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194A -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194A
KR19990046194A KR1019980041216A KR19980041216A KR19990046194A KR 19990046194 A KR19990046194 A KR 19990046194A KR 1019980041216 A KR1019980041216 A KR 1019980041216A KR 19980041216 A KR19980041216 A KR 19980041216A KR 19990046194 A KR19990046194 A KR 1999004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mperature
freezer compartment
fan
free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6194A/ko
Publication of KR1999004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194A/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온도보다 사전에 설정된 온도가 높음에 따라 압축기를 오프 시킬 때 냉동팬을 일정시간 구동시켜 응축기와 냉각기내의 냉매잠열을 회수하여 압축기 오프중에도 냉동실온도를 추가적으로 낮춤으로써 압축기의 운전율을 낮추어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냉동실의 온도에 도달하면 압축기 및 냉동팬이 오프됨으로써 응축기 및 냉각기내의 냉매잠열을 회수못하여 최적의 냉각효율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를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보다 높으면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냉동팬을 약 120초 이상 구동시켜 응축기 및 냉각기내의 냉매잠열을 회수하여 압축기오프중에도 냉동실온도를 추가적으로 낮추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압축기의 운전율을 낮추어 최적의 냉각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발명임.

Description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동실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온도보다 사전에 설정된 온도가 높을 경우 압축기 오프 시키게되는데, 이때 냉동팬을 일정시간 구동시켜 응축기와 냉각기내의 냉매잠열을 회수하여 냉동실온도보다 증발기온도를 높임으로써 압축기의 운전율을 낮추어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기구로써 냉동싸이클, 즉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면서 증발부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냉각된 공기가 냉동팬의 회전에 의해 냉장실과 냉동실로 공급되어 각 고내에서 열교환된후 다시 냉각기실로 귀환되어 재차 냉각되고, 다시 각 고내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냉동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 89-3100호에 제안된 바, 도 1을 참조하면, 냉장고의 교류 입력전원(AC)의 일단은 연동스위치(SW1)의 일단과 공접하여 냉동팬모우터(3)의 일단에 연결되고, AC전원의 다른 일단은 냉동실 온도조절기 스위치(SW3)를 통해 연동스위치(SW2)의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스위치(SW1)의 접점은 릴레이(4)의 입력단자(a)와 정류회로(1)의 한 입력단에 연결되고 스위치(SW3)와 연결된 스위치(SW2)의 일단은 상기 릴레이(4)의 다른 입력단자(b)에 연결된다.
상기 릴레이(4)의 공통접점(c)은 냉동팬모우터(3)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릴레이(4)의 접점(d)은 트라이악(T1)의 일단과 저항(R5)의 일단에 연결되며, 또 입력단자(b)와 접속되어 있는 릴레이 접점(e)은 캐패시티(C1)의 일단과 연결된 스위치(SW2) 및 릴레이(4)를 통한 전원선은 트라이악(T1)의 일단에 연결된다.
상기 정류회로(1)의 직류전원 출력단자(+.-)는 온도검출회로(2)의 출력단자(j)는 저항(R1)을 통해 저항(R2)의 일단과 공접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온도검출회로(2)의 입력단자(K)는 냉장실에 설치된 온도감지용 더미스터(TH)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정류회로(1)의 직류 출력전원(+)은 저항(R4)을 통해 상기 트라이악(T1)의 게이트와 연결되는 동시에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저항(R3)에 연결된다.
상기 냉동팬 제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연동스위치(SW1),(SW2)는 오프(OFF) 상태를 표시한 것이며, 이 연동스위치가 오프되면 릴레이(4) 측에 AC전원이 걸리지 않으므로 릴레이(4)의 단자(b)(c)가 접속되어 냉동실의 공지의 온도조절기 스위치(SW3)를 통하여 팬모우터 구동회로가 형성되므로 냉동팬모우터(3)가 구동된다.
반면, 연동스위치(SW1),(SW2)를 온(ON)시키면, 릴레이(4)에 AC전원이 걸리므로 릴레이(4)가 여자되어 릴레이(4)의 단자(c)(d)가 접속되고, 스위치 SW3(냉도실 온도조절기)의 온/오프에 관계없이 냉동팬모우터(3)는 냉장실 온도에 의해서만 제어된다.
