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550A - 낙하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낙하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550A
KR19990039550A KR1019970059696A KR19970059696A KR19990039550A KR 19990039550 A KR19990039550 A KR 19990039550A KR 1019970059696 A KR1019970059696 A KR 1019970059696A KR 19970059696 A KR19970059696 A KR 19970059696A KR 19990039550 A KR19990039550 A KR 1999003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drop test
drive unit
controller
vacuum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829B1 (ko
Inventor
김두송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9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8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료를 진공흡착 패드를 통해 들어 올린 후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키도록 하면서 상단의 축은 제 1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와 제 1 회전구동부가 구비된 작동간은 제 2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면서 이들이 부착된 지지간이 Z축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하며, 프레임에 낙하된 시료는 후방의 제 1 실린더와 좌측의 제 2 실린더 및 우측의 제 3 실린더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밀편에 의해 중앙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 Z축 구동부와 제 1 내지 제 3 실린더 및 진공흡착 패드의 동작을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하면서 시료의 연속적인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낙하 시험장치
본 발명은 박스에 포장된 제품의 낙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스에 포장된 제품의 무게가 15Kg 이상인 경우에 시험자가 일일이 손으로 들어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면서 시험 부위에 따라 낙하되는 재품이 거의 일정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여 낙하 시험이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행하여질 수 있도록한 낙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하 시험장치라 하면 포장이 완료되어 출고되는 제품이 외부로 부터의 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에서 바닥의 프레임에 자연스럽게 낙하시켜 손상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 임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의 포장이 완료된 제품의 낙하 시험은 6 개의 면과 3 개의 모서리 및 1 개의 꼭지점에 대해 10회 정도 차례로 시험하면서 박스 내부에 있는 완제품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낙하 시험을 위해 완제품을 포장한 박스(이하 시료라 칭함)를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금속인 프레임(1)에 수직으로 지지간(2)을 부착하고, 상기 지지간(2)의 하단부에는 회전장치(3)에 의해 빠르게 회전하는 적재판(4)을 설치하여 이의 상면에 올려 놓은 시료를 인위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지간(2)의 상단부에는 승하강장치(5)에 의해 임의로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는 수직 이동간(6)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시료가 임의로 이동하지 않으면서 낙하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낙하 시험장치에 의하여서는 시료를 적재판(4)의 상면에 사람이 들어서 올려놓아야 하므로 15Kg 이상의 대형 텔레비전이나 냉장고 등의 제품에 대해 낙하 시험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여러 사람이 여러번 들어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적재판(4)에 시료를 올려 놓은 다음 한 사람이 이를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지간(2)의 상단부에 설치된 승하강장치(5)를 조작하여 수직 이동간(6)을 하향 이동시키면서 시료를 지지시켜야 하므로 시험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서 비능률적으로 수행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료를 진공흡착 패드로 들어올려서 낙하시키면서 6개의 면과 3개의 모서리 및 1개의 꼭지점에 대해 차례로 낙하 시험이 수행되도록 진공흡착 패드로 들어올릴 때 제 1 회전구동부와 제 2 회전구동부 및 Z축 구동부들에 의해 낙하의 방향을 정확하게 조절하도록 하여 낙하 시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낙하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낙하 시험장치는 시료를 들어 올린 후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키는 진공흡착 패드와,
상기 진공흡착 패드의 상단에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시료의 낙하 상태를 임의로 조절하는 제 1 회전구동부와,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와 제 1 회전구동부가 구비된 작동간을 회전시키면서 시료의 낙하 각도나 위치에 따른 상태를 조절하는 제 2 회전구동부와,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와 제 1 회전구동부 및 제 2 회전구동부가 구비된 지지간을 승하강시키면서 시료의 파지 및 일정 높이에서의 낙하가 가능하도록 하는 Z축 구동부와,
상기 시료가 낙하되는 프레임의 후방에서 밀편을 통해 시료를 중앙쪽으로 밀어주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시료가 낙하되는 프레임의 좌측에서 밀편을 통해 시료를 중앙쪽으로 밀어주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시료가 낙하되는 프레임의 우측에서 밀편을 통해 시료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밀어주는 제 3 실린더와,
상기의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 Z축 구동부와 제 1 내지 제 3 실린더 및 진공흡착 패드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시료의 연속적인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트롤러들로 구성하되,
