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223U - 용접지지구 - Google Patents

용접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223U
KR19990039223U KR2019980005362U KR19980005362U KR19990039223U KR 19990039223 U KR19990039223 U KR 19990039223U KR 2019980005362 U KR2019980005362 U KR 2019980005362U KR 19980005362 U KR19980005362 U KR 19980005362U KR 19990039223 U KR19990039223 U KR 199900392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elding support
support
welded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3127Y1 (ko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박광수
최정곤
주식회사 남광 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수, 최정곤, 주식회사 남광 플랜트 filed Critical 박광수
Priority to KR2019980005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12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1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쌍의 철판을 서로 맞대고 이를 용융 용접기로 용접함에 있어서, 상기 피 용접물의 용접부위 이면에 용접 안내선이 표시된 세라믹제의 용접지지구를 설치하고 이 용접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백비드(Back bead)형성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용접지지구들의 사이로 용융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 용접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한쌍의 철판(1)(101)을 서로 맞대고 이 피 용접물인 철판의 용접부위 이면에 비드형성홈(3)이 형성된 세라믹제의 용접지지구(2)를 접착시켜 설치하고 용접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용접지지구(2)의 비드형성홈(3)에 용접간격을 맞추는 두 개의 용접 안내홈(4)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지지구(2)의 양측면에는 용접지지구들이 상호 면접촉되도록 하는 곡면경사부(5)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지지구(2)의 하부에는 접착테이프의 꺽임을 방지하기 위한 곡면부(6)를 형성하며 하부 중앙에는 원호상의 중심돌기(7)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용접지지구
본 고안은 한쌍의 철판을 서로 맞대고 이를 용융 용접기로 용접함에 있어서, 상기 피 용접물의 용접부위 이면에 용접 안내선이 표시된 세라믹제의 용접지지구를 설치하고 이 용접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백비드(Back bead)형성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용접지지구들의 사이로 용융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 용접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을 상호 맞대기하여 용접함에 있어서는 상기 철판들의 용접부위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이들을 맞댄 상태에서 용접봉 등을 이용하여 용접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상기 용접후에는 접합부위의 상하부에 비드가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이 원호상의 비드를 가공하여 용접을 완료하도록 하고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용접작업을 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용접부위를 정확히 추적하고 또 하부의 비드 형성이 양호하게 될 수 있도록 하나의 안내선(401)이 형성되고 비드형성부(301)가 형성된 지지구(201)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지지구는 용접부위의 곡선을 따라 설치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지구를 접착제로 상기 철판의 하부에 접착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구의 양단에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비드형성구의 중앙에만 안내선을 형성하므로써 작업자가 피용접물인 철판의 용접라인과 용접지지구의 안내면 중심선을 맞추면서 용접하기가 어려웠으며 또, 상기 지지구를 피 용접물인 철판의 곡선을 따라 설치할 때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상기 지지구들의 모서리 부분만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지지구들의 연결상태가 선접촉에 의한 연결이 이루어 지게 되어 연결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고 이 연결상태의 불량으로 인하여 용접열과 용접시 발생하는 슬래그(Slag)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가 파이게 되면서 용접 용융물이 누출되며 이 누출에 의하여 용접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쌍의 철판을 서로 맞대고 이를 용융 용접기로 용접함에 있어서, 상기 피 용접물의 용접부위 이면에 용접 안내선이 표시된 세라믹제의 용접지지구를 설치하고 이 용접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용접부위의 백비드 형성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용접지지구들의 연결부위가 면접촉 상태로 연결되도록하여 이 연결부위로 용융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 용접지지구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 : 철판 2 : 용접지지구
3 : 비드형성홈 4 : 용접 안내홈
5 : 곡면경사부 6 : 곡면부
7 : 중심돌기
한쌍의 철판(1)(101)을 서로 맞대고 이 피 용접물인 철판의 용접부위 이면에 비드형성홈(3)이 형성된 세라믹제의 용접지지구(2)를 접착시켜 설치하고 용접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용접지지구(2)의 비드형성홈(3)에 용접간격을 맞추는 두 개의 용접 안내홈(4)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지지구(2)의 양측면에는 용접지지구들이 상호 면접촉되도록 하는 곡면경사부(5)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지지구(2)의 하부에는 접착테이프의 꺽임을 방지하기 위한 곡면부(6)를 형성하며 하부 중앙에는 원호상의 중심돌기(7)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한쌍의 철판(1)(101)을 용접 가능한 상태로 서로 맞대고 이 피 용접물인 철판의 용접부위 이면에 비드형성홈(3)이 형성된 세라믹제의 용접지지구(2)를 알루미늄 접착제로 접착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용접지지구(2)는 용접부위의 길이에 따라 여러개를 상호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하며 상기 용접지지구(2)의 비드형성홈(3)에 형성된 두 개의 용접 안내홈(4)을 상기 철판(1)(101)의 용접라인에 맞추어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용접지지구(2)가 설치된 상태에서 두 개의 용접 안내홈(4)을 따라 용접작업을 하게 되면, 상기 비드형성홈(3)에 의하여 원호상의 백비드가 형성되며 용접제의 용융물이 상기 철판(1)(101)들을 용접하여 접합시키게 되고 이 용접후 상기 철판의 상하에 원호형의 용접비드가 형성되도록 된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용접지지구(2)를 이용하여 용접작업함에 있어서, 상기 용접지지구(2)들을 상호 연결할 때 이들의 양측 상부에 형성된 곡면경사부(5)를 상호 접촉되도록 연결하므로써 상기 용접지지구(2)들의 연결모서리부가 밀착되어 용융물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고 또 비드를 양호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곡선을 따라 상기 용접지지구(2)를 설치할 때 용접지지구(2)들의 연결부위가 꺽이더라도 이들의 접촉부위가 상기 곡면경사부(5)에 의하여 면접촉을 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용융물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접지지구(2)의 하부 양측에 곡면부(6)를 형성하므로써 접착테이프의 꺽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용접지지구(2)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원호상의 중심돌기(7)를 이용하여 상기 용접지지구(2)의 정렬을 확실히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용접지지구(2)의 양측에 곡면경사부(5)와 곡면부(6)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용접지지구(2)의 연결을 확실하게 할 수 있고, 이 연결상태가 면접촉에 의해 양호하게 되므로써 용접시 용융물이 연결부위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비드형성홈(3)에 적정한 간격을 갖는 용접 안내홈(4)을 형성하므로써 피용접물인 철판(1)(101)의 용접간격을 용이하게 맞추어 설치할 수 있으며 용접작업이 원활하게 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한쌍의 철판(1)(101)을 서로 맞대고 이 피 용접물인 철판의 용접부위 이면에 비드형성홈(3)이 형성된 세라믹제의 용접지지구(2)를 접착시켜 설치하고 용접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용접지지구(2)의 비드형성홈(3)에 용접간격을 맞추는 두 개의 용접 안내홈(4)을 형성하고 상기 용접지지구(2)의 양측면에는 용접지지구들이 상호 면접촉되도록 하는 곡면경사부(5)를 형성하고 상기 용접지지구(2)의 하부에는 접착테이프의 꺽임을 방지하기 위한 곡면부(6)를 형성하며 하부 중앙에는 원호상의 중심돌기(7)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지지구.
KR2019980005362U 1998-04-07 1998-04-07 용접지지구 KR200203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62U KR200203127Y1 (ko) 1998-04-07 1998-04-07 용접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362U KR200203127Y1 (ko) 1998-04-07 1998-04-07 용접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223U true KR19990039223U (ko) 1999-11-05
KR200203127Y1 KR200203127Y1 (ko) 2000-12-01

