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697A -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697A
KR19990041697A KR1019970062325A KR19970062325A KR19990041697A KR 19990041697 A KR19990041697 A KR 19990041697A KR 1019970062325 A KR1019970062325 A KR 1019970062325A KR 19970062325 A KR19970062325 A KR 19970062325A KR 19990041697 A KR19990041697 A KR 1999004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d mode
mode
auxiliary memory
memory device
susp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910B1 (ko
Inventor
이길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2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910B1/ko
Priority to US09/198,402 priority patent/US6115765A/en
Publication of KR1999004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1Live connection to bus, e.g. hot-plu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Sour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써스펜드 모드(suspend mode)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swap method)에 관한 것으로서, 써스펜드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써스펜드 모드 요청이 있으면, 베이에 장착된 장치가 특정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장착된 장치가 특정 장치면 이벤트 플래그를 셋하고 상기 특정 장치의 아이디를 저장한 후,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고, 장착된 장치가 상기 특정 장치가 아니면 기본값을 저장하고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써스펜드 모드로의 진입후,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주 전원을 온/오프하지 않고, 써스펜드 모드와 리쥼 모드를 이용하여 보조기억장치를 웜스왑하므로써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기 전에 사용하던 프로그램 및 그 상태를 보존하고, 보조기억장치의 교체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
이 발명은 써스펜드 모드(suspend mode)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swap method)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주 전원(main power)을 온/오프(on/off)하지 않고, 써스펜드 모드와 리쥼 모드(resume mode)를 이용하여 보조기억장치(HDD, CDD, FDD) 및 기타장치를 웜스왑(warm swap)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웜스왑이란 주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소프트웨어(software)적으로 재시동(restart)할 수 있는 상태에서 보조기억장치의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웜스왑시에는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기 전에 사용하던 프로그램 및 그 상태가 보존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종래에 사용한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컴퓨터 시스템에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CDD)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등의 보조기억장치와 기타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고, 하나의 베이(bay)에서 상기 장치들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 종래에는 주전원을 차단(S1)하고 상기 장치를 교환(S2)한 후에 다시 주전원을 공급(S3)하므로써 재부팅(rebooting, S4)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주전원을 차단했다가 다시 부팅하므로써 전원 차단전에 사용하던 프로그램 및 그 상태를 보존하지 못하고, 보조기억장치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전원을 온/오프하지 않고, 써스펜드 모드와 리쥼 모드를 이용하여 보조기억장치를 웜스왑(warm swap)하므로써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기 전에 사용하던 프로그램 및 그 상태를 보존하는,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에 사용한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체방법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도이다.
도3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체방법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도이다.
도5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의 구성은,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 있으면, 보조기억장치 교체 명령에 의한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인지를 판단하여, 보조기억장치 교체 명령에 의한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 아니면, 장착된 장치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CDD)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장착된 장치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이면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 존재 플래그(CDD exist flag)를 셋하고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고, 상기 단계에서 보조기억장치 교체 명령에 의한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거나 장착된 장치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가 아니면 그대로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써스펜드 모드로의 진입후,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 발명의 구성은, 리쥼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리쥼 모드 요청이 있으면, 보조기억장치 교체 명령에 의해 써스펜드 모드가 실행되었었는지를 판단하고, 교체 명령에 의해 써스펜드 모드가 실행되었었으면, 플러그 앤드 플레이(Plug and Play;PnP) 기능을 위해 이벤트 플래그(Event flag)를 셋(set)하고 리쥼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교체 명령에 의해 써스펜드 모드가 실행되지 않았었으면,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가 존재하면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위해 이벤트 플래그를 셋하고 리쥼 모드를 진행하고,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대로 리쥼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
써스펜드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써스펜드 모드 요청이 있으면, 베이에 장착된 장치가 특정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장착된 장치가 특정 장치면 이벤트 플래그를 셋하고 상기 특정 장치의 아이디(I.D.;Identification)를 저장한 후,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고, 장착된 장치가 상기 특정 장치가 아니면 기본값을 저장하고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써스펜드 모드로의 진입후,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상기 발명의 구성은, 리쥼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리쥼 모드 요청이 있으면, 베이에 장착된 장치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장치가 변경되었으면,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위해 이벤트 플래그를 셋하고 리쥼 모드를 진행하고, 장치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리쥼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으면 운영체제의 환경을 변경하고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하며,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지 않으면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체방법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되어 있듯이, 휴대용 컴퓨터(100)를 사용할 때,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운영체제(PnP OS;이하 피앤피 오에스라 함. 이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95.)는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 있는지를 판단(S290)하여,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 있으면, 이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 휴대용 컴퓨터(100)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200, 300)를 교체(예를 들면, FDD를 CDD로 또는 CDD를 FDD로)하기 위한 명령(undock, 예를 들면, 윈도우95의 시작 메뉴에서 PC 분리를 클릭)에 의한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인지를 판단(S300)하여, 교체 명령(undock)에 의한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 아니면 피앤피 오에스는 하드웨어 구성 변경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PnP function, 이하 피앤피 기능이라 함.)을 이용하여 피앤피 기능을 지원하는 바이오스(PnP BIOS, 이하 피앤피 바이오스라 함.)를 콜(Call)한다.