실린더가 위치하지 않는 방향을 통해 프레임의 중앙에 시료를 이동시킨 후 전원 키이와 스타트 키이를 온시키는 단계와,
상기의 키이 입력을 인식한 콘트롤러에서 Z축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가 시료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한 시료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하는 단계와,
상기의 Z축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지지간을 상승이동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와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키는 단계와,
진공흡착 패드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서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되도록 하는 단계와,
다음에 낙하된 제 1 실린더를 구동시키면서 밀편에 의해 시료가 중앙쪽으로 이동하도록 한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제 2 실린더를 구동시키면서 밀편에 의해 시료가 중앙쪽으로 이동하도록 한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제 3 실린더를 구동시키면서 밀편에 의해 시료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시료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의 콘트롤러에서 Z축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가 시료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한 시료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하는 단계와,
상기의 Z축 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지지간을 상승이동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와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키는 단계와,
다음에 제 2 회전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작동간을 90°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에 흡착된 시료의 다음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진공흡착 패드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서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6개의 면과 3개 이상의 모서리 및 1개 이상의 꼭지점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제 2 회전구동부 및/또는 제 1 회전구동부를 구동시키면서 차례로 낙하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험을 위해 시료의 위치나 방향을 조절하면서 들어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면서 자동으로 시험을 마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낙하 시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진공흡착 패드 12 : 축
13 : 제 1 회전구동부 14 : 작동간
15 : 제 2 회전구동부 16 : 지지간
17, 19, 21 : 실린더 18, 20, 22 : 밀편
25 : 콘트롤러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시료(10)를 흡착하여 들어 올리거나 흡착 상태를 해제하면서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키는 진공흡착 패드(11)와,
상기 진공흡착 패드(11)의 상단에서 축(12)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시료(10)의 낙하 상태를 임의로 조절하는 제 1 회전구동부(13)와,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가 구비된 작동간(14)을 회전시키면서 시료(10)의 낙하 각도나 위치에 따른 상태를 조절하는 제 2 회전구동부(15)와,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가 구비된 지지간(16)을 승하강시키면서 시료의 파지 및 일정 높이에서의 낙하가 가능하도록 하는 Z축 구동부(17)와,
상기 시료(10)가 낙하되는 프레임(18)의 후방에서 밀편(20)을 통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밀어주는 제 1 실린더(19)와,
상기 시료(10)가 낙하되는 프레임(18)의 좌측에서 밀편(22)을 통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밀어주는 제 2 실린더(21)와,
상기 시료(10)가 낙하되는 프레임(18)의 우측에서 밀편(24)을 통해 시료(10)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밀어주는 제 3 실린더(23)와,
전원 키이(26)와 스타트 키이(27) 및 정지 키이(28) 등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으면서 상기의 제 1 회전구동부(13), 제 2 회전구동부(15), Z축 구동부(17), 제 1 실린더(19), 제 2 실린더(21) 및 제 3 실린더(23) 및 진공흡착 패드(11)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시료(10)의 연속적인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트롤러(25)들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낙하 시험장치는 사용자가 전원 키이(26)를 온시키면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25)에서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13)(15), Z축 구동부(17), 제 1 내지 제 3 실린더(19)(21)(23) 및 진공흡착 패드(11)의 동작을 초기화한 후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리는 초기화를 수행한다(단계 31).
그로므로 사용자가 제 1 내지 제 3 실린더(19)(21)(23)가 위치하지 않는 전면을 통해 프레임(18)의 중앙에 시료(10)를 위치시킨 후 전원 키이(26)와 스타트 키이(27)를 온시키면(단계 32),
상기의 키이 입력을 인식한 콘트롤러(32)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이 하향이동하도록 하면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다(단계 33).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면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 후(단계 34),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키면서 이에 결합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다(단계 35).
콘트롤러(25)에서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시료(10)가 낙하되면서 밑면(a)이 프레임(18)과 충돌하도록 함으로써 밑면(a)에 대해 낙하 시험이 수행되도록 한다(단계 36).
