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040A -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040A
KR19990039040A KR1019970058989A KR19970058989A KR19990039040A KR 19990039040 A KR19990039040 A KR 19990039040A KR 1019970058989 A KR1019970058989 A KR 1019970058989A KR 19970058989 A KR19970058989 A KR 19970058989A KR 19990039040 A KR19990039040 A KR 19990039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elevator
fram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8408B1 (ko
Inventor
황현주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7005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4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4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을 엘리베이터 카프레임에 설치하고 1차측을 엘리베이터 카 도어의 무게 중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함과 더불어 1차측을 별도의 이동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하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의 확대를 억제하고 추력과 수직력에 의한 회전 토크의 발생을 제거하여 건물에 설치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별도의 수동개폐를 위한 장치를 고안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전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니어 모터의 2차측 전도판 길이의 증대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 면적의 확대와 1차측의 고정되고 2차측 전도판이 도어를 구동하여 발생되는 모우멘트 암의 길이 변화에 따른 도어 무게 중심에 대한 회전 토오크의 발생과 이를 상쇄하기 위한 역토오크 발생을 위한 제어를 필요성을 해소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다층으로 이루어진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물건을 원하는 층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이 엘리베이터에서 도어 구동장치는 승객이 탑승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특정 층에 도착했을때 안전하게 승객이 내리고 탈수 있도록 카의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현재 대부분의 엘리베이터에 적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는, 그 일예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회전형 모터(1)와, 이 회전형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도어를 구동하기 위한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수개의 링크로 이루어지는 링크시스템(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통, 엘리베이터의 도어(D)는 두 개의 도어(D)로 이루어져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링크시스템(2)이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링크시스템(2)이 직선운동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최적화된 링크의 길이의 산출과 함께 정밀한 조립이 요구된다. 또한 이 링크시스템(2)을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카가 고속으로 주행 중 도어(D)의 떨림 현상이 발생되어 승객으로 하여금 불안감이나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이 한계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직접 구동 방식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가 제안되었다. 아직까지 일반적으로 리니어 모터(선형 동기 모터, 선형 유도 모터)는 제작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 비교적 제작 단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한 선형유도 모터(LIM; Linear Induction Motor)를 도어(D) 구동에 응용하고 있다.
도 2,3,4는 상기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기존의 도어 구동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미국 오티스 엘리베이터사에서 제안한 것이다(US PAT. 5,373,120).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는 대부분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프라이머리(Primary)라고 하는 1차측 모터(3)을 엘리베이터 카프레임(F)에 설치하고, 센커더리(Secondary)라고 하는 2차측 전도판(4)을 도어(D)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2차측 전도판(4)은 걸음수단(H)에 의해 도어(D)에 결합되어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걸음수단(H)이 부착된 왼쪽 엘리베이터 도어(D)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으로, 상기 걸음수단(H)은 소정의 면적을 갖으며 절곡 형성된 행거(5)와 상기 행거(5)에 결합되는 상부롤러(6)와 하부롤러(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행거(5)의 일측은 2차측 전도판(4)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도어(D)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5)에 결합된 상,하부롤러(6,7)는 카프레임(F)의 일측에 결합된 도어트랙(8)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 모터의 상측에는 리니어 모터에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9)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는 카프레임(F)에 설치된 1차측 모터(3)에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원이 인가되면,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전기장이 형성되어 2차측 전도판(4)은 1차측 모터(3)에 대하여 움직이게 된다. 2차측 전도판(4)의 움직임은 이에 연결된 걸음수단(H)에 의해 도어(D)에 전달되어 도어(D)가 움직이게 되며, 이로 인하여 도어(D)의 개폐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걸음수단(H)에 결합된 상,하부롤러(6,7)가 도어 트랙(30)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도어(D)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도어 구동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는 1차측 모터(3)가 고정되고 2차측 전도판(4)이 카 도어(D)에 연결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가 운행하는 승강로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통상 1차측 모터(3)가 고정되고 2차측 전도판(4)이 구동되는 방식에 있어서 2차측 전도판(4)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전도판 길이=도어의 이동거리인 스트로크(STROKE)+1차측 모터 길이
따라서, 종래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D)를 구동하는 도어 구동장치는 기존 링크시스템(2)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그림 1)에 비하면, 도 6a,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측 모터(3) 길이 만큼 도어(D) 끝 부분이 돌출되어 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승강로 또한 그만큼 열림 방향으로 커져야 한다. 이는 엘리베이터 운용에 필요한 승강로의 코어 면적 증가로 이어지게 되며, 이것은 효율적인 건물 공간 이용 측면에서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1차측이 고정되어 2차측을 구동하는 구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와 카프레임(F) 등 여러 부분에 힘이 작용하게 되며, 이 작용하는 힘들은 도어(D) 개폐시에 도어(D)의 개폐량에 따라 도어(D)의 무게 중심에 걸리는 회전토오크(TORQUE)가 변화하게 되어 도어(D)의 가감속시 도어(D)의 떨림을 발생시키고, 걸음수단(H)에 결합된 롤러(6,7)들에 작용하는 힘들이 큰 범위내에서 변동하게 되어 롤러들(6,7)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도 8은 도어의 개폐량에 따른 토오크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어(D)의 개폐 정도에 따른 토오크의 변화는 먼저, 1차측 모터(3)에 도어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도어(D)를 구동하기 위한 추력(Flin)과 1차측 모터(3)와 2차측 전도판(4) 사이에 수직력(Fn)이 작용하게 된다. 이 수직력과 추력의 관계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수직력은 통상 추력의 설계에 따라 0.5~10배의 크기를 갖는다. 종래 기술 구성은 추력과 수직력을 발생시키는 1차측 모터의 위치가 고정되어, 도어(D)가 움직일때 그림 7에서와 같이 Xlin이 변하므로 이때 도어(D)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발생되는 회전 토크(Tn)는 다음과 같이 된다.
