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640A - 매거진캐리어 - Google Patents

매거진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640A
KR19990047640A KR1019970066133A KR19970066133A KR19990047640A KR 19990047640 A KR19990047640 A KR 19990047640A KR 1019970066133 A KR1019970066133 A KR 1019970066133A KR 19970066133 A KR19970066133 A KR 19970066133A KR 19990047640 A KR19990047640 A KR 19990047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magazine carrier
carrier
present
low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7640A/ko
Publication of KR19990047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640A/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매거진캐리어는 조립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통일된 구조를 가지며, 매거진을 위한 단위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매거진캐리어의 하측면부에 슬롯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어 매거진이나 리드프레임의 장변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로 하여금 조립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통일된 매거진과 매거진캐리어를 사용하도록 하여 자재 적재작업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조립장치 사이에서의 자재반송 자동화를 이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거진을 사용하지 않고도 리드프레임을 직접 매거진캐리어에 적재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거진캐리어
본 발명은 매거진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통일된 구조로 형성하여 조립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리드프레임을 직접 적재할 수 있도록 한 매거진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패키지 조립공정에서 리드프레임을 몰딩장치, 트리밍장치, 포밍장치, 마킹장치, 도금장치 등과 같은 조립장치에 공급함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을 상기 조립장치에 직접 로딩하는 대신에 상기 리드프레임을 매거진(magazine)에 일정 수량 적재하거나 상기 매거진을 매거진캐리어에 일정 수량 적재하거나 리드프레임을 박스캐리어에 적재하여 로딩하여 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거진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른 매거진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매거진캐리어의 본체(20)는 리드프레임(도시 안됨)을 적재하기 위한 매거진(10)을 4개 수평 배열한 상태로 적재 가능하고 매거진(10)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대향하는 좌, 우 양측면부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부(21)가 수직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전방 돌출하고, 상기 돌출부(21)에 의해 구분된 단위 영역의 좌, 우 양측면부에 슬롯(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 우 양측면부의 각 모서리가 연결부(25a),(25b)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매거진(10)은 SUS 재질로, 매거진캐리어(20)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매거진캐리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30)을 4개 수평 배열한 상태로 적재 가능하도록 일반 강재의 선형재로 이루어져 있다.
박스캐리어(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이 개방되고 각 측면에 작은 관통홀(51)이 다수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매거진과 매거진캐리어가 각 조립장치별로 적용되어 왔는데 이는 조립장치별로 이들의 적재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이었다. 즉, 적재방법이 몰딩장치에 3가지 있고, 트리밍/포밍장치에 4가지 있고, 도금장치에 2가지 있었다.
또한, 박스캐리어(50)가 하나의 동일 구조를 갖고 있지만, 조립장치별로 리드프레임(도시 안됨)을 수평으로 적재하거나 수직으로 적재하여 왔다.
그러나, 종래의 매거진 매거진캐리어의 구조 및 적재방법이 조립장치별로 상이하므로 작업자가 매거진과 매거진캐리어를 조립장치에 장착할 때, 조립장치별로 해당하는 매거진과 매거진캐리어를 적합하게 적재하지 않으면 안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양한 구조의 매거진과 매거진캐리어는 조립공정의 복잡화를 야기시켜 조립공정의 인라인(in-line)화, 자재 반송의 자동화를 추진하는데 많은 장애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거진 및 매거진캐리어의 구조를 단일화하여 조립공정에서의 자재 적재작업을 단순화하도록 한 매거진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매거진 및 매거진캐리어의 구조를 단일화하여 리드프레임을 직접 적재할 수 있도록 한 매거진캐리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거진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른 매거진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박스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거진 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매거진 20: 매거진캐리어 21: 돌출부 23: 슬롯 25,25a,25b: 연결부 60: 매거진캐리어 61: 돌출부 63,64: 슬롯 65: 연결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거진캐리어는
대향하는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돌출하여 각각의 매거진을 적재하기 위한 단위 영역을 한정하는 돌출부를 갖는 좌, 우 양측면부;
상기 좌, 우 양측면부의 하측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매거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측면부; 그리고
상기 좌, 우 양측면부의 소정 영역을 일체로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거진의 하측면 장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단위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하측면부에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거진캐리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거진캐리어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거진캐리어(60)는 매거진(10)을 6개 수평 배열한 상태로 적재 가능하고, 매거진(10)의 상, 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대향하는 좌, 우 양측면부의 내측면에 돌출부(61)가 전방 돌출하고, 상기 돌출부(61)에 의해 구분된 단위 영역의 좌, 우 양측면부에 슬롯(6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각 단위 영역의 하측면부 중앙부에도 슬롯(64)이 형성되고, 상기 좌, 우 양측면부의 상측 모서리가 연결부(65)에 의해 일체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매거진(10)과 매거진캐리어(6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면부에 슬롯(64)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매거진캐리어(60)가 매거진(10)을 6개 적재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매거진캐리어(60)를 몰딩장치, 트리밍/포밍장치, 마킹장치, 도금장치 등과 같은 조립장치의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모든 조립장치에 하나의 통일된 매거진캐리어(60)와 매거진(10)만을 로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로 하여금 조립장치별로 매거진과 매거진캐리어를 로딩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각 단위 영역에 해당하는, 매거진캐리어(60)의 하측면부 중앙부에 슬롯(6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롯(64)의 가장자리를 따라 잔존하는 상기 하측면부의 영역이 매거진(10)의 하측면 장변 양측을 지지한다. 상기 하측면부에 슬롯(64)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물론, 매거진(10)을 사용하지 않고 리드프레임(도시 안됨)을 직접 적재하는 경우, 리드프레임의 장변 양측이 지지되므로 리드프레임의 수평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거진캐리어(60)를 사용하지 않고도 리드프레임의 직접 적재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매거진캐리어(60)를 각종 조립장치의 로딩부/언로딩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딩부/언로딩부를 매거진캐리어(60)의 사이즈에 맞추어 개조시켜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매거진캐리어(60)의 피치(pitch)에 맞추어 반송피치의 프로그램을 수정하여야 한다. 그 외에 구조적으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로딩부/언로딩부를 전면 개조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매거진캐리어는 조립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통일된 구조를 가지며, 매거진을 위한 단위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매거진캐리어의 하측면에 슬롯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로 하여금 조립장치의 종류에 관계없이 하나의 통일된 매거진과 매거진캐리어를 사용하도록 하여 자재적재작업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조립장치 사이에서의 자재반송 자동화를 이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거진을 사용하지 않고도 리드프레임을 직접 매거진캐리어에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시된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도 가능함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3)

