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495U -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495U
KR19990041495U KR2019980008382U KR19980008382U KR19990041495U KR 19990041495 U KR19990041495 U KR 19990041495U KR 2019980008382 U KR2019980008382 U KR 2019980008382U KR 19980008382 U KR19980008382 U KR 19980008382U KR 19990041495 U KR19990041495 U KR 199900414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assette player
audio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3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원재
엠에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재, 엠에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원재
Priority to KR20199800083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495U/ko
Publication of KR199900414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95U/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장치가 개시된다. 본 충전장치는 리모콘 접속부, 충전단자, 제1 오디오 입력단 및 제1 오디오 출력단을 구비하는 카셋트플레이어와, 사운드카드 및 데이터 출력포트를 구비하는 컴퓨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수행하는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데이터 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입력단이 상기 제1 접속부의 타단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리모콘접속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오디오신호를 상기 사운드카드의 제2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3 접속부들과, 상기 사운드카드의 제2 오디오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4 접속부들과, 충전회로부, 일단은 상기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충전단자에 접속되는 제5 접속부, 및 전원을 포함하여,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와 교신하여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기능과 더불어 카셋트 플레이어를 어학실습기나 보조기억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본 고안은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와 접속되어 충전 대상물인 카셋트 플레이어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카셋트 플레이어는 별도의 어댑터를 사용하여 그 어댑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압을 소형 플러그를 통해 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전압 공급단자에 공급함으로써 충전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충전방식은 상기 플러그를 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전압 공급단자에 꽂아야 하는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무선전화기나 이동전화의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방식과 같이 본체를 직접 삽입하는 충전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충전방식은 카셋트플레이어를 충전기에 올려놓음으로써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그 충전기의 전원 플러그를 항시 꽂아 두고 별도의 공간에 비치되어지는데 반하여 그 사용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소요공간에 비하여 활용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과제는 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기능과 더불어 컴퓨터와 카셋트플레이어 사이에 접속되어 오디오 주파수 대역의 음성 데이터를 컴퓨터를 통하여 재생 또는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카셋트 플레이어의 충전기능과 더불어 컴퓨터와 카셋트플레이어 사이에 접속되어 디지털 데이터를 카셋트플레이어에 저장하거나 읽어들일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구조와 상기 충전장치에 접속되는 카셋트플레이어 및 컴퓨터시스템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구조와 상기 충전장치에 접속되는 카셋트플레이어 및 컴퓨터시스템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충전장치와 작용하는 카셋트플레이어 및 컴퓨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충전장치, 101...전원,
102...프린터 인터페이스, 104...제1 접속부,
106...제2 접속부, 108...제3 접속부,
110...제4 접속부, 112...충전회로부,
114...제5 접속부, 12...컴퓨터,
122...프린터 포트, 124...사운드카드,
126...제1 오디오 입력단, 128...제1 오디오 출력단,
14...카셋트 플레이어. 142...리모콘 접속부,
144...제2 오디오 출력단, 146...제2 오디오 입력단,
A1...동작제어신호, A2...카셋트 동작제어신호,
B_OUT...제1 오디오신호, B_IN...제2 오디오신호,
C1...충전전압, C2,C3...동작에 필요한 전압.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는 리모콘 접속부, 충전단자, 제1 오디오 입력단 및 제1 오디오 출력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와, 사운드카드 및 데이터 출력포트를 구비하는 컴퓨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수행하는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데이터 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 입력단이 상기 제1 접속부의 타단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리모콘접속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리모콘접속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접속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오디오신호를 상기 사운드카드의 제2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3 접속부들; 상기 사운드카드의 제2 오디오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4 접속부들;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충전회로부; 일단은 상기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충전단자에 접속되어 충전전압을 상기 충전단자로 공급하기 위한 제5 접속부; 및 상기 충전회로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전압과 상기 프린터 인터페이스 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는 센트로닉스 형식의 38핀의 프린터 인터페이스 단자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제어명령으로서 프린터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프린터 인터페이스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는 리모콘 접속부, 충전단자, 제1 오디오 입력단 및 제1 오디오 출력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및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구비하는 컴퓨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수행하는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데이터 입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 입력단이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어, 