여기서 콘트롤러(25)에서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작동간(14)을 얼마간 회전구동시키면서 시료(10)가 도 2의 가방향인 전방이 약 5°정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진공흡착 패드(11)에서 낙하되는 시료(10)가 제 1 내지 제 3 실린더(19)(21)(23)가 설치되지 않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37),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38).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39),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40).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41),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42).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43),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44).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45),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95°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앞면(b)이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다(단계 46).
다음에 콘트롤러(25)에서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되면서 앞면(b)이 프레임(18)과 충돌하도록 함으로써 이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47).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48),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49).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50),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51).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52),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53).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54),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55).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56),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95°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윗면(c)이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다(단계 57).
콘트롤러(25)에서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되면서 윗면(c)이 프레임(18)과 충돌하도록 함으로써 이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58).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59),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60).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61),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62).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63),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64).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65),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66).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67),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을 95°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뒷면(d)이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단계 68),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뒷면(d)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69).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70),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71).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72),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73).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74),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75).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76),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77).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78), 제 1 회전구동부(13)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축(12)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우측면(e)이 전방을 향하도록 한다(단계 79).
그리고 콘트롤러(25)에서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95° 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우측면(e)이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단계 80),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우측면(e)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81).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82),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83).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84),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85).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86),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87).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88),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89).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90),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185° 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좌측면(f)이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단계 91),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좌측면(f)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92).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93),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94).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95),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96).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97),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98).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99),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100).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101),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40° 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좌측면(f)과 밑면(a)사이의 제 1 모서리(g)가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단계 102),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제 1 모서리(g)이 프레임(18)과 충돌하여 이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103).
그리고 낙하된 시료(10)는 좌측면(f)이 프레임(18)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104),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05).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106),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07).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108),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09).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110),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111).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13)(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112),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130° 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밑면(a)과 우측면(e) 사이의 제 2 모서리(h)가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단계 113),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제 2 모서리(h)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114).
그리고 낙하된 시료(10)는 밑면(a)이 프레임(18)에 접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115),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16).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117),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18).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119),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20).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121),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122).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123),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130° 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좌측면(f)과 윗면(c)사이의 모서리(g)가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단계 124),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모서리(g)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된다(단계 125).
낙하된 시료(10)는 좌측면(a)이 프레임(18)에 접하는 상태가 되므로 콘트롤러(25)에서 제 1 실린더(19)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0)에 의해 낙하된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126),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0)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27).
제 2 실린더(21)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2)에 의해 시료(10)를 중앙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단계 128),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2)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29).
그리고 제 3 실린더(23)로 "H"를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밀편(24)에 의해 시료(10)가 정확히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 후(단계 130), 다시 "L"를 출력하여 밀편(24)을 원상태로 복귀시킨다(단계 131).
시료(10)가 중앙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이면, 상기의 콘트롤러(25)에서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11)가 시료(10)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단계 132),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11)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프레임(18)의 상단에 위치한 시료(10)를 흡착하여 상승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다(단계 133).
콘트롤러(25)에서 상기의 Z축 구동부(17)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구동시키면서 지지간(16)을 상승시켜 진공흡착 패드(11)와 제 1 회전구동부(13) 및 제 2 회전구동부(15)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단계 134), 제 1 회전구동부(13)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축(12)을 45° 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좌측면(f)이 약간 틀어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다(단계 135).
그리고 제 2 회전구동부(15)로 제어신호를 "H"로 출력하여 작동간(14)을 45° 정도 회전시키면서 진공흡착 패드(11)에 흡착된 시료(10)의 좌측면(f)과 밑면(a) 및 뒷면(d) 사이의 꼭지점(j)가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단계 136), 진공흡착 패드(11)에 제어신호를 "L"로 출력하여 시료(10)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키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면서 꼭지점(j)에 대한 낙하 시험이 수행되면서 6면과 3모서리 및 하나의 꼭지먼에 대한 낙하 시험이 완료된다(단계 137).
