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973A - 광섬유 증폭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973A
KR19990043973A KR1019980005472A KR19980005472A KR19990043973A KR 19990043973 A KR19990043973 A KR 19990043973A KR 1019980005472 A KR1019980005472 A KR 1019980005472A KR 19980005472 A KR19980005472 A KR 19980005472A KR 19990043973 A KR19990043973 A KR 1999004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gain
erbium
edf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8970B1 (ko
Inventor
황성택
윤수영
김정미
김성준
정래성
요한닐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6331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4397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5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8970B1/ko
Priority to GB9825131A priority patent/GB2331621B/en
Priority to CA002254487A priority patent/CA2254487C/en
Priority to DE19853429A priority patent/DE19853429A1/de
Priority to CN98124939A priority patent/CN1124670C/zh
Priority to FR9814559A priority patent/FR2771221B1/fr
Priority to BR9804714-0A priority patent/BR9804714A/pt
Priority to JP33115898A priority patent/JP3249089B2/ja
Priority to US09/196,765 priority patent/US6392788B1/en
Publication of KR1999004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973A/ko
Publication of KR10025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8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12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amplification or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01S3/06758Tandem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9Repeaters
    • H04B10/291Repeaters in which processing or amplification is carried out without conversion of the main signal from optical form
    • H04B10/293Signal power control
    • H04B10/294Signal power control in a multiwavelength system, e.g. gain equa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1/00Functional characteristics
    • H01S2301/04Gain spectral shaping, flat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01S3/06787Bidirectional amplif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0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 H01S3/160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 H01S3/1608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erb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9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 sensitisers / promoters as further dop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9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 sensitisers / promoters as further dopants
    • H01S3/169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 sensitisers / promoters as further dopants alumin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어븀 및 인이 첨가된 제1광섬유;제1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고, 어븀 및 알루미늄이 첨가되어, 어븀의 밀도반전에 따라 제1광섬유와 반대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는 제2광섬유; 제1광섬유의 타단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광섬유의 어븀을 여기시켜 신호광을 증폭하는 펌핑광원; 및펌핑광원의 펌핑광과 신호광을 결합하여 제1광섬유로 출력하는 광결합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득 스펙트럼이 다른 두 종류의 EDF를 사용하므로써 입력되는 신호광의 세기나 펌프광의 세기가 달라져도 그에 따른 각 EDF의 이득 스펙트럼도 능동적으로 변하므로 전체적으로 이득평탄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증폭기
본 발명은 광섬유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물질이 첨가된 광섬유를 직렬로 연결하여 이득 평탄화된 증폭특성을 얻는 광섬유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후반 들어서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다중화시켜 전송하므로써 전송용량과 효율을 높이는 파장분할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WDM이라 약함)) 전송방식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광섬유 증폭기에 있어서도 WDM 전송에 필요한 광섬유 증폭기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현재 일반적인 광섬유 증폭기로 사용되는 어븀도핑 광섬유(Erbium Doped Fiber, 이하 EDF라 약함) 증폭기는 각 파장별 신호에 대한 증폭도와 잡음특성이 다르다.
도 1은 종래의 EDF 증폭기의 구성도로서, 도 1에 따른 EDF 증폭기는 제1아이솔레이터(Isolator, 100), 펌프광원(102), 파장선택결합기(Wavelength Selective Coupler, 104, 이하 WSC라 약함), EDF(106), 제2아이솔레이터(108)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EDF 증폭기의 동작은 먼저, 펌프광원(102)에 의해 중심파장이 980nm인 펌핑광이 주입되면, 상술한 펌핑광과 입력단에서 들어오는 1500nm대의 파장을 갖는 신호광은 WSC(104)를 통하여 어븀(Er)과 같은 희토류 원소가 도핑된 증폭매질인 EDF(106)를 지나고, 이 때, 펌핑광이 EDF내의 기저상태에 있는 어븀 이온을 여기시킨다. 여기된 어븀의 유도방출(stimulated emmission)로 신호광이 증폭된다. 증폭된 신호는 제2아이솔레이터(108)를 통해 출력된다. 제1 및 제2아이솔레이터(100, 106)는 신호광이 입출력 커넥터(110, 112)와 같은 소자에 의해 반사되어 EDF에 다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광섬유 증폭기는 신호광의 파장대역에 대해 이득이 평탄화되지 않아서 일정한 크기를 갖는 입력신호채널 1,2,3,4에 대해 각각 그 크기가 달라진 출력신호채널 1',2',3',4'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증폭이득 평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필터를 사용하거나 EDF의 조성을 바꾸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필터를 사용할 경우 부가적인 소자의 삽입으로 비용이 증가하고 부피가 커지며 또한 출력파워를 각 파장에 따른 출력파워중에서 최소값을 기준으로 평탄화하므로 이득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불소(Flouride)와 같은 기본조성이 다른 EDF를 사용하는 방법은 이득 평탄화 대역이 넓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득이 감소하고 환경에 불안정한 특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물질이 첨가된 EDF를 직렬로 연결하여 이득평탄화된 광섬유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증폭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의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2의 제1EDF와 제2EDF의 밀도반전분포에 따른 이득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광섬유 증폭기에 4채널의 신호광이 다중화되어 입력된 경우의 파장에 따른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펌프광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채널당 신호광의 세기를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4-채널 신호광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펌프광의 세기를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펌핑광원을 갖는 광섬유 증폭기의 실시예이다.
