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819U -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 Google Patents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819U
KR19990039819U KR2019980006231U KR19980006231U KR19990039819U KR 19990039819 U KR19990039819 U KR 19990039819U KR 2019980006231 U KR2019980006231 U KR 2019980006231U KR 19980006231 U KR19980006231 U KR 19980006231U KR 19990039819 U KR19990039819 U KR 19990039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air bag
airbag system
ga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은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06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819U/ko
Publication of KR19990039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819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 사고시 내부에 충진되는 가스에 의해 부풀어 오르면서 탑승자와 충돌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메인 주머니의 일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의 내부에는 메인 주머니에 충진되는 가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써,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시 탑승자의 얼굴 부위는 돌출부와 1차적으로 충돌하게 되고, 돌출부는 충진된 가스의 팽창압력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전가된 충격 에너지를 조금씩 흡수하며, 이어서, 탑승자는 메인 주머니와 충돌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의 순간적인 충돌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상해치가 감소되므로 탑승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으며, 더불어, 안전 장치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본 고안은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시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의 순간적인 충돌로 인하여 탑승자의 얼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충돌 테스트로는 정면 충돌과 측면 충돌 등이 있으며, 이러한 충돌사고는 차체의 변형을 유발함은 물론, 차내 탑승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힐 수 있으므로 세계 각국에서는 각 충돌테스트에 대한 안전법규를 적용하여 수입규제의 큰 항목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로써, 차량에는 주행중 돌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사고등의 위험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안전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 장치로 차량의 충돌시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에어백 시스템이 있으며, 근래에는 에어백 시스템의 장착을 의무화하는 추세이다.
에어백 시스템은 자동차의 강한 충돌시 발생하는 머리 및 가슴 등의 상해에 대해 안전벨트와 더불어 보호해 주는 안전 장치로 그 설치 위치는 기본적으로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의 보호를 위해 조향 핸들 및 대시 보드에 각각 장착되고, 근래에는 뒷좌석 탑승자를 위해 프런트 시트에도 장착되며, 아울러, 탑승자를 측면 충돌시에도 보호할 수 있도록 도어의 내측에도 설치되고 있다.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을 간단히 설명하면, 차량의 주행중 차량이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 센서는 충돌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며, 제어부는 이를 통해 차량이 충돌하였음을 판단하여 화약, 점화제, 가스 발생제 등을 점화시킴으로써 순간적으로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켜 공기 주머니의 내부에 충진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공기 주머니가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커버를 파기시키면서 부풀어 오르게 되며, 공기 주머니는 탑승자와 충돌하면서 내압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튕겨 나가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에 적용중인 종래 공기 주머니(1)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 나일론 섬유제로 이루어진 것으로, 초기에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지 않아 접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차량의 충돌시에는 충진되는 가스에 의해 소정의 형상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로 인한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시 공기 주머니(1)는 소정의 팽창 압력을 통해 탑승자측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전방으로 밀리는 탑승자와 충돌하게 되는데, 이 때,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1)의 운동 방향이 반대이며, 더불어,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1)의 이동 속도 및 팽창 압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상호간에는 매우 큰 충돌 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탑승자의 얼굴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가 매우 크기 때문에 탑승자의 얼굴에 찰과상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탑승자가 키가 작을 경우에는 신체 구조상 탑승자의 얼굴이 공기 주머니(1)의 하부와 충돌하게 되며, 이 때,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 매우 큼은 물론, 공기 주머니(1)의 상부가 머리 부위를 덮게 되므로 질식사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다.
즉, 에어백 시스템으로 인하여 또 다른 안전 사고가 야기되어 에어백 시스템은 안전 장치로서의 효용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으로 인한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가 탑승자에게 순간적으로 가해지지 않고 탑승자와 충돌하면서 흡수 및 분산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얼굴 부위에 상해가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안전 장치로서의 효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에 적용된 공기 주머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공기 주머니 10 : 메인 주머니
11 : 돌출부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시 내부에 충진되는 가스의 팽창압력으로 인하여 부풀어 오르며 탑승자와 충돌하면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메인 주머니와, 상기 메인 주머니의 일면에 형성되며 탑승자와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완충시키는 다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 주머니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 주머니에 결합되는 완충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적용된 돌출부를 보이기 위한 측면도이고, 원안은 돌출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1)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낭 형태로 이루어는 메인 주머니(10)와, 탑승자와 마찰되는 메인 주머니(10)의 일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는 다수개의 돌출부(11)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에 적용된 돌출부(11)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는 크기가 작은 주머니가 되는 것이다.
