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661U - 다목적 들것 - Google Patents

다목적 들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661U
KR19990040661U KR2019980007194U KR19980007194U KR19990040661U KR 19990040661 U KR19990040661 U KR 19990040661U KR 2019980007194 U KR2019980007194 U KR 2019980007194U KR 19980007194 U KR19980007194 U KR 19980007194U KR 19990040661 U KR19990040661 U KR 199900406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tient
fixedly attached
fix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7596Y1 (ko
Inventor
권효경
Original Assignee
권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효경 filed Critical 권효경
Priority to KR2019980007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596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6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6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2Susp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들것에 관한 것으로서, 이 다목적 들것은 복수개의 깔판부재와; 상기 깔판부재상에 적층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깔판부재와 매트리스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깔판수납부와,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수납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단부를 따라 일측단이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커버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고정부착되는 발 보호대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측 상면에 장착되는 머리 보호대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멜빵과; 상기 본체의 양측단부 상면에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고정밴드와; 환자의 하반신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하반신고정띠와; 환자의 상반신과 머리 보호대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상반신고정띠와; 상기 머리보호대와 환자의 머리를 횡방향으로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머리고정벨트와; 상기 본체의 하면부에 소정간격으로 재봉되는 복수개의 손잡이와; 상기 커버의 외측을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벨트와; 공중이송을 위한 수평리프팅벨트와; 본체의 길이방향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와; 상기 본체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다목적 들것
본 고안은 다목적 들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및 체결이 용이하고, 산악 또는 일반사고로 인해 응급환자를 환부의 악화를 방지하고 지상 또는 공중이송에 의해 신속히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다목적 들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악지역이나 고층건물 등에서의 사고로 인한 응급환자의 발생은 구조원들의 접근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이송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긴급한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치료시기를 놓치게되어 치유불능 또는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특히 산악사고에 있어서는 구조원들의 접근 물론 환자구조 후 이송시에도 주위여건에 따른 2차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요인이 많이 잠재하고 있어,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사고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특수한 구조를 갖는 환자이송용 들것을 제작하여 응급환자구조 및 이송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들것은 보편적으로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며, 그 구성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로써 측면 상단부를 따라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소정위치에 통공에는 각각 환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고정벨트와 들것을 들기 위한 다수개의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환자이송용 들것은 환자를 들것에 올려서 눕힌 후 고정벨트를 체결하여 환자를 고정시키고, 양측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잡고 들것을 들어 이송하거나 또는 공중이송 및 승하강시에는 들것의 상단부 모서리측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에 로프를 체결하여 평형을 맞춘 후 헬기의 구명로프를 체결시켜 이송하거나 들것의 양단부을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에 각각 로프를 체결한 후 환자의 발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하측의 로프를 천천히 풀어주거나 당겨져 들것을 승하강 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환자이송용 들것은 중량이 가벼운 합성수지제나 알루미늄으로 제작하였다고는 하기만 그 자체가 절첩시킬 수 없는 고형이기 때문에 구조원들이 사고현장에 들것을 휴대하고 접근하기가 매우 어렵고, 환자를 들것상에 옮긴 후 복수개의 고정벨트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화자의 고정작업이 완료될 수 있지만 들것상에 환자가 확실히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이송시 충격으로 인해 환자가 2차적인 부상을 입거나 부상부위를 악화시킬 있을 뿐만 아니라 출혈 등으로 인해 환자가 오한이 들더라도 환자의 체온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이송중 환자에게 충분한 안정상태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들것의 휴대가 간편하고, 환자의 이송시 환자를 들것상에 확실히 고정시킴으로써 환자의 요동 및 이탈을 방지하고, 머리와 발을 고정·보호하는 동시에 이송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전신을 덮어 환자의 체온을 유지시키고, 고정시킴으로써 열악한 지상 및 공중이송시에도 환자에게 2차적인 부상 및 부상부위를 악화시킴이 없이 환자를 안정된 상태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다목적 들것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환자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체결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세로지지대 및 세로지지대수납부의 구조 및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절취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본체구조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절첩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머리보호대의 구조 및 장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시사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상반신고정벨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하반신고정벨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발보호대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을 이용한 공중수평이송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을 이용한 공중수직이송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을 이용한 지상이송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목적 들것 11; 본체
