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13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134A
KR19990042134A KR1019970062854A KR19970062854A KR19990042134A KR 19990042134 A KR19990042134 A KR 19990042134A KR 1019970062854 A KR1019970062854 A KR 1019970062854A KR 19970062854 A KR19970062854 A KR 19970062854A KR 19990042134 A KR19990042134 A KR 1999004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ever
unbalance
magnetic body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2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134A/ko
Priority to JP10203885A priority patent/JPH11156084A/ja
Priority to CN98118688A priority patent/CN1109151C/zh
Priority to IDP981180A priority patent/ID21251A/id
Publication of KR1999004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134A/ko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드스위치와 자성체의 이동을 통해 언밸런스와 뚜껑개폐를 용이하게 감지하는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가 구비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회동되는 뚜껑의 일측에 자성체를 마련하고, 하우징에는 수조의 불규칙적인 회전시에 수조와 접촉이동되며 일단에 자성체가 마련된 레버를 마련하며, 뚜껑과 레버의 자성체 사이에 리드스위치를 마련하여 리드스위치와 뚜껑측 자성체의 근접여부로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고, 리드스위치와 레버측 자성체의 근접여부로 수조의 언밸런스를 감지하는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가 구비된 구성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며 접점부 소손 등으로 인한 동작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의 언밸런스와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리드스위치와 자성체가 구비된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를 마련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콘트롤부에 세탁, 헹굼 및 배수 그리고 탈수 등의 행정을 미리 마이컴에 프로그램화 시켜두고,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세탁 제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피세탁물이 전자동으로 세탁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의 상부에 콘트롤부가 마련되어 있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는 수조가 현가장치에 의해 설치된다. 수조의 내부에는 세탁조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되고, 세탁조의 중앙에는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가 마련된다. 그리고, 수조와 세탁조의 저부에는 정역회전되는 모터를 구비한 구동부가 마련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펄세이터와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이 구동부는 세탁행정시에 펄세이터를 정,역회전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고,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세탁조를 고속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한다.
한편,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에는 뚜껑이 마련되어 있고, 상부커버의 내부에는 수조의 불규칙한 운동의 제어와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기위한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가 마련된다. 이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는 탈수행정시 세탁조의 내부에 마련되는 피세탁물이 일방향으로 치우침으로 인하여 세탁조와 수조의 불규칙적인 회전으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며 탈수행정시 뚜껑이 개방될때는 세탁조의 회전을 정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이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의 전원을 조정하는 것이다.
종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 및 상부가 개구된 하우징(7) 내부에 제 1접점부(3a)와 제 2접점부(3b)가 상하로 배치되고, 제 1접점부(3a)와 제 2접점부(3b)를 고정하기 위한 접점부 고정부재(4)가 하우징(7)의 후방면에 결합되어 있다.
제 2접점부(3b)의 하방에는 세탁기 뚜껑(미도시)의 개폐에 따라 승,하강 운동하는 동작대(2)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의 일단부는 접점부 고정부재(4)에 고정되며 타단부는 하우징(7)의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세탁조(미도시)의 불규칙한 회전운동에 의하여 수조(미도시)와 부딪혀 전,후 운동하는 감지레버(6)가 하우징(7)의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있다. 이 감지레버(6)의 일단부에는 동작대(2)가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제 2운동공(2a)이 형성되어 있고, 감지레버(6)의 하단은 일정 길이 연장되어 수조(미도시)의 상단부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7)의 하부에 이에 대향되는 벤딩된 감지레버(6)의 사이에는 감지레버(6)를 하향지지하는 스프링(5)이 마련된다. 또한 감지레버(6)의 일단부와 하우징(7) 사이에는 감지레버(6)의 전후운동에 따라 승하강하면서 제 1접점부(3a)와 제 2접점부(3b)의 접점상태를 변환시키는 접점변환수단(1)이 마련된다. 이 접점변환수단(1)은 전방이 제 2운동공(2a)에 삽입되어 있고, 접점변환수단(1)과 대응되는 하우징(7)에는 제 1운동공(7a)이 형성되어 접점변환수단(1)의 상하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탁기의 뚜껑(미도시)을 닫으면 동작대(2)가 뚜껑에 의하여 끌어 올려지고, 동작대(2)의 승강운동에 의하여 접점변환수단(1)은 제 2접점부(3b)를 제 1접점부(3a)에 접점시킨다. 이 상태에서 탈수행정시 피세탁물의 치우침 등으로 인해 언밸런스가 발생되면 수조(미도시)의 상단부가 감지레버(6)를 후방으로 밀게된다. 이에 따라 접점변환수단(1)은 하강운동하며, 아울러 제 2접점부(3b)는 제 1접점부(3a)에서 떨어지고 이 같은 상태를 마이컴(미도시)에 신호로 보내 구동부(미도시)의 전원을 오프시켜 세탁기의 동작이 정지된다.