데이터 저장시에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의 녹음동작을 명령하는 제1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리모콘 접속부에 대응하는 녹음 명령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데이터 입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제1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1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데이터 복원시에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의 재생동작을 명령하는 제2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주파수의 제2 데이터신호를 입력하고 제2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리모콘접속부에 접속되어 상기 녹음 명령 신호를 상기 리모콘접속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접속부;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 접속부;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오디오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4 접속부;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충전회로부; 일단은 상기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충전단자에 접속되어 충전전압을 상기 충전단자로 공급하기 위한 제5 접속부; 및 상기 충전회로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전압과 상기 프린터 인터페이스 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는 RS-232C 형식의 25핀 또는 9핀의 시리얼 인터페이스 단자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제어명령으로서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접속부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형식의 인터페이스 단자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제어명령으로서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형식의 인터페이스 수단이어도 무방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구조와 상기 충전장치에 접속되는 카셋트플레이어 및 컴퓨터의 접속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10)는 일단이 컴퓨터(12)의 프린터 포트(122)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104)와, 입력단이 제1 접속부(104)의 타단에 접속되어 프린터 포트(122)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신호(A1)를 카셋트플레이어(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A2)로 변환하는 프린터 인터페이스(102)와, 일단이 프린터 인터페이스(102)에 접속되고 타단이 카셋트 플레이어(14)의 리모콘접속부(142)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충전장치(10)는 카셋트 플레이어(14)의 제1 오디오 출력단(144)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오디오신호(B_OUT)를 컴퓨터(12)내에 장착된 사운드카드(124)의 제2 오디오 입력단(126)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3 접속부들(108)과, 사운드카드(124)의 제2 오디오 출력단(12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오디오신호(B_IN)를 카셋트플레이어(14)의 제1 오디오 입력단(146)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4 접속부들(110)과, 카셋트플레이어(14)의 충전을 위한 충전회로부(112)와, 일단은 충전회로부(11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충전단자(148)에 접속되어 충전전압(C1)을 충전단자(148)로 공급하기 위한 제5 접속부(114), 및 충전회로부(112)와 프린터 인터페이스(102)에 동작전압을 제공하는 전원(101)을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 포트(122)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센트로닉스(centronix) 형식의 38핀 포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다른 출력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출력 포트이어도 무방하다.
이와같은 충전장치(10)의 동작을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컴퓨터(12)내에서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미도시)의 결과로서 카셋트 플레이어(14)용 동작제어 신호(A1)가 프린터 포트(122)로 출력되면, 제1 접속부(104)를 통하여 프린터 인터페이스(102)로 입력된다. 프린터 인터페이스(102)는 동작 제어신호(A1)를 해독하여 리모콘 접속부(142)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카셋트 동작제어신호(A2)를 출력한다. 카셋트 동작제어신호(A2)는 재생, 고속전진, 되감기, 녹음과 같은 제어명령들이다. 만일, 카셋트 동작제어 신호(A2)가 재생 명령인 경우에는 카셋트 플레이어(14)는 재생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1 오디오 출력단(144)으로부터 제1 오디오신호(B_OUT)가 출력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신호(B_OUT)는 한 조의 제3 접속부들(108)에 의하여 컴퓨터(12)내에 장착된 사운드카드(124)의 제2 오디오 입력단(126)으로 공급된다. 또한, 카셋트 동작제어 신호(A2)가 녹음 명령인 경우에는 카셋트 플레이어가 녹음동작을 수행하고 사운드카드(124)의 제2 오디오 출력단(128)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오디오신호(B_IN)가 한 조의 제4 접속부(110)를 통하여 카셋트 플레이어(14)의 제1 오디오 입력단(146)으로 입력되어 상기 제2 오디오신호(B_IN)가 카셋트 플레이어(14)내의 카셋트 테이프(미도시)에 녹음된다. 더욱이, 상기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고속전진이나 되감기와 같은 기타 명령들을 발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오디오신호의 입출력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고 수신된 명령들에 응답하여 카셋트 플레이어의 동작명령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는 도중에도 카셋트플레이어(14)는 그 충전단자(148)가 충전회로부(112)에 접속된 제5 접속부(114)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압(C1)을 공급받기 때문에 기존의 충전장치와 동일하게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프린터 인터페이스(102)와 충전회로부(112)는 전원(101)으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압(C2,C3)을 공급받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전장치는 컴퓨터내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카셋트 플레이어와 교신하여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본 고안의 타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구조와 상기 충전장치에 접속되는 카셋트플레이어 및 컴퓨터시스템의 접속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20)는 일단이 컴퓨터(22)의 데이터 입출력 포트의 한 종류인 시리얼 포트(222)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204)와, 제1 접속부(204)의 타단과 카셋트 플레이어(24)의 리모콘 접속부(242)와 오디오 출력단(244) 및 오디오 입력단(246)에 접속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02)를 구비하고 있다. 