즉, 스위치(SW1),(SW2)를 온시키면 릴레이(4)의 단자(a)(e)를 통하여 정류회로(1)에 교류전원 AC이 인가되고, 이 정류회로(1)의 직류풀력전압이 온도검출회로(2)에 공급되면 온도검출회로(2)의 입력단자(K)에 연결되고 냉장실내에 설치된 더미스터(TH)가 냉장실의 온도를 검출하여 온도검출회로(2)의 출력단자(j)에 하이 또는 로우신호를 발생시킨다.
온도검출회로(2)의 출력신호(j)가 하이 일때는 저항(R1)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원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이 턴온되고, 온도검출회로(2)의 출력신호가 로우 일때는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로우 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 오프된다.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면 콜렉터 출력단이 저항(R3)에 로우전위가 걸리고 트라이악(T1)의 게이트에 로우 전위가 인가되어 트라이악(T1)이 턴온되고, 트랜지스터(Q1)가 턴 오프되면 콜렉터 출력단이 저항(R4)에 하이전위가 인가되어 트라이악(T1)의 게이트에 하이 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라이악(T1)이 턴 오프 된다.
여기서, 트라이악(T1)이 턴온되면 냉동팬모우터(3)가 구동되고 트라이악(T1)이 턴 오프되면 냉동팬모우터(3)는 정지된다.
이와 같이, 냉동실온도 스위치(SW3)를 통해 냉동팬모우터(3)를 구동시킬 수 있고, 연동스위치(SW1),(SW2)를 온시키면 냉장실의 온도에 따라 트라이악(T1)을 제어함으로써 냉동팬모우터(3)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동팬 제어회로는 냉동실을 냉각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냉각기 및 압축기를 구동시켜 냉각기 및 냉각기내 냉매를 저온, 저압으로 유지시키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동실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압축기 및 냉동팬이 정지되고 이때 응축기 및 냉각기내의 냉매잠열을 회수못하기 때문에 최적의 상태로 냉각효율을 발휘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 오프시에도 냉동팬이 일정시간 구동되어 응축기 및 냉각기내의 냉매잠열을 회수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율을 낮추어 냉장고의 냉각효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의 특징은, 제어부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중에 압축기 및 냉동팬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에 감지된 냉동실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냉동실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냉동팬은 계속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압축기 오프이후 상기 냉동팬의 구동시간이 약 120초 이상 경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냉동팬의 구동시간이 약 120초 이상 경과 했으면 상기 냉동팬의 구동을 정지시킨후 초기단계로 돌아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회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의 압축기의 온/오프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을 나타낸 다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압축기 오프시의 냉각팬 구동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냉동실온도 감지센서, 110 : 제어부,
120 : 압축기, 130 : 냉동팬,
140 : 압축기구동부, 150 : 냉동팬구동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개략적 구성도로서, 냉장고의 구동에 따라 냉장고의 냉동실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 상기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여 압축기구동신호 및 냉동팬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0),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축기(120) 및 냉동팬(130)을 구동시키는 압축기구동부(140) 및 냉동팬구동부(1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통하여 전원이 제어부(110)와 회로 각부에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압축기구동부(120)와 냉동팬구동부(150)에 구동신호를 보내어 압축기(120) 및 냉동팬(130)을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20)의 구동에 의해서 생성된 냉기가 증발기(미도시)를 통하여 토출되면 냉동팬(130)에 의하여 냉기가 냉동실로 공급된다.
이때,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는 냉동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감지된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부(110)는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로부터 감지된 온도와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를 비교한후, 냉동실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적정온도에 도달하면 압축기(120)와 냉동팬(130)을 정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이 제어부(110)로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킨후 압축기(120) 및 냉동팬(130)을 구동시킨다(S101)(S102)(S103).
상기 압축기(120)가 구동되면 증발기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강제토출되고, 이때 강제토출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 주변의 공기중의 증발잠열을 흡수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상기 증발기 주변에 생성된 냉기는 냉동팬(130)에 의하여 강제유도되어 냉동실로 공급된다.
이어,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가 냉동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감지된 신호를 보내면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에 감지된 냉동실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를 비교한다(S104).
상기 비교결과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보다 낮으면 즉시 초기단계로 돌아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압축기(120)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압축기(12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S105) 한편, 냉동팬(130)을 계속해서 구동시킨다(S106).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냉동팬(130)의 구동시간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 120초 이상 경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7) 상기 냉동팬(130)의 구동시간이 약 120초 이상 경과하지 못했으면 계속해서 상기 냉동팬(130)을 구동시킨다.