  1. 대향하는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각각 돌출하여 각각의 매거진을 적재하기 위한 단위 영역을 한정하는 돌출부를 갖는 좌, 우 양측면부;
    상기 좌, 우 양측면부의 하측부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매거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하측면부; 그리고
    상기 좌, 우 양측면부의 소정 영역을 일체로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매거진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의 하측면 장변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단위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하측면부에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캐리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매거진을 6개 적재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거진캐리어.
KR1019970066133A 1997-12-05 1997-12-05 매거진캐리어 KR19990047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133A KR19990047640A (ko) 1997-12-05 1997-12-05 매거진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133A KR19990047640A (ko) 1997-12-05 1997-12-05 매거진캐리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640A true KR19990047640A (ko) 1999-07-05

Family

ID=66088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133A KR19990047640A (ko) 1997-12-05 1997-12-05 매거진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76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0325A (ko) 자동조립기에 대한 부품공급 방법과 그 공급용 캐리어
ATE108410T1 (de) Aufbau für programmgesteuertes behandeln und transportieren von gefässen und behältern oder ähnlichen.
ATE102522T1 (de) Fertigungsanlage fuer die spanabhebende bearbeitung von mittel- und grossteilen.
DE50011373D1 (de) Montagevorrichtung
KR19990047640A (ko) 매거진캐리어
KR910011112A (ko) 부품 공급 시스템
US5320481A (en) Carry pallet for a numerical controlled router
JPS6276656A (ja) 集積モジユ−ル用支持体
KR20010053793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 공정용 보트 캐리어
JP2602805Y2 (ja) トランスファ装置
JPH02295200A (ja) 電子部品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452160B1 (en) Positioning device for parts supply tray
KR970071312A (ko) 유연 생산 시스템용 물류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
SU171029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деталей
DE69416463D1 (de) Genaue Indexierungseinheit für eine Palette gegenüber einer Bearbeitungsstation
IT8224367A0 (it) Metodo per controllare il processo di sfibratura in uno sfibratore a magazzino.
JPH0536297Y2 (ko)
KR0143640B1 (ko) 운반용 적재선반
JPS5871049A (ja) パレツトタイプの作業台付多ステ−シヨン型マシンにおけるリタ−ンコンペア
JPS6186190A (ja) 産業用ロボツト
JPS6264759A (ja) 半導体装置用トレイ
JPH0335051B2 (ko)
JPS60157346U (ja) 荷役機械等の取付用踏みステツプ
JPH0513508A (ja) テープキヤリア搬送治具
KR19990013670U (ko) 조립부품 이송 및 적치용 보조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