그리고 세탁기 뚜껑을 개방하면 제 2접점부(3b)와 제 1접점부(3a)는 원래의 상태로 다시 복원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뚜껑을 열어 세탁조의 회전을 정지시킨후 피세탁물을 고르게 넣어 재작동시킴으로써 작동소음과 진동을 줄이고 세탁기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는 뚜껑의 과중한 하중에 의해 동작대(2)의 비틀림이 발생되며, 또한 제 1,2접점부(3a,3b)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침투하여 동작 불량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특히, 온수를 사용할 때, 증기로 인한 접점의 소손이 발생되어 접점부(3a,3b)의 안전성을 기할 수 없다. 즉 양측 접점부(3a,3b)의 연결을 기구적인 구성으로 마련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손상과 접점불량이 예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세탁기의 전체적인 신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동되는 뚜껑의 일측에 자성체를 마련하고, 하우징에는 수조의 불규칙적인 회전시에 수조와 접촉이동되며 일단에 자성체가 마련된 레버를 마련하며, 뚜껑과 레버의 자성체 사이에 리드스위치를 마련하여 뚜껑측자성체와 레버측자성체가 리드스위치와의 근접여부로 수조의 언밸런스와 뚜껑의 개폐를 감지하는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가 구비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의 작동전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의 레버가 작동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의 뚜껑이 작동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의 동작에 따른 세탁기 제어부의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우징 13:자성체 15:힌지
18:접철부 20:수조 30:세탁조
50:구동부 70:제어부 100:감지장치
110:케이스 111:리드스위치실 112:자성체실
113:힌지홀 114:걸림턱홀 117:체결구
118:체결홀 120:리드스위치 121:전선
122:리드편 123:유리튜브 130:자성체
140:레버 141:힌지축 150:탄성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는 뚜껑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세탁조가 마련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불규칙적인 회전시에 접촉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일측에 마련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에 부착된 자성체, 상기 뚜껑의 힌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로 인해 회동되는 자성체, 상기 레버의 자성체와 상기 뚜껑의 자성체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리드스위치, 상기 레버를 탄성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에 마련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레버의 자성체와 상기 뚜껑의 자성체가 근접할 때 온되어 상기 세탁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의 동작전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레버가 동작된 상태를 단면도이고, 도 6은 뚜껑이 동작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와 연결 동작되는 세탁기 제어부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0) 내부에 세탁수가 채워질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된 원관상의 수조(20)가 현가장치(25)에 의해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이 수조(20)의 내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며 벽면에 다수의 탈수공이 천공되어있으며 수조(20)와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된 세탁조(3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조(30)의 저부에는 정역회전하여 세탁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40)가 마련된다.
하우징(10)의 저부에는 세탁조(30)와 펄세이터(4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5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1)와 이의 회전력을 벨트(42)를 매개로 전달받아 펄세이터(40)와 세탁조(30)를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장치(5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상부에는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2)가 설치되어있으며 이 상부커버(12)의 내부에는 하우징(1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뚜껑(11)이 마련된다.
한편 뚜껑(11)은 일측이 상부커버(12)에 힌지(15)로서 결합되고 중간에는 접철부(18)가 마련되어 절반정도가 접히면서 하우징(10)의 내부를 개방하고, 접철부(18)가 펴지면서 하우징(10)의 내부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뚜껑(11)의 힌지(15) 배면으로는 후설할 리드스위치(120)를 동작시키는 뚜껑측 자성체(160)가 마련된다. 이 자성체(160)는 힌지(1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뚜껑(11)이 닫혔을때는 힌지(15)의 상측에 위치되고, 뚜껑(11)이 열리게 될 때는 하향이동하여 리드스위치(120)의 전면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10)의 내부면 후방상측에는 세탁기의 탈수행정시 언밸런스와 뚜껑(11)의 개폐를 감지하여 세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100)가 마련되어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100)는, 상부커버(12)에 결합되는 함체상의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리드스위치(120), 그리고 리드스위치(1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자성체(130)가 상측선단에 마련되는 레버(140)와 레버(140)에 결합되어 레버(140)를 복원시키는 탄성부재(150)와 뚜껑(11)의 힌지(15) 배면에 위치되는 자성체(160)로 구비된다.