시리얼 인터페이스(202)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S-232C 형식의 25핀 또는 9핀의 시리얼 인터페이스 또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형식의 인터페이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장치(20)는 일단이 시리얼 인터페이스(202)에 접속되고 타단이 리모콘접속부(242)에 접속된 제2 접속부(206)와, 일단이 시리얼 인터페이스(202)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1 오디오 출력단(244)에 접속된 제3 접속부(207)와, 일단이 시리얼 인터페이스(202)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1 오디오 입력단(246)에 접속된 제4 접속부(208)와, 충전회로부(210)와, 일단은 충전회로부(210)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충전단자(248)에 접속된 제5 접속부(212), 및 전원(201)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같은 충전장치(20)의 동작을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컴퓨터(22)는 그 내부에서 수행되는 소정의 프로그램(미도시)의 결과로서 카셋트 플레이어(2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제어신호와 카셋트 플레이어(24)내의 카셋트 테이프(미도시)에 저장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 신호(미도시)를 포함하는 두 종류 이상의 출력신호(E1)를 출력하며, 상기 카셋트 테이프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복원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신호(E2)를 입력한다. 먼저 컴퓨터(2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상기 카셋트 테이프에 저장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셋트 플레이어(24)내의 카셋트 테이프상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카셋트 플레이어(24)의 녹음동작을 명령하여야 하므로 컴퓨터(22)는 시리얼 포트(222)를 통하여 녹음 동작을 명령하는 출력신호(E1)를 출력한다. 출력신호(E1)는 제1 접속부(204)를 통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2)에 입력되어 카셋트 플레이어(24)의 리모콘 접속부(242)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카셋트 동작제어신호(F)를 출력한다. 컴퓨터(22)는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시리얼 포트(222)를 통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포함하는 출력신호(E1)를 출력한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 신호는 제1 접속부(204)를 통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2)에 입력되어 오디오 주파수 대역의 제1 데이터 신호(G_IN)로 변환되어 제3 접속부(208)로 출력되고, 카셋트 플레이어(24)의 오디오 입력단(246)을 통하여 카셋트 테이프(미도시)에 제1 데이터 신호(G_IN)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카셋트 플레이어(24)에 저장된 정보를 컴퓨터(22)로 읽어들이는 동작을 설명한다. 카셋트 플레이어(24)내의 카셋트 테이프상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카셋트 플레이어(24)의 재생동작을 명령하여야 하므로 컴퓨터(22)는 시리얼 포트(222)를 통하여 재생 동작을 명령하는 출력신호(E1)를 출력한다. 출력신호(E1)는 제1 접속부(204)를 통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202)에 입력되어 카셋트 플레이어(24)의 리모콘 접속부(242)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변환하여 카셋트 동작제어신호(F)를 출력한다. 카셋트 플레이어(24)는 카셋트 동작제어신호(F)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생동작을 개시하며 오디오 출력단(244)을 통하여 제2 데이터 신호(G_OUT)가 시리얼 인터페이스(202)에 입력된다. 시리얼 인터페이스(202)는 오디오 주파수 대역의 제2 데이터 신호(G_OUT)를 디지털 데이터 신호(E2)로 변환하여 제1 접속부(204)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는 도중에도 카셋트플레이어(24)는 그 충전단자(248)가 충전회로부(210)에 접속된 제5 접속부(212)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압(H1)을 공급받기 때문에 기존의 충전장치와 동일하게 충전동작을 수행한다. 충전회로부(210)와 시리얼 인터페이스(202)는 전원(201)으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압(H2,H3)을 공급받는다. 한편, 카셋트 플레이어(24)는 카셋트 동작제어신호(F)에 응답하여 소정의 지연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생 또는 녹음동작과 같은 동작들을 개시한다. 카셋트 플레이어(24)는 그 기종에 따라 상기 동작들이 개시되었음을 알려주는 확인신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확인신호를 프로토콜 설정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확인신호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가정하여 기술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전장치는 컴퓨터내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카셋트 플레이어와 교신함으로써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기능과 더불어 카셋트 플레이어를 보조기억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충전장치와 작용하는 카셋트플레이어 및 컴퓨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충전장치(30)는 컴퓨터(34)와 소정의 접속선(36)으로써 접속되고 콘센트를 통하여 전원이 인가된다. 이와같은 충전장치(30)에 휴대용 카셋트 플레이어(32)가 장착되면 이상의 실시예들로써 설명한 동작에 의하여 접속선(36)을 통해 데이터 또는 음성신호들을 주고 받을 수 있음으로써 카셋트 플레이어(32)를 어학실습기나 컴퓨터(34)의 보조기억장치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충전장치는,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되어지는 바와 같이 카셋트플레이어에서 특유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그 프로토콜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들을 포함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전장치는 컴퓨내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컴퓨터와 휴대용 카셋트 플레이어가 교신하여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기능과 더불어 카셋트 플레이어를 보조기억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리모콘 접속부, 충전단자, 제1 오디오 입력단 및 제1 오디오 출력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와, 사운드카드 및 데이터 출력포트를 구비하는 컴퓨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수행하는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데이터 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
    입력단이 상기 제1 접속부의 타단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어신호를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리모콘 접속부에 접속되어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리모콘 접속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접속부;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오디오신호를 상기 사운드카드의 제2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3 접속부들;
    상기 사운드카드의 제2 오디오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2 오디오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한 조의 제4 접속부들;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충전회로부;