따라서 본 발명의 낙하 시험장치에 의하여서는 시료를 진공흡착 패드를 통해 들어 올린 후 일정한 높이에서 낙하시키도록 하면서 상단의 축은 제 1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와 제 1 회전구동부가 구비된 작동간은 제 2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면서 이들이 부착된 지지간이 Z축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도록 하며, 프레임에 낙하된 시료는 후방의 제 1 실린더와 좌측의 제 2 실린더 및 우측의 제 3 실린더에 의해 왕복이동하는 밀편에 의해 중앙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제 1 및 제 2 회전구동부, Z축 구동부와 제 1 내지 제 3 실린더 및 진공흡착 패드의 동작을 콘트롤러를 통해 제어하면서 시료를 일일이 들어 올리지 않으면서 순서에 따른 연속적인 시험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7)

  1. 시료를 흡착하여 들어 올리거나 흡착 상태를 해제하면서 낙하시키는 진공흡착 패드와,
    상기의 진공흡착 패드를 축을 중심으로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제 1 회전구동부와,
    상기의 제 1 회전구동부가 부착된 작동간을 정,역으로 회전시키는 제 2 회전구동부와,
    상기의 제 2 회전구동부가 부착된 지지간을 승하강시키는 Z축 구동부와,
    상기 시료가 낙하되는 프레임의 후방에서 밀편을 통해 시료를 중앙쪽으로 밀어주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좌측에서 밀편을 통해 시료를 중앙쪽으로 밀어주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서 밀편을 통해 시료를 중앙에 위치하도록 밀어주는 제 3 실린더와,
    사용자의 선택 사양을 입력받으면서 상기의 제 1 내지 제 2 회전구동부, Z축 구동부, 제 1 내지 제 3 실린더 및 진공흡착 패드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연속적인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콘트롤러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시험장치.
  2. 사용자가 전원 키이를 온시키면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에서 내부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프레임의 중앙에 시료를 위치시킨 후 전원 키이와 스타트 키이를 온시키면, 콘트롤러에서 Z축 구동부를 통해 지지간을 하향 및 상향 이동시키는 중에 진공흡착 패드로 시료를 흡착하는 단계와,
    콘트롤러에서 진공흡착 패드에서 시료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켜 시료가 자연낙하되면서 프레임과 충돌하도록 하면서 6면에 대한 낙하 시험과 3모서리에 대한 낙하 시험 및 꼭지점에 대한 낙하 시험을 차례로 수행하도록 한 낙하 시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처음 밑면에 대해 낙하 시험이 수행할 때 콘트롤러에서 제 2 회전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작동간을 얼마간 회전시키면서 시료의 전방이 약 5°정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낙하되는 시료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낙하 시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처음 밑면의 낙하 시험이 수행된 상태에서, 제 1 실린더 내지 제 3 실린더를 차례로 구동하면서 각각의 밀편에 의해 낙하된 시료를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콘트롤러에서 Z축 구동부를 구동시키면서 지지간을 하향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를 시료의 바로 위까지 이동되도록 한 후 진공흡착 패드를 제어하면서 시료를 흡착하는 단계와,
    콘트롤러에서 Z축 구동부를 구동시키면서 지지간을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킨 후 제 2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작동간을 90°보다 많이 회전시켜 시료가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콘트롤러에서 진공흡착 패드를 제어하면서 시료를 흡착하는 상태에서 해제시켜 중력에 의해 자연 낙하되어 프레임과 충돌하도록 하는 단계들에 의해 앞면과 윗면 및 뒷면의 낙하 시험을 수행하도록 한 낙하 시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앞면과 윗면 및 뒷면의 낙하 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의 제 1 내지 제 3 실린더로 시료를 중앙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의 콘트롤러에서 Z축 구동부와 진공흡착 패드 및 Z축 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시료를 일정한 시험의 높이까지 상승이동시키는 단계와,
    제 1 회전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축을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켜 진공흡착 패드에 흡착된 시료의 우측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제 2 회전구동부를 제어하여 작동간을 90° 보다 많이 회전시키면서 시료의 우측면이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 낙하 시험을 하는 단계와,