Tn=Fn·Xlin
따라서, 카 도어(D)가 1차측 중심에 왔을 때 Tn은 0이므로, 도 8과 같은 회전 토크 선도가 나오고, 수직력에 대한 회전 토크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은 역 토크를 추력에서 발생되도록 제어를 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기술 구성은 그림 5와 같이 오픈 루우프(Open-Loop) 제어와 클로오즈 루우프(Closed-Loop) 제어를 위한 제어기가 필요하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도어(D)의 작동이 짧은 시간내에 도어(D)의 개폐와 역전등을 하는 것을 고려할때, 높은 제어 성능을 갖는 제어기를 필요로 하게 되고, 1차측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복잡하게 하여, 1차측의 열화가 예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성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니어 모터의 2차측 전도판(4) 길이의 증대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 면적의 확대와 1차측(3)이 고정되고 2차측 전도판(4)이 도어(D)를 구동하여 발생되는 모우멘트 암의 길이 변화에 따른 도어 무게 중심에 대한 회전 토오크의 발생과 이를 상쇄하기 위한 역토오크 발생을 위한 제어기의 필요성을 해소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도어 구동장치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도어 구동장치의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도어 구동장치에서 구동부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6a는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2차측 길이에 의한 승강도 공간증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b는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2차측 길이에 의한 승강로 공간증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종래 엘리베이터의 도어를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도어 구동장치에서 힘의 평행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도어의 개폐 정도에 따른 토크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리니어 모터의 추력과 수직력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제10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c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를 부분 확대 단면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0d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를 부분 확대 단면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도어 제어 순서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4c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부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부분 확대 단면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16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을 도시한 평면도.
도 18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20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20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21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힘의 평형 및 이에 대한 각 부품의 길이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21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에 로터리 엔코더를 부착하여 모델링한 자유도.
도 22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2b는 도 22a의 V-V' 단면도.
도 23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의 중간 열림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3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수동개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어의 닫힘상태를 정면도.
도 24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4b는 본 발명이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도어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4c는 상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리니어 모터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6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이에 사용되는 모터를 선형 동기형 리니어 모터를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6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 이에 사용되는 모터를 선형 동기형 리니어 모터를 사용한 상태를 부분 확대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1차측 모터 4 : 2차측 전도판
10 : 제1프레임 11 : 제2 프레임
12 : 제1연결부재 13 : 제1가이드부재
14,14' : 가이드레일 18 : 제3프레임
18a : 제3프레임의 상면판 19 : 1차측 모터커버
20 : 제2연결부재 21 : 제2가이드부재
24 : 제4프레임 24b : 제4프레임의 하면판
25 : 제3연결부재 26 : 가이드블럭
27 : 무빙테이블 28 : 스프링
29 : 고정핀 30 : 토크리미터
31 :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 32,32' : 질량체
33 : 제1링크부재 38 : 로타리 엔코더
39 : 회전질량부재 40 : 가이드 링크
40a : 회전질량부재의 가이드홈 41 : 제2링크부재
42 : 제2링크부재의 롤러 44 : 제3링크부재
45 : 제4링크부재 46 : 제5링크부재
47 : 제6링크부재 48 : 제7링크부재
D : 엘리베이터의 도어 D' : 제1도어
D" : 제2도어 F : 카프레임
H' : 제1걸음수단 H" : 제2걸음수단
M,M' : 이동수단 R,R',R" : 롤러
R'" : 측면지지롤러 S : 고정수단 가이드홈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상측으로 도어가 열리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그 하측으로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과, 상기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을 따라 좌우로 구동되는 1차측 모터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 모터의 하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하부에 각각 롤러가 결합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각각 접촉, 지지되어 1차측 모터의 구동에 의해 함께 구동되면서 1차측 모터의 구동을 안정되도록 지지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의 구동력을 도어에 전달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와 함게 움직이면서 도어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1걸음수단과, 상기 제1걸음수단의 움직임을 안내,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롤러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롤러는 상기 제1프레임의 하면에 접촉되어 2차측 전도판과 1차측 모터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도어 가로 길이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 단부는 도어 세로 길이의 중심 아래로 위치하도록 도어에 결합되며, 결합되는 곳은 두군데 이상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는 디귿자 형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이치(H) 형강 형상인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의 상면판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과,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롤러가 결합되어 양단부에 결합된 롤러사이가 제3프레임의 상면 양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내측에 상기 2차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2차 전도판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과 함께 구동하는 1차측 모터와, 상기 이동수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의 구동력을 도어에 전달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2걸음수단과,상기 제2걸음수단의 움직임을 안내,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하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수단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3프레임의 상면 양측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면지지롤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걸음수단의 길이는 도어의 가로폭과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상면판이 결합되는 에이치(H) 형강 형상인 제4프레임과, 상기 제4프레임의 하면판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과,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롤러가 결합되어 양단부에 결합된 롤러사이가 제4프레임의 하면판 양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2차 전도판의 하측에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의 내측에 결합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2차 전도판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과 함께 구동하는 1차측 모터와, 상기 이동수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의 구동력을 도어에 전달하는 제3연결부재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2걸음수단과, 상기 제2걸음수단의 움직임을 안내,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수단의 양단부에 상기 제4프레임의 하면판 양측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면지지롤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걸음수단의 길이는 도어의 가로폭과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이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도어가 닫힘시 도어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카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무빙테이블과, 상기 무빙테이블과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무빙테이블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엑츄에이터의 일측에 결합되어 무빙테이블의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과,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무비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무빙테이블의 이동시 상기 고정핀에 형합됨에 의해 도어를 고정하고 열게 되는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무빙테이블의 이동방향은 도어의 이동방향과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SOLENOID ACTUATO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내측에 직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카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수단과, 소정의 