만약, 상기 냉동팬의 구동시간이 약 120초 이상 경과 했으면 상기 냉동팬의 구동을 정지시킨후(S107) 초기단계로 돌아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이 제어부(110)로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킨후 압축기(120) 및 냉동팬(130)을 구동시킨다(S201)(S202)(S203).
상기 압축기(120)가 구동되면 증발기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강제토출되고, 이때 강제토출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증발기 주변의 공기중의 증발잠열을 흡수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상기 증발기 주변에 생성된 냉기는 냉동팬(130)에 의하여 강제유도되어 냉동실로 공급된다.
이어,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가 냉동실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감지된 신호를 보내면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에 감지된 냉동실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를 비교한다(S204).
상기 비교결과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보다 낮으면 즉시 초기단계로 돌아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비교결과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110)는 압축기(120)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압축기(12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S205) 한편, 냉동팬(130)을 계속해서 구동시킨다(S206).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에 감지된 냉동실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를 비교한다(S207).
상기 비교결과 냉동실온도 감지센서(100)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보다 크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동팬(130)을 일정시간 구동시킨후 냉동팬(130)을 정지시켜 초기단계로 돌아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 오프시에도 냉동팬이 일정시간 구동되어 응축기 및 냉각기내의 냉매잠열을 회수함으로써 압축기의 운전율을 낮추어 냉장고의 냉각효율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제어부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중에 압축기 및 냉동팬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냉동실온도 감지센서에 감지된 냉동실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 냉동실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압축기로 제어신호를 보내어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냉동팬은 계속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압축기 오프이후 상기 냉동팬의 구동시간이 약 120초 이상 경과 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냉동팬의 구동시간이 약 120초 이상 경과 했으면 상기 냉동팬의 구동을 정지시킨후 초기단계로 돌아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이후 제어부는 냉동실온도 감지센서에 감지된 냉동실온도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를 비교하여 비교결과 냉동실온도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냉동실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압축기 오프 온도보다 높으면 냉동팬을 일정시간 구동시킨후 냉동팬을 정지시켜 초기단계로 돌아가 냉장고를 통상운전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KR1019980041216A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KR19990046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216A KR19990046194A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216A KR19990046194A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194A true KR19990046194A (ko) 1999-07-05

Family

ID=6589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216A KR19990046194A (ko) 1998-09-30 1998-09-30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61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22B1 (ko) * 2005-04-06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를 채용한 냉장고의 팬 운전제어장치 및방법
KR100884267B1 (ko) * 2000-05-03 2009-02-17 컴퓨터 프로세스 컨트롤스 인코포레이티드 식품 온도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64589A1 (ko) * 2016-03-24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267B1 (ko) * 2000-05-03 2009-02-17 컴퓨터 프로세스 컨트롤스 인코포레이티드 식품 온도를 무선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48522B1 (ko) * 2005-04-06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를 채용한 냉장고의 팬 운전제어장치 및방법
WO2017164589A1 (ko) * 2016-03-24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11060790B2 (en) 2016-03-24 2021-07-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754336B2 (en) 2016-03-24 2023-09-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33B1 (ko) 냉장고
JPH10318646A (ja) 冷蔵庫の駆動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0329445A (ja) 低温貯蔵庫
JPS6029576A (ja) 冷蔵庫
JP2000199676A (ja) インバ―タ冷蔵庫の最適除霜周期の制御方法
KR19990046194A (ko) 냉장고의 냉동팬 제어방법
JP2002181429A (ja) 冷蔵庫
KR100288257B1 (ko) 냉장고의 팬 제어방법
KR100203072B1 (ko) 냉장고의 냉각팬구동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40429B1 (ko) 냉장고의 제상제어방법
KR100239534B1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JP2699764B2 (ja) 一体型冷凍装置
KR102237550B1 (ko) 냉장고
JPH063026A (ja) 冷凍冷蔵庫
KR200193593Y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10022292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28313A (ko) 냉장고의 송풍팬모터 제어방법
KR100197696B1 (ko) 냉장고의 급속냉동 장치 및 방법
JP4331007B2 (ja) 冷凍冷蔵庫
KR1999001001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3192729B2 (ja) 冷蔵庫
KR100397701B1 (ko) 인버터 냉장고의 제상 제어방법
JP3192730B2 (ja) 冷蔵庫
KR19990015496A (ko) 냉장고의 압축기 냉각장치 및 그 냉각방법
KR0171505B1 (ko) 쇼케이스의 응축기 먼지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