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522A - 2차전지 및 2차전지용 조립실링판 - Google Patents

2차전지 및 2차전지용 조립실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522A
KR19990044522A KR1019980701770A KR19980701770A KR19990044522A KR 19990044522 A KR19990044522 A KR 19990044522A KR 1019980701770 A KR1019980701770 A KR 1019980701770A KR 19980701770 A KR19980701770 A KR 19980701770A KR 19990044522 A KR19990044522 A KR 1999004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battery
cap
safety circuit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843B1 (ko
Inventor
요시노리 이와이조노
켄진 마스모토
신지 쯔루타니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4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8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구멍(I)을 가지고 안전회로(27)를 배치한 가요성배선판(38)과, 그 윗면에 면접촉하고 각각 배선을 통해서 안전회로(27)에 접속되는, 가스빠지기구멍을 가진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 및 가스빠지기구멍을 가진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과, 가요성배선판(38)하부면에 면접촉한 PTC소자(21)와, 그 하부면에 포개진 슬릿(A)이 새겨진 밸브체(20)와는 내부가스킷(19)에 의해 일체화되고, 중앙부에서 상기 밸브체(20)와 용착하여 구멍을 가진 서브필터(18)와 내부가스킷(19)는 구멍을 가진 필터(17)의 주변부에서 코오킹되어서 실링부를 구성하고, 종래의 전지단체와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고, 전지내의 가스압이 이상한 고압으로 될 때에는, 신속하게 가스를 방출해서 전지의 파열을 미연에 방출할 수 있는 2차전지를 실현한다.

Description

2차전지 및 2차전지용조립실링판
밀폐형2차전지, 중에서도 리튬이온2차전지는, 고에너지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비디오카메라, 휴대전화, 퍼스널컴퓨터 등의 소형휴대용기기의 구동용전원으로서의 수요가 급속히 확대하고 있다. 이 리튬이온2차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및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안전회로로서의 전기회로를 포함하는 안전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통상은, 전지에 안전회로로서의 전기회로를 조합한 팩형전지로서 전지사용기기에 결합된다.
리튬이온2차전지를 사용한 팩형전지는, 모식도를 표시한 도 1과 같은 구성이고, 도 1에 있어서, (1)은 원통형의 리튬이온2차전지(2),(3)를 피공급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실장하는 케이스, (4)는 리튬이온2차전지(2),(3)와 케이스(1)의 단자간에 삽입한 안전회로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안전회로(4)의 구성을 도 17에 블록도로서 표시하고, 도면에 있어서 충전기로부터의 플러스전압이, 플러스단자(5), PTC소자(6), 리튬이온2차전지(3) 및 (2), FET(7) 및 (8), 온도퓨즈(9), 단자(10)를 경유해서 충전기의 마이너스쪽으로 흐름으로서, 리튬이온2차전지(2),(3)의 충전이 행하여진다.
또, 리튬이온2차전지(2),(3)의 방전은, PTC소자(6), 플러스단자(5), 기기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마이너스단자(10), 온도퓨즈(9), FET(8) 및 (7)을 경유해서 행하여진다. 전지전압을 감시하는 전압검출기(11),(12)는, 제어회로(13)에 접속되어, 전지전압이 규정치보다 높아지면 FET(8)를 OFF로 해서 과충전방지의 기능을 하고, 규정치보다 낮아지면 FET(7)를 OFF로 해서 과방전방지의 기능을 하고, 전류를 차단한다. FET(7)의 소스드레인간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검출기(14)는, 제어회로(13)에 접속되어, 플러스단자(5)로부터 마이너스단자(10)간에 외부단락 등에 의해 과대전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FET(7) 및 (8)을 OFF로 해서 전류를 차단한다. 서미스터(15)는, 단자(16)를 개재해서 충전기, 또는, 사용기기쪽으로부터 전지의 온도를 모니터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팩형전지에서는, 전지단체의 과충전을 방지하는 기능, 과방전을 방지하는 기능, 과대전류시의 차단기능, 전지온도모니터기능 등이, 안전회로(4)로서 프린트기판에 실장배치되고, 케이스(1)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팩형전지에 있어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① 팩형전지를 피공급장치에 장착하기 쉽도록, 케이스(1)의 형상 및 디자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1)는 피공급장치에 대응한 전용의 것으로 될 케이스가 많다.
② 케이스(1)가 피공급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 및 디자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기를 케이스(1)에 맞출 필요가 있고, 피공급장치에 대응하는 전용의 충전기가 필요하게 된다.
③ 안전회로나 피공급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형상 및 디자인으로 한 단자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들에 기인하는 체적이 수납되는 리튬이온2차전지(2),(3)의 체적에 비해 극히 커지게 된다.
④ 일반소비자가 리튬이온 등의 2차전지단체를 입수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의 팩형전지는 범용성에 결핍된 것이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전지내부에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전기회로를 결합하고, 그 자체를 종래의 전지단체와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는 안전장치부착의 2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전기회로는 전지의 실링판안에 결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지내부가 이상한 고압으로 되어서 밸브체가 파단했을 때,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실링판 및 이 실링판을 구비한 2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은, 전지요소를 캡에 의해 실링하는 실링부에, 전류차단소자를 가진 안전회로를 배치한 2차전지이며, 안전회로는, 반도체의 고집적화기술, 부품의 소형화기술 및 이들을 실장하는 고밀도실장기술에 의해, 전지의 상부에 있는 실링부에 있어서의 캡과 전류차단밸브의 틈새와 같이, 통상시는 직접 전해액에 닿지 않는 부분에, 초소형화해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전회로를 내장한 2차전지를 종래의 전지단체와 마찬가지로 취급해서, 피공급장치의 전지수납실에 간단하게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 2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를, 에폭시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같은 방수성, 방전해액성수지에 의해 처리한 청구의 범위 제 1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외부로부터 침입한 물, 및 전지자체의 전해액으로부터 안전회로부를 보호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3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를 배치한 안전회로기판에는 개구부 또는 파단기구를 형성한 청구의 범위 제 1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안전회로부에 침입한 전해액, 혹은 가스화된 전해액은, 안전회로기판의 개구부 또는 파단기구를 통해서, 캡부의 가스빠지기구멍으로부터 전지밖으로 방출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4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에 온도퓨즈를 배치한 청구의 범위 제 1항기재의 2차전지이며, FET 등의 전류차단소자 또는 전지자체의 발열에 의해서 온도퓨즈를 용해단절함으로써, 전지의 플러스극과 외부에의 플러스출력단자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5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에 서미스터를 배치한 청구의 범위 제 1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충전온도범위를 규정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6항에 기재된 발명은, 2차전지의 플러스출력으로부터 PCT소자를 개재해서 안전회로에 접속한 청구의 범위 제 1항기재의 2차전지이며, FET 등의 전류차단소자의 발열에 의해서도 PTC소자를 트립시킬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7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의 플러스극과 외부입출력용 플러스극간에 PTC소자를 배치한 청구의 범위 제 1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전지출력의 단락 등에 의한 과대전류때나, 전지의 온도, 또는 안전회로의 온도에 의해서도 PTC소자를 트립시킬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8항에 기재된 발명은, 실링부의 캡을, 안전회로용 마이너스극과 외부입출력용 플러스극의 2극구성으로 한 청구의 범위 제 1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전지의 바깥둘레면 또는 바닥면의 마이너스극과 안전회로용 마이너스극이, 피공급장치 또는 충전기쪽에서 접속되기까지, 안전회로의 소비전류를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지의 과방전보호기능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9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과 외부입출력용 플러스극에 단차를 형성한 청구의 범위 제 8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전지의 취급시에 일어나는 외부단락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0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과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이, 전기절연성의 접착제로 접착된, 또는 절연물을 개재해서 조립된 청구의 범위 제 8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캡전체의 강도확보, 캡의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과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사이의 고정 및 절연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1항에 기재된 발명은,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에 형성된 가스빠지기구멍의 직경에 대해,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에 형성한 가스빠지기구멍의 직경을 크게 한 청구의 범위 제 8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캡부의 가스빠지기구멍의 주변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단략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2항에 기재된 발명은, 발전요소를 수용해서 그 한 쪽의 극성의 단자를 겸하는 전지케이스, 및 전지케이스의 개구부에 가스킷을 개재해서 장착된 조립실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실링판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된 안쪽캡과 바깥쪽캡, 및 소정의 압력으로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밸브체를 포함하고, 상기 캡의 한 쪽은 상기 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다른 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양 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 구멍으로 연통하는 공동부(空洞部)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이다.