질량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질량체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측과 질량체를 연결하여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질량체가 슬라이딩되도록 도어의 구동력을 질량체에 전달하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가이드홈이 도어의 움직임 방향에 수직에 위치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는 일측이 상기 질량체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도어의 세로 중심선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으며 내측에 직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일측은 도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소정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가 결합된 회전질량부재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카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질량부재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의 단부에는 롤러가 결합되어 가이드홈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도어측에 결합되는 회전질량부재의 일측은 도어의 세로 중심선상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리니어 모터를 이루며 도어의 상측에 위치하는 카프레임에 결합되는 2차 전도판과,상기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을 따라 구동되는 1차측 모터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1차측 모터에 결합되며 1차측 모터와 함께 움직이는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의 일측 단부와 두 개의 도어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1도어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의 타측 단부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2도어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은 도어의 개폐방향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3링크부재가 1차측 모터에 결합시 제3링크부재의 가운데 부분이 1차측 모터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4링크부재와 제5링크부재의 길이는 같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리니어 모터를 이루며 도어의 하측에 위치하는 카프레임에 결합되는 2차측 전도판과, 상기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을 따라 구동되는 1차측 모터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두 개의 도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1도어 하부 일측과 상기 1차측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6링크부재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2도어 하부 일측과 1차측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7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은 도어의 개폐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6링크부재와 제7링크부재의 길이는 같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는, 도 10a, 10b, 10c,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카 도어(D) 상측으로 도어(D)가 열리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10)과, 상기 제1프레임(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그 하측으로 설치되는 제2프레임(11)과, 상기 제1프레임(1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4)과, 상기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좌우로 구동되는 1차측 모터(3)과, 상기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11)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 모터(3)의 하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하부에 각각 롤러가 결합되어 제1프레임(10)과 제2프레임(11)에 각각 접촉,지지되어 1차측 모터(3)의 구동에 의해 함께 구동되면서 1차측 모터(3)의 구동을 안정되도록 지지하는 이동수단(M)와, 상기 이동수단(M)과 도어(D)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3)의 구동력을 도어(D)에 전달하는 제1연결부재(12)와, 상기 도어(D)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D)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D)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1걸음수단(H')과, 상기 제1걸음수단(H')의 움직임을 안내,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재(13)와, 상기 도어(D)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D)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10)은 단면이 기억자형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이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2차측 전도판(4)은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의 내측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4)은 철판과 알루미늄판 등이 겹쳐진 구조로 외부에서 전류가 인가되며 전류 인가시 표면 전류인 와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프레임1(11)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프레임(11)의 상면에 가이드레일(14)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수단(M)은 상기 제1프레임(10)과 상응하도록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몸체(15)의 하부에 수개의 주행롤러(R)가 결합되며, 이 주행 롤러(R)는 롤러홀더(16)에 의해 지지, 결합되고, 이 주행롤러(R)는 가이드레일(14)상을 움직이게 된다. 상기 주행롤러(R)는 하면 모서리에 4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15)의 상면에는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1차측 모터(3)가 결합되며, 이 1차측 모터(3)는 상기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된다. 그리고 몸체(15)의 상부에 상기 제1프레임(10)의 하면과 접촉되어 구르는 공극유지롤러(R')가 롤러홀더(16')에 의해 결합되며, 이 공극유지롤러(R')는 2차측 전도판(4)과 1차측 모터(3)사이의 공극을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2)는 단면이 니은자 형강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2)는 일측이 이동수단(M)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도어(D) 가로 길이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 단부는 도어(D) 세로 길이의 중심 아래로 위치하도록 도어(D)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결부재(12)가 도어(D)에 결합되는 부분은 작용하는 힘의 분포를 위해 두군데 이상이 고정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13)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도어(D)의 상측에 도어(D)의 개폐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걸음수단(H')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제1행거브라켓(17)과 이 제1행거브라켓(17)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개의 행거롤러(R")로 구성되며, 이 제1행거브라켓(17)의 하부는 도어(D)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행거롤러(R")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13)에 주행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행거롤러(R")는 수평 선상으로 두 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작동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엘리베이터 도어(D)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로부터 작동시그널이 전달되면 리니어 모터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어 1차측 모터(3)가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움직이게 되며, 이 1차측 모터(3)의 움직임에 의해 1차측 모터(3)과 결합된 이동수단(M)이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공극유지롤러(R')에 의해 1차측 모터(3)가 2차측 전도판(4)과의 일정 공극을 유지하면서 구동하게 된다. 상기 1차측 모터(3)와 이동수단(M)이 구동함에 따라 이에 결합된 제1연결부재(12)에 의해 구동력이 도어(D)에 전달되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를 구동시키 열게 된다. 상기 도어(D)는 구동시 제1걸음수단(H')에 의해 안내되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제어기의 지령에 따라 1차측 모터(3) 및 이동수단(M)이 최대 가감속 시간과 최대 주행 속도에 따라 가감속 가속도로 주행을 하게 되는데, 도어(D)가 닫히는 도중에 장애물이 감지되면 역전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며, 장애물이 제거되면 다시 역전 동작에 의해 도어(D)가 닫히게 된다. 상기 장애물을 감지하는 것은 장애물 센서(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며, 또한 포지션 피드백(POSITION FEED BACK)은 포지션 센서(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의 도어(D)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a, 14b,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이치(H)형강 형상인 제3프레임(18)과, 상기 제3프레임(18)의 상면판(18a)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4)과,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19)의 양단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주행롤러(R)가 결합되어 이 양단부에 결합된 주행롤러(R)사이가 제3프레임(18)의 상면판(18a) 양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단(M')과, 상기 이동수단(M')의 내측에 상기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M')가 함께 구동하는 1차측 모터(3)와, 상기 이동수단(M')과 도어(D)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3)의 구동력을 도어(D)에 전달하는 제2연결부재(20)와, 상기 도어(D)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D)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D)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2걸음수단(H")과, 상기 제2걸음수단(H")의 움직임을 안내,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재(21)와, 상기 도어(D)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D)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3프레임(18)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도어(D)의 개폐방향과 같도록 하면판(18b)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2차측 전도판(4)은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고, 외부에는 전류가 인가될 때 표면 전류인 와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4)은 백아이론(BACK IRON)이 사용된다.
