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119B1 -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Google Patents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4119B1 KR101004119B1 KR1020080058241A KR20080058241A KR101004119B1 KR 101004119 B1 KR101004119 B1 KR 101004119B1 KR 1020080058241 A KR1020080058241 A KR 1020080058241A KR 20080058241 A KR20080058241 A KR 20080058241A KR 101004119 B1 KR101004119 B1 KR 1010041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main body
- rescue
- connecting means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03—Stretchers with facilities for picking up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break-away type or using endless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13—Stretchers foldable or collapsible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위한 로프가 구조 대상자가 위치되는 본체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고, 본체와 연결된 연결수단이 상기 로프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신축조절기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조 대상자가 위치하게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절개되며, 구조를 위한 로프가 상기 본체의 내외측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출입부; 상기 로프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신축조절기; 상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신축조절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조난 및 부상자의 신속한 이송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로프, 구조, 신축조절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프에 하나 이상이 연속하여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해, 재난과 같은 구조상황 발생시 부상자들 또는 조난자들의 구조 및 이송을 위해서는 들것과 같은 구조장비가 사용된다. 이러한 들것은 구조 대상자의 위치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 헬기에 구비되는 로프에 연결되어 구조 대상자를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헬기와 연결된 로프의 일단에 들것 등이 장착되어 구조 대상자를 들것에 눕혀 고정시킨 후에 헬기의 운전을 통해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들것은 로프의 단부에 하나만이 연결되어 구조 대상자를 이송하게 되므로 구조 대상자가 비교적 많은 경우나, 이동거리가 멀 경우에는 신속한 구조 대상자들의 이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로프의 단부에 바스켓 또는 그물망 등을 장착하여 구조 대상자들을 이송시키기도 하지만 바스켓 또는 그물망의 크기 또 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실제로 다수의 구조 대상자를 이송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바스켓 또는 그물망의 경우 구조 대상자가 부상당한 상황에서는 안전한 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위한 로프가 구조 대상자가 위치되는 본체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고, 본체와 연결된 연결수단이 상기 로프를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신축조절기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로프에 다수개가 연결 가능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는, 구조 대상자가 위치하게 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절개되며, 구조를 위한 로프가 상기 본체의 내외측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출입부; 상기 로프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신축조절기; 상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신축조절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며, 구조 대상자가 누을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접철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출입부에는 상기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출입부는 상기 본체 일단의 중앙부에서 상기 본체 내측의 중앙부 까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출입부는 구조 대상자의 다리 사이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신축조절기는 상기 본체 중심의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신축조절기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로프의 중간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축조절기는, 적어도 일부가 회동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로프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로프를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의 회동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손잡이와; 상기 수용부의 선택적인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구조 대상자 머리 위치의 상기 본체 양측 모서리에 연결되는 좌측 연결수단과; 상기 구조 대상자 발 위치의 상기 본체 양측 모서리에 연결되는 우측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는, 본체에 형성된 출입부를 통해 로프 가 삽입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축조절기가 상기 로프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조 대상자를 상기 본체에 눕혀 고정시킨 후 상기 신축조절기를 상기 로프에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본체의 위치가 로프 상에서 조절 가능하게 되어 다수의 본체를 상기 로프에 연속적으로 연결가능하게 된다.
즉, 하나의 로프에 여러개의 본체를 연결함으로써 다수의 구조 대상자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상기 로프의 길이만 확보가 된다면, 상기 본체의 연결 개수를 지속적으로 늘릴 수 있게 되어 보다 신속한 구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조절기에 의해 상기 본체가 로프의 중간에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조 대상자의 인원에 따라 상기 본체의 연결개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운반의 편의성은 물론 상황발생시 적절한 수의 본체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구조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의 장착모습을 보인 사시도이 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를 측방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1)는 전체적으로, 본체(100)와 연결수단(300) 그리고 신축조절기(400)로 구성된다. 그리고, 구조 대상자(30)의 구조를 위한 로프(10)는 헬기(20) 또는 크레인, 완강기 등에 제공된다.
