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852U - 마그네트 착자요크 - Google Patents

마그네트 착자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852U
KR19990041852U KR2019980008891U KR19980008891U KR19990041852U KR 19990041852 U KR19990041852 U KR 19990041852U KR 2019980008891 U KR2019980008891 U KR 2019980008891U KR 19980008891 U KR19980008891 U KR 19980008891U KR 19990041852 U KR19990041852 U KR 199900418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zing yoke
magnetizing
yoke
inner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8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방헌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800088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852U/ko
Publication of KR19990041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852U/ko

Links

Landscapes

  • Permanent Field Magnets Of Synchronous Machinery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럼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부드럼의 로터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착자시킬 때 피크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노이즈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오디오헤드의 저주파가 감소되고, 또한 드럼조립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오디오헤드를 설치할수 있으므로 데크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마그네트 착자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통형의 마그네트를 착자요크로 착자함에 있어서, 상기 착자요크의 선단부 중앙이 양단보다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연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하여 자속밀도의 피크점이 발생되지 않도록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마그네트 착자요크
본 고안은 마그네트 착자요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모터의 로터를 구성하는 마그네트를 착자할 때 N극과 S극의 피크점이 완만하게 이루어지도록 착자요크를 구성함으로써, 자기노이즈(자속)가 드럼모터의 근방에 설치된 오디오헤드 쪽으로 누설되더라도 오디오헤드의 재생시 저주파소음이 감소되도록한 마그네트 착자요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모터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 또는 캠코더(Camcoder)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드럼 조립체 내에 구비된다. 도 1은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데크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드럼조립체(1)의 양측에 오디오헤드(2)와 이레이저헤드(3)가 각각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테이프(4)가 걸린 상태로 주행된다. 또한 테이프(4)를 강제적으로 주행시키기 위해 캡스턴모터의 회전축(4a)이 테이프(4)와 접한 상태로 구비된다.
도 2는 종래 드럼모터의 단면도 로서, 하부드럼(5)의 중앙에 축(5a)이 고정된 상태로 입설되고 하부드럼(5)의 상부에 상부드럼(6)이 베어링(6b)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드럼(6)의 저면에는 비디오헤드(6a)가 설치되고 상면에는 로터(8)가 구비된다. 로터(8)는 상부로 개방된 컵의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는 마그네트(8a)가 설치된다. 또한 축(5a)의 상단에는 개방된 로터(8)의 상부를 덮는 베이스(7)가 구비된다. 베이스(7)는 로터(8)와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베이스(7)의 저면에는 로터(8)의 내부로 끼워지는 코어(7a)가 구비되며 코어(7)의 외주면에는 마그네트(8a)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코일(7b)이 감긴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드럼모터는 코어(7a)에 감긴 코일(7b)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8a)와의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며 이때 로터(8)는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로터(8)가 고정된 상부드럼(6)이 함께 회전되면서 주행중인 테이프(4)의 정보가 비디오헤드(6a)에 의해 재생된다.
또한 마그네트(8a)는 코일과의 사이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N,S극이 번갈아가며 착자된다. 이는 착자요크에 의해 이루어 지는 것으로, 도 3은 종래 마그네트 착자요크의 단면도 이다. 착자요크(9)는 사방으로 갈라져 있으며 이들의 선단부는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마그네트(8a)의 내주면에 근접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러나 착자요크(9)의 선단부가 원호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의 자속밀도 파형 형태가 굴곡을 이루어 피크점이 발생된다. 즉 오디오헤드(2)가 드럼조립체(1)의 근방에 설치되는 경우 코일(7b)과 마그네트(8a)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노이즈가 오디오헤드(2) 쪽으로 누설되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가 피크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오디오헤드(2)를 드럼조립체(1)에서 멀리 떨어지게 설치할수밖에 없으나 이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데크 크기를 증가시켜 이를 소형으로 제작할수 없게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드럼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부드럼의 로터 내부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착자시킬 때 피크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노이즈가 완만하게 형성되어 오디오헤드의 저주파가 감소되고, 또한 드럼조립체의 위치에 관계없이 오디오헤드를 설치할수 있으므로 데크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마그네트 착자요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모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드럼모터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마그네트 착자요크의 단면도,
도 4a,b는 종래 마그네트의 자속밀도 및 노이즈를 나타낸 파형도,
도 5는 본 고안 마그네트 착자요크의 단면도,
도 6a,b는 본 고안 마그네트의 자속밀도 및 노이즈를 나타낸 파형도,
도 7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마그네트 착자요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a : 마그네트 10 : 착자요크
11 : 평면부 12 : 요입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통형의 마그네트를 착자요크로 착자함에 있어서, 상기 착자요크의 선단부 중앙이 양단보다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연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하여 자속밀도의 피크점이 발생되지 않도록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 마그네트 착자요크의 단면도 로서, 로터(8) 내부에 들어가는 원통형의 마그네트(8a) 내주연에 사방으로 갈라진 착자요크(10)가 구비된다. 각 착자요크(10)는 마그네트(8a)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선단부가 평탄하게 구성된 평면부(11)로 구성된다. 평면부(11)는 마그네트(8a)의 내주연과 접한 상태에서 중앙은 마그네트의 내주연으로부터 멀어지고 양끝은 근접된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마그네트가 착자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속밀도가 평활하게 이루어져 피크점이 나타나지 않게된다.
도 7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마그네트 착자요크를 나타낸 단면도 로서, 마그네트(8a)의 내주연과 대응되는 착자요크(10)의 선단부 형태가 내측으로 오목한 요입부(12) 형태를 이루고 있다. 즉 요입부(12)는 그 중앙이 마그네트(8a)의 내주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끝단은 근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자속밀도가 도 6a와 같이 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마그네트를 착자시키는 착자요크(10)의 선단부 형태가 평면부(11) 또는 요입부(12)로 구성된다. 이때 평면부, 요입부의 중앙은 마그네트의 내주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은 근접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착자요크의 중앙의 자속밀도가 양단부 보다 강한 반면에 중앙부가 마그네트의 내주연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비교적 완만한 형태의 자속밀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마그네트(8a)와 코일(7b) 사이에 전자기력이 발생되어 드럼모터가 구동되는 동안 자기노이즈가 오디오헤드 쪽으로 누설되더라도 그 피크점이 없으므로 저주파가 감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드럼조립체를 구성하는 상부드럼의 내부에 드럼모터를 구성하는 코어와 로터가 설치된 상태에서, 로터에 설치된 마그네트를 착자할 때 착자요크의 중앙이 양단부 보다 마그네트의 내주연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됨으로 마그네트의 자속밀도에 있어서, 피크점이 없어진다. 따라서 마그네트와 코어에 형성된 코일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노이즈가 오디오헤드 쪽으로 누설되더라도 저주파가 감소되며 특히 드럼조립체의 근방에 오디오헤드를 설치할수 있으므로 비디오테이프레코더의 데크를 소형으로 제작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통형의 마그네트를 착자요크로 착자함에 있어서,
    상기 착자요크의 선단부 중앙이 양단보다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연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하여 자속밀도의 피크점이 발생되지 않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크 착자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자요크의 선단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연에 대하여 평평한 평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착자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자요크의 선단부는 상기 마그네트의 내주연에 대하여 중앙이 오목한 요입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 착자요크.
KR2019980008891U 1998-05-27 1998-05-27 마그네트 착자요크 KR199900418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91U KR19990041852U (ko) 1998-05-27 1998-05-27 마그네트 착자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91U KR19990041852U (ko) 1998-05-27 1998-05-27 마그네트 착자요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852U true KR19990041852U (ko) 1999-12-27