콜을 받은 피앤피 바이오스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베이(Bay, 101)에 장착되어 있는 장치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CDD, 200)인지를 판단(S305)한다. 이때 베이(101)는 멀티 베이(Multi Bay)를 의미한다.
상기 단계(S305)에서 장착된 장치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200)이면 피앤피 바이오스는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 존재 플래그(CDD exist flag)를 셋(S310)하고 피앤피 오에스에 써스펜드를 요구를 하며, 써스펜드 요구를 받은 피앤피 오에스는 APM(Advanced Power Management)을 이용하여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S315)한다.
만약 장착된 장치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200)가 아니고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300)이면 피앤피 바이오스는 바로 써스펜드 요구를 하고, 써스펜드 요구를 받은 피앤피 오에스는 역시 APM을 이용하여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S315)한다.
또 상기 단계(S300)에서 보조기억장치 교체 명령에 의한 써스펜드 모드 실행 명령이었으면 역시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S315)한다.
사용자는 써스펜드 모드가 진행(S315)된 후에 보조기억장치를 교체(S320)한다.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를 교체(S320)하고 다시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리쥼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피앤피 오에스는 피앤피 바이오스로부터 리쥼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S325)하여 리쥼 모드 요청이 있으면, 보조기억장치 교체 명령에 의해 써스펜드 모드가 실행되었었는가를 판단(S330)하고, 교체 명령에 의해 써스펜드 모드가 실행되었었으면, 피앤피 바이오스는 피앤피 기능을 위해 이벤트 플래그를 셋(S340)하고 피앤피 오에스는 리쥼 모드를 진행(S345)한다. 또, 상기 단계(S330)에서 교체 명령에 의해 써스펜드 모드가 실행되지 않았었으면, 피앤피 바이오스는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가 존재하는지를 판단(S335)하여,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가 존재하면 피앤피 기능을 위해 이벤트 플래그를 셋(S340)하고 이에 따라 피앤피 오에스는 리쥼 모드를 진행(S345)한다. 그리고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대로 리쥼 모드를 진행(S345)한다.
상기 단계(S335)에서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의 존재여부는 씨모스 램(CMOS RAM)에 저장된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값과 장치를 교체하기 전에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 존재 플래그에 셋한 값이 같은지를 판단하면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주 전원의 온/오프 없이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하여 컴퓨터(100)의 베이(101)에 장착된 보조기억장치들(200, 300)을 서로 교체하고, 리쥼 모드를 이용하여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된 컴퓨터(100)를 다시 사용한다.
다음은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체방법이 적용되는 노트북 컴퓨터의 외관도이고, 도5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4 및 도5에 도시되어 있듯이, 휴대용 컴퓨터(100)를 이용시 써스펜드 모드 요청(S500)이 있으면 피앤피 오에스는 피앤피 바이오스를 콜한다. 예를 들면, 휴대용 컴퓨터(100)를 이용하던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200, 300, 400) 및 기타장치(500)를 교체(예를 들면, FDD를 CDD로, CDD를 FDD로, 2차 HDD를 CDD로 또는 CDD를 2차 HDD 등으로)하기 위한 명령(undock, 예를 들면, 윈도우95의 시작 메뉴에서 PC 분리를 클릭)을 내리므로써 써스펜드 모드를 요청(S500)하면, 피앤피 오에스는 하드웨어 구성 변경을 위한 준비를 마치고 피앤피 기능을 이용하여 피앤피 바이오스를 콜한다.