청구의 범위 제 13항에 기재된 발명은, 발전요소를 수용해서 그 한 쪽의 극성의 단자를 겸하는 전지케이스, 및 전지케이스의 개구부에 전기절연성의 가스킷을 개재해서 장착된 조립실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실링판이, 전지에 직력로 접속된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결합하고, 또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 또는 파단기구를 가진 프린트기판,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프린트기판의 각각 다른 극성의 단자부에 접속되어서 장착된 바깥쪽캡 및 안쪽캡, 상기 프린트기판보다 전지안쪽에 배치되어, 소정의 압력에 의해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밸브체, 및 상기 프린트기판의 한쪽의 캡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부를 상기 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다른 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 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 구멍에 연통하는 공동부를 가지고, 상기 전기회로는, 전지가 기기에 세트되었을 때 다른 쪽의 캡을 개재해서 상기 한쪽의 극성의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이다.
청구의 범위 제 12항, 제 13항의 구성의 공통의 특징은, 바깥쪽캡과 안쪽캡의 사이에 양캡의 구멍으로 연통하는 공동부를 가지는 것이다. 이 공동부는, 전지내부가 이상한 고압으로 되었을 때, 밸브체를 파단한 가스가 안쪽캡의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캡의 구멍으로 용이하게 이행시켜,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전지가 파열하는 위험을 없앨 수 있다. 양캡에 형성하는 구멍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있으면, 상기의 공동부를 특별히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와 같은 구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캡의 조립시에 위치맞춤이 필요하게 되고, 작업상 번잡하게 된다. 또, 양캡의 구멍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으면, 헤어핀과 같은 선형상의 금속부재가 양자의 구멍에 파고들어가서, 양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전지를 단락시킨다는 지장이 생길 염려가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실링판조립시에 구멍을 일치시키기 위한 특별한 관리도 불필요하고, 또한 선형상금속부재에 의한 단락의 위험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4항에 기재된 발명은, 전기회로에 있어서의 전류차단소자가 전지에의 과전류의 압력, 전지로부터의 과전류의 출력, 또는 과전류의 입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3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청구의 범위 제 13항 기재의 발명과 함께 안전회로를 내장한 2차전지를 종래의 전지단체와 마찬가지로 취급해서, 피공급장치의 전지수납실에 간단하게 수납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 15항에 기재된 발명은,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측명에 가지고, 또한 공동부가 바깥쪽캡의 측면에 형성한 팽출부(膨出部)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의 범위 제 12항 또는 제 13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이 구성에 의해서, 안쪽캡내의 공간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6항에 기재된 발명은, 팽출부가 바깥쪽캡의 상부둘레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의 범위 제 15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이 팽출부는, 전지를 기기에 세트할 때, 기기의 단자부에 스냅혹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7항에 기재된 발명은, 바깥쪽캡의 구멍이, 안쪽캡의 구멍보다 하위에 형성되어 있는 청구의 범위 제 15항 또는 제 16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헤어핀과 같은 선형상의 금속부재가 바깥쪽캡의 구멍으로부터 안쪽캡과의 사이의 틈새부분에 파고들어가서 양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전지를 단락시키게 하는 일은 없어진다.
청구의 범위 제 18항에 기재된 발명은, 전기적접속수단이, PTC소자를 포함하는 청구의 범위 제 13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FET 등의 전류차단소자의 발열에 의해서도 PTC소자를 트립시킬 수 있다. 이 PTC소자는, 이 전기적접속수단에 결합하는 대신에, 상기 프린트기판에 결합된 전기회로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청구의 범위 제 19항에 기재된 발명은, 전기적접속수단이, 중앙부에 있어서 밸브체에 용착되고,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있어서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서브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필터는 가스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지고, 또한 상기 서브필터와 상기 밸브체의 용착부는, 밸브체에 걸리는 가스압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풀어져서 서브필터와 밸브체와의 전기적접속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청구의 범위 제 13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과충전이나 또는 큰 방전전류로 전지의 온도가 상승했을 경우에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20항에 기재된 발명은, 프린트기판에 대신해서 전지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일체화해서 상기 프린트기판의 단자부에 상당하는 단자를 설치한 패키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위 제 13항 기재의 2차전지이며, 이 구성에 의해서 프린트기판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 단자간에 방출되는 가스화된 전해액의 통로로 되는 것이다.
청구의 범위 제 21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된 안쪽캡과 바깥쪽캡, 소정의 압력으로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밸브체, 및 상기컵의 한쪽을 상기 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한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구멍으로 연통하는 공동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용조립실링판이며, 이 실링판을 사용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 제 12항에 기재된 2차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22항에 기재된 발명은, 전지에 직렬로 접속되는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결합하고, 또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 또는 파단기구를 가진 프린트기판,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프린트기판의 각각 다른 극성의 단자부에 접속되어서 장착된 바깥쪽캡 및 안쪽캡, 상기 프린트기판보다 전지 안쪽으로 배치되어, 소정의 압력에 의해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밸브체, 및 상기 프린트기판의 한쪽의 캡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부를 상기 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어느 한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구멍으로 연통하는 공동부를 가지고, 또 상기 밸브체는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용 조립실링판이며, 이 실링판을 사용함으로써 특허청구의 범위 제 13항에 기재된 2차전지를 구성할 수 있다.