상기 이동수단(M')은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19)와, 상기 1차측 모터커버(19)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주행롤러(R)로 구성되며, 상기 주행롤러(R)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1차측 모터커버(19)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동수단(M')은 한쌍으로 이루어진 주행롤러(R)가 제3프레임(18)의 상면판(18a) 양단부에 각각 맞물려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1차측 모터커버(19)의 내측면에 1차측 모터(3)가 결합되며, 이 1차측 모터(3)는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공극을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21)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도어(D)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카프레임에 도어(D)의 개폐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2걸음수단(H")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제2행거브라켓(22)과 이 제2행거브라켓(22)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개의 행거롤러(R")로 구성되며, 이 제2행거브라켓(22)의 하부는 도어(D)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행거롤러(R")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21)에 주행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걸음수단(H")의 제2행거브라켓(22)길이는 도어(D)의 폭과 상응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거롤러(R")는 수평 선상으로 두 개 결합된다.
상기 제2연결부재(2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으며 기억자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이동수단(M')의 1차측 모터커버(19)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행거브라켓(22)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M')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3프레임(18)의 상면판(18a) 양측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면지지롤러(R"')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지지롤러(R"')는 니은자형의 연결브라켓(23)에 의해 1차측 모터커버(19)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의 도어 구동장치 작동은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구동장치의 제어 흐름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리니어 모터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1차측 모터(3)가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구동되며, 상기 1차측 모터(3)가 구동됨에 의해 이에 결합된 이동수단(M')이 함께 제3프레임(18)을 따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M')은 주행롤러(R)가 제3프레임(18)의 상면판(18a) 양단부에 지지되면서 구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측 모터(3)와 이동수단(M')의 구동력은 제2연결부재(20)를 통해 도어(D)에 전달되며 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도어(D)가 개폐된다. 상기 도어(D)는 구동시 제2걸음수단(H"')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어 구동된다.
상기 측면지지롤러(R"')가 결합된 구조에서는 이동수단(M')이 측면에서 지지되어 측면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M')의 구동을 안정되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도 16a,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상면판이 결합되는 에이치(H) 형상 형상인 제4프레임(24)과, 상기 제4프레임(24)의 하면판(24b)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4)과,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19)의 양단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이 주행롤러(R)가 결합되어 양단부에 결합된 주행롤러(R)사이에 제4프레임(24)의 하면판(24b) 양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단(M')과, 상기 2차측 전도판(4)의 하측에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수단(M')의 내측에 결합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M')과 함께 구동하는 1차측 모터(3)와, 상기 이동수단(M')과 도어(D)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3)의 구동력을 도어(D)에 전달하는 제3연결부재(25)와, 상기 도어(D)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D)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D)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2걸음수단(H")과, 상기 제2걸음수단(H")의 움직임을 안내,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재(21)와, 상기 도어(D)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D)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4프레임(24)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도어(D)의 개폐방향과 같도록 상면판(24a)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2차측 전도판(4)은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고, 외부에서 전류가 인가될 때 표면 전류인 와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차측 전도판(4)의 백아이론(BACK IRON)은 하면판(24b)이 사용된다.