Family

ID=6951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891U KR19990041852U (ko) 1998-05-27 1998-05-27 마그네트 착자요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85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2941A (en) Drive motor for information-storage-disk devices
US4875110A (en) Rotary head apparatus with motor magnet and yoke surrounding motor stator coil
KR0183774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JPH11316925A (ja) ヘッドドラム組立体
JP2006040524A (ja) ヘッドドラム用のモータステーター組立体及び磁気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ドラム組立体。
KR19990041852U (ko) 마그네트 착자요크
JP4342380B2 (ja) 偏平モータ
JPS5928866A (ja) 着磁ヨ−ク
JPH0746657B2 (ja) 着磁方法
KR19990041597U (ko) 드럼모터의 자기노이즈 차폐장치
KR19990041598U (ko) 드럼모터의 자기노이즈 유도장치
JP3429191B2 (ja) 面対向モータ
KR10021309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회전 헤드드럼 조립체
KR100287261B1 (ko) 헤드드럼 조립체
JP2528638Y2 (ja) モータのロータ
KR930008399Y1 (ko) 브러쉬레스 모터
KR100359937B1 (ko) 헤드드럼 조립체
JP2002171710A (ja) 回転駆動装置
KR20000043649A (ko) 테이프 레코더용 모터
JPH021445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ッドアセンブリ
KR97000504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 모터
KR200339958Y1 (ko) 테이프레코더의암텐션조립체
KR19990081532A (ko) 축 회전형 프린트 코일 모터
KR19980060731A (ko) 자기헤드의 박막헤드팁
KR19990028286U (ko) 헤드 드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