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230B1 -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230B1
KR100198230B1 KR1019940036565A KR19940036565A KR100198230B1 KR 100198230 B1 KR100198230 B1 KR 100198230B1 KR 1019940036565 A KR1019940036565 A KR 1019940036565A KR 19940036565 A KR19940036565 A KR 19940036565A KR 100198230 B1 KR100198230 B1 KR 10019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display
power
communication
power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385A (ko
Inventor
한광수
김영관
정완열
Original Assignee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채준, 대한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채준
Priority to KR1019940036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230B1/ko
Publication of KR96002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09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in numerical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48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18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전력 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데이타의 설정을 위해 온시키면 중앙제어부와 부제어부를 초기화하고 정전상태인가를 확인하면서 통신명령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있으면 계량을 확인하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를처리를 수행하고, 통신이 완료되었으먼 설정에 따른 내용을 디스플레이한 다음,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스위치, 테스트 스위치 또는 디맨드 리세트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설정화면을 표시하거나 자기검사기 등을 표시하거나 또는 디맨드 리세트 기능을 처리한 후 설정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타의 세팅과 표시가 모뎀이나 퍼스널 컴퓨터를 통한 통신에 의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표시부를 나타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중앙제어부 4 : 부제어부
6 : 표시장치 구동부 7 : 제1표시부
8 : 제2표시부 10 : 전송신호 입출력회로
11 : 신호변환회로 12 : 스위치조작부
본 발명은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량, 디멘드 및 역률의 데이타를 모뎀과 컴퓨터를 통한 로칼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의 방식으로 세팅하여 표시토록 한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 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산전력량계라 하면 일정한 시간내에 소비되는 전력의 합계를 누산 표시하면서 요금을 산정하기 위하여 유효전력량등을 검침하도록 한 것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종래에는 유효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통의 전력량계를 이용하면서 전일 전력량과 최대수요전력의 정밀한 측정을 위해 정밀전력계를 사용하고, 다시 역률측정에 의한 무효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타임스위치와 무효전력량계를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였다.
특히 업무용이나 산업용 수용가에서 전력을 사용하는 중에 요금제도가 바뀌거나 전력공급 방식이 바귈때 이미 설치된 전력량계를 교체하여야 함은 물론, 자체적인 전력공급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전기적 특성을 선택적으로 알아볼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작의 조건확인과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원격검침과 데이타 송수신이 통신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한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데이타의 설정을 위해 온시키면 중앙제어부와 부제어부를 초기화하고 정전상태인가를 확인하면서 통신명령이 있는가를 확인하여 있으면 계량을 확인하면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고, 통신이 완료되었으면 설정에 따른 내용을 디스플레이한 다음, 조작부의 디스플레이 스위치, 테스트 스위치 또는 디멘드 리세트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기능을 처리한 후 설정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데이타의 세팅과 표시가 모뎀이나 퍼스널 컴퓨터를 통한 통신에 의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유효전력연산회로, 지상무효전력연산회로, 진상 무효 전력연산회로, 주파수 검출회로 및 정전검출회로에서 부터 각각 입력되는 유효전력펄스주파수(WP1), 지상무효전력펄스주파수(WP2), 진상무효전력펄스주파수(WP3), 전원주파수동기신호(Acp) 및 정전검출신호(Acon)는 입력보상부(1)를 경유하는 중에 신호전달과정에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도록 하고, 상기의 입력보상부(1)를 경유한 주파수(WP1)(WP2)(WP3)와 신호(Acp)(Acon)를 입력받는 중앙제어부(2)에서는 클럭발생기(3)로부터 공급되는 시스템 클럭에 동기되어 동작을 제어하면서 정밀전력량계용 계량펄스신호의 계수와 기억, 만년칼렌다 시계기능, 로드서베이(Load Survey)기능, 데이타 통신기능, 자기검사기능, 최대수요전력복귀기능, 월간 역률계산기능, 경고기능, 계량치와 기록치 및 설정치의 송수신기능, 통신에 의한 각종 설정치 변경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의 중앙제어부(2)와 정보를 주고받는 부제어부(4)에서는 클럭발생기(5)로부터 동작의 동기 및 시간계산에 필요한 클럭을 입력받으면서 시계신호의 제어기능, 조작부 스위치제어기능, 표시장치구동의 제어기능, 인터럽트신호의 제어기능, 사용전원 주파수 제어기능, 리세트 제어기능, 전력량 펄스파형의 제어기능, 시한펄스파형의 제어기능, 입/출력 어드레스와 데이타 제어의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부제어부(4)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표시장치구동부(6)에서는 유효전력량, 지상무효전력량, 진상무효전력량 및 무계량의 계량동작표시를 제1표시부(7)에 LCD로 표시하면서 표시항목번호, 부속표시 및 데이타 내용을 제2표시부(8)에 LCD로 표시하고, 상기 중앙제어부(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펄스출력부(9)에서는 유효의 계량펄스주파수(P1), 지상무효의 계량펄스주파수(P2) 및 진상무효의 계량펄스주파수(P3)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중앙제어부(2)에 연결된 전송신호입출력회로(10)에서는 외부의 퍼스널컴퓨터 등에 의해 동작조건의 확인 및 설정에 따라 각종 기록을 송수신하면서 원격검침이 가능하도록하고, 상기 부제어부(4)에 연결된 신호변환회로(11)에서는 외부의 외장형 모뎀(Modem)과 연결하여 동작조건의 확인 및 설정에 따라 각종기록을 송수신하면서 원격검침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부제어부(4)에 연결된 스위치조작부(12)에서는 표시의 이동이나 전환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스위치(SW1)와 계기의 자기검사시 사용하는 테스트 스위치(SW2) 및 최대수요전력 복귀시 사용하는 디멘드(Demend) 리세트 스위치(SW3)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사양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은 사용자가 데이타의 세팅이나 표시를 위한 모드를 선택하면 주제어부(2)에서는 내부를 초기화시키고(단계 21), 통신을 위한 통신기능을 초기화시킨다(단계 22).
