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582U - 자동차의 엔진실 화재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실 화재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582U
KR19990038582U KR2019980004674U KR19980004674U KR19990038582U KR 19990038582 U KR19990038582 U KR 19990038582U KR 2019980004674 U KR2019980004674 U KR 2019980004674U KR 19980004674 U KR19980004674 U KR 19980004674U KR 19990038582 U KR19990038582 U KR 199900385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device
engin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9029Y1 (ko
Inventor
최중신
Original Assignee
최중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중신 filed Critical 최중신
Priority to KR2019980004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02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5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5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0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029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실에서 화재발생시에 조기에 화재를 진화할수 있는 자동소화장치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추돌사고 등의 원인 때문에 엔진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열에는 강하고 불에는 약한 재질로 만든 합성수지 보호막이 녹아 없어지면서 감지센서에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엔진실에서 소화재가 분사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화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자동차 엔진실(10) 상측에 위치한 후드(11) 내면에 소화장치(20)를 설치하고 소화장치(20)는 분사관(21)이 배치되어 다수의 분사노즐(22)을 형성하고 일측의 소화재통(23)과 연결시킨 다음 열에는 강하고 불에는 약한 재질의 합성수지 보호막(27) 내에 감지센서(26)를 함입한 감지부(25)를 구성하여 감지센서의 전달신호로 소화재통의 소화재가 분출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실 화재 자동소화장치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실 화재 자동소화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실에서 화재발생시에 조기에 화재를 진화할수 있는 자동소화장치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추돌사고 등의 원인 때문에 엔진실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때 열에는 강하고 불에는 약한 재질로 만든 합성수지 보호막이 녹아없어지면서 감지센서에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엔진실에서 소화재가 분사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화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엔진실 화재 소화장치가 출원된바 있으나 이는 자동차의 엔진실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는 수단이 엔진실에 소정온도이면 동작하는 온도감지센서로 된 것이어서 계절적으로 더운 여름철이나 사막지역 같이 엔진실 온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경우에도 소화장치가 작동하여 소화재를 분사시키게 되는 등 오동작의 발생 우려가 많기 때문에 실제 이를 적용하여 사용할수 없었다.
또, 엔진실 둘레에 소화장치를 설치토록 한 것이어서 기존의 자동차 엔진실을 개조해야 될뿐만 아니라 엔진실을 고장수리할 때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엔진실의 후드(본네트)에 소화장치를 설치하되 소화장치의 감지부는 열에는 강하고 불에는 약한 합성수지 보호막 내에 감지센서를 함입하여 감지센서에 전달된 신호에 의해 소화재통의 소화재가 분출되어 분사관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재로 엔진실 화재를 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이 엔진실 후드에 설치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낸 전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소화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재감지센서부 확대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실 11 : 후드
20 : 소화장치 21 : 분사관
22 : 분사노즐 23 : 소화재통
24 : 작동부 25 : 감지부
26 : 감지센서 27 : 보호막
자동차 엔진실(l0) 상측에 위치한 후드(11) 내면에 소화장치(20)를 설치하고 소화장치(20)는 분사관(21)이 배치되어 다수의 분사노즐(22)을 형성하고 일측의 소화재통(23)과 연결시킨 다음 열에는 강하고 불에는 약한 재질의 합성수지 보호막(27) 내에 감지센서(26)를 함입한 감지부(25)를 구성하여 감지센서(26)의 전달신호로 소화재통(23)의 소화재가 분출되게 하여서된 것이다.
상기의 감지부(25)는 합성수지 보호막(27)이 불에 녹아 없어지면서 감지센서(26)에 의해 감지신호를 소화재통(23)의 작동부(24)에 전달케 하는 구성이며, 감지센서(26)는 스프링으로 작동하는 수단이나 접점스위치 등을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엔진이 과열되어 자연발화되거나 추돌사고 등으로 엔진실(10)이 발화되면 소화장치(20)의 감지부(25)에 있는 합성수지 보호막(27)이 불에 녹아 없어지면서 보호막(27) 내에 함입된 감지센서(26)에 의해 화재감지된 신호가 소화재통(23)의 작동부(24)에 전달되어 소화재통(23)의 소화재를 분출시키는 작용으로 분사관(21)의 분사노즐(22)에서 소화재가 엔진실(10) 방향으로 분사되어 엔진실의 화재를 소화시키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소화장치(20)에 있는 화재감지부(25)의 감지센서(26)는 열에는 강하고 불에 약한 합성수지 보호막(27) 내에 함입되어 있어서 엔진실(10)의 온도는 높지만 화재가 발생하지 않을때는 보호막(27) 내에 있는 감지센서(26)가 작동되지 않고 화재발생으로 보호막(27)이 녹아 없어질때에만 작동하게 되므로 감지센서(26)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어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게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소화장치(20)는 엔진실(10)의 후드(11) 부분에 설치되므로 기존의 자동차 엔진실(10)을 개조하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실이 높은 온도로 유지되더라도 화재가 발생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고 화재 발생시에만 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감지부를 구비하게 되어 신뢰성이 좋고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는 소화장치를 얻을수 있고 소화장치도 후드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 엔진실(10) 상측에 위치한 후드(11) 내면에 소화장치(20)를 설치하고 소화장치(20)는 분사관(21)이 배치되어 다수의 분사노즐(22)을 형성하고 일측의 소화재통(23)과 연결시킨 다음열에는 강하고 불에는 약한 재질의 합성수지 보호막(27) 내에 감지센서(26)를 함입한 감지부(25)를 구성하여 감지센서의 전달신호로 소화재통의 소화재가 분출되게 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실 화재 자동소화장치.
KR2019980004674U 1998-03-25 1998-03-25 자동차의엔진실화재자동소화장치 KR2002490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674U KR200249029Y1 (ko) 1998-03-25 1998-03-25 자동차의엔진실화재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674U KR200249029Y1 (ko) 1998-03-25 1998-03-25 자동차의엔진실화재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82U true KR19990038582U (ko) 1999-10-25
KR200249029Y1 KR200249029Y1 (ko) 2002-04-22

Family

ID=6950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674U KR200249029Y1 (ko) 1998-03-25 1998-03-25 자동차의엔진실화재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0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029Y1 (ko)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77905C1 (ru) Распыляющая головка и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5613564A (en) Vehicle engine fire extinguisher apparatus
CN102793991B (zh) 一种汽车智能灭火系统及方法
CN101579560B (zh) 公共交通车辆消防安全防护系统及方法
KR200494734Y1 (ko) 자동차 엔진룸내 화재진압을 위해, 카울 어셈블리에 소화용 노즐 추가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KR19990038582U (ko) 자동차의 엔진실 화재 자동소화장치
KR100760178B1 (ko) 자동소화기가 구비된 레인지후드
KR20200061155A (ko) 차량화재 진압용 자동소화장치
KR20210029352A (ko) 차량의 타이어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159957B1 (ko) 주방용 자동 방재 시스템
CN201492843U (zh) 公共交通车辆消防安全防护系统
WO2008000909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connection with spraying head
CN101370558B (zh) 喷洒器
KR20160040958A (ko)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CN110251876B (zh) 一种智能消防洒水喷头
KR0182496B1 (ko)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CN102596331A (zh) 喷头
KR100423005B1 (ko) 자동차용 자동 소화장치
KR0147502B1 (ko) 물분무식 자동소화장치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66414B1 (ko) 차량 엔진룸용 자동 소화기
KR19980023219A (ko)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KR920002946Y1 (ko) 자동 소화기
KR100406695B1 (ko)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