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859A - 횡형줄의직조가가능한작물망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횡형줄의직조가가능한작물망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859A
KR19990037859A KR1019990003972A KR19990003972A KR19990037859A KR 19990037859 A KR19990037859 A KR 19990037859A KR 1019990003972 A KR1019990003972 A KR 1019990003972A KR 19990003972 A KR19990003972 A KR 19990003972A KR 19990037859 A KR19990037859 A KR 1999003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crop
moving
network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이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진 filed Critical 이수진
Priority to KR1019990003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859A/ko
Publication of KR1999003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859A/ko

Links

Landscapes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폭의 종형줄을 제조하면서 횡형줄을 동시에 제조함으로서, 작물 지지망를 사용할 경우 망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고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물망을 제조하는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으로 부터 다수열의 제 1,2꼬임사가 공급되는 꼬임사 공급부, 후방으로 부터 제 1,2연결사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2홀더가 장착된 제 1,2이동축을 포함한 이동부로 구성된 직조부와; 상기 직조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2이동축의 위치를 격번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제 1,2실린더와 연동되는 제 1,2링크를 포함한 횡형줄 제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An apparatus for producing a crop screen capable of weaving a rank-yarn}
본 발명은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일정폭의 종형줄을 제조하면서 횡형줄을 동시에 제조함으로서, 작물 지지망의 사용중 망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고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물망을 제조할 수 있는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 지지망이라 함은, 하우스 작물 또는 과수원등의 나무 등을 일정간격으로 유지함은 물론,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제조장치는 여러 형태로 공지되어 사용중에 있다.
먼저, 도 5는 종래의 망 제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으로 부터 한줄의 꼬임사(301)가 공급되는 꼬임사 공급부(201), 꼬임사(301)가 꼬아지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부터 연결사(302)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더(202b)가 장착되어 있는 이동축(202a)을 포함한 이동부(202)로 구성된 직조부(200)와;
상기 직조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202)를 이루는 이동축(202a)을 전후로 반복 이동시키는 구동부(205)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구동부(205)는, 양측의 꼬임사(301)을 일정간격으로 연결하는 시점에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206)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이동부(202)를 이루는 이동축(202a)의 끝단이 밀착되는 단일의 회전캠(207)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상기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작물망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당므과 같다. 동일 진행방향으로 다수의 직조줄(400)이 제조되며, 직조줄(400)들은 일정간격으로 서로 내외측에서 격번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작물 지지망을 적용할 경우에는, 동일 진행방향으로 제조된 직조줄의 좌우의 끝단을 잡아당겨 망의 모양을 정사각형으로 형성한후, 작물들의 상측을 덮어 작물들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적용되는 종래의 작물지지망은, 직조줄(4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가 동일 진행방향으로 제조되는 직조줄(400)의 사이에 형성됨으로서, 망을 이루는 정사각형의 형상이 좁아지려는 성질로 인하여 마름모 형으로 줄어들게 됨에 따라서, 작물의 사이를 적절히 유지 시킬 수 없고, 작물이 쉽게 쓰러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일정폭으로 제조된 망을 좌우로 펼쳐 사용할 경우에는, 작물 지지망을 대각선 방향으로 사용해야 함에 따라 망의 모서리부분을 버려야 함으로서, 제조된 망의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망을 이루는 종형줄을 일정한폭으로 제조하고, 이와 동시에 종형줄의 제조시 사용되는 연결줄을 이용하여 횡형줄을 제조함으로서, 작물 지지망의 사용시 망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작물 지지망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완성된 망이 사각의 형상으로 제조됨에 따라, 망의 설치시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서, 망의 손실을 방지하는 작물지지망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목적도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방으로 부터 다수열의 제 1,2꼬임사가 공급되는 꼬임사 공급부, 후방으로 부터 제 1,2연결사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2홀더가 장착된 제 1,2이동축을 포함한 이동부로 구성된 직조부와; 상기 직조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2이동축의 위치를 격번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제 1,2실린더와 연동되는 제 1,2링크를 포함한 횡형줄 제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물망 제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직조부를,