12, 13: 깔판부재 14: 매트리스
15: 세로지지대 20: 머리 보호대
30: 발 보호대 40: 커버
41, 42: 체결벨트 50: 멜빵
51: 상반신 고정벨트 52: 하반신 고정벨트
53: 머리고정벨트 54: 가로지지대고정밴드
55: 수평리프팅벨트 56: 손잡이
60: 가로지지대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크기와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써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접합수단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깔판부재와; 상기 깔판부재상에 적층되는 매트리스와; 내부에 상기 깔판부재와 매트리스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깔판수납부와,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수납부를 갖는 본체와; 소정크기를 갖고 상기 본체의 양측단부를 따라 일측단이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커버와;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고정부착되어 접철가능하게 다단으로 형성되는 발 보호대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측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머리 보호대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멜빵과; 상기 본체의 양측단부 상면 소정위치에 고리형상으로 각각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고정밴드와; 본체의 양측단부 소정위치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부착되어 환자의 하반신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하반신고정띠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측 소정위치와 상단부에 각각 고정부착되어 환자의 상반신과 머리 보호대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상반신고정띠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측 양측단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머리보호대와 환자의 머리를 횡방향으로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머리고정벨트와; 상기 본체의 하면부에 양단부가 고리형상을 갖고 소정간격으로 재봉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손잡이와; 상기 커버의 외측을 체결하여 환자를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벨트와; 상기 본체의 상하단부측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좌우대칭되게 형성되는 수평리프팅벨트와; 다단의 절첩조립구조를 갖고 상기 세로지지대수납부에 끼움조립되어 본체의 길이방향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와; 상기 가로지지대고정밴드에 양단부가 각각 끼움고정되어 상기 본체을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들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들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환자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체결상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세로지지대 및 세로지지대수납부의 구조 및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부분절취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본체구조를 도시하는 부분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절첩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머리보호대의 구조 및 장착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상반신고정벨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하반신고정벨트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의 발보호대의 체결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을 이용한 공중수평이송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을 이용한 공중수직이송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을 이용한 지상이송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10)은 본체(11)와 머리 보호대(20)와 발 보호대(30)와 복수개의 커버(40)와, 복수개의 멜빵(50)과, 복수개의 상반신 고정벨트(51)와 복수개의 하반신 고정벨트(52)와, 머리고정벨트(53)와,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고정밴드(54)와, 복수개의 수평리프팅벨트(55)와 다수개의 손잡이(56)를 구비한다.
본체(11)는 소정크기와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써 깔판수납부(11a) 및 세로지지대수납부(11b)를 일체로 갖는다.
상기 깔판수납부(11a)는 상기 본체(11)의 내부 중공에 의해 형성되며, 복수개의 깔판부재(12)(13)와 매트리스(14)가 내장된다.
상기 복수개의 깔판부재(12)(13)는 소정크기 및 형상을 갖는 FRP수지로 제작된 평판으로써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접합수단(15)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매트리스(14)는 소정크기를 갖는 보편적인 메트리스로써 상기 깔판부재(12)(13)의 상면에 적층되어 상기 본체(11)의 깔판수납부(11a)에 수납된다.
상기 세로지지대수납부(11b)는 원통형상으로써 상기 본체(11)의 외측 양측단부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입구측에는 덮개(11c)가 형성되며, 입구측의 외주면과 덮개(11c)의 내측면에 접착수단가 부착되어 입구를 개폐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세로지지대수납부(11b)내에는 세로지지대(15)가 각각 수납된다.
상기 세로지지대(15)는 상호 단구가 상호 접철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다수개의 단으로 구성된 환봉으로써 내측에 탄성와이어가 내장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머리 보호대(20)는 상단부재(21)와 복수개의 측면부재(22)(23)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1)의 상단부측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되며, 상단부재(21) 및 측면부재(22)(23)의 내측에는 스폰지 또는 스치로폴과 같은 완충재가 내장된다.
상기 상단부재(21)는 소정크기를 갖는 육면체로써 일면부 중간에 내향으로 만곡진 요부(21a)를 갖고 하면부와 요부(21a)측 양측 측면에 각각 접착수단이 부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측면부재(22)(23)는 소정크기를 갖는 육면체로써 하면부와 일측면부에 각각 접착수단이 부착되어 상기 상단부재(21)의 요부(21a)측 측면 양단부측과 본체(11)의 상단부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발 보호대(30)는 접철가능한 다수개의 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부착되며, 상기 각 단의 내측에는 아크릴판이 내장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벨트걸림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벨트걸림부(31)에 끼움조립되고 양단부가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측 양측단에 고정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벨트(32)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복수개의 커버(40)는 소정크기를 갖고 들것(10)의 본체(11)상에 옮겨진 환자의 전신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양측단부를 따라 일측단이 고정부착 되며, 일측 커버(40)의 하면부와 타측 커버의 상면부 소정위치에 각각 접착수단이 부착되어 상호 착탈가능하게 접착된다.