콜을 받은 피앤피 바이오스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베이(101)에 장착되어 있는 장치가 특정장치인지를 판단(S505)한다. 여기에서 특정장치란 콤팩트 디스크 드라이브(CDD, 200), 2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차 HDD, 400) 및 기타장치(500)를 말하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 300)는 특정장치로 보지 않는다. 또, 이때 베이(101)는 멀티 베이(Multi Bay)를 의미한다.
상기 단계(S505)에서 피앤피 바이오스는 장착된 장치가 특정장치면 이벤트 플래그를 셋(S510)하고 상기 특정 장치의 아이디(I.D.;Identification)를 저장(S515)한다. 다음, 피앤피 오에스는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S525)한다. 그리고 장착된 장치가 상기 특정 장치가 아니면 피앤피 바이오스가 기본값을 저장(S520)한 다음에 피앤피 오에스가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S525)한다.
사용자는 써스펜드 모드가 진행(S525)된 후에 보조기억장치를 교체(S530)한다.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를 교체(S530)하고 다시 컴퓨터(100)를 사용하기 위해 리쥼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피앤피 오에스는 피앤피 바이오스로부터 리쥼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S535)한다. 이때 리쥼 모드 요청이 있으면, 피앤피 바이오스는 베이(101)에 장착된 장치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S540)하여, 장치가 변경되었으면, 피앤피 기능을 위해 이벤트 플래그를 셋(S545)한다. 다음에 피앤피 오에스는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S550)한다. 그리고 장치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피앤피 오에스는 그대로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S550)한다.
상기 단계(S540)에서 베이(101)에 장착된 장치가 변경되었는지는, 장치 변경전에 저장한 장치(200, 300, 400, 500 또는 None 중의 하나)의 아이디와 현재 베이에 장착된 장치(200, 300, 400, 500 또는 None 중의 하나)의 아이디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 여기에서 None은 베이(101)에 아무 장치도 없음을 나타낸다.
상기 단계(S550) 후, 피앤피 오에스는 폴링(polling)을 하며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는지를 판단(S555)하여,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으면 오에스의 환경을 장치(200, 300, 400, 500 또는 None 중의 하나)의 아이디에 따라 변경(S560)하고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S565)한 후에 종료하며,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지 않으면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S565)한 후에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제2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주 전원의 온/오프 없이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하여 컴퓨터(100)의 베이(101)에 장착된 보조기억장치들(200, 300, 400) 및 기타장치(500)를 서로 교체하고, 리쥼 모드를 이용하여 보조기억장치가 교체된 컴퓨터(100)를 다시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의 과정 이전에, 각 하드웨어 구성을 가진 상태에서 윈도우 95 등의 오에스로 컴퓨터를 부팅하여 각 하드웨어 구성에 대한 아이디를 오에스에 알려주는 준비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앤피 바이오스는 랩카트(Lapkat)라는 키보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각 하드웨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또한, 이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실시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전원을 온/오프하지 않고, 써스펜드 모드와 리쥼 모드를 이용하여 보조기억장치를 웜스왑하므로써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기 전에 사용하던 프로그램 및 그 상태를 보존하고, 보조기억장치의 교체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가진,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Claims (2)

  1. 써스펜드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써스펜드 모드 요청이 있으면, 베이에 장착된 장치가 특정장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장착된 장치가 특정 장치면 이벤트 플래그를 셋하고 상기 특정 장치의 아이디를 저장한 후,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고, 장착된 장치가 상기 특정 장치가 아니면 기본값을 저장하고 써스펜드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써스펜드 모드로의 진입후,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억장치를 교체한 후에,
    리쥼 모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리쥼 모드 요청이 있으면, 베이에 장착된 장치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장치가 변경되었으면,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위해 이벤트 플래그를 셋하고 리쥼 모드를 진행하고, 장치가 변경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리쥼 모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단계 후,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으면 운영체제의 환경을 변경하고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하며, 이벤트 플래그가 셋되어 있지 않으면 리쥼 모드를 계속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써스펜드 모드를 이용한 보조기억장치 교체방법.