레버(140)는 하단이 수조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자성체(130)가 설치되어있다. 그리고 자성체(130)에서 일정간격 하방 양측면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한쌍의 힌지축(141)이 마련된다.
탄성부재(150)는 힌지축(14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을 원형으로 권선하였고, 이에 상하측으로 연장시켜 레버(140)의 측면과 케이스(110)의 사이에 걸쳐질 수 있도록 벤딩되어있고, 레버(140)의 리드스위치실측의 면과 케이스(110)의 저면에 고정된다.
리드스위치(120)는 자성재료를 프레스가공한 한쌍의 리드편(122)에 소정의 오버랩과 소정의 갭을 가지게하여 불활성가스와 함께 유리튜브(123)내에 봉입한 자기 구동형스위치로서 전기접점으로 우수한 특성을 얻기 위해 백금, 금, 로듐, 루테늄 등의 귀금속류가 도금되어있으며 내부 불활성가스로서 일반적으로, 질소와 수소의 혼합가스가 상압에서 봉압되는 것이다. 리드스위치(120)의 동작원리는 자성체(130)의 자계속에 리드스위치(120)를 놓았을 경우 연질 강자성 재료의 리드편(122)은 그 자계의 방향에 따라서 자화되며 각각 리드편(122)이 N극과 S극을 가지게 되어 접점부를 서로 잡아당기도록 다른 극이 유기되고, 이 자기적인 흡입력이 프레스가공부의 기계적 탄성력을 웃도는 경우 접점이 닫히게 된다.
케이스(110)는 상측이 개구된 사각의 함체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양측으로 격리되어 자성체(130)가 설치되는 자성체실(112)과 리드스위치(120)가 설치되는 리드스위치실(111)로 구분되며 자성체실(112)은 자성체(130)가 회동될수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마련된다. 측면에는 레버(140)가 회동될 수 있도록 레버(140)의 힌지축(141)에 결합되는 힌지홀(113)이 마련된다. 이 힌지홀(113)은 케이스(110)의 저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자성체실(112)의 좌우방향으로 대략중간정도에 위치한다. 그리고 하부면에는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레버(140)의 하측부분이 일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 걸림턱홀(114)이 마련된다. 이 걸림턱홀(114)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140)의 수직상태에서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좌측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하며, 우측방향으로는 걸림턱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양측에는 상부커버(12)와 결합할 수 있도록 외부로 연장되어 내부에 체결홀(118)이 마련된 체결구(117)가 마련되어있다. 미설명부호 119는 체결구(117)와 상부커버(12)를 결합시키는 스크류이다.
뚜껑측의 자성체(160)는 뚜껑(11)의 힌지(15) 배면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으로 소정각도 절곡되어있으며 하향 회전시에 리드스위치(120)의 전면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100)는 케이스(110)의 힌지홀(113)에 탄성부재(150)가 결합된 레버(140)의 힌지축(141)을 결합시키고, 리드스위치실(111)에 리드스위치(120)를 고정하고, 전선(121)을 외부로 인출한후 발포재(170)로 충진하여 실링을 한다. 그리고 케이스(110)를 상부커버(12)에 고정하고 스크류(119)로서 체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작동을 설명하는데 일반적인 세탁과정은 종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것은 생략하고, 도 4, 도 5,도 6,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세탁물이 편심되게 놓여져 세탁조(30)가 중심에서 어긋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수행되면 모터(51)가 구동되어 세탁조(30)가 회전한다. 이 때, 언밸런스 회전을 하는 세탁조(30)가 수조(20)의 내벽면과 부딪쳐 이를 전후 좌우로 진동시킴으로서, 수조(20)가 레버(140)의 하단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므로 힌지축(141)의 상측에 마련된 레버측 자성체(130)는 간헐적으로 리드스위치(110)측으로 이동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 보통의 경우 오프되어 있는 리드스위치(110)는 자성체(130)가 근접되면 온되어 이를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고, 제어부(70)에서는 이러한 신호가 2 내지 3회 정도 입력되면 모터(51)가 더 이상 구동되지 않도록 모터구동부(51a)를 제어함으로써, 언밸런스 회전으로 인한 소음과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즉 제어부(70)의 입력측에는 자성체(130)의 근접여부에 따라 온-오프신호를 입력시키는 리드스위치(1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의 출력측에는 모터(51)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51a)가 접속되어 있다. 보통의 경우 리드스위치(120)는 오프(혹은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자성체(130)에서 형성된 충분한 자계의 힘이 가해지면 온(혹은 오프) 된다. 즉, 탈수행정시 피세탁물이 치우쳐 세탁조(30)가 언밸런스 회전하면 수조(20)의 내벽면과 부딪치게 되고, 이에 부착된 자성체(130)가 리드스위치(120)와 근접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이 때, 리드스위치(120)에 자성체(130)가 근접하게 되면 이것은 자성체(130)의 자계에 의해 온 되고, 이를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한다. 