청구의 범위 제 23항에 기재된 발명은, 프린트기판에 대신해서 전지에 직력로 접속된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일체화해서 상기 프린트기판의 단자부에 상당하는 단자를 설치한 패키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의 범의 제 22항 기재의 2차전지용 조립실링판이며, 이 구성에 의해서 프린트기판이 불필요하게 되고, 또 단자간에서 방출되는 가스화한 전해액의 통로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실링판의 안쪽캡내에, 전지의 안전회로를 결합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 종래와 같이, 안전회로를 전지외부에 짜맞춤한 특정한 전지사용기기에만 적합한 전지팩으로 할 필요가 없고, 안전회로를 내장한 독립된 2차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튬이온2차전지 등의 밀봉형의 2차전지에 안전장치를 내장한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전장치의 전기회로를 소형화하고, 전지의 실링부안에 실장배치한 것 및 안전장치를 결합한 2차전지용의 조립실링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팩형의 리튬이온2차전지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원통형리튬이온2차전지의 실링부의 단면도
도 3(a)는 동실링부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동실링부의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안전회로의 블록도
도 5는, 동안전회로의 변형을 표시한 블록도
도 6은 동안전회로의 다른 변형을 표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4에 표시한 안전회로를 결합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실링부의 단면도
도 8(a)는 동실링부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동실링부의 분해단면도
도 9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실링부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실링부의 단면도
도 11(a)는 패키지사양으로 한 안전회로의 정면도
도 11(b)는 동안전회로의 측면도
도 11(c)는 동안전회로의 리드(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12(a)는 안정회로용 마이너스극의 정면도
도 12(b)는 그 X-X'선 단면도
도 13(a)는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 플러스극
도 13(b)는 그 Y-Y'선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 5에 있어서의 조립실링판을 구비한 리튬이온2차전지의 요부의 종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6에 있어서의 조립실링판의 요부의 종단면도
도 16은 전지내에 결합되어 있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표시한 블록도
도 17은 팩형의 리튬이온2차전지에 있어서의 종래의 안전회로의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원통형리튬이온 2차전지의 실링부의 단면도, 도 3(a)는 동실링부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동실링부의 분해단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이 실링부는, 전지발열시의 전류저감기능수단인 PTC소자, 전지내압상승시의 전류차단기능수단인 전류차단밸브, 전지내압이 더욱 상승했을 때의 방폭기능수단인 방폭밸브를 가지고, 필터(17), 서브필터(18), 내부가스킷(19), 밸브체(20), PTC소자(21), 캡(22), 실링판링(23), 가스킷(24)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시는, 플러스극으로부터의 전류가, 리드판(25)을 개재해서 구멍(C)을 가진 필터(17)에 접속되고, 이어서 이것과 면접촉하고, 구멍(B)를 가진 서브필터(18)에 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서브필터(18)와 밸브체(20)는 용착에 의해서 중앙부가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스극의 전류는, 밸브체(20)를 통하고, 이것과 면접촉한 링형상의 PTC소자(21)을 통해서 구멍(D)를 가진 캡(22)으로 인도된다.
캡(22)과 PTC소자(21) 및 밸브체(20)는, 링형상의 내부가스킷(19)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고, 이 내부가스킷(19)는, 폴리카아보네이트 등의 절연체를 형성한 것임으로, 서브필터(18)와 밸브체(20)의 전기적인 접속은, 용착부에만 한정되어 있다. 필터(17)의 둘레가장자리부분은, 서브필터(18) 및 내부가스킷(19)의 둘레가장자리부분을 코오킹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코오킹을 완료한 후는, 실링부를 구성하는 어셈블리로서 일체물로 되어 있다. 가스킷(24)는, 폴리카이보네이트 등의 절연체를 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고, 상기의 실링부의 어셈블리를 전지케이스(26)에 결합해서 코오킹실링했을 경우, 전지케이스(26)와 필터(17)의 사이의 절연을 행하고 있다.
밸브체(20)에는, 방폭기능수단인 방폭밸브로서 슬릿A가 새겨져 있고, 가스화된 전해액이 발생했을 경우는 필터(17)의 구멍(C) 및 서브필터(18)에 형성된 구멍(B)을 통과해서, 밸브체(20)를 캡(22)의 쪽으로 밀어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 PTC소자(21)에 의한 전류저감기능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PTC소자(21)는, 규정온도로 되면 저항치가 급상승하는 소자이며, 과충전, 또는 큰방전전류, 예를 들면, 1시간방전에 상당하는 전류치이상의 전류에 의해서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고, 규정온도에 도달하면 조항치가 상승해서 전류를 저감시킴으로써, 전지가 열적으로 불안전한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서브필터(18)와 밸브체(20)를 용착하는데 따른 전지내압상승시의 전류차단기능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열에 의해서 가스화된 전해액은, 필터(17)의 구멍(C) 및 서브필터(18)에 형성된 구멍(B)을 개재해서, 밸브체(20)를 캡(22)의 쪽으로 밀어올린다. 이때, 가스의 압력이, 서브필터(18)와 밸브체(20)의 용착령을 상회한 시점에서 용착이 풀어짐으로써, 전기적인 접속이 차단되어, 전류차단밸브로서의 작용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체(20)에 의한 방폭기능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브필터(18)와 밸브체(20)에 의한 전류차단기능수단이 작동한 후, 발열에 의해서 가스화된 전해액은, 밸브체(20)를 다시 캡(22)의 쪽으로 밀어올린다. 한편, 밸브체(20)는, 내부가스킷(19), 필터(17), 가스킷(24), 전지케이스(26)에 의해서 주위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20)에 형성된 슬릿A가 파단되고, 그 시점에서, 가스화된 전해액이 캡(22)쪽으로 빠진다. 이런 일로 해서, 가스화된 전해액은, 캡(22)의 구멍(D)으로부터 방출되고, 그 압력이 감압되어서 전지자체의 폭발을 방지한다.
제 4도는, 본 발명의 리튬이온2차전지를 구비하는 안전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은 안전회로(27)에 의해서 제어되는 2차전지(28)의 외부에의 입축력용플러스극, (S)는 안전회로(27)의 마이너스극이고, 피공급장치 또는 충전기의 쪽에서 2차전지(28)의 바깥둘레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한 마이너스극과 접속한다. -는 2차전지(28)의 바깥둘레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된 마이너스극이다.
