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238A -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238A
KR19990047238A KR1019970065568A KR19970065568A KR19990047238A KR 19990047238 A KR19990047238 A KR 19990047238A KR 1019970065568 A KR1019970065568 A KR 1019970065568A KR 19970065568 A KR19970065568 A KR 19970065568A KR 19990047238 A KR19990047238 A KR 19990047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twisted pair
pair network
lines
network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0028B1 (ko
Inventor
권기조
Original Assignee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준,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본준
Priority to KR101997006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02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40Construction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 H04L49/405Physical details, e.g. power supply, mechanical construction or backplane of AT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Twisted Pair Network Cable)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는 허브를 중심으로 피씨(PC)의 각 노드와 연결할 때 그 노드의 수만큼 허브의 포트와 연결하여 구성하므로 포트 수로 인한 설치 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4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중 2개 페어는 사용하지 않고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허브와 연결된 피씨와 또 다른 피씨를 연결할 때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케스케이드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허브의 포트 수를 절감하여 비용을 줄이고, 사용하지 않던 케이블을 모두 사용함으로서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
본 발명은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Twisted Pair Network)의 구성을 용이하기 위한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캐스케이드로 연결하여 HUB의 포트 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고,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신호를 여러 다른 선으로 분산시켜서 내보낼 수 있는 기기인 허브(10)와, 상기 허브(10)에서 내보내는 신호를 필요한 N개의 노드(20A~20N)로 전송하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CA1~CAN)로 구성된다.
그리고, 허브와 각 노드간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의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허브의 수신 차동단(RX)은 1,2번 라인을 통해 각 노드의 송신 차동단(TX)과 연결하고, 허브의 송신 차동단(TX)은 3,6번 라인을 통해 각 노드의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여 구성하고, 나머지 4,5번 라인과 7,8번 라인은 오픈상태로 두어 사용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허브(10)에서 신호를 여러 다른 선으로 분산시켜 내보내기 위하여 그의 포트(#PA-#PN)로 신호를 출력하면, 그 포트(#PA-#PN)의 수와 같은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CA1~CAN)을 통해 N개의 노드(20A~20N)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N개의 노드(20A~20N)의 노드를 통해 허브(10)로 송신되는 신호 또한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CA1~CAN)을 통해 상기 허브(10)로 전송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신호를 송수신하여 주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CA1~CAN)은, 도 2에서와 같이, 쌍으로 된 (1번,2번), (3번,6번), (4번,5번), (7번,8번) 라인의 4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로 구성되고, 그 구조는 도 3에서와 같다.
즉, 허브와 각 노드간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의 구조는, 도 3에서와 같이, 허브의 수신 차동단(RX)은 1,2번 라인을 통해 각 노드의 송신 차동단(TX)과 연결하여, 상기 노드의 송신 차동단(TX)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1,2번 라인을 통해 허브(10)의 수신 차동단(RX)으로 전달하여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허브의 송신 차동단(TX)은 3,6번 라인을 통해 각 노드의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여, 상기 허브(10)의 송신 차동단(TX)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3,6번 라인을 통해 전달하여 노드의 수신 차동단(RX)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머지 쌍으로 연결된 4,5번 라인과 7,8번 라인은 오픈상태로 두어 사용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은 케이블 연결을 통해 허브(10)와 각 노드(20A~20N)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는 허브를 중심으로 각 노드나 백-본(BACK BONE) 네트워크가 스타형 형태로 케이블을 연결하여 구성하거나, 각 노드가 송신하는 데이터를 전체 노드에 반복하여 수신하도록 하는 순환 허브를 중심으로 구성하거나, 각 노드에서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 목적지로 스위칭해주는 스위칭 허브를 중심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는 허브를 중심으로 피씨의 각 노드와 연결할 때 그 노드의 수만큼 허브의 포트와 연결하여 구성하므로 포트 수로 인한 설치 비용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4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중 2개 페어는 사용하지 않고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허브와 연결된 피씨와 또 다른 피씨를 연결할 경우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허브측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과 캐스캐이드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허브측의 포트 수를 줄여 설치 비용을 줄이도록 한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중 사용하지 않던 케이블을 모두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의 구조도.
도 3은 종래 허브(HUB)와 각 노드간 네트워크 구성시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 방법에 대한 실시예.
도 5는 도 4에서, 허브 인접 노드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6은 도 4에서, 캐스케이드 노드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7은 도 4에서, 허브 포트의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의 연결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HUB 20 : 노드
RX : 수신 차동단 TX : 송신 차동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허브와 연결된 피씨와 또 다른 피씨를 연결할 때, 상기 허브와 연결된 피씨의 허브 인접 노드와 또 다른 피씨의 캐스케이드 노드를 연결하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케스케이드로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에 대한 실시예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허브와 연결된 피씨와 또 다른 피씨를 연결할 때, 상기 허브와 연결된 피씨의 허브 인접 노드와 또 다른 피씨의 캐스케이드 노드를 연결하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케스케이드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허브 인접 노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라인의 1,4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2,5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3,7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6,8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캐스케이드 노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라인의 4,7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5,8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3,1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6,2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허브측에서 인접한 피씨의 노드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할 경우, 상기 허브측의 포트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은, 도 7에서와 같이, 1,2번 라인은 허브의 수신 차동단(RX+,RX-)에 연결하고, 3,6번 라인은 송신 차동단(TX+,TX-)과 연결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4,5,7,8번 라인은 오픈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이때 허브에 인접한 피씨의 허브 인접 노드는 경우는 종래에서와 마찬가지로 1,2번 라인은 송신 차동단(TX+,TX1)에 연결하고, 3,6번 라인은 수신 차동단(RX+,RX-)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4,5,7,8번 라인은 오픈하여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허브와 허브 인접 피씨의 경우 쌍으로 된 두 개의 라인의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때 허브 인접 피씨와 또 다른 피씨가 데이터를 허브를 거치지 않고, 허브 인접 피씨로 부터 또 다른 피씨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나 또 다른 피씨에서 허브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도 4에서와 같이 캐스케이드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즉, 허브 인접 노드는, 도 5에서와 같이, 1,4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2,5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3,7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6,8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캐스케이드 노드는, 도 6에서와 같이, 4,7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5,8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3,1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6,2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면 허브측의 송신데이터는 3,6번 라인을 통하여 허브 인접 노드의 수신단에 전달되고, 이 전달된 송신데이터는 상기 허브 인접 노드의 3,6번 라인은 각각 7,8번 라인과 연결되어 캐스케이드 노드의 수신단(RX)까지 전달된다.