상기 이동수단(M')은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19)와, 상기 1차측 모터커버(19)의 하면판(19a)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주행롤러(R)로 구성되며, 상기 주행롤러(R)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1차측 모터커버(19)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이동수단(M')은 한쌍으로 이루어진 주행롤러(R)가 제4프레임(24)의 하면판(24b) 양단부에 각각 맞물려 결합되어 제4프레임(24)의 하면판(24b) 하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1차측 모터커버(19)의 내측면에 1차측 모터(3)가 결합되며, 이 1차측 모터(3)는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공극을 유지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1차측 모터(3)는 2차측 전도판(4)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21)와 제2걸음수단(H")은 상기 서술한 구조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제3연결부재(25)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같으며 기억자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이동수단의 1차측 모터커버(19)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2걸음수단의 제2행거브라켓(22)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M')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4프레임(18)의 하면판(24b) 양측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면지지롤러(R"')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지지롤러(R"')는 니은자형의 연결브라켓(23)에 의해 1차측 모터커버(19)의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도어 구동장치의 구조에서 1차측 모터(3)를 2차측 전도판(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리니어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1차측 모터(3)와 2차측 전도판(4)사이에 수직력(인력)이 작용할 때 1차측 모터(3)와 도어(D)의 무게로 수직력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의 도어 구동장치 작동은 위에서 서술한 다른 실시예로서의 도어 구동장치의 작동과 같은 과정으로 도어(D)를 구성시키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도어(D)를 개폐하는 위해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게 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중 도어(D) 전원이 끊어지는 비상시와 같은 경우 도어(D)를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이 설치되며, 이 수동개폐수단은 법적으로 규정된 힘에 의해 개폐가 가능해야 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도 18a,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D)가 닫힘시 도어(D)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카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럭(26)과, 상기 가이드블럭(26)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무빙테이블(27)과, 상기 무빙테이블(27)과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무빙테이블(27)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 결합되어 무빙테이블(27)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28)과, 상기 도어(D)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핀(29)과, 상기 무빙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무빙테이블의 이동시 상기 고정핀에 형합됨에 의해 도어(D)를 고정하고 열게 되는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럭(26)은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는 육면체의 형태로 양측에 가이드홈(26a)이 형성되며, 이는 도어(D)의 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도어(D)의 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무빙테이블(27)은 소정의 면적과 두께를 갖는 육면체의 형태로 상기 가이드블럭(26)에 형합되어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SOLENOID ACTUATOR)(3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이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31)는 상기 무빙테이블(27)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무빙테이블(27)에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테이블(27)과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31)사이에는 무빙테이블(27)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28)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핀(29)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핀으로 형성되며 도어(D)의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토크 리미터(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판형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핀(29)의 직경과 형합되는 반원홈(30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토크 리미터(30)는 상기 무빙테이블(27)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토크 리미터(30)는 일정 회전력(TORQUE)이상이 가해져야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의 작동은, 먼저 전원이 공급되는 정상상태에서 특정 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가 도어(D)를 열게 될 경우,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31)가 작동하여 무빙테이블(27)을 뒤로 이동시키게 되고, 무빙테이블(27)의 이동이 완료되면 도어(D)는 리니어 모터에 의해 열림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D)가 닫히는 경우, 도어(D)가 완전히 닫히게 되는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31)에 전원이 끊기면서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31)와 무빙테이블(27)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무빙테이블(27)이 앞으로 이동하면서 토크 리미터(30)의 반원홈(30a)이 도어(D)에 결합된 고정핀(29)에 형합되면서 도어(D)를 락(LOCK)하게 된다.
또한,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전원이 끊어질 경우, 엘리베이터 카내부에 있는 승객이 도어(D)를 열게 되면 고정핀(29)과 결합된 토크 리미터(30)가 회전하면서 도어(D)의 고정상태가 풀려 도어(D)가 열리게 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개폐수단은 내측에 직선형의 가이드홈(S)이 형성되어 카프레임(F)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수단(G)과, 소정의 질량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의 가이드홈(S)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질량체(32)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D)측과 질량체(32)를 연결하여 도어(D)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질량체(32)가 슬라이딩되도록 도어(D)의 구동력을 질량체(32)에 전달하는 제1링크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도 20a,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가이드 지지블럭(34)의 상,하부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35)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35)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 가이드홈(S)이 형성되도록 가이드(35)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G)은 가이드홈(S)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도어(D)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질량체(32)는 육면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S)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33)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상기 질량체(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도어(D)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제1링크부재(33)의 양단부가 질량체(32)와 도어(D)에 결합시 핀(37)과 베어링(36)에 의해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38은 도어(D)의 위치 및 속도 제어에 사용하기 위해 설치된 로터리 앤코더이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의 작동은 먼저, 전원이 공급되는 정상상태에서 리니어 모터에 의해 도어(D)가 구동되면 도어(D)의 움직임은 제1링크부재(33)에 의해 질량체(32)에 전달되고 이 전달된 구동역에 의해 질량체(32)가 가이드홈(S)을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하여 중간 지점에 이르기까지 상기 질량체(32)가 상승함에 의해 도어(D)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중간 지점이후부터는 질량체(32)가 하강하면서 도어(D)를 구동하는 리니어 모터의 부하를 줄여 주게 된다.
또한,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전원이 끊어질 경우, 엘리베이터 카내부에 있는 승객이 초기에 일정한 힘으로 도어(D)를 일정 거리 열게 되면 중간 지점 이후부터는 질량체(32)의 하강에 의해 도어(D)가 자동적으로 열리게 된다.
상기 수동개폐수단을 설계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먼저 도 21를 참고로 하여설명하면, 도어(D)를 제외한 수동개폐수단의 힘 평형 방정식과 제1링크부재(33)의 질량중심(MASS CENTER)에서의 모우멘트 평형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FX=F-N=0
∴F=N
∑M=2F-0.5L COSθ W
여기서 제1링크부재(33)의 질량을 무시하고 질량체(32)와 가이드홈(S)사이의마찰을 무시하면 모우멘트를 0이라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F=0.25L COSθ W가 된다.
또한, 전체 기하학적 관계를 고려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SV=L-SINθ,
Sh=2L COSθ0
위식에서 θ0는 제1링크부재(33)의 초기의 각(INITIAL CONFIGURATION ANGLE)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기 수평방향(도어의 열림량)의 스트로크(STROKE)가 정해지면 적절한 제1링크부재(33)의 초기각의 길이를 산정하고 이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질량체의 운동 범위를 설정하여 수동개폐수단을 설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수동개폐수단의 회전 부위에 로터리 엔코더를 부착하여, 도어 움직임에 대한 로터리 엔코더의 펄스를 제어함으로써, 도어에 대한 위치 및 속도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엔코더의 회전 변위를 도어의 이동변위로 치환하기 위한 기구학 해답은,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델링하고 그 해답식은 다음과 같다.