상기 본체(100)는 구조 대상자(30)가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들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120)과 안착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플라스틱 또는 철제 파이프 소재로 형성되며,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골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프레임(120)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부분이 연결되어 구성되며, 각각의 부분은 서로 접철될 수 있도록 경첩 또는 회전 가능한 구성을 가지는 접철수단(1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접철수단(122)에 의해 접혀지게 될 경우 보관 또는 운반이 보다 용이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프레임(120) 중 상기 본체(100)의 일단을 형성하는 프레임(120)은 아래에서 설명할 출입부(20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부가 단락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200)의 외부 둘레를 따라서 상기 프레임(120)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에는 안착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40)는 직물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에 소정의 면을 형성하여 구조 대상자가 누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 또는 안착부(140)에는 다수의 결속수단(160)이 제공된다. 상기 결속수단(160)은 상기 본체(100)에 누워 있는 구조 대상자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또는 비행기에 사용되는 시트벨트(Safety belt)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결속수단(160)은 상기 안착부(140)에 구조 대상자를 뉘일 때는 버클이 분리되고, 상기 안착부(140)에 구조 대상자가 위치되었을 때는, 버클을 결합한 후 구조 대상자의 체형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속수단(160)은 벨크로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속수단(160)은 상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통상의 들것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다만,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로프(10)가 출입되는 출입부(2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출입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 즉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된 부분에서부터 상기 본체(100)의 내측 중앙부를 향하여 상기 로프(10)가 이동될 수 있는 소정의 폭 만큼 절개된 상태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출입부(200)가 형성되는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된 부분은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서 대략 중앙부에 해당하며,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된 부분에는 고정수단(22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220)은 상기 출입부(200)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로프(10)가 상기 출입부(200)의 내측에서 임의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된 일단에 탄설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된 타단에 선택적으로 삽입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수단(220)은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이탈되어, 상기 출입부(200)가 개방되도록 하는 고정부(222)와, 상기 고정부(222)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22)는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부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224)는 압축력을 발생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출입부(2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222)가 이동될 때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224)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222)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220)에는 안전핀(226)이 더 구비되어, 상기 로프(10)가 상기 출입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22)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20)은 상기 출입부(200)가 형성된 개구된 프레임(120) 상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출입부(200)의 개구된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20)은 상기 프레임(120)의 일단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로프(10)가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출입부(200)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입부(200)는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된 일단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측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200)의 둘레 를 따라서 보조 프레임(240)이 제공되어 상기 로프(10)가 출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출입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세로면을 형성하는 일단의 중앙부에서 수직하게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까지 절개된 부분이 연장되며, 이는 상기 본체(100)에 구조 대상자가 누웠을 때 상기 구조 대상자(30)의 다리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상기 출입부(200)의 내측은 상기 본체(100)에 눕혀진 구조 대상자(30)의 다리 사이를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본체(100)의 대략 중앙부까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10)는 상기 출입부(200)의 개구된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까지 안내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네 모서리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0)의 모서리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임(120)에는 연결수단(300)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300)은 상기 본체(100)를 아래에서 설명할 신축조절기(400)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로프(10) 상에 장착되는 신축조절기(400)에 연결되므로 상기 본체(100)가 상기 로프(10) 상에 장착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300)은 상기 결속수단(160)과 같은 벨트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로프(10)와 같은 소재 및 체인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100)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연결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상기 본체(100)의 모서리 외에도 다른 위치에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00)은 구조 대상자(30)의 머리가 놓이는 좌측(도 3에서 볼 때) 상기 프레임(120)의 양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좌측 연결수단(300)과, 상기 구조 대상자(30)의 발이 놓이는 우측(도 3에서 볼 때) 프레임(120)의 양측 모서리에 결합되는 우측 연결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연결수단(300)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연결수단(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302)가 더 구비되어, 각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조절부(302)를 통해 상기 연결수단(30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측 및 우측 연결수단(300)은 각각 신축조절기(4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좌측 연결수단(300)은 상부 신축조절기(400)에 연결되고, 우측 연결수단(300)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 신축조절기(400)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신축조절기(400)는 상기 본체(100)가 상기 