제어부(70)에 이러한 신호가 수회(통상적으로 2내지 3번)입력되면, 여기에서는 모터(51)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도록 모터구동부(51a)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뚜껑(11)을 열게 되면 뚜껑(11)에 마련된 자성체(160)가 회전하여 리드스위치(120)의 전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리드스위치(120)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제어부(70)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때 제어부는 세탁조(3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70)의 작동제어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피세탁물을 균일하게 펼쳐 놓은 후 다시 탈수행정을 수행하면 정상적으로 탈수가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언밸런스 및 뚜껑개폐 감지장치는 자성체(13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자성체(130,160)의 근접여부에 따라 온-오프되어 제어부(7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리드스위치(110)로 구성되어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접점부 소손 등으로 인한 동작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피세탁물의 불균형으로 인해 세탁조의 언밸런스 회전시나 도어의 개폐시 감지장치에서 이를 감지하여 탈수행정이 중지되는데, 감지장치가 자성체와 이의 자계에 의해 온-오프되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리드스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드스위치의 외부를 발포재로 실링한다. 따라서 수조의 기울어짐과 도어의 개방으로 인해 리드스위치가 작동하여 언밸런스와 도어개방이 감지되는데, 이러한 리드스위치와 자성체의 설치가 용이하고, 수분에 의한 오동작이 방지되며, 동작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세탁기의 전체적인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는 뚜껑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조, 상기 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세탁조가 마련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불규칙적인 회전시에 접촉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일측에 마련되는 레버, 상기 레버의 일측에 부착된 자성체, 상기 뚜껑의 힌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뚜껑의 개폐로 인해 회동되는 자성체, 상기 레버의 자성체와 상기 뚜껑의 자성체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된 리드스위치, 상기 레버를 탄성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버에 마련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레버의 자성체와 상기 뚜껑의 자성체가 근접할 때 온되어 상기 세탁기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19970062854A 1997-11-11 1997-11-25 세탁기 KR19990042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54A KR19990042134A (ko) 1997-11-25 1997-11-25 세탁기
JP10203885A JPH11156084A (ja) 1997-11-11 1998-07-17 洗濯機
CN98118688A CN1109151C (zh) 1997-11-11 1998-08-25 洗衣机
IDP981180A ID21251A (id) 1997-11-11 1998-08-31 Mesin cuc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54A KR19990042134A (ko) 1997-11-25 1997-11-25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34A true KR19990042134A (ko) 1999-06-15

Family

ID=6609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854A KR19990042134A (ko) 1997-11-11 1997-11-25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1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4732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using ozone
JPH09225174A (ja) 全自動洗濯機の脱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120924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세탁방법
KR100521525B1 (ko) 세탁기의 뚜껑 잠금장치
JPH11197390A (ja) 洗濯機
KR100242574B1 (ko) 세탁기
KR100233450B1 (ko) 세탁기
US5778705A (en) Motorized apparatus with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KR19990042134A (ko) 세탁기
JP3609288B2 (ja) 洗濯機
KR19990042126A (ko) 세탁기
JPH11156084A (ja) 洗濯機
KR100403025B1 (ko) 도어개폐 감지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159468Y1 (ko) 세탁기의 내조 회전 제동장치
KR19990042130A (ko) 세탁기
NZ332043A (en) Washing machine clutch control, retries in case of failure to disengage
KR19990039229A (ko) 세탁기
KR0125617Y1 (ko) 세탁기용 언바런스 감지스위치
KR0125616Y1 (ko) 세탁기용 언바런스 감지스위치
KR100465698B1 (ko) 세탁기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0147217B1 (ko) 세탁기의 뚜껑개폐 감지장치
JPS60137389A (ja) 全自動洗濯機
JPS6114394Y2 (ko)
KR100326999B1 (ko) 복합센서를구비한세탁기
KR890005958Y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세탁조의 불평형 회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