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301U - 가스관용 용융결합구 - Google Patents

가스관용 용융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301U
KR19990038301U KR2019980004303U KR19980004303U KR19990038301U KR 19990038301 U KR19990038301 U KR 19990038301U KR 2019980004303 U KR2019980004303 U KR 2019980004303U KR 19980004303 U KR19980004303 U KR 19980004303U KR 19990038301 U KR19990038301 U KR 199900383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gas pipe
melt
main body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1583Y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2019980004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8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83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하는 가스관을 융착결합하는 용융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융결합구의 양측에 전기 접점부를 구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용융결합구의 일측에 가스관을 기융착하기 때문에, 가스관의 지중매설 작업시에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가스 누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용융결합구가 형성된 가스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가스관을 상호 융착결합하도록 한 용융결합구에 있어서,
용융결합구 본체는 양측단부가 가스관이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융착부는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융착부가 용융 및 융착되도록 고열을 발생하는 발열체 저항코일이 형성되고;
전기 접점은 상기 융착부의 발열체 저항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관용 용융결합구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하는 가스관을 융착결합하는 용융결합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융결합구의 양측에 전기 접점부를 구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용융결합구의 일측에 가스관을 기융착하기 때문에, 가스관의 지중매설 작업시에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가스관의 오정렬로 인한 융착불량에 기인한 누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용융결합구가 형성된 가스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스는 지하에 가스관을 매설하여 가스관을 통해 각 가정에 공급하였다.
상기 가스관을 각 가정까지 지중매설 작업을 할 경우에, 운반과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적정길이의 가스관과, 2개의 가스관을 상호 연결하도록 한 결합구를 구비하여, 상기 가스관과 접속구를 융착결합하여 가스관 연결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가스관과 용융결합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결합구(10)는 양측 내부로 가스관(1)이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원통형으로, 양측의 내주연부에는 발열저항체 코일(11a)을 설치한 융착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의 외주연부에는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전기 접점(1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가스관을 용융결합구의 양측 내부에 삽입하고, 전기 접접에 전원을 연결하여 융착부의 발열체 저항코일에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해 가스관이 용융 및 융착되도록 하여 가스관과 용융결합구를 상호 결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용융결합구는 융착작업을 할 경우, 양측의 가스관 융착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작업이 불편하였고, 현장 설치작업시간이 장시간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각각의 가스관을 용융결합구의 양측에 각각 삽입시켜 연결한 후 가스관을 지지시키는 한편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양측 가스관을 동시에 융착시켜 작업을 하므로 양측 가스관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또한, 양측 가스관의 오정렬로 인한 용융 두께의 편차로 인해 또는 용융결합구내의 융착부에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한 팽창과 이완으로 용융결합구에 변형이 생겨 가스 누설 등의 원인이 되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스관의 연결작업시에 가스관이 최대한 정확히 정렬될 수 있는 용융결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오정렬을 최소화하고 설치작업을 단축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용융결합구는 전기 접점과 융착부를 구분되도록 하여 용융결합구의 양측 가스관 융착작업을 별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융결합구의 일측에 소정길이의 가스관을 기융착하여 준비하고, 매설작업시에 타측의 가스관 융착작업만을 하기 때문에, 가스관의 연결작업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융착불량으로 인한 가스 누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가스관용 용융결합구를 보인 일부절결도.
도 2은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절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융결합구. 11,11' : 융착부.
11a,11a' : 발열체 저항코일. 12,12' : 전기 접점.
본 고안은 가스관을 상호 융착결합하도록 한 용융결합구에 있어서,
용융결합구 본체는 양측단부가 가스관이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융착부는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융착부가 용융 및 융착되도록 고열을 발생하는 발열체 저항코일이 형성되고;
전기 접점은 상기 융착부의 발열체 저항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절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융결합구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양측의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융착부(11,11'))와,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전기 접점(1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10)는 원통형의 파이프관으로서, 양측단부는 가스관(1)이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융착부(11,11')는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10)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융착부(11,11')가 용융 및 융착되도록 고열을 발생하는 발열체 저항코일(11a,11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전기 접점(12,12')은 상기 융착부(11.11')의 발열체 저항코일(11a,11a')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1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돌출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은 가스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가스관 연결작업전에 소정길이의 가스관(1)을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10)의 일측에 삽입하고, 일측 전기 접점(12)에 전원을 연결하면, 발열체 저항코일(11a)에서 발생하는 고열로 인하여 상기 융착부(11)가 용융 및 융착되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가스관(1)이 긴밀하게 융착결합된다.
상기 본체(10) 일측에 기융착된 가스관(1)을 구비하고, 지중매설 작업장소에서 상기 본체(10) 타측의 전기 접점(12')에 전원을 공급하여, 본체(10) 타측의 융착부(11')에 가스관(1)을 융착결합한다.
따라서, 일측에 가스관(1)이 기융착 결합된 용융결합구 본체(10)를 준비하여, 작업장에서 지하에 매설하기 전에 상기 본체(10)의 타측에 가스관 융착작업만을 하게 되기때문에, 가스관의 연결설치 작업능률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융착작업시에 발생하는 과다한 고열로 인하여 상기 본체가 팽창, 이완등으로 상기 융착부에 발생되는 변형이나 균열을 최소화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융결합구의 전기 접점과 융착부를 구분되도록 하여 용융결합구의 양측 가스관 융착작업을 별도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관의 오정렬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였고, 일측에 소정길이의 가스관이 기융착 결합된 용융결합구를 준비하여, 매설작업시에 타측의 가스관 융착작업만을 하기 때문에, 가스관의 연결작업능률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가스관의 오정렬 때문에 발생되는 융착두께의 편차로 인한 융착불량 및 이에 의한 가스 누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가스관(1)을 상호 융착결합하도록 한 용융결합구(10)에 있어서,
    용융결합구 본체(10)는 양측단부가 가스관(1)이 삽입되도록 한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융착부(11,11')는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10)의 양측 내주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융착부(11,11')가 용융 및 융착되도록 고열을 발생하는 발열체 저항코일(11a,11a')이 형성되고;
    전기 접점(12,12')은 상기 융착부(11,11')의 발열체 저항코일(11a,11a')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용융결합구 본체(10)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관의 용융결합구.
KR2019980004303U 1998-03-23 1998-03-23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KR2002115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303U KR200211583Y1 (ko) 1998-03-23 1998-03-23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303U KR200211583Y1 (ko) 1998-03-23 1998-03-23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301U true KR19990038301U (ko) 1999-10-25
KR200211583Y1 KR200211583Y1 (ko) 2001-02-01

