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902U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902U
KR19990039902U KR2019980006351U KR19980006351U KR19990039902U KR 19990039902 U KR19990039902 U KR 19990039902U KR 2019980006351 U KR2019980006351 U KR 2019980006351U KR 19980006351 U KR19980006351 U KR 19980006351U KR 19990039902 U KR19990039902 U KR 199900399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late
precast concrete
vertical member
plate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영
Original Assignee
권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영 filed Critical 권대영
Priority to KR2019980006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902U/ko
Publication of KR199900399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902U/ko

Links

Landscapes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성형 몰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 몰드를 구성하는 단위 판체를 규격화하여 제품 사이즈에 맞추어 간편하게 상기 단위 판체를 체결하여 조립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대량 생산·제작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에 관한 것이다. 해결 수단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를, 수평 부재, 수직부재, 상기 수평 부재와 수직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보강 부재 역할을 하는 수직보강 부재로 구성된 단위 판체와, 상기 단위 판체의 양 사이드에 설치되는 마구리판으로 형성한다. 상기 수평 부재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이, 상기 단위 판체의 수직 부재와 다른 수직 부재에는 하나의 단위 판체와 다른 단위 판체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 구멍이 형성되고, 단위 판체의 수직 부재와 다른 수직 부재에 각각 복수개의 체결 돌기가 설치되고, 하나의 단위 판체와 다른 단위 판체를 특정길이 만큼이 되게 연속되게 체결 형성하기 위해 구비한 복수개의 체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수직 부재와 다른 성형 몰드 단위 판체의 수직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위 판체와 팔레트판 사이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체결공을 통하여 연결 하는 바닥 체결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성형 몰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 몰드를 규격화하여 제품 사이즈에 맞추어 간편하게 조립·체결할수 있게 함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대량 생산·제작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는 공사 현장에서 제작하는 경우와, 현장에서 멀리 떨어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의 캐스팅 야드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경우가 있다. 현장 붓기 콘크리트의 엘리먼트 즉 벽판, 바닥판, 보, 기둥, 커튼월등 대부분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대량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의 장점은, 상기와 같이 공장 생산이가능하여 대량 생산을 할 수 있고, 기계화 시공으로 단기 완성이 가능하고, 기둥, 보 벽판, 바닥판등의 부재로 나누어 기성재로 공장 제작하므로 현장 거푸집 공사가 절약되고 정밀도가 높고 강도가 큰 콘크리트 부재를 각종 건설 공사에서 사용할 수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각종 건설 공사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된 각 구성 부재를 성형함에 있어서, 일반 거푸집을 이용한 현장 콘크리트 타설 공법 보다도 비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한 원인으로서는, 각종 부재를 프리 캐스트 하는데 사용되는 성형 몰드는 그 규격이 정형화 되어 있어 다양한 사이즈의 프리 캐스트 제품을 제작하고자 할 때에는, 여러 타입의 제품(부재) 사이즈에 맞게 몰드를 제작해서 제품을 성형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고가가 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품을 제작하고 난 후에는 이 몰드는 쓸모 없게 되어 폐기되므로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금 까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성형 몰드를 제작함에 있어서,철재 성형 몰드 제작의 대부분을 용접등을 통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인력이 다대하게 소요되어 결국 비용이 높아지고, 정밀 제작에 문제가 있었다.