    일단은 상기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충전단자에 접속되어 충전전압을 상기 충전단자로 공급하기 위한 제5 접속부; 및
    상기 충전회로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전압과 상기 프린터 인터페이스 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센트로닉스 형식의 38핀의 프린터 인터페이스 단자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제어명령으로서 프린터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프린터 인터페이스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3. 리모콘 접속부, 충전단자, 제1 오디오 입력단 및 제1 오디오 출력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및 데이터 입출력포트를 구비하는 컴퓨터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수행하는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데이터 입출력포트와 접속되는 제1 접속부;
    입력단이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어, 데이터 저장시에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의 녹음동작을 명령하는 제1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리모콘 접속부에 대응하는 녹음 명령 신호로 변환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 상기 데이터 입출력 포트로부터 출력되는 제1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 주파수에 해당하는 제1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데이터 복원시에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포트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카셋트 플레이어의 재생동작을 명령하는 제2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제2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주파수의 제2 데이터신호를 입력하고 제2 디지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수단;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리모콘 접속부에 접속되어 상기 녹음 명령 신호를 상기 리모콘 접속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접속부;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오디오 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2 데이터 신호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 접속부;
    일단이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오디오 입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1 오디오 입력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4 접속부;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충전회로부;
    일단은 상기 충전회로부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충전단자에 접속되어 충전전압을 상기 충전단자로 공급하기 위한 제5 접속부; 및
    상기 충전회로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충전을 위한 전압과 상기 프린터 인터페이스 수단의 동작에 필요한 전압을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RS-232C 형식의 25핀 또는 9핀의 시리얼 인터페이스 단자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제어명령으로서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형식의 인터페이스 단자이고,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제1 제어명령으로서 시리얼 데이터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카셋트플레이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2 제어명령으로 변환하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 형식의 인터페이스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
KR2019980008382U 1998-05-20 1998-05-20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KR199900414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82U KR19990041495U (ko) 1998-05-20 1998-05-20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82U KR19990041495U (ko) 1998-05-20 1998-05-20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95U true KR19990041495U (ko) 1999-12-15

Family

ID=6951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382U KR19990041495U (ko) 1998-05-20 1998-05-20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149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13355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3764338B2 (ja) バッテリを認識する方法及び装置
CN101231625B (zh) 用于控制usb操作的装置和方法
EP120246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6342664B2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20010042149A1 (en) Peripheral device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8745424B2 (en) Electronic device that operates in two modes based on connection to power supply and command information
US6584329B1 (en)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communication between an electric device and a battery
US20080242369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20070096844A (ko) 집적 회로 및 그것을 이용한 신호 처리 장치
US6677727B1 (en) Method of synchronizing communications means in a battery to communications means in an electronic device, an apparatus, and a battery
US6741964B2 (en) Data transfer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KR19990041495U (ko) 휴대용 카셋트플레이어 충전장치
US5761530A (en)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for disc changer system
KR100493517B1 (ko) 확장메모리를 장착한 이어폰 및 이를 구비한 메모리확장장치
JP2003307998A (ja) キャプション型学習端末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キャプション型言語学習システム
JP2000333286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295981A (ja) データ処理装置
EP1942409A1 (en) Media connect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050006484A (ko) 호환 가능한 유에스비 컨넥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KR1003537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직병렬 데이터 전송 장치
KR200369258Y1 (ko) 외부 메모리를 이용한 오디오 파일 재생장치
KR100576179B1 (ko) 휴대형 복합장치
CN101489039A (zh) 信息记录再现装置
US20050240405A1 (en) Transcription apparatus and dic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