2차전지(28)의 플러스출력은, 도 2에서 설명한 서브필터(18)와 밸브체(20)에 의해서 구성되는 전류차단기능수단(29), PTC소자(30)(도 2에 있어서의 PTC소자(21)에 상당함)를 개재해서 안전회로(27)에 접속된다.
S단자가 피공급장치 또는 충전기의 쪽에서 2차전지(28)의 마이너스극과 접속된 상태에 있는 경우, PTC소자(30)의 출력쪽과 S단자간의 전압이 규정치내에 있으면, 실링부에 내장된 전압검출기(31)는, FET 등의 전류차단소자(32)를 ON으로 하고, 충전기로부터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PTC소자(30)의 출력쪽과 S단자간의 전압이 규정치보다 높아지면, 전압검출기(31)는, FET 등의 전류차단소자(32)를 OFF하고, 2차전지(28)를 과충전으로부터 보호한다.
안전회로(27)는 이상의 작용을 행하나, 전류차단소자(32)에 FET를 사용할 경우, FET가 OFF의 상태라도, 그 보디다이오드효과에 의해, +극을 통해서 2차전지(28)의 방전이 가능하다. 또한, 콘덴서(33)는, +극과 -극간의 정전기대책, 노이주에 의한 오동작방지를 행하는 것이다.
또, 도 5는, 도 4에 표시한 안전회로(27)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서미스터(34)를 추가하고, 서미스터(34)의 온도에 의한 저항치변화를 모니터하는 기능이 추가된 전압검출기(35)에 의해, 2차전지(28)의 온도가 규정범위(0℃∼60℃이내 등)외로되면, FET 등의 전류차단소자(32)를 OFF로 하는 작용을 추가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도 4에 표시한 안전회로(27)의 다른 변형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링형상 PTC소자(도 2에 있어서의 PTC소자(21)에 상당함)를 폐지하고, 안전회로의 플러스단자와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의 사이에 PTC소자(36)를 삽입한 것이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안전회로(27)의 마이너스극(S)에 부여하는 마이너스전압을, 전지케이스의 마이너스로부터 전지가 장착되는 피공급장치 또는 충전기의 결선을 개재해서 얻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안전회로(27)용의 마이너스전압을 전지케이스와 직접접속하는 것도 실시가능하다. 단, 이 경우는, 전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안전회로(27)의 소비전류에 의한 자기방전손실이 문제가 됨으로, 장기보존에 대응하는 시책이 필요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4에 표시한 안전회로(27)를 2차전지(28)의 실링부에 결합한 경우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실링부의 단면도, 도 8(a)는 동실링부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동실링부의 분해단면도를 표시하고, 도 2의 경우와는, PTC소자(21)로부터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에 이르는 부분이 다른 구조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PTC소자(21)의 전극은, 폴리이미드재로 구성된 가요성배선판(38)과 면접촉하고, 관통구멍이나 배선을 통해서 안전회로(2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E는, 가요성배선판(38)에 형성된 방폭구조를 위한 구멍이며, 상기한 안전회로기판의 개구부에 상당하고, 또 상기한 안전회로기판의 파단기구, 즉 프린트기판에 압력에 의해 파단하기 쉬운 부분을 형성해도 된다. 한편,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은, 가요성배선판(38)에 면접촉하고, 배선을 통해서 안전회로(27)에 접속되어 있다. 안전회로(27)에 의해서 제어되는 2차전지(28)의 입축력단+는, 가요성배선판(38)을 통하여, 면접촉으로, 2차전지의 피제어입축력용 플러스극(39)이 된다. 또한, (F)는 안전회로(27)의 방수성, 내전해액성의 코팅, (41),(42)는 에폭시계 등의 열경화형접착제, (40),(45)는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과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의 사이에 접착고정된 ABS수지 등의 절연물, (44)는 실링판링이다.
(실시예 3)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전회로의 플러스극과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의 사이에 PTC소자(36)를 배치한 경우는,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a) 자체를 PTC소요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외의 부분의 구성은 도 7 및 도 8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4)
도 7에 있어서의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과 가요성배선판(38)의 접속은,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이,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이, 인청동 등의 스프링재(46)에 의해, 가요성배선판(38)위의 부품에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는, 전지캡의 구성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가요성배선판(38)의 아래쪽은, 대면하는 PTC소자(21)를 개재해서 밸브체(20)에, 가요성배선판(38)의 위쪽은, 대면하는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에, 각각 면접촉시키는 구성으로 됨으로, 실링부전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41),(49)는 에폭시계 등의 열경화형접착제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안전회로(27)는,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1C패키지사양으로 할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50)은 VDD(GND)리드, (51)은 VIN(VSS)리드, (52)는 VOUT리드이고, 각각의 리드(50),(51),(52)는, 도 7에 있어서 프린트기판(38)의 대신으로 배치할 수 있어,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 PTC소자(21),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에 접촉하는 부분(G)을 제외하고,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등의 내전해액재료로 절연코팅처리를 행한 것으로서, 프린트기판이 불필요하게 되고, 실링부를 조립할 때에, 어셈블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 리드(50),(51),(52)의 중간은 상기한 틈새부분에 상당하고, 방출되는 기스화된 전해액의 통로가 된다.
또, 도 7에 있어서의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은, 도 1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방폭구조를 위한 복수의 가스빠지기구멍(H)과,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에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의 표면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구멍(I)을 가질 필요가 있고, 이 경우의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에는,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의 복수의 가스빠지기구멍(H)보다 큰 복수의 가스빠지기구멍(J)과,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을 개재해서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에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의 표면으로부터 기계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구멍(I)에 닿지 않는 범위(K)로, 에폭시계 등의 열경화형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37)과 2차전지의 피제어입출력용플러스극(39)은, 미리 각각 구멍가공된 니켈재 등의 금속재료에, 에폭시계 등의 열경화형접착제를 도포한 다음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14는 본 실시예의 조립실링판을 구비한 리튬이온2차전지의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표시한 조립실링판(60)은, 안쪽캡(61), 바깥쪽캡(65), 및 소자(72)를 장착한 프린트기판(70)을 구비하고 있다.