도 2b는 횡형사 제조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제조된 망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작물망 제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장치를 통해 제조된 망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조부
11 : 꼬임사 공급부
12 : 이동부
121 : 제 1이동축, 122 : 제 2이동축, 123 : 제 1홀더,
124 : 제 2홀더
2 : 횡형줄 제조부
21 : 제 1회전캠
211 : 워엄기어, 212 : 워엄휠, 213 : 체인
22 : 제 2회전캠
23 : 구동모터
231 : 체인
24 : 제 1링크조정부
241 : 안내축, 242 : 이동부, 242a : 스프링, 242b : 링크홀더,
242c : 브라켓, 243 : 제 1실린더
25 : 제 2링크조정부
251 : 안내축, 252 : 이동부, 252a : 스프링, 252b : 링크홀더,
252c : 브라켓, 253 : 제 1실린더
26 : 제 1링크
261 : 힌지축, 262 : 회전로울러, 263 : 로울러,
264 : 제 1각회전링크
27 : 제 2링크
272 : 회전로울러, 273 : 로울러, 274 : 제 1각회전링크
100 : 종형줄, 101 : 제 1꼬임사, 102 : 제 2꼬임사, 103 : 코,
104 : 제 1연결사, 105 : 제 2연결사, 106 : 횡형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망 제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a는 직조부를, 도 2b는 횡형줄 제조부를 나타내며,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으로 부터 두줄이 하나의 열을 이루며 다수열의 제 1,2꼬임사(101,102)가 공급되는 꼬임사 공급부(11), 제 1,2꼬임사(101,102)가 꼬아지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부터 제 1,2연결사(104,105)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2홀더(123,124)를 갖는 제 1,2이동축(121,122)을 포함한 이동부(12)로 구성되어 있는 직조부(1)와;
상기 직조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12)를 이루는 제1,2이동축(121,122)의 위치를 격번으로 변경시키는 횡형줄 제조부(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횡형줄 제조부(2)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동모터(23)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2회전캠(21,22)과; 제 1,2회전캠(2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대칭되게 동작되는 제 1,2링크 조정부(24,25)와; 상기 제 1,2링크 조정부(24,25)에 하단이 고정되고, 중간에 전후로 로울러(263,273)가 형성되어 상기 제 1,2회전캠(21,22)의 표면과 밀착되며, 상단은 상기 제 1,2이동축(121,122)과 연결되어 있고, 서로 엇갈려 있는 제 1,2링크(26,27)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 1회전캠(21)은,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23) 및 체인(231)에 의해 구동되는 워엄기어(211) 및 워엄휠(212)을 통해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제 2회전캠(22)은 상기 제 1회전캠(21)과 연결되어 있는 체인(213)을 통해 회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워엄기어(211)와 워엄휠(212)은 구동모터(23)의 고속 rpm을 저속 rpm으로 감속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2링크 조정부(24,25)는 하부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안내축(241,251), 이 안내축(241,251)에 삽입되는 스프링(242a,252a)과 링크홀더(242b,252b) 및 브라켓(242c,252c)으로 이루어진 이동부(242,252), 그리고, 이동부(242,252)에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는 제 1,2실린더(243,253)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링크(26,27)의 중간에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다수의홀(26a,27a;도2참조)이 천공되어 힌지축(261)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제 1,2링크(26,27)의 하부에는 상기 제 1,2링크 조정부(24,25)를 이루는 이동부(242,252)의 링크홀더(242b,252b)에 삽입되는 회전로울러(262,272)가 장착되고, 중간에는 전후방으로 상기 제 1,2회전캠(21,22)의 표면에 밀착되는 로울러(263,273)가 장착되며, 상단에는 일정한 각회전을 수행하며 상기 직조부(1)를 이루는 제 1,2이동축(121,122)의 끝단과 연결되는 제 1,2각회전링크(264,27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망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직조부(1)의 전방으로 공급되고 2열로 배열되어 각줄이 꼬아지는 제 1,2꼬임사(101,102), 제 1,2꼬임사(101,102)의 제조에 따라 형성된 코(103)들의 사이에 격번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후방으로 부터 공급되는 제 1,2연결사(104,105)로 이루어진 종형줄(100)과; 상기 제 1,2연결사(104,105)가 양측의 종형줄(100) 및 원래의 종형줄(100)이 격번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종형줄(100)에 형성된 코(103)에 끼워지면서 형성되는 두줄의 횡형줄(106)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초기 종형줄을 제조하는 시점에서는 도 1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조부(1)를 이루는 꼬임사 공급부(11)의 전방으로 부터 제 1,2꼬임사(101,102)가 공급되며, 이와 동시에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부(12)의 제 1,2 홀더(123,124)를 통해 제 1,2연결사(104,105)가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직조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횡형줄 제조부(2)의 구동모터(23)가 동작되게 됨으로서, 제 1,2회전캠(21,22)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회전캠(21,22)의 외측과 밀착되어 있는 제 1,2링크(26,27)의 중간 로울러(263,273)가 캠의 외측을 타고 상단이 힌지를 중심으로 미세히 전후 이동됨으로서, 제 1,2링크(26,27)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직조부(1)의 제 1,2이동축(121,122)이 상기 제 1,2꼬임사(101,102)의 폭(L1;도3참조)만큼으로 왕복 