도 8은 4채널 신호광이 도 7의 광섬유 증폭기에 입력되었을 때, 파장변화에 따른 이득 및 잡음지수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펌프광의 세기를 일정하세 유지하고 채널당 신호광의 세기를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4-채널 신호광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펌프광의 세기를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는 어븀 및 인이 첨가된 제1광섬유; 상기 제1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고, 어븀 및 알루미늄이 첨가되어, 상기 어븀의 밀도반전에 따라 상기 제1광섬유와 반대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는 제2광섬유; 상기 제1광섬유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섬유의 어븀을 여기시켜 신호광을 증폭하는 펌핑광원; 및 상기 펌핑광원의 펌핑광과 신호광을 결합하여 상기 제1광섬유로 출력하는 광결합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의 실시예로서, 도 2에 따른 광섬유 증폭기는 제1아이솔레이터(200), 펌핑광원(202), 제1아이솔레이터(200)와 펌핑광원(202)에 연결되는 WSC(204), 버퍼 EDF(206), 제1EDF(208), 제2EDF(210) 및 제2아이솔레이터(212)를 포함한다.
버퍼 및 제2EDF(206, 210)는 어븀(Er, erbium), 알루미늄(Al, aluminum)이 첨가된 광섬유이고, 제1EDF(208)는 Er, Al 및 P(phosphorous)가 첨가된 광섬유이다. 여기서, 버퍼 EDF(206)는 반드시 Er, Al이 첨가된 광섬유일 필요는 없으며, WSC(204)와 제1EDF(208)간의 모드 필드경(mode field diameter) 차이에 따른 접속손실을 줄일 수 있는 특성을 갖는 광섬유가 바람직하다. 그 길이는 전체 증폭기의 이득특성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짧게한다. 그러나, 버퍼 EDF(206)가 접속손실을 줄여주기는 하나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평탄도에는 영향을 주지않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입사된 신호광은 각 EDF로부터의 역방향 자연방출(Amplified Spontaneous Emmission)의 역류 및 반사를 막는 제1아이솔레이터(200)를 지나 WSC(204)로 입사한다. 입사된 신호광은 WSC(204)를 통해 980nm의 중심파장을 갖고 증폭에 필요한 파워를 공급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펌프광원(202)에 의한 펌핑광과 결합된다. 신호광은 제1 및 제2EDF(208, 210)에서 증폭된다.
제1EDF(208)에서는 1540nm~1560nm 파장의 신호중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광이 더 많이 증폭된다. 반면에 제2EDF(210)에서는 1540nm~1560nm 파장의 신호중 상대적으로 긴 파장의 광이 더 많이 증폭된다. 그 이유는 제1EDF(208)와 제2EDF(210)의 파장에 따른 발광 스펙트럼 특성에 기인한다.
도 3(a)는 제1광섬유(208)의 밀도반전분포에 따른 이득 스펙트럼이고, 도 3(b)는 제2광섬유(210)의 밀도반전분포에 따른 이득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이득 스펙트럼은 각각 밀도반전값이 0~1사이에서 상향으로 0.1씩 증가하여 도시되어있다. 도 3에 따르면, 각 EDF의 이득특성은 밀도반전값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 3(a)에 따르면 1540~1560nm 파장범위에서 제1EDF(208)는 밀도반전값이 0.6이상에서는 음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고, 밀도반전값이 0.5이하에서는 양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는다. 그러나, 양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는 범위인 밀도반전값이 0.5이하에서는 단위길이당 이득이 0.5dB/m이하로 그 증폭도가 낮아서 증폭기로는 바람직하지않다.
