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667A - 세대용원격검침장치 - Google Patents

세대용원격검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667A
KR19990046667A KR1019990012964A KR19990012964A KR19990046667A KR 19990046667 A KR19990046667 A KR 19990046667A KR 1019990012964 A KR1019990012964 A KR 1019990012964A KR 19990012964 A KR19990012964 A KR 19990012964A KR 19990046667 A KR19990046667 A KR 19990046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on
power
meter
he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0113B1 (ko
Inventor
강재석
Original Assignee
강재석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석, 옴니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재석
Priority to KR101999001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1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667A/ko
Priority to PCT/KR1999/000789 priority patent/WO200003812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각 세대별로 검침된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검침값을 각 세대별로 하나의 표시화면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러한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는, 각 세대별 전력공급선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는 검침부와; 감지된 각 세대의 전력량 입력시 전력 변환된 값이 각 세대별로 각각 분리되어 출력되는 입출력 분리회로를 가지는 제어부와; 각 세대의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공급선에 인가되는 검침신호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계량기와; 계량기로부터 펄스신호의 인가시 이를 비교/판단하고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어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의 출력시 각 세대별로 검침된 여러세대의 사용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검침값이 각각 하나의 패널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세대의 전력량, 수도, 가스, 온수, 냉/난방의 검침값을 하나의 패널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원격검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Telemetering control unit}
본 발명은 한 디스플레이 표시부상에 각 세대별로 검침된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검침값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된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식 전력량계는 기계적인 가동부가 없으므로 주로 기계적 구성으로 되어있는 유도형 전력량계와 비교해서 경시특성이 우수한 것을 그 장점으로 들수 있다.
즉, 미터의 정확성이 장시간동안 변하지 않고 유지되고, 더욱이 집적회로등으로 회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소형화가 가능하며 원격측정이나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 등이 용이하다.
또한, 전용선을 이용한 원격검침과 전화라인을 이용한 원격검침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종래의 유도형 전력량계를 대신하여 전자식 전력량계가 전력량계의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며, 최근 많은 전자식 전력량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 일예가 특허공보 제91-9904호에 개시되고,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전력량계는 부하전압에 비례하고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두가지 신호의 전압신호(ev)를 발생하는 분압회로(20)와, 부하전류에 비례하는 전압신호(ei)를 발생하는 전류-전압 변화회로(21)와, 두 전압신호(ev,ei)를 각각 샘플링, 홀딩하는 샘플링 및 홀딩회로(23,24)와, 그 샘플링 및 홀딩회로(23,24)에서 샘플링된 전압신호(ev,ei)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25)와, 그 멀티플렉서(25)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는 A/D변환기(26)를 구비한다.
그리고, 분압회로(20)로부터 발생된 전압신호(ev)를 입력으로 하여 그의 일측단자에 접속된 클럭펄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펄스신호에 따라 전압신호(ev)의 위상지연신호를 검출하는 지연시간 검출회로(27)를 구비한다.
또한, 클럭펄스 발생수단의 출력펄스에 의해 지연시간 검출회로(27)로부터 입력되는 위상지연신호에 상응하여 해당 단자에 지령신호를 발생하고, 그 지령신호에 따라 산출된 값에 의해 소비전력을 적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9)와, 적산된 소비전력을 나타내는 표시수단(30)으로 이루어지고, 샘플링된 전압신호(ev,ei)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며, 선택된 전압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도록 동작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다음과 같은 작동과정을 갖는다.
부하전압(V)에 비례하는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두가지 신호의 전압신호(ev)가 분압회로(20)에서 발생하고, 이 신호를 샘플링 및 홀딩회로(23)에 인가하며, 소비전류(I)에 비례하는 전압신호(ei)가 전류-전압 변환회로(21)를 경유하여 발생되어, 이 신호는 샘플링 및 홀딩회로에 인가된다.
그리고, 샘플링 및 홀딩회로(23,24)는 전압신호(ev,ei)를 개별적으로 샘플링하고 홀딩한다.
한편, 전압신호(ev)는 지연시간 검출회로(27)에 인가되고, 클럭펄스 발생기(28)의 클럭펄스에 따라 전압신호(ev)의 지연신호를 검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9)에 인가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샘플링 및 홀딩회로(23,24)에 동시에 샘플링 신호를 출력할 것을 지령한다.