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초기에 종형줄(100)을 제조할 경우에는 제 1,2연결사(104,105)는 좌우로 대칭되게 이동되면서 꼬임사에서 제조되는 코(103)에 삽입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종형줄(100)의 제조를 멈추고 횡형줄(106)을 제조할 경우에는 도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횡형줄 제조부(2)에서 동작되고 있는 구동모터(23)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1,2 링크조정부(24,25)를 이루는 제 1,2실린더(243,253)를 작동시켜 로드를 전진시키게 되면, 이동부(12)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링크홀더(242b,252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됨으로서, 제 1,2링크(26,27)는 중앙의 힌지축(261)을 중심으로 제 1링크(26)의 상단이 전진되고, 제 2링크(27)의 상단이 후진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링크(26)의 상단과 제 1각회전링크(26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 1이동축(121)이 전진됨으로서, 제 1이동축(121)에 장착되어 있는 제 1홀더(123)가 일측에서 제조되고 있는 종형줄(100)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 2링크(27)의 상단과 제 2각회전링크(265)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 2이동축(122)이 후진됨으로서 제 2홀더(124)가 타측에서 제조되는 종형줄(100)로 이동된다.
그후, 상기와 같이 제 1이동축(121)이 전진되고, 제 2이동축(122)이 후진된 상태에서 다시 구동모터(23)를 동작시키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열의 종형줄(100)이 종형줄의 진행방향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그후 다시, 횡형줄(106)을 제조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횡형줄 제조부(2)에서 동작되고 있는 구동모터(23)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 1,2 링크조정부(24,25)를 이루는 제 1,2실린더(243,253)의 로드를 후진시켜, 이동부(12)의 중앙에 장착되어 있는 링크홀더(242b,252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서, 제 1,2링크(26,27)는 중앙의 힌지축(261)을 중심으로 제 1링크(26)의 상단이 다시 후진되고, 제 2링크(27)의 상단이 다시 전진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링크(26)의 상단과 제 1각회전링크(264)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 1이동축(121)이 후진됨으로서, 제 1이동축(121)에 장착되어 있는 제 1홀더(123)가 타측에서 제조되고 있는 종형줄(100)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 2링크(27)의 상단과 제 2각회전링크(265)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제 2이동축(122)이 전진됨으로서, 제 2홀더(124)가 일측에서 제조되는 종형줄(100)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작물 지지망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폭의 종형줄을 제조하면서 횡형줄을 동시에 제조함으로서, 작물 지지망의 사용중 망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물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함은 물론, 작물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물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완성된 망이 직사각의 형상으로 제조됨에 따라 망의 손실을 막음으로서, 작물지지망의 설치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작물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5)

  1. 전방으로 부터 두줄이 하나의 열을 이루며 다수열의 제 1,2꼬임사(101,102)가 공급되는 꼬임사 공급부(11), 제 1,2꼬임사(101,102)가 꼬아지는 과정에서 후방으로 부터 제 1,2연결사(104,105)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제 1,2홀더(123,124)를 갖는 제 1,2이동축(121,122)을 포함한 이동부(12)로 구성되어 있는 직조부(1)와;
    상기 직조부(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12)를 이루는 제 1,2이동축(121,122)의 위치를 격번으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제 1,2실린더(243,253)에 의해 동작되는 제 1,2링크(26,27)를 포함한 횡형줄 제조부(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횡형줄 제조부(2)는, 구동모터(23)를 통해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 1,2회전캠(21,22)과; 제 1,2회전캠(2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대칭되게 동작되는 제 1,2링크 조정부(24,25)와; 상기 제 1,2링크 조정부(24,25)에 하단이 고정되고 상단은 제 1,2이동축(121,122)과 연결되어 서로 엇갈려 있는 제 1,2링크(26,2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캠(21)은 상기 구동모터(23) 및 체인(231)에의해 구동되는 워엄기어(211) 및 워엄휠(212)을 통해 연동되며, 제 2회전캠(22)은 상기 제 1회전캠(21)과 연결되어 있는 체인(213)을 통해 연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링크 조정부(24,25)는, 하부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안내축(241,251), 이 안내축(241,251)에 삽입되는 스프링(242a,252a)과 링크홀더(242b,252b) 및 브라켓(242c,252c)으로 이루어진 이동부(242,252), 이동부(242,252)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제 1,2실린더(243,25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링크(26,27)는, 중간에 다수의 홀(26a,27a)이 천공되어 힌지축(261)으로 연결되며, 제 1,2링크(26,27)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부(242,252)의 링크홀더(242b,252b)에 삽입되는 회전로울러(262,272)가, 중간에는 전후방으로 로울러(263,273)가, 상단에는 일정한 각회전을 수행하며 상기 제 1,2이동축(121,122)의 끝단과 연결되는 제 1,2각회전링크(264,274)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줄의 직조가 가능한 작물망 제조장치.