또 주로 철재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는 그 접합 부위를 용접 처리하여 제작하므로, 종종 상기 성형 몰드의 철판이 가열되어 변형되어 버리는 일이 있어 치수 정밀도가 떨어지고, 생산성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를 제작시 규격화된 단위 판체를 제작하여, 이 단위 판체를 연속하여 연결하여 성형 몰드를 형성한다. 이렇게 규격화된 단위 판체를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게 조립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를 완성제작할 수 있도록 한 함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의 제작비를 낮출수 있고, 정밀도가 높고, 아울러 다품종이면서 사이즈가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성형 몰드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단위 판체를 도시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1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단위 판체를 연결 조립한 상태의 성형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3에서 단위 판체(10)를 하부의 팔레트판(P)에 체결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3에서 단위 판체(10)와 단위 판체(10)를 서로 체결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B 부분 확대 단면도.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단위 판체를 도시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1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단위 판체를 연결한 상태의 성형 몰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1과, 도2에서, 10은 단위 판체, 11A, 11B는 수직부재이고, 11C, 11D, 11E는 수직 보강 부재, 12A, 12B, 12C, 12D는 상하 체결공, 13A, 13B, 13C는 좌우 체결공이고, 15A, 15B는 수평 부재이고, 50은 상기한 부재들이 형성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한 성형 몰드(100)는, 상기 플레이트(50)에 상기 제1 및제2 수평 부재(15A,15B)와, 이 제1 및 제2 수평 부재와 연결되어 양측 부재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수직 부재(11A, 11B)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부재(15A,15B)와 제1 및 제2 수직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보강 부재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수직보강 부재(11C, 11D, 11E)를 설치 단위 판체(10)를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부재(15A, 15B)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12A, 12B, 12C, 12D)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 판체(10)의 제1 수직 부재(11A)와 제2 수직 부재(11B)에는 하나의 단위 판체(10)와 다른 단위 판체(10)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 구멍(13A, 13B, 13C)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제1 수직 부재(11A)와 제2 수직 부재(11B)에 체결 돌기(14A,14B)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단위 판체(10)와 다른 단위 판체(10)를 특정 길이 만큼이 되게 연속되게 체결 형성하기 위해 구비한 복수개의 체결 구멍(13A, 13B, 13C)를 통하여상기 제2 수직 부재(11B)와 다른 성형 몰드 단위 판체(10)의 제1 수직 부재(11A)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 몰드 단위 판체(10)와 팔레트판(P)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체결공(12A, 12B, 12C, 12D)을 통하여 연결 하는 바닥 체결 수단을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100)이다.
그리고 상기 단위 판체(10)와 단위 판체(10)의 좌·우 체결 수단, 및 단위 판체(10)와 하부 팔레트판(P)과의 상·하 체결 수단으로는 와셔와 볼트 및 용접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100)를 형성함에 있어서는,특정 길이 만큼 연속하여 체결된 단위 판체(10)를 성형 몰드의 전·후면 부재로서부착한 후, 좌·우 마구리판(20)을 상기 단위 판체(10)에 체결시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100)를 제작하게 된다.
다음에 도 4는 상기 단위 판체(10)를 하부의 팔레트(P)에 체결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도3의 A부분).
도4에서, 15B는 단위 판체(10)의 제2 수평 부재로이고, P는 상기 성형 몰드(100)가 장착되는 하부의 팔레트판 이다. 상기 단위 판체(10)의 제2 수평 부재(15B)와 상기 팔레트판(P) 사이에는 와셔(33)가 끼워지고, 컵와셔(34)를 거쳐서 볼트(30)가 삽입된 후, 하부에서 너트(31)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하부 팔레트판(P)과 체결한 후 더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서 용접(W)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단위 판체(10)가 하부 팔레트에 고정되게 된다.
도 5는 도 3에서 단위 판체(10)와 단위 판체(10)를 서로 체결 조립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도3의 B부분). 여기서 11B는 하나의 단위 판체(10)의 수직부재이고, 11A는 또 다른 단위 판체(10)의 수직 부재이다.
이들 단위 판체(10)의 연결을 위한 체결 방법은 상기한 단위 판체(10)와 팔레트(P) 간의 체결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단위 판체(10)의 수직 부재(11B)와 상기 수직 부재(11A) 사이에는 와셔(43)가 끼워지고, 컵와셔(44)를 거쳐서 볼트(40)가 삽입된 후, 너트(41)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단위 판체(10)가 다른 단위 판체(10) 연속하여 체결 되게 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단위 판체(10)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몰드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규격화되어 제작된 단위 판체(10)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성형품의 크기에 맞게 여러장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 수단과 체결 방법을 통하여 연결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것을 전·후면 부재로서 고정 설치하고, 하부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팔레트판(P)에 체결시키고, 좌·우측에는 마구리판(20)을 맞대어 연결 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100)가 완성되게 된다(도3에서는 2장의 단위 판체(10)를 사용하여 제작한 성형몰드임).