도 3(b)에 따르면, 제2EDF(210)는 동일한 파장범위에서 밀도반전값이 0.8이상일 때 음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고, 밀도반전값이 0.7이하에서는 양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는다.
그러므로, 밀도반전값이 0.6~0.7의 범위에서 제1EDF(208)와 제2EDF(210)를 함께 사용하면, 제1EDF(208)에서 펌프광의 세기는 크고 신호광의 세기가 작으므로 밀도반전값이 크게되고, 제2EDF(210)에서는 펌프광의 세기가 작고 신호광의 세기가 크므로 밀도반전값이 작게되어, 전체적으로 평탄한 이득을 갖는 광섬유 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제1EDF(208)의 Al은 소량으로 이득 스펙트럼에 크게 기여하지 않으므로 대신에 Er, P가 첨가된 광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증폭이 이루어진 후, 신호광은 순방향 자연방출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아이솔레이터(212)를 통과하여 출력된다.
도 4는 1542nm, 1548nm, 1554nm 및 1560nm의 4채널 신호광이 도 2의 광섬유 증폭기에 입력되어을 때, 파장변화에 따른 이득 및 잡음지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파장이 1542nm~1560nm 사이에서 이득 및 잡음지수가 ±0.5dB 이내로 평탄화되어 있다. 참조번호 401, 402는 각각 잡음지수 및 이득을 나타낸다.
도 5는 상술한 4-채널 신호광을 이용하여 펌프광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채널당 신호광의 세기를 -20dBm~-11dBm까지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으로, 이득 및 잡음지수가 ±0.5dB 이내로 평탄화되어 있다. 참조번호 501, 502는 각각 잡음지수 및 이득을 나타낸다.
도 6은 4-채널 신호광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펌프광의 세기를 70mW~130mW까지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으로, 이득 및 잡음지수가 ±0.5dB 이내로 평탄화되어 있다. 참조번호 601, 602는 각각 잡음지수 및 이득을 나타낸다.
도 7은 양방향 펌핑을 위해 도 2의 광섬유 증폭기에 제2펌프광원(701)과 제2WSC(702)를 더 포함한 경우로, 나머지는 도 2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8은 1542nm, 1548nm, 1554nm 및 1560nm의 4채널 신호광이 도 7의 광섬유 증폭기에 입력되었을 때, 파장변화에 따른 이득 및 잡음지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파장이 1542nm~1560nm 사이에서 이득 및 잡음지수가 ±0.5dB 이내로 평탄화되어 있다. 참조번호 801, 802는 각각 잡음지수 및 이득을 나타낸다.
도 9는 상술한 4-채널 신호광을 이용하여 펌프광의 세기를 일정하세 유지하고 채널당 신호광의 세기를 -20dBm~-11dBm까지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으로, 이득 및 잡음지수가 ±0.5dB 이내로 평탄화되어 있다. 참조번호 901, 902는 각각 잡음지수 및 이득을 나타낸다.
도 10은 4-채널 신호광의 세기는 일정하게 유지하고 펌프광의 세기를 140mW~260mW까지 변화시켜가면서 측정한 이득 및 잡음지수를 도시한 것으로, 이득 및 잡음지수가 ±0.5dB 이내로 평탄화되어 있다. 참조번호 1001, 1002는 각각 잡음지수 및 이득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와 같은 수동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입력되는 신호광의 세기나 펌프광의 세기가 바뀌면 이득평탄도가 달라지는 것과는 달리, 이득 스펙트럼이 다른 두 종류의 EDF를 사용하므로써 입력되는 신호광의 세기나 펌프광의 세기가 달라져도 그에 따른 각 EDF의 이득 스펙트럼도 능동적으로 변하므로 전체적으로 이득평탄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어븀 및 인이 첨가된 제1광섬유;
    상기 제1광섬유의 일단에 연결되고, 어븀 및 알루미늄이 첨가되어, 상기 어븀의 밀도반전에 따라 상기 제1광섬유와 반대의 이득 스펙트럼 기울기를 갖는 제2광섬유;
    상기 제1광섬유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광섬유의 어븀을 여기시켜 신호광을 증폭하는 펌핑광원; 및
    상기 펌핑광원의 펌핑광과 신호광을 결합하여 상기 제1광섬유로 출력하는 광결합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광섬유 증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섬유와 상기 광결합기간 접속손실을 줄이기위해 상기 광결합기와 상기 제1광섬유사이를 연결하는 버퍼 광섬유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광섬유 증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 광섬유는
    어븀 및 알루미늄이 첨가된 광섬유임을 특징으로하는 광섬유 증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광의 세기를 증가시키기위해 상기 제2광섬유에 연결되는 제2펌핑광원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광섬유 증폭기.