1) θy0-△θ(θ0; Initial configuration angle-45°, △θ; 엔코더에서 읽은 펄스량),
2) Lsinθy+X=Lsinθ0=Lsin45°(L은 수동개폐수단와 도어 사이를 연결하는 링크 길이).
위의 두식으로 부터 도어의 이동량(X)과 로터리 엔코더의 펄스량(△θ)사이의 관계를 유도하면 다음과 같다.
t1
t2
이 결과를 도어 제어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폐량 제어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상기 수동개폐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 22a,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동개폐수단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으며 내측에 직선형의 가이드홈(40a)이 형성되어 일측은 도어(D)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 소정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32')가 결합된 회전질량부재(39)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카프레임(F)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질량부재(39)의 가이드홈(40a)에 슬라이딩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질량부재(39)는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내부에 직선형 가이드홈(40a)이 형성된 가이드링크(40)와 이 가이드링크(40)의 일측 단부에 소정의 부피와 무게를 갖는 질량체(32')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D)측에 결합되는 회전질량부재(30)의 일측은 도어(D)의 세로 중심선상에 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41)의 일측 단부에는 롤러(42)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링크(40)의 가이드홈(40a)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에는 베어링(43)과 함께 결합되어 카프레임(F)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동개폐수단의 작동은 먼저, 전원이 공급되는 정상상태에서 리니어 모터에 의해 도어(D)가 구동되면 도어(D)의 움직임과 함께 회전질량부재(39)가 제2링크부재(41)에 의해 구속되면서 도어(D)에 결합된 포인트를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이동하여 중간 지점에 이르기까지는 회전질량부재(39)의 질량체(32')가 도어(D)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지만 중간 지점이후부터는 질량체(32')가 하강하면서 도어(D)를 구동하는 리니어 모터의 부하를 줄여주게 된다. 상기 도어(D)가 중간 지점에 이르게 되면 회전질량부재(39)는 수직상태에 이르게 된다. 도 23a는 도어(D)가 중간 지점에 이르렀을 때 회전질량부재(39)가 수직상태가 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3b는 도어(D)가 완전 열린 상태에서 회전질량부재(39)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어(D)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D) 전원이 끊어질 경우, 엘리베이터 카내부에 있는 승객이 초기에 일정한 힘으로 도어(D)를 일정 거리 열게 되면 중간 지점 이후부터는 질량체의 하강에 의해 도어(D)가 자동적으로 열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어 구동장치는, 도 24a,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리니어 모터를 이루며 도어(D)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카프레임(F)의 일측에 결합되는 2차측 전도판(4)과, 상기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구동되는 1차측 모터(3)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1차측 모터(3)에 결합되며 1차측 모터(3)와 함께 움직이는 제3링크부재(44)와, 상기 제3링크부재(44)의 일측 단부와 두 개의 도어(D)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도어(D)의 제1도어(D')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부재(45)와, 상기 제3링크부재(44)의 타측 단부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2도어(D")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링크부재(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4)의 도어(D)의 개폐방향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카프레임(F)에 설치된다. 상기 1차측 모터(3)와 2차측 전도판(4)은, 도 2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측 모터(3)와 2차측 전도판(4)사이의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도록 공극유지 롤러(R')가 결합되며, 또한 1차 모터(3)가 2차측 전도판(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4')이 결합된다.
상기 제3링크부재(44)는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 제3링크부재(44)가 1차측 모터(3)에 결합시 가운데 부분이 1차측 모터(3)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4링크부재(45)와 제5링크부재(46)의 길이는 같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 제4,5링크부재(45,46)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3링크부재(44)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두 개의 도어(D)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구동장치의 작동은 먼저, 도어(D) 오픈(OPEN)시 리니어 모터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1차측 모터(3)가 구동하여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상승,이동하게 된다. 상기 1차측 모터(3)가 상승함에 따라 1차측 모터(3)의 구동력이 제3링크부재(44)와 제4,5링크부재(45,46)에 전달되어 제4,5링크부재(45,46)가 벌어지면서 도어(D)를 구동시켜 도어(D)를 오픈시키게 된다. 도어(D)가 닫히는 경우, 1차측 모터(3)가 구동하여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하강, 이동하게 되면 1차측 모터(3)가 하강함에 따라 차측 모터(3)의 구동력이 제3링크부재(44)와 제4,5링크부재(45,46)에 전달되어 제4,5링크부재(45,46)가 오므라들면서 도어(D)를 구동시켜 도어(D)를 닫게 된다. 이때 1차측 모터(3)의 하중에 의해 리니어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어(D) 전원이 단전될 경우, 카내부에 있는 승객이 도어(D)를 열게 되면 상기 1차측 모터(3)가 질량체로 작용하게 되어 일정한 힘이상을 가해야 도어(D)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별도의 수동개폐수단을 장착하지 않고 수동개폐가 가능하게 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도어 구동장치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리니어 모터를 이루며 도어(D)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카프레임(F)에 결합되는 2차측 전도판(4)과, 상기 2차측 전도판(4)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구동되는 1차측 모터(3)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두 개의 도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1도어(D') 하부 일측과 상기 1차측 모터(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6링크부재(47)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2도어(D") 하부 일측과 1차측 모터(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7링크부재(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측 전도판(4)은 도어(D)의 개폐방향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카프레임(F)에 설치된다. 상기 1차측 모터(3)와 2차측 전도판(4)사이의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도록 공극유지 롤러(R')가 결합되며, 또한 1차측 모터(3)가 2차측 전도판(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4')이 결합된다.(도 24c를 참조).