이때 샘플링 및 홀딩회로(23,24)는 샘플링 신호를 동시에 멀티플렉서(25)에 인가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27)는 클럭펄스 발생기(28)의 소정의 클럭 펄스수를 카운트할 후 멀티플렉서(25)에 전압신호(ev), 전압신호(ei)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할 것을 지령하여 A/D변환기에 공급한다.
이어서, A/D변환기(26)가 A/D 변화를 완료하면 완료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9)에 공급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9)는 신호 변환 완료신호를 체크하여 디지탈 변환신호를 데이터 신호로써 입력하고, 다시 지연시간 검출을 하게 되는데, 전압데이터를 90도만큼 지연시켜서 전류데이터와 승산하므로, 분압회로로부터의 전압신호(ev)가 영레벨과 교차할 때 피크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을 클럭발생기(28)의 펄스를 카운트하므로 지연시간을 검출한다.
그 다음 지연시간 동안의 입력된 데이터를 기억한 후, 이 데이터를 전류데이터와 승산하며 이들 신호에 의하여 소비전력을 적산하여 계량숫자가 표시기(32)에 디지탈로 표시된다.
통상 이러한 전자식 전력량계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입형 박스(30) 내에 세대당 전자식 전력량계(32∼32n)가 각각 마련되어 있고, 그 외부커버(33)에 세대호수(31∼31n)가 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한세대에 1개의 전력량계를 각각 설치해야 함으로 아파트에 적용시 계단식일 경우 한개의 매입형 박스내에 여러개의 계량기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매입형 박스의 사이즈가 커지고, 제품가격의 원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전력량계는 매입형 박스 내에 전력량계를 부착하고 벽면에 별도의 커버를 씌워 봉인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가 발명한, 특허 출원번호 제98-56133호에 개시된 다세대용 전자식 전력량계는, 도3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먼저, 검침부(100∼100n)는 각 세대별 전력공급선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여 각 세대에서 사용된 전력량을 검침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전력량 적산 검침부(125)가 내장되어 검침부(100∼100n)로부터 감지된 전압신호의 인가시 이를 변환하고 적산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입출력 분리회로(120)를 통해 동시에 여러 세대의 전력량을 검침하고, 감지된 각 세대의 전력량 입력시 전력 변환된 값이 세대별로 각각 분리되어 출력부(130∼130n)를 통해 출력된다.
출력부(130∼130n)로부터 인가된 전력량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40)의 패널상에 계량숫자가 디지탈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상술된 전력량을 검침하기 위한 회로가 내장되는 매입박스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벽면에 매입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원격검침을 하기 위해 어드레스 설정 및 외부통신 라인(170)과 외부 카운트용 펄스출력부(180)를 통하여 외부에서 어드레스(Address) 설정하고 세대호수를 입력을 하게 된다.
이때, 소정의 외부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로드하기 위한 루틴인 로더(Loader)를 통하여 각 세대별 호수번호를 디스플레이부(140)의 패널상에 기록하고, 원격검침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된 호수번호는 원격검침 시스템 프로그램상의 어드레스 번호로 사용하게 되고, 입력된 정보는 이이피롬(EEP-ROM;160)에 저장된다.
이러한 다세대용 전자식 전력량계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등 회로요소들이 수용되며 그 입구 가장자리에 플랜지(201)를 가지는 매입박스(200)와, 이 매입박스(200)의 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가 부착고정되는 윈도우(211)가 형성된 메인커버(210)와, 서브커버(220)로 이루어진다.