KR1019990003972A 1999-02-05 1999-02-05 횡형줄의직조가가능한작물망제조장치 KR19990037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972A KR19990037859A (ko) 1999-02-05 1999-02-05 횡형줄의직조가가능한작물망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3972A KR19990037859A (ko) 1999-02-05 1999-02-05 횡형줄의직조가가능한작물망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59A true KR19990037859A (ko) 1999-05-25

Family

ID=5478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3972A KR19990037859A (ko) 1999-02-05 1999-02-05 횡형줄의직조가가능한작물망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85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28A (ko) * 1984-06-30 1986-01-25 나카가와 타케시 기름에 튀긴 약용 인삼의 제조법
JPH02112455A (ja) * 1988-10-19 1990-04-2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元糸に対する枝糸の結び付け装置
KR950011681A (ko) * 1993-10-12 1995-05-15 홍의식 그물의 제작방법
US5660062A (en) * 1993-01-19 1997-08-26 Textilma Ag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textile net-like fabric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028A (ko) * 1984-06-30 1986-01-25 나카가와 타케시 기름에 튀긴 약용 인삼의 제조법
JPH02112455A (ja) * 1988-10-19 1990-04-2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元糸に対する枝糸の結び付け装置
US5660062A (en) * 1993-01-19 1997-08-26 Textilma Ag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producing textile net-like fabrics
KR950011681A (ko) * 1993-10-12 1995-05-15 홍의식 그물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76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three-dimensional warp knitted fabric having varied cross-sections
CN101724954B (zh) 织机的捕纬边的经线开口装置
CN214328078U (zh) 一种经编机梳栉横移复位装置
ITMI951313A1 (it) Macchina circolare per treccia
KR19990037859A (ko) 횡형줄의직조가가능한작물망제조장치
DE2911079C2 (de) Bandwebmaschine mit Schäften und diesen zugeordneten Hebeln
CN110788257B (zh) 一种简易高效石笼网机的捻网结构及捻网方法
KR101029819B1 (ko) 더블 라셀 머신
ITMI962644A1 (it) Macchina circolare per treccia
JPS6321574B2 (ko)
CN100360256C (zh) 金属丝网编织机
CN87107869A (zh) 圆形织机
US4389025A (en) Apparatus for winding wire net with simple twist
KR20020059867A (ko) 경사의 순서잡는 기계
CN111809305A (zh) 一种经编机
US3522716A (en) Flat warp knitting machine and guide needles therefor
US74517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eaving leno fabric
EP0808386B1 (en) A multi-axial yarn structure forming machine
US3529443A (en) Process and device for shooting in filling yarns for warp knitting machines
KR0134687Y1 (ko) 끈 제조용 니트지 편직장치 및 그 끈
KR101512052B1 (ko) 직조기의 위사용 구동장치
KR102556959B1 (ko) 분진망 제조용 원사의 꼬임방지장치
CN210596476U (zh) 一种用于导精横机中的送纱机构
US3451231A (en) Patterning mechanisms for warp knitting machines
US2862525A (en) Rotary weav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