조립실링판은, 또한 프린트기판(70)의 하부면에 배치된 링형상의 PTC소자(73),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진 밸브체(74), 중앙부에 밸브체(74)의 중앙부를 용착하고, 가스를 통하게 하기 위한 구멍(76)을 가진 서브필터(75), 가스를 통하게 하기 위한 구멍(78)을 가진 필터(77), 및 내부가스킷(7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가스킷(79)은, 바깥쪽캡(65)의둘레가장자리부분으로부터 밸브체(74)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걸친 부분을 피복함으로써, 밸브체(74)와 서브필터(75)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있어서의 전기적접촉을 저지하고 있다. 또, 필터(77)는, 그 둘레가 가장자리부분에서 서브필터(75)와 내부가스킷(79)의 둘레가장자리부분을 끼워 넣음으로써, 전체를 일체화된 조립실링판으로서 조립하고 있다. 필터(77)의 윗면 둘레가장자리부분은, 내부가스킷(79)에 의해, 바깥쪽캡(65), 프린트기판(70), PTC소자(73), 및 밸브체(74)의 둘레가장자리부분과는 전기적접촉을 저지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프린트기판(7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프린트기판(70)은, 가요성의 절연판에 배선을 실시한 것이고, 후술하는 안전회로를 구성하는 전기회로를 패키지한 소자(72)를 중앙에 고정하는 동시에, 소자(72)를 덮도록 안쪽캡(61) 및 바깥쪽캡(65)를 전기절연성의 접착제(68), 예를 들면 에폭시수지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프린트기판(70)은, 가스를 통하게 하기 위한 구멍(71)을 복수개 가지고 있다.
안쪽캡(61)은, 가스를 통하게 하기 위한 구멍(62)을 4개 가지고, 바깥표면에는, 바깥쪽캡(65)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성피막(63)을 가지고 있다. 또, 바깥쪽캡(65)은, 안쪽캡(61)과의 사이에 가스를 통하게 하는 공동부(95)를 형성하기 위하여, 바깥쪽으로 팽출시킨 팽출부(96)를 형성하고, 또한 이 팽출부(96)에 가스를 통하게 하는 구멍(66)을 4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안쪽캡(61)과 바깥쪽캡(65)을 그들의 상부에 있어서 절연하는 접착제(69)를 양자간에 개재시키고 있다. 소자(72)를 접속한 프린트기판(70)의 마이너스단자에는 안쪽캡(61)의 플랜지부(64)가, 또 플러스단자에는 바깥쪽캡(65)의 플랜지부(67) 및 PTC소자(73)가 각각 접속되도록, 프린트기판에는 배선이 실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실링판(66)은, 전지케이스(90)의 개구부에 장착된다. 전지케이스(90)안에는 플러스극판과 마이너스극판을 세퍼레이터를 개재해서 소용돌리형상으로 감겨진 극판군(91)이 삽입되어 있다. 극판군의 한쪽의 전극, 예를 들면 플러스극의 리드판(93)을 조립실링판(60)의 필터(77)에 용접한 후, 조립실링판(60)의 둘레가장자리부분에 가스킷(94)을 장착하고, 이 가스킷부분에 케이스(90)의 상단부를 코오킹함으로써, 전지케이스(90)는 플르이드타이트하고 또한 기밀(氣密)하게 밀폐된다. 또한, (92)는, 절연판을 표시하고 있다. 극판군(91)의 마이너스극리드판(도시생략)은 전지케이스의 바닥면에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케이스(90)는 전지의 마이너스극단자를 겸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실링판(60)이 전지케이스(90)에 장착되면, 바깥쪽캡(65)은, 프린트기판(70), 이것에 접촉하고 있는 PTC소자(73), 소자(73)에 접촉하고 있는 밸브체(74), 이 밸브체(74)와 중앙부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는 서브필터(75) 및 필터(77)를 개재해서 극판군(91)의 플러스극에 접속되어, 플러스극단자로서 작용한다.
다음에, 도 16에 표시한 안전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있어서, (100)은 조립실링판(60)이 장착된 2차전지를 표시하고 있다. (101)은 전지의 플러스극리드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필터(75)와 밸브체(74)의 접합부로 구성되는 전류차단기능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스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이 스위치(101)에는 상기의 PTC소자(73)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전기회로를 패키지한 소자(72)내에는, PTC소자(73)에 직렬로 접속된 온도퓨즈(106) 및 전류차단소자(103), 전압을 검출해서 전류차단소자(103)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102), 서미스터(107), 및 콘덴서(104)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소자(72)의 플러스단자는 바깥쪽캡(6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마이너스단자S는, 안쪽캡(61)에 접속되고, 이것은 스위치(105)를 개재해서 전지의 마이너스극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전지를 전지사용기기에 세트하면, 전지의 마이너스극단자인 전지케이스에 접속된 기기쪽의 마이너스극단자가, 안쪽캡(61)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것이다. 즉, 스위치(105)는, 전지를 기기에 세트함으로써 ON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실링판(60)이 장착된 전지를 기기에 세트하고, 스위치(105)가 ON되면, PTC소자(73)의 출력쪽과 S단자간에는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압검출기(102)는 전류차단소자(103)를 ON으로 하고, 충전기로부터의 충전전류의 받아들임을 가능하게 한다. 또, PTC소자(73)의 출력쪽과 S단자간의 전압에 나타나는 전지(100)의 전압이 규정치보다 높아지면, 전압검출기(102)는 전류차단소자(103)를 OFF로 하고, 전지(100)를 과충전전류로부터 보호한다.
소자(72)에 결합된 안전회로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전압검출기(102)는, 전지(100)의 전압 및 전류차단소자(103)의 전압을 검출해서 전류차단소자(103)를 제어한다. 전압검출기(102)에서 검출되는 전지(100)의 전압이 소정의 상한의 설정전압보다 높을 때는 과충전이고, 또 전압검출기(102)에서 검출되는 전지(100)의 전압이 소정의 하한의 설정전압보다 낮을 때는 과방전이다. 전압검출기(102)는, 검출되는 전지전압이 소정의 상한전압을 초과했을 때 또는 소정의 하한전압을 하회했을 때, 전류차단소자(103)를 OFF로 하고, 전류를 차단한다. 또, 전압검출기(102)는, 예를 들면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로 이루어진 전류차단소자(103)의 입력쪽과 출력쪽간의 전압을 검출하고, 소정의 설정전압보다 높게 되었을 때, 예를 들면, 단락 등에 의해서 과대전류가 흐르게된 것을 검출해서 전류차단소자(103)를 OFF로 한다. 또한, 전압검출기(102)는, 서미스터(107)의 전압을 검출하고, 전지(100) 및 전류차단소자(103)의 온도가 규정범위, 예를 들면 전지온도가 0℃∼60℃의 범위를 벗어났을 때, 전류차단소자(103)를 OFF로 한다. 온도퓨즈(106)는, 전지(100)나 전류차단소자(103)의 이상발열에 의해서 차단되는 안전장치로서 작용한다.
