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153U -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153U
KR19990039153U KR2019980005274U KR19980005274U KR19990039153U KR 19990039153 U KR19990039153 U KR 19990039153U KR 2019980005274 U KR2019980005274 U KR 2019980005274U KR 19980005274 U KR19980005274 U KR 19980005274U KR 19990039153 U KR19990039153 U KR 199900391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vertical chute
chain
inlet pip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영
김갑열
허금식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05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9153U/ko
Publication of KR199900391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153U/ko

Links

Landscapes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료탄을 공급하는 원료탄공급기와 공급된 연료탄을 미분탄으로 제조하는 밀(Mill)의 사이에 설치된 수직슈트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되는 부착탄을 제거하는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원료탄 공급기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감속기에 설치된 회전판에 편심 설치되며 끝단에는 균형추가 설치된 체인과, 상기 체인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부착탄을 파쇄하는 파쇄구와, 상기 수직슈트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설치된 에어유입관과, 상기 에어유입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에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가 구비된 에어검출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본 고안은 미분탄 제조설비의 원료탄 공급용 수직슈트내에 고착된 부착탄 제거장치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탄이 이동되는 수직슈트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되는 부착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탄은 야적장으로부터 벨트를 통해 운송된 양에 따라 그 속도가 조절되는 원료탄공급기(1)의 하부에 위치한 원료공급피더(2)에 의해 수직슈트(3)를 지나 미분탄을 제조하고 상기 용광로에 취입하는 설비(PCI Mill)(이하 "밀"이라 함)(4)내부로 공급되어 파쇄된다.
상기 파쇄된 미분탄은 폐가스부스터(5)에 의해 폐가스와 함께 부유, 이송되어 백필터(6)에서 여과처리되어 미분탄 저장조(7)에 저장되고, 이는 다시 미분탄 취입기(8)를 통해 용광로(9)로 취입되어진다.
상기 원료탄은 최소 6.4% 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있으며, 우기시나 장마철에는 최대 30%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원료탄공급기(1)와 밀(4)을 연결하는 수직슈트(3)의 내측둘레면에 원료탄이 고착되어 부착탄(C)이 발생하게 되면 밀(4)측으로 공급되는 원료탄의 공급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수직슈트(3)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된 부착탄(C)이 더욱더 증가하게 되어 수직슈트(3)를 차단하게되면 원료탄공급이 차단되어 밀(4)이 정지되고 이는 용광로열의 변동에 의한 노황악화(BLAST FURNACE CONDITION)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부착탄(C)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원료탄공급기(1)의 하부와 밀(4)사이에 설치된 수직슈트(3)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된 부착탄(C)을 제거 할 때에는 상기 수직슈트(3)의 외측둘레면을 햄머(H)등의 도구로 타격하여 제거하고 있으며 타격에 의해서 제거되지 않는 부착탄(C)을 제거 할 때에는 밀(4)과 원료탄공급기(1)를 정지시키고 원료탄공급기(1)의 전단에 형성된 점검맨홀(1a)을 개방하여 작업자가 환봉(S)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고착탄 제거작업은 햄머(H)등의 도구로 수직슈트(3)의 외측면을 타격함에 따라 상기 수직슈트(3)가 변형되고 심할 경우에는 수직슈트(3)가 파손되었다.
또는 환봉(S)을 이용하여 부착탄(C)을 제거할 때에는 고온으로 인하여 작업이 불편하였음은 물론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설비의 장시간 휴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직슈트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된 부착탄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는 원료탄을 공급하는 원료탄공급기와 공급된 연료탄을 미분탄으로 제조하는 밀의 사이에 설치된 수직슈트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되는 부착탄을 제거하는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탄 공급기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가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감속기에 설치된 회전판에 편심 설치되며 끝단에는 균형추가 설치된 체인과, 상기 체인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부착탄을 파쇄하는 파쇄구와, 상기 수직슈트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설치된 에어유입관과, 상기 에어유입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에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가 구비된 에어검출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미분탄 제조설비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방법으로 부착탄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탄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부착탄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착탄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C : 부착탄 1 : 원료탄공급기
3 : 수직슈트 4 : 밀
10 : 구동모터 20 : 감속기
40 : 회전판 50 : 체인
51 : 파쇄구 60 : 균형추
70 : 에어유입관 80 : 에어검출기
90 : 검출센서
이하 본 고안을 도시한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분탄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분탄 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원료탄공급기(1)의 상부에 구동모터(10)와 이의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2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료탄공급기(1)의 상부 일측에는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계(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21)의 회전축(21)에는 회전판(40)이 설치되어 있고 이의 일측에는 체인(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50)의 끝단에는 체인(50)이 회전시 균형을 유지하기위한 균형추(70)가 설치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수직슈트(3)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된 부착탄(C)을 파쇄하기위한 파쇄구(50)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수직슈트(3)의 일측면에는 내부로 관통되도록 에어유입관(7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에어유입관(70)에는 에어의 유입을 검출하는 에어검출기(80)와 공급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밸브(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에어검출기(80)는 반원형상의 외통(81) 내부에 회전축(8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의 외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회전날개(8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82)의 일측에는 회전판(8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84)의 일측에는 검출편(85)이 설치되어 있고 이의 일측에는 회전판(84)의 회전을 감지하는 검출센서(9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직슈트(3)에 부착탄(C)이 고착되면 부착탄 제거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부착탄(C)을 제거하게 되며 상기 부착탄(C)을 제거하는 과정을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직슈트(3)의 내측둘레면에 부착탄(C)이 발생하게되면 에어유입관(70)이 차단되어 회전축(82)이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검출센서(90)는 부착탄(C)이 발생되었음을 감지하게 되어 구동모터(10)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0)가 구동되어 발생된 회전력은 감속기(20)에서 감속되어 이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판(40)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회전판(40)에 설치된 체인(50)이 함께 회전되며 상기 체인(50)은 도 4에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하부에 설치된 균형추(60)에 의해서 균형이 유지됨과 동시에 중앙부에 설치된 파쇄구(51)는 수직슈트(3)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된 부착탄(C)을 파쇄하게 된다.
이와같이 부착탄(C)이 파쇄되면 에어유입관(70)을 통하여 에어가 유입하게 되어 검출센서(90)에서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출센서(90)에서 에어의 유입을 검출하게 된후 원료탄공급기(1)의 상부에 설치된 습도계(30)에서 검출되는 습도가 적정습도(약 7%)이하이면 구동모터(10)는 정지되어 원료탄을 원활하게 공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원료탄 공급기와 밀 사이에 설치된 수직슈트에 고착착되는 부착탄을 조기에 검출, 제거하고 원료탄 공급기내의 습도 변화에 따라 수직슈트내 부착탄 생성을 방지하여 안정된 미분탄 제조조업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원료탄을 공급하는 원료탄공급기(1)와 공급된 연료탄을 미분탄으로 제조하는 밀(Mill)의 사이에 설치된 수직슈트(3)의 내측둘레면에 고착되는 부착탄(C)을 제거하는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료탄공급기(1)의 상면에 설치되며 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기(20)가 구비된 구동모터(10)와, 상기 감속기(20)에 설치된 회전판(40)에 편심 설치되며 끝단에는 균형추(60)가 설치된 체인(50)과, 상기 체인(5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부착탄(C)을 파쇄하는 파쇄구(51)와, 상기 수직슈트(3)의 내부와 관통되도록 설치된 에어유입관(70)과, 상기 에어유입관(70)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에어를 검출하는 검출센서(90)가 구비된 에어검출기(80)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하는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KR2019980005274U 1998-04-06 1998-04-06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KR199900391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274U KR19990039153U (ko) 1998-04-06 1998-04-06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274U KR19990039153U (ko) 1998-04-06 1998-04-06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153U true KR19990039153U (ko) 1999-11-05

