A KR100258017B1 (ko) 1997-12-20 1997-12-20 고흡수성 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80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777A3 (ko) * 2010-02-08 2011-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흡수성 수지
WO2015088200A1 (ko) * 2013-12-10 2015-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US9701796B2 (en) 2013-12-10 2017-07-11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US9976003B2 (en) 2014-11-27 2018-05-22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super absorbent polymer and super absorbent polymer prepar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9576B1 (ko) * 1994-06-06 1999-01-15 카케히 테쯔오 개질된흡수성수지입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6777A3 (ko) * 2010-02-08 2011-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흡수성 수지
US8623783B2 (en) 2010-02-08 2014-01-07 Lg Chem, Ltd. Absorbent resin surface-modified with cationic polymer compound
WO2015088200A1 (ko) * 2013-12-10 2015-06-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US9701796B2 (en) 2013-12-10 2017-07-11 Lg Chem, Ltd. Preparation method of superabsorbent polymer
US9976003B2 (en) 2014-11-27 2018-05-22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super absorbent polymer and super absorbent polymer prepar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8017B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0773A (en) Water absorbent resins prepared by polymerization in the presence of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s
US4755562A (en) Surface treated absorbent polymers
Qi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diatomite composite superabsorbent
EP1034194B1 (en) Poly(vinylamine)-based superabsorbent gel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3963805A (en) Water swellable poly(alkylene oxide)
CN100503650C (zh) 两性离子高吸水树脂及其反相悬浮聚合制备方法
GB2081725A (en)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Hydrogel
PT873187E (pt) Polimeros reticulados com alcoois aminados insaturados com capacidade de aumentar de volume com agua sua preparacao e utilizacao
EP0547847A1 (en) Process for producing water-absorbent resin
CN100398573C (zh) 一种丙烯酸型高吸水性树脂的制备方法
JPH0414684B2 (ko)
WO1999025748A1 (en) Poly(vinylguanidine) -based superabsorbent gels
KR20110092236A (ko)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로 표면개질된 흡수성 수지
WO1999025394A2 (en) Poly(dialkylaminoalkyl (meth)acrylamide)-based superabsorbent gels
CA2084040A1 (en) Hydrophilic, swellable graft polymers
JPH02153903A (ja) 高吸水性樹脂の製法
EP0039542A2 (en) Aluminium-hydrolysed starch graft copolymer salts used in water absorbent articles
KR19990051876A (ko) 고흡수성 수지
JPH04120176A (ja) 吸水剤及びその製造方法
HU216321B (hu) Vizben duzzadó kationos polimer,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és alkalmazása
JP2545512B2 (ja) 高吸水性ポリマ−
KR100212978B1 (ko) 아크릴계 고흡수성 수지
CN101942065B (zh) 一种超高吸水性树脂制造方法
JPS6136309A (ja) 耐塩,耐光性吸水剤
KR100212976B1 (ko) 고흡수성 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