소자(72)에 결합된 안전회로는, 이상과 같은 작용을 한다. 전류차단소자(103)로서 FET를 사용하면, 이것이 OFF의 상태에 있어서도, 그 보디다이오드효과에 의해, 플러스극을 통해서 전지(100)의 방전은 가능하다. 또한, 콘덴서(104)는,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간의 정전기대책을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한다. PTC소자(73)는, 규정온도로 되면, 저항치가 급상승한다. 과충전전류, 또는 큰 방전전류, 예를 들면 1시간율방전에 상당하는 전류치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됨으로써 전지의 온도가 상승하고, PTC소자(73)가 규정온도에 도달하면, 그 저항치가 급상승해서 전류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서, 전지가 열적으로 불안전한 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PTC소자(73)는, 소자(72)내에 결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전지내압력이 상승했을 경우의 조립실링판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안전회로 및 PTC소자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전지내가 고온으로 되고, 유기용매를 주로 하는 전해액이 가스화되면, 가스는 필터(77)의 구멍(78) 및 서브필터(75)의 구멍(76)을 통과해서 밸브체(74)를 프린트기판(71)쪽으로 밀어올린다. 가스압력이, 서브필터(75)와 밸브체(74)의 용착력을 상회한 시점에서 용착부가 풀어지고, 서브필터(75)와 밸브체(74)의 전기적인 접속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서 전지와 그 충전회로 및/ 또는 방전회로간의 전기적접속은 일절차단된다. 이와 같이, 서브필터(75)와 밸브체(74)는, 전류차단기능을 가진 스위치, 즉 전류차단기능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다음에, 가스압력이 더욱 크게되면, 밸브체(75)는 다시 프린트기판(71)쪽으로 압압된다. 그리고, 가스압이 어떤 값을 초과하면, 밸브체(74)는 그 표면의 일부에 형성된 칼자국(도시생략)부터 파단한다. 이 때문에, 가스는 그 판단부로부터 프린트기판의 구멍(71)을 지나고, 또한 안쪽캡(61)의 구멍(62), 안쪽캡(61)과 바깥쪽캡(65)의 사이의 공동부(95), 및 바깥쪽캡(65)의 구멍(66)을 거쳐서 외부로 방출된다.
이때, 안쪽캡(61)과 바깥쪽캡(65)의 사이에는, 공동부(95)가 형성되고 있음으로, 양캡의 구멍(62)와 (66)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도, 구멍(62)을 통과한 가스는 공동부(95)를 통과해서 용이하게 구멍(66)에 도달하고, 거기에서 외부로 방출된다. 공동부(95)가 없으면, 양캡의 구멍(62)과 (66)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일시에 다량으로 발생한 가스가 양캡사이의 좁은 간격을 빠져나갈 수 없어, 전지내부가 과압으로 되고, 파열할 위험이 따른다.
이렇게 하여 전지가 고온으로 되는 등해서 전해액이 가스화하고, 전지내부압력이 이상하게 상승했을 때에는, 서브필터(75)와 밸브체(74)의 전류차단기능수단에 의해 전류를 차단하고, 더욱 압력이 상승하면, 방폭기능수단으로서 밸브체(74)가 파단하고, 캡(61) 및 (65)의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전지자체가 파열하는 위험은 없다.
(실시예 6)
도 15는 본 실시예의 조립실링판의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이 조립실링판(80)은, 안쪽캡(81) 및 바깥쪽캡(85)의 구조가 변하고 있는 그외는 실시예 5의 조립실링판(60)과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안쪽캡(81)은, 그 플렌지부(84)가 프린트기판(70)의 마이너스단자에 접촉하도록, 또 바깥쪽캡(85)은, 그 플렌지부(87)가 프린트기판(70)의 플러스단자에 접촉하도록 각각 접착제(88)에 의해 프린트기판(70)에 접착되어 있다. 안쪽캡(81)은,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82)을, 측면위쪽에 가진다.
한편, 바깥쪽캡(85)은, 가스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86)을, 측면아래쪽에 가진다. 그리고, 바깥쪽캡(85)은, 상부둘레가장자리부분을 바깥쪽으로 팽출시킴으로써, 안쪽캡(81)과의 사이에 공동부(97)를 형성하고 있다. 이 팽출부(98)는, 전지를 기기에 세트할 때, 기기의 단자부에 스냅혹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안쪽캡의 외표면에 절연성피막(83)을 형성한 것, 및 양캡사이에 절연재(89)를 개재시킨 것을 실시예 5와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밸브체(74)를 파단해서 안쪽캡(81)의 구멍(82)에 들어간 가스는, 공동부(97)로부터 용이하게 바깥쪽캡(85)의 구멍(86)을 빠져서 외부로 방출된다. 또, 바깥쪽캡(85)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86)은, 안쪽캡(81)의 구멍(82)보다 하위에 있음으로, 헤어핀과 같은 선형상의 금속부재가 바깥쪽캡의 구멍으로부터 안쪽캡과의 사이의 틈새부에 파고들어가서 양캡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전지를 단락시키게 되는 일은 없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쪽캡 및 바깥쪽캡에 형성된 가스를 빼기 위한 구멍은 각각 4개이나, 구멍의 수는 그 크기나 전지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해야 할 것이다.
또, 전지의 플러스극을 바깥쪽캡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으나, 전지의 플러스극을 안쪽캡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PTC소자는, 1개의 부품으로서 프린트기판과 밸브체의 사이에 삽입했으나, 프린트기판상의 소자(72)내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한 재료 등은 일예이며, 기능을 다하는 범위내에서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리튬이온2차전지로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외의 2차전지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체에서 과충전, 과방전이 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2차전지내의 가스압이 이상하게 높아지게 되는 사태를 방지하는 동시에 또한 2차전지내의 가스압이 이상한 고압으로 될 때에는, 신속하게 가스를 방출해서 전지의 파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2차전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함으로써, 종래의 팩형전지에서 문제점으로 되어 있었던 이하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① 팩형전지가 피공급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 및 디자인의 케이스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공급장치쪽으로의 전용팩으로 되어 버리는 것.
② 전지팩이 피공급장치에 장착할 수 있는 형상 및 디자인의 케이스로 되어있기 때문에, 충전기도 팩형전지에 맞추어진, 또는 피공급장치의 수납부를 포함한 전용충전기로 되어 버리는 것.
③ 안전회로나 피공급장치에 장착하기 위한 형상 및 디자인, 단자구조를 형성한 팩형전지의 체적은, 팩형전지내에 수납되는 전지의 체적에 비해 반드시 크게 되는 것.
④ 일반소비자가 리튬이온 등의 2차전지단체를 입수할 수 없는 것.