Family

ID=6971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303U KR200211583Y1 (ko) 1998-03-23 1998-03-23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83Y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500452A (ja) 電気溶接による接続用の一体化された加熱抵抗体を有するポリエチレンパイプ
KR200211583Y1 (ko) 가스관용 용융 결합구
KR20140005001U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JPH05164286A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ック管継手
JPH10246382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200253000Y1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200049077A (ko) 파이프의 전기융착이음관
KR200181191Y1 (ko) 파이프관의 용융결합구용 보호덮개
JP3164783B2 (ja) 電気融着継手
KR20140039115A (ko)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KR200174640Y1 (ko) 합성수지재관 이음관(A joint member of synthetic resin tube)
KR200330150Y1 (ko) 파이프 용융결합구의 열선피복구조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30012432A (ko) 합성수지관용 이음관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313862Y1 (ko) 파이프 소켓 융착 장치
CN219413827U (zh) 一种焊接式密封管接头
KR200194973Y1 (ko) 열융착 관연결구
KR100550826B1 (ko) 합성수지관용 전기 융착식 연결구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JP2002357293A (ja) 樹脂管の融着構造及び樹脂管の管端処理方法
KR102029962B1 (ko) 전기 융착식 이음관
JPH10246381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JPS63111393A (ja) 電気融着式プラスチツク管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