KR1019980005472A 1997-11-20 1998-02-21 광섬유 증폭기 KR100258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472A KR100258970B1 (ko) 1997-11-20 1998-02-21 광섬유 증폭기
GB9825131A GB2331621B (en) 1997-11-20 1998-11-18 Optical fiber amplifier
CN98124939A CN1124670C (zh) 1997-11-20 1998-11-19 光纤放大器
DE19853429A DE19853429A1 (de) 1997-11-20 1998-11-19 Lichtleiterverstärker
CA002254487A CA2254487C (en) 1997-11-20 1998-11-19 Optical fiber amplifier
FR9814559A FR2771221B1 (fr) 1997-11-20 1998-11-19 Amplificateur a fibre optique
BR9804714-0A BR9804714A (pt) 1997-11-20 1998-11-19 Amplificador de fibra ótica
JP33115898A JP3249089B2 (ja) 1997-11-20 1998-11-20 光ファイバ増幅器
US09/196,765 US6392788B1 (en) 1997-11-20 1998-11-20 Optical fiber ampl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595 1997-11-20
KR101997061595 1997-11-20
KR19970061595 1997-11-20
KR1019980005472A KR100258970B1 (ko) 1997-11-20 1998-02-21 광섬유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973A true KR19990043973A (ko) 1999-06-25
KR100258970B1 KR100258970B1 (ko) 2000-06-15

Family

ID=2663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472A KR100258970B1 (ko) 1997-11-20 1998-02-21 광섬유 증폭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92788B1 (ko)
JP (1) JP3249089B2 (ko)
KR (1) KR100258970B1 (ko)
CN (1) CN1124670C (ko)
BR (1) BR9804714A (ko)
CA (1) CA2254487C (ko)
DE (1) DE19853429A1 (ko)
FR (1) FR2771221B1 (ko)
GB (1) GB2331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9938B1 (en) 1996-05-28 2002-04-09 Fujitsu Limited Multi-wavelength light amplifier
EP1128504B8 (en) * 2000-02-23 2009-08-12 Fujitsu Limited Optical amplifier
US6441953B1 (en) * 2000-04-24 2002-08-27 Corning Incorporated L band multistage amplifier with improved noise figure
JP5226164B2 (ja) * 2001-06-14 2013-07-03 富士通株式会社 光増幅器
EP1359647A3 (en) * 2002-03-15 2005-07-13 Tyco Telecommunications (US) Inc. Hybrid Raman/erblum-doped fiber amplifier and transmission system
US7330550B1 (en) 2003-02-19 2008-02-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ryptographic system and method that uses excitation spectroscopy
US7101435B2 (en) 2003-05-30 2006-09-05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epitaxial silicon growth
US8498046B2 (en) 2008-12-04 2013-07-30 Imra America, Inc. Highly rare-earth-doped optical fibers for fiber lasers and amplifiers
US7450813B2 (en) 2006-09-20 2008-11-11 Imra America, Inc. Rare earth doped and large effective area optical fibers for fiber lasers and amplifiers
JP5398804B2 (ja) * 2011-09-16 2014-01-29 株式会社東芝 ファイバレーザ装置
CN105576483B (zh) * 2015-12-25 2019-02-01 南京大学 一种基于双段互补型的掺铒光纤放大器
WO2020047339A1 (en) 2018-08-30 2020-03-05 Ofs Fitel, Llc Wide gain bandwidth c-band optical fiber amplifier
CN115314112A (zh) * 2021-05-07 2022-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放大器、光信号放大及光放大器增益调节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2369A1 (de) * 1990-01-27 1991-08-0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Mehrstufiger faseroptischer verstaerker
JP2955780B2 (ja) 1991-06-27 1999-10-04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増幅器
US5721635A (en) * 1993-11-24 1998-02-2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fiber amplifier and optical amplifier repeater