Family

ID=6951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274U KR19990039153U (ko) 1998-04-06 1998-04-06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915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16B1 (ko) * 2001-06-15 2007-07-30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저장조 내부의 부착탄 제거장치
KR100879862B1 (ko) * 2001-12-20 2009-01-2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내벽의 부착물 제거장치
KR101378600B1 (ko) * 2012-12-26 2014-05-14 주식회사 포스코 저장조 내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2144217B1 (ko) * 2019-03-22 2020-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누적광 제거용 슈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416B1 (ko) * 2001-06-15 2007-07-30 주식회사 포스코 석탄 저장조 내부의 부착탄 제거장치
KR100879862B1 (ko) * 2001-12-20 2009-01-22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내벽의 부착물 제거장치
KR101378600B1 (ko) * 2012-12-26 2014-05-14 주식회사 포스코 저장조 내부의 부착광 제거장치
KR102144217B1 (ko) * 2019-03-22 2020-08-12 현대제철 주식회사 누적광 제거용 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5759B2 (en) Method for minimizing damage to a waste fragmentation machine
CN208260947U (zh) 一种矿石磨粉机
CN112044533A (zh) 一种智能立磨装置及其磨制方法
CN112387365A (zh) 一种高效的智能化破碎机
JP6057146B2 (ja) 粉砕システム
CN215843153U (zh) 一种液压强度可调的节能型模块化矿石破碎设备
KR19990039153U (ko)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CN107876149A (zh) 一种防进出口堵塞的锤式破碎机
KR20040101910A (ko)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의 제어방법
JP2021517514A (ja) 金属材料用の向上した安全性を有する可動式シュレッダ
CN100368092C (zh) 粉碎方法
CN107650299A (zh) 胶料粉碎联动生产装置
CN112371257A (zh) 一种固体废弃物防扬尘反击式粉碎装置
CN111453447A (zh) 在线岩棉废棉的回收装置
US11980892B2 (en) Horizontal grinder with upward rotating mill and contamination bypass
KR200198174Y1 (ko)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CN215389903U (zh) 一种用于矿石仓库的颚式破碎机
KR20070119181A (ko) 콘크리트 폐재 재생처리 설비
CN218478095U (zh) 一种皮带机进料口的纵向撕裂防护装置
CN213975770U (zh) 一种生物料处理传送装置
CN206152879U (zh) 一种负压煤样破碎装置
CN215085830U (zh) 高岭土加工车间用除尘器的卸料器
CN217431881U (zh) 一种在机盖上设置有固定破碎工作板的大间距破碎装置
CN108262139B (zh) 一种用于煤炭开采的破碎方法
CN218902150U (zh) 一种防堵塞气流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