로프(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로프(10)에 장착한 후에도 상기 로프(10)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본체(100)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축조절기(40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신축조절기(400)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프(10)의 측방에서 상기 로프(10)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본 출원이 이미 출원한 출원번호(10-2008-0038752)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신축조절기(4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신축조절기(40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신축조절기(400)는 전체적으로 수용부(410)와 고정부(420), 손잡이(430), 구 속수단(4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410)는 상기 로프(10)가 내측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기 로프(10)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측단에는 고정부(420)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10)는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고정부(420)에 의해 눌려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410)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410)의 개폐시에는 상기 로프(10)가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인출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410)에는 상기 수용부(410)의 내측에 상기 로프(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410)의 회동에 의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구속수단(4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구속수단(450)은 상기 수용부(410)의 임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레버 형식의 시건장치와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420)는 상기 수용부(4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상기 로프(10)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두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20)의 일부는 상기 수용부(41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손잡이(430)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430)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420)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손잡이(430)를 누르는 조작을 통해 상기 고정부(420)가 회동하여 상기 수용부(410) 내측의 상기 로프(10)를 선택적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430)의 일단에는 연결구(44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440)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연결수단(300)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신축조절기(400)에 상기 다수의 연결수단(300)이 연결되어 상기 본체(100)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신축조절기(400) 이외에도 상기 로프(10)에 연결가능한 다양한 신축조절기(400)의 채택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로프(10)의 단부를 끼우는 방식이 아닌 로프(10)의 중간 임의의 위치에 장착가능한 방식의 신축조절기(400)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가 로프에 다수개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구조상황 발생시 헬기 등과 같은 상기 로프(10)가 준비된 수단에서 상기 로프(10)를 구조현장으로 늘어뜨리게 된다. 그리고, 구조현장에 배치된 다수의 본체(100)를 펼쳐서 구조 대상자(30)를 눕히고 결속수단(160)을 이용하여 구조 대상자(30)를 상기 본체(100)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본체(100)에 구조 대상자(30)를 고정한 후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120)에 제공되는 상기 고정수단(220)을 열어 상기 출입부(200)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 후 상기 로프(10)를 상기 출입부(200)를 따라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220)을 닫아 상기 로프(10)가 상기 출입부(20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신축조절기(400)를 상기 로프(10)의 일측에 연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신축조절기(400)의 구속수단(450)을 해제시킨 후 상기 수용부(410)를 열어 상기 로프(10)를 상기 수용부(410) 내측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수용부(410)를 회동시키고 상기 구속수단(450)을 체결시켜 상기 수용부(410)가 임 의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로프(10)는 상기 고정부(420)에 의해 눌려져 상기 로프(10)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본체(10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430)를 눌러 상기 신축조절기(400)를 상기 로프(10)를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신축조절기(400)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0)의 고정위치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로프(10)는 일직선 상태가 되어 상기 본체(100)가 안정적인 상태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에 눕혀진 구조 대상자(30)의 가랑이 사이로 로프(10)가 이동되어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한편, 로프(10)에 하나의 상기 본체(100)를 연결 완료한 후에는 상기 로프(10)에 장착된 상기 본체(100)의 하방에 또 다른 본체(100)를 전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장착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신축조절기(400)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본체(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본체(100)를 하나의 로프(10)에 연속하여 지속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로프(10)가 장착된 헬기(20)의 고도를 높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로프(10)에 본체(1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로프(10)에 이미 다수의 본체(100)가 장착된 상태로 구조 대상자(30)가 위치한 곳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부에 위치한 본체(100)에서부터 상기 구조 대상자(30)를 눕히고 고정시킨 후, 상기 신축조절기(400)로 상기 본체(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 후, 하방의 본체(100)에 차례로 구조 대상자(30)들을 눕히고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본체(100)에 구조 대상자(30)를 고정하고 상기 본체(100)의 장착을 완료하여 구조 대상자(30)를 안전지역까지 이송한 후에는 다시 상기 로프(10)의 하방에 위치한 본체(100)부터 상기 로프(10)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1)는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에 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1)는 본체(100)와 연결수단(300) 그리고 신축조절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프레임(120)과 안착부(140)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의 일측 대략 중앙부에는 단락되어 출입부(700)가 형성된다. 상기 출입부(70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본체(100)에 눕혀진 구조 대상자(30)의 가랑이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10)는 비교적 거리가 짧은 길이방향의 중간 지점에서 상기 출입부(700)를 통하여 상기 로프(10)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700)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프레임(120)의 단락된 부분에는 고정수단(220)이 더 형성되어 상기 로프(10)의 임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의 장착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를 측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인 평면도.