결국 허브측의 송신데이터는 또 다른 피씨의 수신단으로 바로 연결된다.
그리고, 허브 인접 노드의 송신 데이터는 1,2번 라인을 통하여 캐스케이드 노드의 4,5번 라인을 통하여 상기 캐스케이드 노드의 수신단에서 수신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허브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피씨로 송신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하나의 피씨에서 다른 하나의 피씨로도 데이터를 허브를 거치지 않고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허브 인접 노드와 캐스케이드 노드의 케이블 4개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허브의 하나의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캐스케이드 노드측의 두 개의 송신단에 연결되므로, 상기 허브의 포트 수를 줄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멀리 떨어져 있는 피씨에서 허브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캐스케이드 노드의 송신데이터는 1,2번 라인을 통하여 허브 인접 노드의 7,8번 라인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허브 인접 노드의 7,8번 라인을 통하여 상기 허브 인접 노드의 수신단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렇게 데이터를 수신한 허브 인접 노드는 허브측의 1,2번 라인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허브측은 1,2번 라인을 통하여 수신단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허브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피씨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멀리 떨어져 있는 피씨에서 허브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하나의 피씨에서 또 다른 피씨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캐스케이드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허브와 연결된 피씨와 또 다른 피씨를 연결할 때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케스케이드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허브의 포트 수를 절감하여 비용을 줄이고, 사용하지 않던 케이블을 모두 사용함으로서 네트워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허브와 연결된 피씨와 또 다른 피씨를 연결할 때, 상기 허브와 연결된 피씨의 허브 인접 노드와 또 다른 피씨의 캐스케이드 노드를 연결하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을 케스케이드로 연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허브 인접 노드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라인의 1,4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2,5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3,7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6,8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캐스케이드 노드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라인의 4,7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5,8번 라인을 수신 차동-단(RX-)에 연결하고, 3,1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고, 6,2번 라인을 송신 차동-단(TX-)에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위스트 페어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방법.
KR1019970065568A 1997-12-03 1997-12-03 트위스트페어네트워크케이블연결방법 KR100300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568A KR100300028B1 (ko) 1997-12-03 1997-12-03 트위스트페어네트워크케이블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568A KR100300028B1 (ko) 1997-12-03 1997-12-03 트위스트페어네트워크케이블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238A true KR19990047238A (ko) 1999-07-05
KR100300028B1 KR100300028B1 (ko) 2001-09-03

Family

ID=3752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568A KR100300028B1 (ko) 1997-12-03 1997-12-03 트위스트페어네트워크케이블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0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285A (en) * 1993-03-31 1995-02-21 Intel Corporation Cascading twisted pair ethernet hubs by designating one hub as a master and designating all other hubs as sla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0028B1 (ko) 200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4085A (en) Local area network
US7696777B2 (en) System for transmission line termination by signal cancellation
CA1087258A (en) Circuit for wire transmission of high frequency data communication pulse signals
US4630256A (en) Bidirectional dual network
JPS6261448A (ja) 光フアイバ多ノ−ドスタ−型ネツトワ−クを備えた音声およびデ−タ分配システム
US5548280A (en) Local area network hub unit
EP0195595B1 (en) Local area network
KR100300028B1 (ko) 트위스트페어네트워크케이블연결방법
CA1194959A (en) Bidirectional dual network
US20080037930A1 (en) Tappable cable segment for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JPS58172039A (ja) 光伝送システム
JPH079467Y2 (ja) 光アダプタ
JPH09320713A (ja) Rs−232cケーブル
KR200201802Y1 (ko) 전화선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시스템
EP1056017B1 (en) Computer bus extension cable
KR200394067Y1 (ko) 옥내통신 단자함용 단자 블록
KR200325540Y1 (ko) 24×24 넌블록킹 스위칭 매트릭스 회로
KR200276217Y1 (ko) 네트워크 시스템의 신호전송 및 전원공급 커넥터
KR100202993B1 (ko) 통신포트와 백보드상의 코넥터간 정합장치
JPH05227187A (ja) ツイストペア線lanのカスケード接続方式
KR100306378B1 (ko) 통신시스템의송수신단자할당방법
JPH1146202A (ja) 集線装置
KR20000004443A (ko) 리퀘스트 신호를 이용한 멀티통신 제어회로
JPH0652904B2 (ja) 信号分岐方式
JPS62239630A (ja) 光バス型ネツトワ−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