이 서브커버(220)의 내측에는 각 세대별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단자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201)에는 봉인부(205)가 마련되어 있고, 외관을 위해 봉인부분을 차폐시키는 커버부재(230)가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세대용 전자식 전력량계는 각 세대별 전력량만을 검침할 뿐, 사용자가, 온수, 수도, 가스, 냉/난방에 대한 검침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 세대별로 부착된 계량기의 온수, 수도, 가스, 냉/난방의 사용량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나의 표시화면상에 각 세대별로 사용된 여러세대의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의 전자식 적산 전력계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2는 종래 전자식 적산 전력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종래의 다세대용 전자식 전력량계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4는 종래의 다세대용 전자식 전력량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의 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검침부 110...제어부
120...입출력 분리회로 125...적력량 적산 검침부
130...출력부 140...디스플레이부
150...마이크로 프로세서 160...이이피롬(EEP-ROM)
170...어드레스설정 및 외부통신라인 180...외부카운트용 펄스 출력부
190...계량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는, 각 세대별 전력공급선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는 검침부와; 감지된 각 세대의 전력량 입력시 전력 변환된 값이 각 세대별로 각각 분리되어 출력되는 입출력 분리회로를 가지는 제어부와; 각 세대의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공급선에 인가되는 검침신호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계량기와; 계량기로부터 펄스신호의 인가시 이를 비교/판단하고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제어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의 출력시 각 세대별로 검침된 여러세대의 사용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검침값이 각각 하나의 패널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소정의 외부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에 로드하기 위한 루틴을 통하여 각 세대별 호수를 디스플레이부의 패널상에 기록 가능하게 하고, 각 세대의 사용된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사용량을 원격검침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입력시 이에 대한 검침값을 각 세대 호수별로 한 패널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는, 하나의 표시화면상에 각 세대별로 사용된 여러세대의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는, 도5를 참조하면, 각 세대별 전력공급선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는 검침부(100∼100n)와; 감지된 각 세대의 전력량 입력시 전력 변환된 값이 각 세대별로 각각 분리되어 출력되는 입출력 분리회로(120)를 가지는 제어부와(110)와; 각 세대의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공급선에 인가되는 검침신호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계량기(190)와; 계량기(190)로부터 펄스신호의 인가시 이를 비교/판단하고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와; 제어부(110)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50)로부터 제어신호의 출력시 각 세대별로 검침된 여러세대의 사용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검침값이 각각 하나의 패널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LCD표시부; 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소정의 외부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에 로드하기 위한 루틴을 통하여 각 세대별 호수를 디스플레이부(140)의 패널상에 기록 가능하게 하고, 각 세대의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사용량을 원격검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가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입력시 이에 대한 검침값을 각 세대 호수별로 한 패널상에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등의 사용량을 검침하기 위한 회로가 내장되는 매입박스(200)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검침부(100∼100n)는 각 세대별 전력공급선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여 각 세대에서 사용된 전력량을 검침하게 된다.
제어부(110)는 전력량 적산 검침부(125)가 내장되어 검침부(100∼100n)로부터 감지된 전압신호의 인가시 이를 변환하고 적산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입출력 분리회로(120)를 통해 동시에 여러 세대의 전력량을 검침하고, 감지된 각 세대의 전력량 입력시 전력 변환된 값이 세대별로 각각 분리되어 출력부(130∼130n)를 통해 출력된다.
출력부(130∼130n)로부터 인가된 전력량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40)의 패널상에 계량숫자가 디지탈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상술된 전력량을 검침하기 위한 회로가 내장되는 매입박스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벽면에 매입되게 된다.
계량기(190)는 각 세대별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공급선에 인가되는 검침신호를 감지하여 사용량에 따라 펄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50)는 계량기(190)로부터 종류가 상이한 신호 입력시 어드레스 값으로 신호를 감별하고,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40)상에 각 세대의 호수별로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에 대한 검침값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50)는 원격검침을 하기 위해 어드레스 설정 및 외부통신 라인(170)과 외부 카운트용 펄스출력부(180)를 통하여 외부에서 어드레스(Address) 설정하고 세대호수를 입력을 하게 된다.
이때, 소정의 외부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로드하기 위한 루틴인 로더(Loader)를 통하여 각 세대별 호수번호를 디스플레이부(140)의 패널상에 기록하고, 각 세대의 사용된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사용량에 대해 원격검침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된 호수번호는 원격검침 시스템 프로그램상의 어드레스 번호로 사용하게 되고, 입력된 정보는 이이피롬(EEP-ROM;160)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선택버튼에 따라 각 계량기의 검침계를 선택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140)상의 선택버튼을 입력하면 각호수별로 사용량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본 발명 세대용 원격검침장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량 및 수도, 가스, 온수, 냉/난방에 대한 검침 유니트가 있는 회로기판등 회로요소들이 수용되며 그 입구 가장자리에 플랜지(201)를 가지는 매입박스(200)와, 이 매입박스(200)의 입구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40)가 부착고정되는 윈도우(211)가 형성된 메인커버(210)와, 서브커버(220)로 이루어진다.