또한, 미리 리튬이온 등의 2차전지의 사이즈를 규정해 두면, 피공급장치개개의 형상, 디자인, 발매시기, 발매량에 구애됨이 없이, 2차전지를 풍족스럽게 생산공급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일반소비자에 있어서도, 상기한 전지가 적용되는 기기를 구입하면, 필요할 때에 필요한 양의 2차전지를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고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3)

  1. 전지요소를 캡에 의해 실링하는 실링부에, 전류차단소자를 가진 안전회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안전회로를, 에폭시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와 같은 방수성, 방전해액성수지에 의해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안전회로를 배치한 안전회로기판에는 개구부 또는 파단기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안전회로에 온도퓨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5. 제 1항에 있어서, 안전회로에 서미스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2차전지의 플러스출력으로부터 PTC소자를 개재해서 안전회로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7. 제 1항에 있어서, 안전회로의 플러스극과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의 사이에 PTC소자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8. 제 1항에 있어서, 실링부의 캡을,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과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의 2극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9. 제 8항에 있어서,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과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에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0. 제 8항에 있어서,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과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이, 전기절연성의 접착제로 접착된, 또는 절연물을 개재해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1. 제 8항에 있어서, 안전회로용마이너스극에 형성된 가스빠지기구멍의 직격에 대해, 외부입출력용플러스극에 형성한 가스빠지기구멍의 직경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2. 발전요소를 수용해서 그 한쪽의 극성의 단자를 겸하는 전지케이스, 및 전지케이스의 개구부에 가스킷을 개재해서 장착된 조립실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실링판이,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된 안쪽캡과 바깥쪽캡, 및 소정의 압력으로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밸브체를 포함하고, 상기캡의 한쪽은 상기 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다른 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구멍으로 연통하는 공동부(空洞部)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3. 발전요소를 수용해서 그 한쪽의 극성의 단자를 겸하는 전지케이스, 및 전지케이스의 개구부에 전기절연성의 가스킷을 개재해서 장착된 조립실링판을 구비하고, 상기 조립실링판이, 전지에 질력로 접속된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결합하고, 또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 또는 파단기구를 가진 프린트기판,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프린트기판의 각각 다른 극성의 단자부에 접속되어서 장착된 바깥쪽캡 및 안쪽캡, 상기 프린트기판보다 전지안쪽에 배치되어, 소정의 압력에 의해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밸브체, 및 상기 프린트기판의 한쪽의 캡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부를 상기 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다른 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구멍에 연통하는 공동부를 가지고, 상기 전기회로는, 전지가 기기에 세트되었을 때 다른 쪽의 캡을 개재해서 상기 한쪽의 극성의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4. 제 13항에 있어서, 전기회로에 있어서의 전류차단소자가 전지에의 과전류의 입력, 전지로부터의 과전류의 출력, 또는 과전류의 입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을 측면에 가지고, 또한 공동부가 바깥쪽캡의 측면에 형성한 팽출부(膨出部)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6. 제 15항에 있어서, 팽출부가 바깥쪽캡의 상부둘레가장자리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바깥쪽캡의 구멍이, 안쪽캡의 구멍보다 하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8. 제 13항에 있어서, 전기적접속수단이, PTC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19. 제 12항에 있어서, 전기적접속수단이, 중앙부에 있어서 밸브체에 용착되고, 둘레가장자리부분에 있어서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서브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필터는 가스를 통과시키는 구멍을 가지고, 또한 상기 서브필터와 상기 밸브체의 용착부는, 밸브체에 걸리는 가스압이 소정치를 초과하면 풀어져서 서브필터와 밸브체의 전기적접속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0. 제 13항에 있어서, 프린트기판에 대신해서 전지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일체화해서 상기 프린트기판의 단자부에 상당하는 단자를 설치한 패키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21.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된 안쪽캡과 바깥쪽캡, 소정의 압력으로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밸브체, 및 상기캡의 한족을 상기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한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구멍으로 연통하는 공동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용조립실링판.
  22. 전지에 직렬로 접속되는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결합하고, 또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 또는 파단기구를 가진 프린트기판, 상기 프린트기판상에 프린트기판의 각각 다른 극성의 단자부에 접속되어서 장착된 바깥쪽캡 및 안쪽캡, 상기 프린트기판보다 전지안쪽으로 배치되어, 소정의 압력에 의해 파단하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파단에 앞서서 전기적도통을 끊는 전류차단기능수단을 가진 밸브체, 및 상기 프린트기판의 한쪽의 캡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부를 상기 밸브체를 통해서 발전요소의 어느 한쪽의 극성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적접속수단을 포함하고, 양캡은 각각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고, 또한 양캡간에는, 상기 양구멍으로 연통하는 공동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용조립실링판.
  23. 제 22항에 있어서, 프린트기판에 대신해서 전지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차단소자 및 전지의 전압을 검출해서 상기 전류차단소자를 제어하는 전압검출기를 포함하는 전기회로를 일체화해서 상기 프린트기판의 단자부에 상당하는 단자를 설치한 패키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전지.
KR1019980701770A 1996-07-09 1997-07-08 2차전지및2차전지용실링판조립체 KR1003578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78896 1996-07-09
JP17889696 1996-07-09
JP1997-15462 1997-01-29
JP1546297 1997-01-29
JP97-015462 1997-01-29
PCT/JP1997/002363 WO1998001913A1 (en) 1996-07-09 1997-07-08 Secondary cell and assembly sealing plate for secondary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522A true KR19990044522A (ko) 1999-06-25
KR100357843B1 KR100357843B1 (ko) 2002-12-26

Family

ID=2635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770A KR100357843B1 (ko) 1996-07-09 1997-07-08 2차전지및2차전지용실링판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22921B1 (ko)
EP (1) EP0849815B1 (ko)
KR (1) KR100357843B1 (ko)
CN (1) CN1178314C (ko)
CA (1) CA2231472C (ko)
DE (1) DE69733186T2 (ko)
WO (1) WO19980019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547A (ko) * 2002-10-29 2004-05-07 (주)포스앤테크 이차 전지팩
KR20210120783A (ko) * 2020-03-27 2021-10-07 한국제이씨씨(주) 에너지 저장장치용 안전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9400A1 (en) * 1998-01-31 1999-08-05 Oglesbee John W Overcharge protection device and methods for lithium-based rechargeable batteries
US6331763B1 (en) 1998-04-15 2001-1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protection of rechargeable elements
WO1999060637A1 (en) * 1998-05-18 1999-11-25 Tyco Electronics Raychem K.K. Ptc element, ptc element-mounted pcb board, secondary cell protection circuit device and secondary cell assembly
US6524739B1 (en) * 1998-08-25 2003-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GB9820132D0 (en) * 1998-09-16 1998-11-11 Raychem Ltd Battery over-discharge protection
TW472411B (en) * 1998-11-19 2002-01-11 Toyo Kohan Co Ltd Safe device for closed battery and closed battery using said device
JP3693844B2 (ja) * 1999-03-01 2005-09-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池の感圧電路遮断機構
JP3212963B2 (ja) * 1999-03-16 2001-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二次電池制御回路
US6979502B1 (en) 1999-06-21 2005-12-27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Battery having a housing for electronic circuitry
ATE327578T1 (de) * 1999-06-21 2006-06-15 Univ Illinois Batterie mit gehäuse für elektronische schaltung
US6671187B1 (en) * 1999-09-24 2003-12-30 Wilson Greatbatch Ltd. Protection device having a sleeve and method of assembling a battery with a protection device and an electrical component
KR100342052B1 (ko) * 1999-10-27 2002-06-27 김순택 밀폐전지
JP4678078B2 (ja) * 1999-12-20 2011-04-27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電気機器
EP1126534B1 (en) * 2000-02-16 2006-08-23 Samsung SDI Co. Ltd. Sealed battery
CN1319189C (zh) * 2001-08-07 2007-05-3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100861166B1 (ko) * 2002-02-13 2008-09-30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팩의 제조방법
EP1525651A2 (en) * 2002-07-31 2005-04-27 Rayova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rechargeable batteries
KR100467698B1 (ko) * 2002-09-05 2005-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이차전지와 이의 제조방법
KR100515354B1 (ko) * 2003-06-19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243148B2 (ja) * 2003-07-31 2009-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形蓄電池
JP4961113B2 (ja) * 2005-04-22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
US7554286B2 (en) * 2005-07-20 2009-06-30 Prelec Sr Michael L Protective casing for battery charger
JP4625744B2 (ja) * 2005-09-29 2011-02-02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KR101099945B1 (ko) * 2006-12-27 2011-12-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압력 검지기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FR2913530B1 (fr) * 2007-03-09 2009-06-05 Accumulateurs Fixes Terminal electrique pour accumulateur etanche.