상기 커버(40)의 외측을 체결하기 위하여 본체(11)의 양측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져서 고정부착된 복수개의 체결벨트(41) (42)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멜빵(50)은 소정길이를 갖는 띠를 X자 형태로 결합시킨 후 양측 띠의 일단부를 겹쳐서 본체(11)의 일측 모서리에 고정시키고, 띠의 타단부를 겹쳐서 본체(11)의 타측 모서리에 고정시킴으로써 본체(11)의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상반신 고정벨트(51)는 환자의 양측 어깨에 체결되어 환자의 상반신을 본체(11)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본체(11)의 상단부측 양측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본체(11)의 상단부 양측에 타단부가 고정된다.
상기 복수개의 하반신 고정벨트(52)는 환자의 양측 다리의 허벅지에 체결되어 환자의 하반신을 본체(11)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양단부를 연결하여 체결시키는 구조로써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측 양측단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로 환자의 허벅지를 감싼 후 고정된 단부와 체결시켜 환자의 하반신을 고정시킨다.
상기 머리고정벨트(53)는 머리보호대(20)와 환자의 머리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상기 본체(11)의 상단부측 양측단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상기 머리 보호대(20)와 환자의 이마를 횡으로 감싸 고정시킨다.
상기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고정밴드(54)는 환자의 허리 및 무릎이 위치되는 상기 본체(11)의 상면 양측단에 각각 고정되어 가로지지대(60)의 양단부를 각각 끼움고정시키며, 상기 가로지지대(60)는 소정길이를 갖는 환봉으로써 상기 본체(11)의 폭방향의 하중을 지지하여 본체(11)가 폭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복수개의 수평리프팅벨트(55)는 상기 본체(11)의 상하단부측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좌우대칭되게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구명로프를 연결시켰을 때 체결부위가 유동되어 들것(10)이 중심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프팅고리(55a)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손잡이(56)는 다수명의 구조원이 들것(10)을 들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하면부에 양단부가 고리형상을 갖고 소정간격으로 재봉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들것(10)은 상기 세로지지대(15)를 세로지지대수납부(11b)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본체(11)를 절반으로 절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소정크기를 갖는 배낭형태의 케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수납이 가능하여 1인이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이송시 상반신 및 하반신 고정벨트(51)(52)에 의해 환자의 상하반신을 본체(11)상에 고정시키고, 머리 보호대(20)와 발 보호대(30)에 의해 환자의 머리 및 발을 보호하고, 커버(40)에 의해 환자의 전신을 덮어 체온을 유지시킨 후 커버(40)의 외측을 상기 체결벨트(41)(42)에 의해 재차 고정시켜 환자를 이송하기 때문에 이송시 환자가 들것(1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머리 및 발이 지형지물에 부딪쳐 부상을 염려가 없으며, 전신을 부상부위가 악화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양단부측에 멜빵(50)을 형성시켜 2인에 의해 이송할 때 멜빵(50)을 어깨에 걸고 양손으로 세로지지대(15)의 양단부를 잡은 상태로 이송하기 때문에 구조원의 체력을 충분히 안배시켜 장거리의 지상이송시 환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중이송시에도 별도의 고정 및 연결로프 없이 상기 수평리프팅벨트(55)의 리프팅고리(55a)에 구명로프를 연결시키는 것만으로 들것(10)의 균형이 정확히 유지되어 신속한 이송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두 개의 깔판부재(12)(13)를 접착수단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결시켜 들것(10)을 절첩구조로 구성시킴으로써 휴대가 매우 간편하고, 환자의 상하반신은 물론 머리 및 발을 고정 및 보호하고, 커버(40)를 환자의 전신에 덮어 체온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 및 공중이송시 이송에 필요한 작업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고,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어 2차적인 부상 및 부상부위의 악화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소정크기와 형상을 갖는 평판으로써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접합수단(15)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깔판부재(12)(13)와; 상기 깔판부재(12)(13)상에 적층되는 매트리스(14)와; 내부에 상기 깔판부재(12)(13)와 매트리스(14)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깔판수납부(11a)와, 양측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수납부(11b)를 갖는 본체(11)와; 소정크기를 갖고 상기 본체(11)의 양측단부를 따라 일측단이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커버(40)와;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고정부착되어 절첩가능하게 다단으로 형성되는 발 보호대(30)와; 상기 본체(11)의 상단부측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머리 보호대(20)와; 상기 본체(11)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멜빵(50)과; 상기 본체(11)의 양측단부 상면 소정위치에 고리형상으로 각각 고정부착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고정밴드(54)와; 상기 본체(11)의 양측단부 소정위치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부착되어 환자의 하반신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하반신고정벨트(52)와; 상기 본체(11)의 상단부측 소정위치와 상단부에 각각 고정부착되어 환자의 상반신과 머리 보호대(20)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상반신고정벨트(5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부측 양측단에 고정부착되어 상기 머리보호대(20)와 환자의 머리를 횡방향으로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머리고정벨트(53)와; 상기 본체(11)의 하면부에 양단부가 고리형상을 갖고 소정간격으로 재봉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손잡이(56)와; 상기 커버(40)의 외측을 체결하여 환자를 본체(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벨트(41)(42)와; 상기 본체(11)의 상하단부측 하면에 고정부착되어 좌우대칭되게 형성되는 수평리프팅벨트(55)와; 다단의 절첩조립구조를 갖고 상기 세로지지대수납부(11b)에 끼움조립되어 본체(11)의 길이방향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세로지지대(15)와; 상기 가로지지대고정밴드(54)에 양단부가 각각 끼움고정되어 상기 본체(11)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복수개의 가로지지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들것.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 보호대(30)는 내부에 소정크기를 갖는 평행하게 고정되어 상호 절첩되는 다수개의 아크릴판이 내장되며, 끝단에 벨트걸림부(31)를 갖고, 상기 벨트걸림부(31)에 끼움조립되고 양단부가 상기 본체(11)의 하단부측 양측단에 고정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고정벨트(32)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들것.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보호대(20)는 일면부 중간부에 요부(21a)를 갖는 상단부재(21)와, 상기 상단부재(21)의 요부 양측에 접착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복수개의 측면부재(22)(23)로 구성되며, 상기 상단부재(21) 및 측면부재(22)(23)의 내부에는 완충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들것.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깔판부재(12)(13)는 FRP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들것.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지지대수납부(11b)는 양단부에 접착수단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덮개(11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들것.