삭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가 로프에 다수개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Claims (12)
- 구조 대상자가 위치하게 되는 본체;상기 본체의 일측단에서 내측을 향하여 절개되며, 구조를 위한 로프가 상기 본체의 내외측으로 출입되도록 하는 출입부;상기 로프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신축조절기;상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며, 상기 본체와 상기 신축조절기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며, 구조 대상자가 누을 수 있는 면을 제공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접철수단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출입부에는 상기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출입부는 상기 본체 일단의 중앙부에서 상기 본체 내측의 중앙부 까지 형성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출입부는 구조 대상자의 다리 사이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조절기는 상기 본체 중심의 상방에 배치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조절기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로프의 중간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신축조절기는,적어도 일부가 회동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로프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수용부와;상기 수용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로프를 눌러 고정시키는 고정부와;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기 고정부의 회동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손잡이와;상기 수용부의 선택적인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상기 구조 대상자 머리 위치의 상기 본체 양측 모서리에 연결되는 좌측 연결수단과;상기 구조 대상자 발 위치의 상기 본체 양측 모서리에 연결되는 우측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8241A KR101004119B1 (ko) | 2008-06-20 | 2008-06-20 |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8241A KR101004119B1 (ko) | 2008-06-20 | 2008-06-20 |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2131A KR20090132131A (ko) | 2009-12-30 |
KR101004119B1 true KR101004119B1 (ko) | 2010-12-27 |
Family
ID=4169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8241A KR101004119B1 (ko) | 2008-06-20 | 2008-06-20 |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4119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7596Y1 (ko) | 1998-05-04 | 2000-05-01 | 권효경 | 다목적 들것 |
JP2003159343A (ja) | 2001-11-27 | 2003-06-03 | Tatsumi:Kk | 高層ビル火災での緊急避難用救命具 |
US7168110B2 (en) | 2003-12-16 | 2007-01-30 | Benoit Girard | Paramedical transfer stretcher, harness and method |
-
2008
- 2008-06-20 KR KR1020080058241A patent/KR1010041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7596Y1 (ko) | 1998-05-04 | 2000-05-01 | 권효경 | 다목적 들것 |
JP2003159343A (ja) | 2001-11-27 | 2003-06-03 | Tatsumi:Kk | 高層ビル火災での緊急避難用救命具 |
US7168110B2 (en) | 2003-12-16 | 2007-01-30 | Benoit Girard | Paramedical transfer stretcher, harness and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2131A (ko) | 2009-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86606A (en) | Foldable casualty carrier | |
US8677530B2 (en) | Rescue stretcher with securement straps | |
US3712417A (en) | Inflatable evacuation slide | |
US20070136950A1 (en) | Rescue dragging bag | |
US5533934A (en) | Child safety swing for playground swing | |
US9757286B2 (en) | Apparatus, system and kit for rapidly moving a non-ambulatory person and/or object | |
US20100096419A1 (en) | Child carriers and methods for protecting a young child | |
US9827152B1 (en) | Rescue harness with protective drag sheet | |
JPH0155004B2 (ko) | ||
US20150273250A1 (en) | Extraction System and Method | |
KR102022808B1 (ko) | 구조구난용 배낭 | |
ZA200200305B (en) | Safety and life-saving device for aquatic environment. | |
EP3217935B1 (de) | Rettungstrage | |
US20200352802A1 (en) | Portable and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 |
CN107757436A (zh) | 儿童增高座椅 | |
US5068935A (en) | Flotation therapy bed having two part construction | |
KR101004119B1 (ko) | 로프 연결형 구조장비 | |
US10961741B2 (en) | Portable confinement apparatus | |
US8893330B2 (en) | Foldable lightweight stretcher | |
US9072920B2 (en) | Portable personal descending escape system | |
KR102006856B1 (ko) | 가림막 및 그 가림막을 이용한 들것 | |
KR200448181Y1 (ko) | 구조용 배낭 | |
AT512458B1 (de) | Rettungsgürtel mit aufblasbaren schwimmkörpern | |
KR200462235Y1 (ko) | 들것 운반용 배낭 | |
TWI401069B (zh) | Mobile device for 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