다음에 정전검출회로에서 입력되는 정전검출신호(Acon)를 분석하여 정전의 상태인가를 판단하여(단계 23) 정전(PWOFF)이면 현재의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한편(단계 24), 정전이 아니면 전송신호입출력회로(10)나 신호변환회로(11)를 통해 통신의 요구가 있는가를 확인한다(단계 25).
통신의 요구가 없으면 단계 24로 귀환하는 한편, 통신의 요구가 있으면 ID번호설정, 디멘드시한시간의 설정, 휴일설정, 시간대 데이타설정, 변경예약해제, 칼렌다 설정, 각 시간대의 명칭설정, 최대수요전력복귀, 전송속도설정, 표시항목 및 순서설정, 로드서베이 보존데이타지움 계량조건설정 등의 설정은 물론, 전력량(유효, 지상무효, 진상무효), 전일전력량 시간대별 전력량, 로드서베이, 디멘드, 역률등의 계량을 확인하도록 하고(단계 26), 통신이 완료되었는 가를 확인한 후(단계 27), 완료되었으면 설정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단계 28).
한편 스위치조작부(12)의 디스플레이 스위치(SW1)가 온되었는 가를 확인하여(단계29) 온되었으면 온된 횟수에 따라 계기의 ID, 계기정수, 계기승률, 평일/요일/휴일표시, 유효전력량, 지상무효전력랑, 진상무효전력량, 피상전력, 역률, 로스서베이, 시간대, 제어부상태, 램(RAM)상태, 밧데리상태 및 통전상태를 순차적으로 표시 한다(단계 30).
그리고 테스트 스위치(SW2)가 온되었는 가를 확인하여(단계31), 온되었으면 온된 횟수에 따라 밧데리 경고, 통전상태, 전송속도, 로드서베이 확인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단계 32).
다음에 디멘드 리세트 스위치(SW2)가 온되었는 가를 확인하여(단계 33) 온되었으면, 최대수요전력복귀의 디멘드 리세트를 수행한 후(단계 34), 설정된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에 의해 수행한다(단계 35).
따라서 본 발명의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에 의하여서는 주제어부와 부제어부에 각각 연결된 전송신호 입출력회로나 신호변환회로를 통하여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등으로 계량조건의 설정과 원격검침 및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사용자가 데이타의 세팅이나 표시를 위한 모드를 선택하면 주제어부(2)에서는 내부를 초기화시키고, 통신을 위한 통신기능을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다음에 정전검출회로에서 입력되는 정전검출신호(Acon)를 분석하여 정전의 상태인가를 판단하여 정전(PWOFF)이면 현재의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정전이 아니면 전송신호입출력회로(10)나 신호변환회로(11)를 통해 통신의 요구가 있는가를 확인하는 단계와, 통신의 요구가 있으면 ID번호설정, 디멘드시한시간의 설정, 휴일설정, 시간대 데이타설정, 변경예약해제, 칼렌다 설정, 각 시간대의 명칭설정, 최대수요전력 복귀, 전송속도설정, 표시항목 및 순서설정, 로드서베이 보존데이타지움, 계량조건 설정등의 설정은 물론, 전력량(유효, 지상무효, 진상무효), 전일전력량, 시간 대별 전력량, 로드서베이, 디멘드, 역률 등의 계량을 확인하고, 통신이 완료되었는가를 확인한 후 완료되었으면 설정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는 단계들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KR1019940036565A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KR100198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565A KR100198230B1 (ko)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565A KR100198230B1 (ko)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385A KR960024385A (ko) 1996-07-20
KR100198230B1 true KR100198230B1 (ko) 1999-06-15

Family

ID=1940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565A KR100198230B1 (ko) 1994-12-24 1994-12-24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23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385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3489B2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virtual switching for electrical panel metering
US6762598B1 (en) Method for providing optical test signals for electronic meter testing
US5537333A (en) Method of determining power measurements in an electrical energy meter
US4621330A (en) Programming system for programmable time registering electric energy meters
JP2000193695A (ja) 電力使用状態監視方法及びその装置
EP0985152A1 (en) Commodity consumption meter
KR100198229B1 (ko) 원격제어 및 감시가 가능한 전력수급용 복합계기
GB2096370A (en) Electrical energy consumption meter
CA2326035A1 (en) Electricity meter with an additional computing module
KR100198230B1 (ko)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데이타 세팅 및 표시방법
KR100198231B1 (ko)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시간대 분할설정 방법
KR100198232B1 (ko)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lcd자기 체크방법
JP2990025B2 (ja) 電子式電力量計
Kingston et al. Multi function polyphase metering-an integrated approach
KR0174036B1 (ko) 다기능 전력수급용 복합계기의 자기검사 및 경고방법
KR100216362B1 (ko) 가변요율 적용을 위한 원격검침 장치 및 방법
JPH05290288A (ja) 自動検針装置
CA2286992C (en) Programmable electrical energy meter and methods therefor
JP2972531B2 (ja) 電子式電力量計
JPH10260205A (ja) 検針計器
JP2972538B2 (ja) 計量端末器
JPS60144899A (ja) 自動検針装置
JPS60144898A (ja) 自動検針装置
AU10178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meter testing
JPH0748239B2 (ja) 自動検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