상기 제6링크부재(47)와 제7링크부재(48)의 길이는 같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6,7링크부재의 일측은 도어(D)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측은 도어(D)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도어 구동장치의 작동은 먼저, 도어(D) 오픈(OPEN)시 리니어 모터에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1차측 모터(3)가 구동하여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상승, 이동하게 된다. 상기 1차측 모터(3)가 상승함에 따라 1차측 모터(3)의 구동력이 제7링크부재(47)와 제8링크부재(48)에 전달되어 제7,8링크부재(47,48)가 벌어지면서 도어(D)를 구동시켜 도어(D)를 오픈시키게 된다. 도어(D)가 닫히는 경우, 1차측 모터(3)가 구동하여 2차측 전도판(4)을 따라 하강, 이동하게 되면 1차측 모터(3)가 하강함에 따라 1차측 모터(3)의 구동력이 제7,8링크부재(47,48)에 전달되어 제7,8링크부재(47,48)가 오므라들면서 도어(D)를 구동시켜 도어(D)를 닫게 된다. 이때 1차측 모터(3)의 하중에 의해 리니어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도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카내부에 있는 승객이 도어(D)를 열게 되면 상기 1차측 모터(3)가 질량체로 작용하게 되어 일정한 힘이상을 가해야 도어(D)가 열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별도의 엘리베이터수동개폐수단을 장착하지 않고 수동개폐가 가능하게 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어 구동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가 선형 유도 모터형의 리니어 모터가 장착된 구조이며, 이 선형 유도모터형의 리니어 모터의 2차측 전도판(4)은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표면 전류인 와전류를 유발시키는 백아이론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26a,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구동장치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리니어 모터를 선형 동기 모터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이는 1차측 고정자(3')를 엘리베이터 카프레임(F)측에 고정하고 4개의 극(POLE)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된 2차측 가동자(4')를 엘리베이터 도어측(D)에 고정하여 구동함으로써, 구조의 간략화와 급전이 용이하고 선형 유도형 리니어 모터에 비해 큰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1차측 구조(3') 길이가 도어(D)의 열림량과 2차측 가동자(4')의 길이를 합한 것이 됨으로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의 크기가 확대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는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전도판(4)을 엘리베이터 카프레임(F)에 설치하고, 1차측을 엘리베이터 도어(D)와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도어(D)를 구동하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D)를 구동하는데 필요로 하는 길이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 면적의 확대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2차측 전도판(4)의 길이를 종래의 것 보다 줄여 구조의 간소화를 이루고, 이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1차측 모터(3)를 고정하고 2차측 전도판(4)을 도어(D)와 함께 구동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도어(D)의 무게 중심에 대한 회전 토크를 상쇄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를 필요로 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2차측 전도판(4)을 엘리베이터 카프레임(F)에 설치하고, 1차측 모터(3)를 엘리베이터카 도어(D)의 무게 중심의 상부에 설치함과 더불어 1차측을 별도의 이동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구동하게 됨으로써, 도어(D)를 걸어 지지하는 걸음수단이 도어(D) 자체의 무게만 지지하게 됨으로 걸음수단에 사용되는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고 차측 모터(3)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도어 시스템은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수동 개폐를 규정하고 있는데, 전원이 OFF 상태에서는 10~30kgf, 이고 전원이 ON 상태에서는 50kgf 이상으로 하고있다. 이 수동 개폐력(승객이 도어를 강제로 여는 힘)은 다음과 같이 항상 모터 측면에서 보면 부하로 작용한다.
도어 구동력=가감속력+수동개폐력+마찰력,
위 관계에서 보면, 가감속력은 도어(D)의 구동을 원하는 형태의 속도로 제어 하기 위한 힘이 되고, 수동 개폐력은 전술한 것과 같이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힘이 되며, 마찰력은 도어(D) 구동시 도어(D) 각부의 운동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말한다. 마찰력은 가감속력이나 수동 개폐력에 비하면 작은 값이다. 도 1에 제시한 종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에서는 감속 풀리에 의한 도어(D) 구동력의 증감이 손쉬우나 직접 구동 방식의 경우인 리니어 모터를 사용한 도어 구동장치에서는 모터의 출력이 커지지 않는 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된다. 따라서, 리니어 모터가 장착된 도어 구동장치에 있어서 설계상의 요점은 가능한한 모터에 직접 작용하는 부하를 줄여, 모터의 구동력이 도어(D)를 정확하게 개폐하게 하는데 작용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도 16, 17에 제시한 수동개폐수단은 이에 대한 적절한 구조이며, 또한 그외에 제시된 수동개폐수단들도 모터의 부하를 적절하게 적용하도록 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승강로의 확대를 억제하고 추력과 수직력에 의한 회전 토크의 발생을 제거하여 건물에 설치시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D)의 개폐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고, 또한 별도의 수동개폐를 위한 장치를 고안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안전한 엘리베이터 도어(D)를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상측으로 도어가 열리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그 하측으로 설치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과, 상기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을 따라 좌우로 구동되는 1차측 모터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1차측 모터의 하부에 결합됨과 더불어 상하부에 각각 롤러가 결합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각각 접촉, 지지되어 1차측 모터의 구동에 의해 함께 구동되면서 1차측 모터의 구동을 안정되도록 지지하는 이동수단와, 상기 이동수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의 구동력을 도어에 전달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1걸음수단과, 상기 제1걸음수단의 움직임을 안내, 지지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수단의 하부에 결합되는 롤러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상부에 결합되는 롤러는 상기 제1프레임의 하면에 접촉되어 2차측 전도판과 1차측 모터(3)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공극유지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도어 가로 길이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 단부는 도어 세로 길이의 중심 아래로 위치하도록 도어에 결합되며, 결합되는 곳은 두군데 이상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5.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이치(H)형강 형상인 제3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의 상면판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과,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롤러가 결합되어 양단부에 결합된 롤러사이가 제3프레임의 상면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의 내측에 상기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2차 전도판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과 함께 구동하는 1차측 모터와, 상기 이동수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의 구동력을 도어에 전달하는 제2연결부재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2걸음수단과, 상기 제2걸음수단의 움직임을 안내, 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양단부에는상기 제3프레임의 상면 양측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면지지롤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7.