KR100899425B1 (ko) * 2007-08-30 2009-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0947989B1 (ko) * 2007-11-06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4748193B2 (ja) * 2008-09-01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絶縁板、非水電解質二次電池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絶縁板の製造方法
KR101050535B1 (ko) * 2008-12-18 2011-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8927123B2 (en) 2009-06-15 2015-01-06 Lg Chem, Ltd. Cap assembly of cylindrical rechargeable battery and cylindrical rechargeable battery
EP2290729B1 (de) * 2009-08-24 2012-10-10 Carl Freudenberg KG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mit Volumenkompensationseinrichtung
CN103718345B (zh) 2012-03-15 2016-10-26 株式会社东芝 锂离子二次电池
US10082542B2 (en) * 2013-06-20 2018-09-25 Furukawa Electric Co., Ltd. Battery stat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0128486B2 (en) 2015-03-13 2018-11-13 Purdue Research Foundation Current interrupt devices, methods thereof, and battery assemblies manufactured therewith
KR101935013B1 (ko) * 2015-09-25 2019-01-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134648B1 (ko) * 2016-03-16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KR102642159B1 (ko) * 2016-09-20 2024-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6876817B (zh) * 2016-12-21 2019-04-12 杭州伯坦科技工程有限公司 检测电池内部压强的方法及电池内部压强检测件
JP2018190913A (ja) * 2017-05-11 2018-11-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素子の接続構造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KR102263435B1 (ko) * 2017-09-13 2021-06-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비딩부가 생략된 원통형 전지셀
US11081738B2 (en) * 2018-03-06 2021-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ainment heatsink for packaged battery cells
KR20210100492A (ko) * 2020-02-06 2021-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팩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9836A (en) * 1980-03-05 1981-09-15 Lemelson Jerome H Rechargeable electric battery system
JPS58188066A (ja) * 1982-04-28 1983-11-02 Toshiba Corp 電池
US4855195A (en) * 1988-07-11 1989-08-0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with internal circuit interrupter
US5391974A (en) * 1990-10-15 1995-02-21 Toshiba Battery Co., Ltd. Secondary battery charging circuit
US5304431A (en) * 1992-05-20 1994-04-19 Schumm Jr Brooke Fluid depolarized electrochemical battery with automatic valve
JP2970340B2 (ja) 1992-09-29 1999-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電池用防爆封口板
EP0644642A3 (en) 1993-07-30 1995-05-24 Texas Instruments Inc Power supply.
JPH07254401A (ja) 1994-03-15 1995-10-03 Toshiba Battery Co Ltd 密閉形電池
JPH0864197A (ja) 1994-06-17 1996-03-08 Wako Denshi Kk 二次電池の安全装置
JP3565580B2 (ja) 1994-06-24 2004-09-15 Fdk株式会社 防爆安全装置を備えた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6120928A (en) * 1994-07-07 2000-09-19 Alps Electric Co., Ltd. Protection device and battery cell using this protection device
US5622789A (en) * 1994-09-12 1997-04-22 Apple Computer, Inc. Battery cell having an internal circuit for controlling its operation
US5449570A (en) * 1994-09-30 1995-09-12 Globe-Union Inc. Connection arrangement for battery monitoring circuits
US5741606A (en) * 1995-07-31 1998-04-21 Polystor Corporation Overcharge protection battery vent
US5895728A (en) * 1995-09-27 1999-04-20 Bolder Technologies Corp. Battery c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547A (ko) * 2002-10-29 2004-05-07 (주)포스앤테크 이차 전지팩
KR20210120783A (ko) * 2020-03-27 2021-10-07 한국제이씨씨(주) 에너지 저장장치용 안전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9815A4 (en) 2000-08-16
KR100357843B1 (ko) 2002-12-26
CA2231472A1 (en) 1998-01-15
US6322921B1 (en) 2001-11-27
EP0849815B1 (en) 2005-05-04
DE69733186T2 (de) 2005-11-17
CN1197550A (zh) 1998-10-28
CA2231472C (en) 2006-01-17
EP0849815A1 (en) 1998-06-24
WO1998001913A1 (en) 1998-01-15
CN1178314C (zh) 2004-12-01
DE69733186D1 (de) 200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7843B1 (ko) 2차전지및2차전지용실링판조립체
JP3498538B2 (ja)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用組立封口板
KR100929036B1 (ko) 배터리 팩의 보호회로,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및 이의동작방법
JP5517974B2 (ja) 二次電池
KR100511357B1 (ko) 2차 전지
CN103247817B (zh) 可再充电电池
US20040170887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secondary battery
KR100867928B1 (ko) 보호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010043946A (ko) 전지보호회로를 구비한 2차 전지
JP3154279B2 (ja) 二次電池
CN108666458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包和电动汽车
KR20110088348A (ko) 배터리 어셈블리
CN108666519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包和电动汽车
KR20180129169A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JPH0562664A (ja) 防爆型非水二次電池
CN108666461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包和电动汽车
JP2007305323A (ja) 電池
CN108666460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包和电动汽车
CN108666459B (zh) 电池盖板组件、单体电池、电池模组、动力电池包和电动汽车
JP2004199991A (ja) 角形電池
JP2000182596A (ja) 電池用熱動継電器
KR100943191B1 (ko) 전지 팩
JP3154280B2 (ja) 二次電池
JP2000067931A (ja) 二次電池
CN109792032B (zh) 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