돌출부(11)는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지 않고 별도의 완충부재가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중 차량이 충돌을 하게 되면 충돌 센서는 충돌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며, 제어부는 이를 통해 차량이 충돌하였음을 판단하여 화약, 점화제, 가스 발생제 등을 점화시킴으로써 순간적으로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켜 메인 주머니(10)의 내부에 소정의 가스가 충진되도록 하고, 이 때, 각 돌출부(11)에도 가스가 충진된다.
이어서, 메인 주머니(10)가 순간적으로 팽창되어 커버를 파기시키면서 탑승자측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동시에, 탑승자는 관성의 법칙으로 인하여 전방으로 밀리면서 얼굴 부위가 먼저 메인 주머니(10)의 돌출부(11)에 충돌하게 되며, 각 돌출부(11)는 충진된 가스의 팽창 압력을 지지기반으로 하여 탑승자의 얼굴 부위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돌출부(11)에 충진된 가스의 팽창압력은 전가되는 충격 에너지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돌출부(11)는 메인 주머니(10)의 표면측으로 서서히 밀리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탑승자의 얼굴 부위가 메인 주머니(10)의 표면에 마찰되면서 전방으로 향하게 되며, 이 때, 메인 주머니(10)는 내압에 의해 이 탑승자를 통해 전가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탑승자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돌출부(11)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주머니(1)에는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1)의 사이에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완충구간이 더 구비되는 것인 바, 차량의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1)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켜 탑승자의 얼굴 부위에 전가되는 충격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와 공기 주머니(1)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가 종래와 같이 탑승자의 얼굴 부위에 순간적으로 전가되지 않고 돌출부(11)에 의해 소정의 시간을 두고 지연되면서 작용되어 탑승자의 얼굴 및 가슴 부위에 상해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 사고시 공기 주머니가 부풀어 오르면서 탑승자와 충돌할 때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 에너지가 감소되어 탑승자의 얼굴 부위에 찰과상 등의 상해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탑승자의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공기 주머니의 팽창으로 인한 또 다른 안전 사고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안전 장치로서의 효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시 내부에 충진되는 가스의 팽창압력으로 인하여 부풀어 오르며 탑승자와 충돌하면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메인 주머니와, 상기 메인 주머니의 일면에 형성되어 탑승자와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 에너지를 완충시키는 다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 주머니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인 주머니에 결합되는 완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KR2019980006231U 1998-04-20 1998-04-20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KR199900398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231U KR19990039819U (ko) 1998-04-20 1998-04-20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231U KR19990039819U (ko) 1998-04-20 1998-04-20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819U true KR19990039819U (ko) 1999-11-15

Family

ID=6951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231U KR19990039819U (ko) 1998-04-20 1998-04-20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8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73A (ko) * 2001-03-26 200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973A (ko) * 2001-03-26 200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1092B1 (en) Automotive frame bumper interface for discriminated deceleration response
RU150672U1 (ru) Встроенная подушка безопасности пассажир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3819204A (en) Safety device for motor vehicle
CN115210113A (zh) 用于在即将发生碰撞的事件中吸收冲击的机动车辆零件膨胀系统
US20090179404A1 (en) Optimised airbag module
KR101855756B1 (ko) 차량 탑승자 안전을 위한 스티어링 컬럼 시스템
JP2010047209A (ja) 車両用衝撃吸収部材及び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1250413B1 (ko) 통합형 에어백 모듈
KR100747034B1 (ko) 자동차의 운전석 무릎 보호장치
KR19990039819U (ko) 에어백 시스템의 공기 주머니
KR960003309B1 (ko)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100348571B1 (ko) 크래쉬 패드의 충격 완화 장치
KR200144252Y1 (ko) 에어백을 이용한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KR0125263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에어백장치
KR200269425Y1 (ko) 차량용 승객 보호장치
KR200177709Y1 (ko) 자동차의 운전자 보호장치
KR101326941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KR200193453Y1 (ko) 조수석용 에어 백 하우징
KR101337804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KR100242195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200141885Y1 (ko) 자동차의 조수석에 구비되는 에어백의 충격흡수구조
KR100447317B1 (ko) 후방이동용 시트 구조
KR20015276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20060118634A (ko) 자동차의 운전석 무릎보호장치 구조
KR20030004734A (ko) 자동차의 조수석 무릎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