이 서브커버(220)의 내측에는 각 세대별 입력단자가 연결되는 단자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201)에는 봉인부(205)가 마련되어 있고, 외관을 위해 봉인부분을 차폐시키는 커버부재(230)가 슬라이딩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각 세대의 전력량을 검침하는 것 외에도,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검침계로부터 출력되는 펄스를 감지하여 하나의 패널상에 여러세대의 검침량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파트, 상가, 오피스텔 및 공도주택등의 각 세대별 전력, 수도, 가스, 온수, 난방등을 원격검침세대 장치인 HCU(Home control unit)로 전송시켜 별도 중계장치 없이 중앙전산장치인 주 컴퓨터로 전송되어 자동으로 세대별 사용량이 검침되고, 아울러 요금계산, 고지서 발부등의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각 세대별 전력공급선에 인가되는 부하 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감지하는 검침부와,
    상기 감지된 각 세대의 전력량 입력시 전력 변환된 값이 상기 각 세대별로 각각 분리되어 출력되는 입출력 분리회로를 가지는 제어부와,
    상기 각 세대의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공급선에 인가되는 검침신호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계량기와,
    상기 계량기로부터 펄스신호의 인가시 이를 비교/판단하고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제어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제어신호의 출력시 상기 각 세대별로 검침된 여러세대의 사용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검침값이 각각 하나의 패널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용 원격검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소정의 외부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에 로드하기 위한 루틴을 통하여 각 세대별 호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패널상에 기록 가능하게 하고, 각 세대의 사용된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의 사용량을 원격검침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용 원격검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전력량 및 수도, 온수, 가스, 냉/난방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입력시 이에 대한 검침값을 각 세대 호수별로 한 패널상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대용 원격검침장치.
KR1019990012964A 1998-12-18 1999-04-13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 KR10029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64A KR100290113B1 (ko) 1999-04-13 1999-04-13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
PCT/KR1999/000789 WO2000038127A1 (en) 1998-12-18 1999-12-18 Remote controllable metering device (tele-meter for multi-reside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964A KR100290113B1 (ko) 1999-04-13 1999-04-13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667A true KR19990046667A (ko) 1999-07-05
KR100290113B1 KR100290113B1 (ko) 2001-05-15

Family

ID=3751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964A KR100290113B1 (ko) 1998-12-18 1999-04-13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1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86B1 (ko) * 2002-04-30 2004-07-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을 사용한 멀티 에어컨 검침 시스템
KR100469497B1 (ko) * 2002-05-31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을 사용한 멀티 에어컨 검침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986B1 (ko) * 2002-04-30 2004-07-03 엘지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을 사용한 멀티 에어컨 검침 시스템
KR100469497B1 (ko) * 2002-05-31 2005-02-02 엘지산전 주식회사 원격검침을 사용한 멀티 에어컨 검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0113B1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804B2 (en) Utility meter having programmable pulse output
EP1435077A2 (en) Utility meter with external signal-powered transceiver
JPS5855455B2 (ja) 電気エネルギ計測装置
GB1578174A (en) Digital processing and calculating ac electric energy metering system
EP0985152A1 (en) Commodity consumption meter
KR200406483Y1 (ko) 다종 유량계측 표시장치
KR100290113B1 (ko) 세대용 원격검침 장치
KR101690134B1 (ko) 전력량계용 오차검출장치
Zaid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 cost electronic prepaid energy meter
KR19990064404A (ko) 다세대용 전자식 전력량계
US5194850A (en) Process for metering electrical energy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AU679213B2 (en) Improved power meter
KR20090030737A (ko) 디지털 요금표시장치
JP3056046B2 (ja) 小型消費電力測定装置
JP4433576B2 (ja) 遠隔検針用計量装置
Kingston et al. Multi function polyphase metering-an integrated approach
KR100618570B1 (ko) 시간대별 적산 전력량 검증 기능을 갖춘 전자식 전력 계측장치
KR200193624Y1 (ko) 간접식 원격검침용 자동계량장치
KR100316485B1 (ko) 다세대용전자식전력량계
KR102432912B1 (ko) 전력량계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900000983B1 (ko) 전자식 전력량계
KR100198230B1 (ko)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WO2000038127A1 (en) Remote controllable metering device (tele-meter for multi-residences)
JPH06131537A (ja) 電気機器における簡易精算型プリペイドカード方式及び装置
JPS61260120A (ja) 電子式積算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