    중앙에 정렬시킨 시료를 진공흡착 패드로 들어 올린 후 제 2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작동간을 180° 보다 많이 회전시켜 시료의 좌측면이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진공흡착 패드를 제어하여 시료를 낙하시키면서 좌측면에 대한 낙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들에 의해 우측면과 좌측면의 낙하 시험을 수행하도록 한 낙하 시험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면에 대해 낙하 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3 실린더를 제어하면서 밀편들에 의해 시료를 중앙으로 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로 들어 올린 후 제 2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작동간을 45° 보다 적게 회전시켜 시료의 좌측면과 밑면 사이의 모서리가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진공흡착 패드에 흡착된 시료를 낙하시키면서 좌측면과 밑면 사이의 모서리에 대한 낙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와,
    좌측면이 프레임에 접하는 상태로 낙하된 시료를 중안으로 이동시킨 후 진공흡착 패드로 들어 올린후 제 2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작동간을 135° 보다 작게 회전시키면서 밑면과 우측면 사이의 모서리가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진공흡착 패드를 제어하면서 시료를 낙하시켜 밑면과 우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대한 낙하 시험을 수행하는 단계와,
    밑면이 프레임에 접하는 상태인 시료를 중앙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진공흡착 패드로 시료를 들어 올린 후 제 2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작동간을 135° 보다 작게 회전시켜 시료의 좌측면과 윗면 사이의 모서리가 약간 경사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한 후 낙하시키는 단계들에 의해 3 모서리의 낙하 시험을 수행하도록 한 낙하 시험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3모서리에 대한 낙하 시험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3 실린더를 제어하면서 낙하된 시료를 중앙으로 이동시켜 진공흡착 패드로 들어 올린 후 제 1 회전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축을 45° 정도 회전시키면서 시료의 좌측면이 약간 틀어진 채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다음에 제 2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면서 작동간을 45° 정도 회전시켜 시료의 좌측면과 밑면 및 뒷면 사이의 꼭지점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는 단계와,
    진공흡착 패드를 제어하면서 시료를 낙하시키면서 꼭지점에 대한 낙하 시험을 수행하도록 한 낙하 시험장치.
KR1019970059696A 1997-11-13 1997-11-13 낙하시험장치및방법 KR100299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696A KR100299829B1 (ko) 1997-11-13 1997-11-13 낙하시험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696A KR100299829B1 (ko) 1997-11-13 1997-11-13 낙하시험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550A true KR19990039550A (ko) 1999-06-05
KR100299829B1 KR100299829B1 (ko) 2002-02-28

Family

ID=3752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696A KR100299829B1 (ko) 1997-11-13 1997-11-13 낙하시험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8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9699A (zh) * 2016-07-28 2017-01-04 苏州高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可连续冲击试验装置
CN106323590B (zh) * 2016-08-22 2019-04-02 浙江大学 物体稳定多角度入水实验装置
WO2020062188A1 (zh) * 2018-09-29 2020-04-02 华为技术有限公司 跌落姿态控制方法和装置
CN109506871B (zh) * 2018-11-16 2021-03-2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跌落测试设备和跌落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829B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9395A1 (en) Testing machine
JP4528626B2 (ja) ボールグリッドアレイテンプレートを充填する装置及び方法
US6132161A (en) Chip supplying apparatus performing stable blue-film-expansion operation
KR100797204B1 (ko) 글라스 검사장치용 글라스 회전 장치
US74146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urning device
KR19990039550A (ko) 낙하 시험장치
JP3908360B2 (ja) ワーク整列装置
CN207997228U (zh) 电感研磨装置
CN217296334U (zh) 可旋翻转上下料装置
KR100376866B1 (ko) 반도체 칩 이송용 픽커
US5121052A (en) Automated handler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655898B1 (en) Front opening unified pod (FOUP) hoist jig
JPH08157123A (ja) ワーク体の整列積層装置
JPH0817199B2 (ja) ウエハ移送装置
JPH06297062A (ja) 物品収納用架台
JPS61183013A (ja) 物品の移送装置
GB2323585A (en) Monitor positioning apparatus
CN217009136U (zh) 一种适用于无片篮硅片清洗的旋转与翻转机构
TWM554904U (zh) 入料震動裝置
CN213612757U (zh) 一种传感器芯片分选装置
JP2500205B2 (ja) ウエハ移送装置
CN114684403B (zh) 一种自动植入机构
CN213263100U (zh) 袋装真空包装设备的下袋机构
CN216926114U (zh) 扫地机光流测试装置
JP2772493B2 (ja) ワーク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