Family

ID=1953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362U KR200203127Y1 (ko) 1998-04-07 1998-04-07 용접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1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187B1 (ko) * 2007-11-19 2011-07-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횡방향 용접방법
CN107553032B (zh) * 2017-08-29 2020-01-2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焊接衬垫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127Y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0238A (ko) 마찰 교반접합 방법
KR19990039223U (ko) 용접지지구
KR100724069B1 (ko)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및 누수유도 공법
CN109853384B (zh) 索鞍及其焊接方法
JPH0329519B2 (ko)
JP2005074497A (ja) パネル接合構造
CN216142625U (zh) 一种洁净门门框连接结构
JP2006095532A (ja) 摩擦撹拌接合方法
JPH09271992A (ja) T継手用裏当て材
JP3764272B2 (ja) 裏当金および鉄筋の接合方法
KR870001611Y1 (ko) 용접 지지구용 타일
JPS60199576A (ja) 油圧配管用のチュ−ブとフランジの継手溶接方法
JP2005105742A (ja) 梁連結部構造
JP2611869B2 (ja) チューブとプレートとの溶接方法
SU1252096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нахлесточного соединени
JP3395658B2 (ja) 溶接端部のクレータ処理方法
KR100451845B1 (ko)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 플레이트
JP3543714B2 (ja) 角形鋼管用蓋
KR100995007B1 (ko) 이형관 용접용 백비드스트랩
JP2020082081A (ja) エンドタブ
JP3717779B2 (ja) 金属製梁と角形金属管製柱との接合構造
JP2002054231A (ja) 角形鋼管部材の内ダイアフラム形成方法および部材の接合方法
JPH03206248A (ja) 防水連結金属板の構造と施工法
JP2011078991A (ja) 溶接用裏当て材及び突合せ溶接方法
JPS62214897A (ja) 溶接用固形裏当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