JPH08204647A (ja) * 1994-11-25 1996-08-0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中継伝送装置および光通信方法
JP2636152B2 (ja) * 1993-11-24 1997-07-3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増幅器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JP3092688B2 (ja) 1994-02-24 2000-09-2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増幅器および光増幅方法
GB9522943D0 (en) * 1995-08-05 1996-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rbium doped fiber amplifier
JP3829345B2 (ja) * 1995-09-08 2006-10-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増幅器
JP3839861B2 (ja) * 1995-11-20 2006-11-0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増幅器
JP3730299B2 (ja) * 1996-02-07 2005-12-21 富士通株式会社 光等化増幅器および光等化増幅方法
KR970064034A (ko) * 1996-02-10 1997-09-12 김광호 다중파장 자동 파워 및 이득 조절용 광전송 시스템 및 레이저
JP3670434B2 (ja) * 1996-04-22 2005-07-13 ルーセント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段光ファイバ増幅器を有するシステム
JP4225436B2 (ja) 1997-01-29 2009-02-1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増幅性光ファイバ、光ファイバ増幅器、および光ファイバ増幅器の利得等化方法
DE69725840T2 (de) * 1997-06-06 2004-07-22 Avanex Corp., Fremont Faseroptisches Telekommunikation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8317A (zh) 1999-06-02
DE19853429A1 (de) 1999-07-08
CA2254487C (en) 2003-03-18
CN1124670C (zh) 2003-10-15
FR2771221A1 (fr) 1999-05-21
US6392788B1 (en) 2002-05-21
FR2771221B1 (fr) 2005-09-16
CA2254487A1 (en) 1999-05-20
KR100258970B1 (ko) 2000-06-15
GB2331621A (en) 1999-05-26
JP3249089B2 (ja) 2002-01-21
BR9804714A (pt) 1999-11-03
GB2331621B (en) 2000-07-05
JPH11233866A (ja) 1999-08-27
GB9825131D0 (en) 199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3104A (en) Balanced optical amplifier
KR100269177B1 (ko) 장파장 광섬유 증폭기
US6104528A (en) Optical fiber amplifier for achieving high gain of small signal
JP3936533B2 (ja) 希土類ドープファイバ増幅器および多段ファイバ増幅器
EP1067716A2 (en) Wide-band optical fiber amplifier and amplifying method thereof
KR100334778B1 (ko) 피드 백 루프를 이용한 장파장 대역 광섬유 증폭기
JP2000077755A (ja) 高出力変換効率を有する長波長帯域向きの光ファイバ増幅器
KR100258970B1 (ko) 광섬유 증폭기
US6529317B2 (en) L-ban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pumped by 1530 nm-band pump
KR100277360B1 (ko) 장파장 광신호에 적합한 어븀 도핑 광섬유증폭기
US11670903B2 (en) Broadband hybrid optical amplifier operation in eye-safe wavelength region
KR100326039B1 (ko) 흡수체를갖는광증폭기
KR100334789B1 (ko) 피드 백 루프를 이용한 광학 소자 측정용 광대역 광원
KR20040099844A (ko) 광대역 광증폭기
KR100634208B1 (ko)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광섬유 증폭기
KR100334809B1 (ko) 씨드-빔을 이용한 광대역 광원
US6583922B2 (en) Optical amplifier site with reduced noise and transmission system utilizing such
US6504647B1 (en) Optical fiber amplifier, a method of amplifying optical signals,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KR20020041850A (ko) 장파장 이득대역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및 역방향 진행자연방출광 차단 방법
KR100584717B1 (ko) 광섬유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광섬유 증폭기
KR100341215B1 (ko) 에르븀첨가광섬유의 장파장대역을 이용한 2단 광증폭기
KR0183911B1 (ko) 평탄한 고이득 및 낮은 잡음지수를 갖는 광섬유 증폭기
KR100288442B1 (ko) 이득평탄화광섬유증폭기
US20050078354A1 (en) Optical fiber amplifier
Choi et al. Investigation of pump wavelength dependence of long-wavelength-ban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using 1530 nm-band pump for WDM ampl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