KR1019970062325A 1997-11-24 1997-11-24 써스펜드모드를이용한보조기억장치교체방법 KR100315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25A KR100315910B1 (ko) 1997-11-24 1997-11-24 써스펜드모드를이용한보조기억장치교체방법
US09/198,402 US6115765A (en) 1997-11-24 1998-11-24 Method of swapping auxiliary storage devices using a suspend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325A KR100315910B1 (ko) 1997-11-24 1997-11-24 써스펜드모드를이용한보조기억장치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97A true KR19990041697A (ko) 1999-06-15
KR100315910B1 KR100315910B1 (ko) 2002-02-19

Family

ID=1952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325A KR100315910B1 (ko) 1997-11-24 1997-11-24 써스펜드모드를이용한보조기억장치교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15765A (ko)
KR (1) KR100315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0070B1 (en) 1999-05-28 2002-12-31 Nintendo Co., Ltd. Combined game system of portable and video game machines
US6826638B1 (en) * 1999-07-15 2004-11-30 Dell Products L.P. Modular bay enclosure removable card method and system
US6371854B1 (en) 1999-08-20 2002-04-16 Ninetendo Co., Ltd. Combined game system
JP4691268B2 (ja) 2001-05-02 2011-06-01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プログラム
US20030063431A1 (en) * 2001-10-01 2003-04-03 Sobolewski Zbigniew S. Network attached storage system with data storage device hot swap capability
US20040059856A1 (en) * 2002-09-25 2004-03-25 I-Bus Corporation Bus slot conversion module
JP2007193668A (ja) * 2006-01-20 2007-08-02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サスペンド/レジューム方法
US20090013171A1 (en) * 2006-03-02 2009-01-08 Oqo, Inc. Computer docking system using hardware abstraction
US10564986B2 (en) * 2016-12-22 2020-02-1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suspend and resume comput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787A (en) * 1988-07-15 1991-03-12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Hot extraction and insertion of logic boards in an on-line communication system
US5526493A (en) * 1993-06-03 1996-06-11 Dell Usa Docking detection and suspend circuit for portable computer/expansion chassis docking system
US5781798A (en) * 1993-12-30 1998-07-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ot swapping capability in a computer system with static peripheral driver software
US5632020A (en) * 1994-03-25 1997-05-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 for docking a portable computer to a host computer without suspending processor operation by a docking agent driving the bus inactive during docking
EP0674275B1 (en) * 1994-03-25 2000-08-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chieving hot docking capabilities for a dockable computer system
US5805834A (en) * 1994-03-30 1998-09-08 Zilog, Inc. Hot reconfigurable parallel bus bridging circuit
US5579491A (en) * 1994-07-07 1996-11-26 Dell U.S.A., L.P. Local proactive hot swap request/acknowledge system
US5555510A (en) * 1994-08-02 1996-09-10 Intel Corporation Automatic computer card insertion and removal algorithm
KR0163706B1 (ko) * 1995-08-31 1998-12-15 김광호 주변 장치 교환 회로 및 방법
US5671368A (en) * 1996-02-22 1997-09-23 O2 Micro, Inc. PC card controller circuit to detect exchange of PC cards while in suspend mode
US5793987A (en) * 1996-04-18 1998-08-11 Cisco Systems, Inc. Hot plug port adapter with separate PCI local bus and auxiliary bus
US5822547A (en) * 1996-05-31 1998-10-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ortable computer with hot pluggable modular b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15765A (en) 2000-09-05
KR100315910B1 (ko) 2002-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5088B1 (en) Method, apparatus and memory medium storing a program controlling power consump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while connected to a network by constantly supplying status information to a management apparatus, over the network
US7945772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initiating computer system operation
US5652890A (en) Interrupt for a protected mode microprocessor which facilitates transparent entry to and exit from suspend mode
US7380116B2 (en) System for real-time adaptation to changes in display configuration
EP0813707B1 (en) A computer system with unattended on-demand availability
US6539476B1 (en) Mobile computer system capable for copying set-up application including removal routine from peripheral device for removing device programs after the device is removed
JP321320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04594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930008258B1 (ko) 기억장치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
JP3777136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データのデッドコピー方法、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装置の稼動方法
CN101526901B (zh) 一种电脑中查看文件的方法及装置
US5680540A (en) Suspend-to-disk system for removable hard drive
KR100315910B1 (ko) 써스펜드모드를이용한보조기억장치교체방법
US8185763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nforming user about setting state of wake-on-LAN function
JP2002163047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19846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ハイバネーション制御方法
JP2003167749A (ja) ユーザの簡易切り替え機能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プログラム
US6065125A (en) SMM power management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EP1338947A1 (en) A power state sub-system and a method of changing the power state of a selected computer system
JP2000242473A (ja) コンピュータ
JP200232401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0524474B1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7374588B2 (ja) Pciデバイスに接続される省電力状態に移行可能なデバイスを備える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324186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ステート遷移制御方法
US8065547B2 (e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system for advanced configuration and pow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