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389A -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389A
KR19990038389A KR1019970058076A KR19970058076A KR19990038389A KR 19990038389 A KR19990038389 A KR 19990038389A KR 1019970058076 A KR1019970058076 A KR 1019970058076A KR 19970058076 A KR19970058076 A KR 19970058076A KR 19990038389 A KR19990038389 A KR 19990038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housing
inflator
insertion hole
airbag
hous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양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5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8389A/ko
Publication of KR1999003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389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는, 주조에 의해 성형되면서 인플레이터 삽입홀(104)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2)가 형성되는 에어백 하우징(100);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홀(104)에 삽입되면서 일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112)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114)이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인플레이터(10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본 발명은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에어백 하우징이 경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에어백 하우징의 경량화에 기여하며 벨 마우싱 발생부위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air bag housing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시트 벨트의 보조장치로서 차량의 전방 충돌시 에어백을 자극, 전개시켜 승객의 부상위험이나 부상의 심한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에어백은 하우징을 구비하며, 하우징은 볼트 등의 적당한 체결수단에 의해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된다. 하우징의 내부에는 백과 인플레이터가 배설되고, 인플레이터는 발생되는 개스에 의해 백을 전개시키게 된다. 하우징의 개방단부는 도어에 의해 덮여지며, 도어의 상하방 단부는 나사에 의해 하우징의 상하방 측벽에 각각 고정된다. 도어의 하방 단부에는 파열부가 형성되고, 파열부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백이 전개되면, 상기 파열부가 파열되면서 도어는 상방향으로 개방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는 에어백 하우징(50)을 포함하며, 에어백 하우징(50)에는 인플레이터 삽입홀(58)이 형성된다. 인플레이터 삽입홀(58)의 일 단부는 개방되며, 다른 단부는 폐쇄된다. 인플레이터 삽입홀(58)의 상기 폐쇄단부를 마련하는 에어백 하우징(50)의 부분에는 두개의 구멍이 형성되며, 인플레이터 삽입홀(58)을 통하여 인플레이터(52)가 삽입된다. 인플레이터(52)의 일단부에는 장착용 볼트부(54)가 형성되며, 장착용 볼트부(54)를 에어백 하우징(50)에 형성되는 상기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시키고 나서 너트(56)를 체결시킴으로써, 인플레이터(52)는 에어백 하우징(50)에 고정된다. 도면부호 60은 상기 인플레이터(52)의 다른 단부에 형성되는 개스 유동구멍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는 스틸을 프레스성형하고 용접하므로써 제조되기 때문에, 백 팽창부위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없게 되어,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백 팽창부위가 외측으로 불거져 나오는 벨 마우싱(bell mouthing)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 하우징이 경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에어백 하우징의 경량화에 기여하며 벨 마우싱 발생부위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선행기술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에어백 하우징 52: 인플레이터
54: 장착용 볼트부 56: 너트
58: 인플레이터 삽입홀 60: 개스 유동구멍
100: 에어백 하우징 102: 인플레이터
104: 인플레이터 삽입홀 106: 개스 유동구멍
108: 장착용 브래킷 110: 볼트
112: 쐐기부 114: 구멍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상기 어셈블리는, 주조에 의해 성형되면서 인플레이터 삽입홀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에어백 하우징;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홀에 삽입되면서 일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Mg의 다이캐스팅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돌기부가 쐐기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의 다른 단부에는 브래킷이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의 재질이 스틸로부터 Mg로 변경되면서도 인플레이터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에어백 하우징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며, 에어백 하우징이 주조에 의해 제조되므로써 벨 마우싱(bell mouthing) 발생부위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는 에어백 하우징(100)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하우징(100)은 Mg를 다이캐스팅하므로써 제조된다. 에어백 하우징(100)에는 인플레이터 삽입홀(104)이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삽입홀(104)의 일 단부는 개방되며 다른 단부는 폐쇄된다. 인플레이터 삽입홀(104)의 상기 폐쇄단부를 마련하는 에어백 하우징(100)의 부분에는 두개의 쐐기부(112)가 상기 삽입홀(104)을 향하여 돌출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쐐기부(112)는 주조시 슬라이딩 코어를 사용하므로써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홀(104)을 통하여 삽입되는 인플레이터(102)의 일 단부에는 두개의 구멍(114)이 형성되며, 각각의 구멍(114)에는 상기 쐐기부(112)가 각각 삽입된다. 인플레이터(102)의 다른 단부에는 장착용 브래킷(108)이 형성되고, 장착용 브래킷(108)을 관통하여 볼트(110)를 통과시켜 에어백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에 체결시킴으로써 인플레이터(102)는 에어백 하우징(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106은 상기 인플레이터(102)의 상기 다른 단부에 형성되는 개스 유동구멍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에어백 하우징의 재질이 스틸로부터 Mg로 변경되면서도 인플레이터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에어백 하우징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며, 에어백 하우징이 주조에 의해 제조되므로써 벨 마우싱(bell mouthing) 발생부위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에 있어서,
    주조에 의해 성형되면서 인플레이터 삽입홀의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에어백 하우징;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홀에 삽입되면서 일 단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Mg를 다이캐스팅하므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쐐기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인플레이터의 다른 단부에는 브래킷이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KR1019970058076A 1997-11-04 1997-11-04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KR19990038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076A KR19990038389A (ko) 1997-11-04 1997-11-04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076A KR19990038389A (ko) 1997-11-04 1997-11-04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389A true KR19990038389A (ko) 1999-06-05

Family

ID=6608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076A KR19990038389A (ko) 1997-11-04 1997-11-04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83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3704B2 (en) 2016-04-29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n motor for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3704B2 (en) 2016-04-29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n motor for air conditi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39941A8 (en) Reinforced trim cover for a vehicle seat assembly with a tear line for airbag deployment
JPH07205742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構造
KR19980018209A (ko) 일체형의 조향 휠과 에어백 모듈
KR19990038389A (ko) 에어백 하우징 어셈블리
JP4656031B2 (ja) 車両用排水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排水構造
KR100520551B1 (ko) 인비져블 에어백용 피에이비 도어 설계 방법
KR0138771Y1 (ko) 승객용 에어백
KR100220774B1 (ko) 승객용 에어백
JP2727526B2 (ja) 開度規制部材を有するエアバッグドアの構造
JP3366016B2 (ja) エアバッグ構造
JP3144139B2 (ja) エアバッグの開口リッド構造
KR100641034B1 (ko) 에어백장치
JP2988184B2 (ja) エアバッグの開口リッド構造
KR19980045194A (ko) 차량용 에어백 장착구조
KR100510415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JP3665880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0885785B1 (en) Door air bag mounting arrangement
JP3144138B2 (ja) エアバッグの開口リッド構造
KR19980046300U (ko) 에어백의 하우징구조
KR200294009Y1 (ko) 자동차의 에어백 모듈 조립구조
KR100271248B1 (ko) 승객용 에어백의 인플레터 홀더
JPH06115404A (ja) エアバッグ装置の蓋材
KR200152951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에 취부되는 임팩트바에 설치되는 패드의 취부구조
KR100520990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2005178433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