KR2019980007194U 1998-05-04 1998-05-04 다목적 들것 KR200177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194U KR200177596Y1 (ko) 1998-05-04 1998-05-04 다목적 들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194U KR200177596Y1 (ko) 1998-05-04 1998-05-04 다목적 들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661U true KR19990040661U (ko) 1999-12-06
KR200177596Y1 KR200177596Y1 (ko) 2000-05-01

Family

ID=1953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194U KR200177596Y1 (ko) 1998-05-04 1998-05-04 다목적 들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59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94B1 (ko) * 2007-10-23 2010-03-08 임재용 커버링수단을 구비하는 들것
KR101689086B1 (ko) * 2015-08-07 2016-1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이송장치
KR20200001103A (ko) * 2018-06-26 2020-01-06 서울특별시 어깨 지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주들것
KR20200000107U (ko) * 2018-07-04 2020-01-14 경기도 환자 피난용 매트리스 들것
KR20200010525A (ko) * 2020-01-15 2020-01-30 서울특별시 어깨 지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주들것
KR20200012230A (ko) *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KR102639328B1 (ko) * 2022-10-24 2024-02-23 대한민국 갯벌 구조용 구조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119B1 (ko) 2008-06-20 2010-12-27 박갑환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194B1 (ko) * 2007-10-23 2010-03-08 임재용 커버링수단을 구비하는 들것
KR101689086B1 (ko) * 2015-08-07 2016-1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이송장치
KR20200001103A (ko) * 2018-06-26 2020-01-06 서울특별시 어깨 지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주들것
KR20200000107U (ko) * 2018-07-04 2020-01-14 경기도 환자 피난용 매트리스 들것
KR20200012230A (ko) * 2018-07-26 2020-02-05 박철은 신체 고정용 스트레쳐
KR20200010525A (ko) * 2020-01-15 2020-01-30 서울특별시 어깨 지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주들것
KR102639328B1 (ko) * 2022-10-24 2024-02-23 대한민국 갯벌 구조용 구조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7596Y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1767B (fi) Paarit
US4124908A (en) Rescue and transportation device
JP5425625B2 (ja) 救助及び運搬装置
US5720303A (en) Portable stretcher system
US3426367A (en) Collapsible supporting structures
US8590077B2 (en) Hands-free emergency all-terrain light-weight litter
US3158875A (en) Invalid stretcher
US8677530B2 (en) Rescue stretcher with securement straps
US6061853A (en) Patient carrier/rescue stretcher
US9347238B2 (en) Shelter lift attachment for a portable human transport system
KR870006912A (ko) 안전하강 시스템
KR200177596Y1 (ko) 다목적 들것
US6851145B2 (en) Packable emergency trauma stretcher
ITMI20090254U1 (it) Marsupio per il trasporto di bambini
ES2881624T3 (es) Camilla de rescate
US6367427B1 (en) Shield and transport apparatus
KR200448181Y1 (ko) 구조용 배낭
GB2213735A (en) Means for support and transportation of injured patients.
CN111096854A (zh) 一种单人搜救用全地形伤员现场搬运背包
US20040226095A1 (en) Sling for emergency transport of a person
KR200452882Y1 (ko) 구조 겸용 배낭
CN212015974U (zh) 一种单人搜救用全地形伤员现场搬运背包
US5070962A (en) Egress and evacuation harness
JPS6314994B2 (ko)
KR101258659B1 (ko) 인명구조용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