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상면판이 결합되는 에이치(H) 형강 형상인 제4프레임과, 상기 제4프레임의 하면판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며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는 2차측 전도판과, 단면이 디귿자형으로 형성된 1차측 모터커버의 양단부에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쌍의 롤러가 결합되어 양단부에 결합된 롤러사이가 제4프레임의 하면판 양단부에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2차 전도판의 하측에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수단의 내측에 결합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2차측 전도판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과 함께 구동하는 1차측 모터와, 상기 이동수단과 도어를 연결하여 1차측 모터의 구동력을 도어에 전달하는 제3연결부재와, 상기 도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도어와 함께 움직이면서 도어의 움직임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제2걸음수단과, 상기 제2걸음수단의 움직임을 안내,지지하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원이 단전될 경우 수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수동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양단부에 상기 제4프레임의 하면판 양측단부를 각각 지지하는 측면지지롤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도어가 닫힘시 도어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카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무빙테이블과, 상기 무빙테이블과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무빙테이블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 결합되어 무빙테이블에 복원력을 주는 스프링과,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핀과, 상기 무빙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무빙테이블의 이동시 상기 고정핀에 형합됨에 의해 도어를 고정하고 열게 되는 토크 리미터(TORQUE LIMITER)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테이블의 이동방향은 도어의 이동방향과 직각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 엑츄에이터(SOLENOID ACTUATOR)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2.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내측에 직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카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수단과, 소정의 질량을 가지며 상기 고정수단의 가이홈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질량체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측과 질량체를 연결하여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질량체가 슬라이딩되도록 도어의 구동력을 질량체에 전달하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구동력을 질량체에 전달하는 제1링크부재를 비롯한 회전부에는 로터리 엔코더를 설치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가이드홈이 도어의 움직임 방향에 수직에 위치하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는 일측이 상기 질량체의 중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도어의 세로 중심선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6.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개폐수단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으며 내측에 직선형의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일측은 도어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단부에 소정의 질량을 갖는 질량체가 결합된 회전질량부재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카프레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질량부재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제2링크부재의 단부에는 롤러가 결합되어 가이드홈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에 결합되는 회전질량부재의 일측은 도어의 세로 중심선상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19.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리니어 모터를 이루며 도어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카프레임에 결합되는 2차측 전도판과, 상기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을 따라 구동되는 1차측 모터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1차측 모터에 결합되며 1차측 모터와 함께 움직이는 제3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의 일측 단부와 두개의 도어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1도어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부재와, 상기 제3링크부재의 타측 단부와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2도어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전도판은 도어의 개폐방향과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링크부재가 1차측 모터에 결합시 제3링크부재의 가운데 부분이 1차측 모터에 고정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22.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리니어 모터를 이루며 도어의 하측 또는 상측에 위치하는 카프레임에 결합되는 2차측 전도판과, 상기 2차측 전도판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리니어 모터를 구성하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상기 2차측 전도판을 따라 구동되는 1차측 모터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두 개의 도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1도어 하부 일측과 상기 1차측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6링크부재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제2도어 하부 일측과 1차측 모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7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측 전도판은 도어의 개폐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KR1019970058989A 1997-11-10 1997-11-10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KR100218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89A KR100218408B1 (ko) 1997-11-10 1997-11-10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89A KR100218408B1 (ko) 1997-11-10 1997-11-10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040A true KR19990039040A (ko) 1999-06-05
KR100218408B1 KR100218408B1 (ko) 1999-09-01

Family

ID=1952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989A KR100218408B1 (ko) 1997-11-10 1997-11-10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4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8408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2073B1 (en) Elevator door system
CN1075465A (zh) 人员输送系统
HK1066520A1 (en) Situation-dependent reaction in the case of a fault in the vicinity of a door in a lift system
JPH06321470A (ja) 昇降機の扉用リニアモーターシステム及び方法
CA2842510C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US5612518A (en) Linear induction motor door drive assembly for elevators
JP2001002346A (ja) ロープ式エレベータ及びロープ式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806301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218408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구동장치
JP2904670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運行システム
US5918706A (en) Hold closed feature for elevator car doors
KR100295904B1 (ko) 리니어모터를이용한엘리베이터문개폐장치
JP27082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701971B2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
EP3666704B1 (en) Car to car wireless power transfer
EP3666703B1 (en) Electrical power transmission to elevator system cars
JPWO2002046084A1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WO2005100226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257357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장치
SG189647A1 (en) Elevator apparatus
JP5726049B2 (ja) エレベータの給電制御システム
JPH04191280A (ja) エレベータ駆動装置
CN216069961U (zh) 轻量化高铁安全门组合结构以及列车安全门集成
JPH04191278A (ja) エレベータ装置のガイドレール構造
JP27019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