상기와 같이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철근을 배설하고, 믹싱된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양생하여 탈형을 행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 제품이 완성되게 된다. 상기 탈형시에는 조립된 단위 판체(10)를 상기한 조립 순서와 반대로 해체하면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수평 부재(15A, 15B)에 형성된 체결공(12A, 12B, 12C, 12D)을 통하여 상기한 체결 수단으로 단위 판체(10)를 상하(수직 방향으로)로 겹쳐 연결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성형품의 사이즈에 관계 없이 단위 판체(10)를 언제 든지 분해하여, 그 사이즈에 맞추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제작시 규격화된 단위 판체를 제작 사용하고, 이 단위 판체를 연속하여 연결하여 성형몰드를 형성한다. 이렇게 규격화된 단위 판체를 사용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제품의 사이즈에 맞게 조립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를 완성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함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의 제작비를 낮출 수 있고, 정밀도가 높고, 아울러 다품종이면서 사이즈가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제작할 수 있고 아울러 재사용이 가능한 제반 특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플레이트(50)에,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부재(15A, 15B)와, 이 제1 및 제2수평 부재와 연결되어 양측 부재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수직 부재(11A, 11B)와,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부재(15A, 15B)와 제1 및 제2 수직 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보강 부재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수직 보강 부재(11C, 11D, 11E)를 설치한 단위 판체(1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수평 부재(15A, 15B)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공(12A, 12B, 12C, 12D)이 형성되고, 상기 단위 판체(10)의 제1 수직 부재(11A)와 제2 수직 부재(11B)에는 하나의 단위 판체(10)와 다른 단위 판체(10)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 구멍(13A, 13B, 13C)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제1 수직 부재(11A)와 제2 수직 부재(11B)에 체결 돌기(14A, 14B)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단위 판체(10)와 다른 단위 판체(10)를 특정 길이 만큼이 되게 연속되게 체결 형성하기 위해 구비한 복수개의 체결 구멍(13A, 13B, 13C)를 통하여 상기 제2 수직 부재(11B)와 다른 성형 몰드 단위 판체(10)의 제1 수직 부재(11A) 사이를 연결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 몰드 단위 판체(10)와 팔레트판(P)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 체결공(12A, 12B, 12C, 12D)을 통하여 연결 하는 바닥 체결 수단을 구비한 것이 특징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판체(10)와 단위판체(10) 및, 상기 단위판체(10)와 팔레트판(P)과의 체결 수단이, 와셔(34, 44)와 볼트(30, 40) 및 용접(W)인 것이 특징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100)를 형성함에있어서, 특정 길이 만큼 연속하여 체결된 단위 판체(10)가 성형 몰드의 전·후면 부재로서 부착된 후, 좌·우 마구리판(20)이 서로 체결되어 구성된 것이 특징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KR2019980006351U 1998-04-22 1998-04-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KR199900399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51U KR19990039902U (ko) 1998-04-22 1998-04-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351U KR19990039902U (ko) 1998-04-22 1998-04-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902U true KR19990039902U (ko) 1999-11-15

Family

ID=6951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351U KR19990039902U (ko) 1998-04-22 1998-04-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9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980A (ko) * 2016-10-19 2018-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보강재가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및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 모듈
KR102262011B1 (ko) * 2020-08-04 2021-06-0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 제작 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980A (ko) * 2016-10-19 2018-04-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보강재가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및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 모듈
KR101880365B1 (ko) * 2016-10-19 2018-07-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보강재가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을 위한 거푸집 및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 모듈
KR102262011B1 (ko) * 2020-08-04 2021-06-08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 제작 공법
WO2022030904A1 (ko) * 2020-08-04 2022-02-10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가변형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 제작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016B1 (ko) 일체식 보거푸집
KR19990039902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성형 몰드
JPH0419137Y2 (ko)
WO2008004754A1 (en) Prefabricated pillar
CN112663788B (zh) 一种装配式快速施工方法
CN211201138U (zh) 一种轻钢龙骨建筑模板系统
KR100392189B1 (ko) 유니트 격자보 및 그 시공방법
KR100469849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JP2820904B2 (ja) コンクリート円柱用型枠
KR100322486B1 (ko) 거푸집용몰딩바및이를이용한거푸집설치방법
CN217434607U (zh) 一种预制柱浇筑用的组合模具
KR200303783Y1 (ko) 조립식 피씨 암거용 거푸집장치
CN115302615B (zh) 一种模数化叠合楼板模具及叠合楼板制作方法
CN214785331U (zh) 一种快速施工的预制柱
CN220184615U (zh) 一种便于安装的钢模板
CN214784688U (zh) 一种快速施工预制梁
CN220389775U (zh) 一种组合式预制墙板模具
KR0131314Y1 (ko) 콘크리트 유니트욕실용 욕실벽판
KR200187741Y1 (ko) 거푸집용 몰딩바
JP3351886B2 (ja) 薄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98735A (ja) 鉄骨と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板との合成方法
KR200298064Y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JP2000356000A (ja) 型枠ユニット構法
JP2513749Y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ト製パネルの成形用型枠
JPH09287198A (ja) 壁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