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71A - 몹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71A
KR19990037671A KR1019980701150A KR19980701150A KR19990037671A KR 19990037671 A KR19990037671 A KR 19990037671A KR 1019980701150 A KR1019980701150 A KR 1019980701150A KR 19980701150 A KR19980701150 A KR 19980701150A KR 19990037671 A KR19990037671 A KR 19990037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
holder
layer
slee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4010B1 (ko
Inventor
카브레로 고메즈 에스트렐라
호세 셀라다 구티에르레즈 후안
굴랑 로페즈 알퐁소
바란디아란 알다소로 펠리페
마르틴 리베라 카르멘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2057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3767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1999003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0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트립 몹(101)은 홀더(103)를 구비하며, 그 홀더는 몹 핸들(104)에 부착되며, 그 홀더내에 교체 가능한 스트립 조립체(126, 도 21 참조)이 배치된다. 스트립 조립체는 다수의 스트립(102)으로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절단된 흡수 웨브재층으로 구성되며, 비절단부는 홀더(103)내에 위치한다. 스트립(102)이 닳아지면, 홀더(103)를 개방하여(도 18 참조), 스트립 조립체(126)를 제거하고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양한 형태의 몹이 집안 청소에 활용되고 있다. 그들 모든 몹은 스틱형 핸들을 구비하며, 그 핸들에 소정 형상의 청소 헤드가 부착된다. 하나의 특정 형태의 몹(보편적으로는 스트립 몹으로서 알려짐)의 경우, 상기 헤드는 통상 약 20cm 길이의 다수의 흡수재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마루 바닥용 몹으로 사용하도록 의도된 공지된 스트립 몹의 경우, 그러한 스트립들은 몹 핸들이 장착될 수 있는 원통형의 오목한 연장부를 갖는 반구형 홀더(통상 플라스틱재로 구성됨)내에 고정된다. 그러한 형태의 스트립 몹이 미국 특허 제 4 114 224 호, 유럽 특허 공개 공보 제 0 537 963 호에 설명되고 있다. 스트립들이 닳게 되면, (그러한 스트립과 반구형 홀더로 구성된)헤드 전체를 폐기 처분하고 새로운 헤드로 교체한다. 그러한 교체 헤드는 그 형상 때문에 포장 및 취급이 다소 곤란하다는 점으로부터 저장 및 운송과 관련된 문제점을 야기하고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소모된 헤드의 폐기 처분에는 스트립재의 처분은 물론, 스트립이 고정되는 닳아지지 않은 상태일 수 있는 홀더의 처분도 필요하게 된다. 특히, 복합된 재료로 구성된 완전한 부품을 그러한 방식으로 처분하는 것은 환경적인 이유로써 바람직하지 않다.
공지된 바의 산업적 청소용 몹은 스트립재에 의해 한데 결속된 중량의 면사 스트링의 조립체를 구비하며, 그 스트링은 상기 스트립재에 봉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트링 조립체는 몹 핸들의 일단부에서 홀더에 클램프되며, 그것이 닳아지게 되면 제거되어 교체될 수 있다. 면사 스트링 대신에 비직조 섬유로 형성된 유사한 조립체가 다수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상기 언급한 미국 특허 제 4 114 224 호에 설명된다.
다른 형태의 집안 청소용 몹(보편적으로는 스폰지 몹으로 알려짐)은 직사각형의 스폰지재 조각으로 이루어진 청소 헤드를 구비하며, 그러한 방식의 몇몇 몹의 경우, 단지 스폰지재만을 교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스폰지재는 예컨대, 몹의 영구 요소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배킹부상에 클립 고정식으로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공지된 창문 청소용 몹의 경우, 그러한 스폰지재는 몹의 영구 요소를 구성하는 한 쌍의 클램핑 집게에 의해 착탈식으로 유지된다.
사용자의 관점으로부터, 스트립 몹은 그것이 소정 표면의 세척에 사용되고 난 이후에, 씻겨져서 매우 효과적으로 물기가 짜여지고 다시, 막 세척된 상기 표면을 건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다른 형태의 몹, 특히 스폰지 몹의 경우에는 같은 수준의 세척 및 건조도가 얻어지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몹(mops)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집안 청소의 목적에 적합한 몹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스트립 몹의 사시도.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몹의 교체 가능한 부분을 몹 핸들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몹 헤드 부분만의 측면도.
도 4는 몹의 교체 가능한 부분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6은 도 1의 몹에 사용되는 다른 대체 형태의 교체 가능한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7-16은 스트립 몹의 다른 대체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다른 스트립 몹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몹의 2개의 요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몹에 사용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의 일 층을 도시한 평면도.
도 20은 몹의 헤드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도 17의 몹에 사용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에 대한 평면도.
도 22-31은 도 17의 몹에 사용되는 선택적인 교체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핸들에 대한 다른 선택적인 고정 시스템을 갖춘 몹 헤드의 단면도로, 도 20과 유사하지만 교체 가능한 스트립 조립체가 없는 도면.
도 33은 도 32의 몹 헤드의 본체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34는 도 33의 본체부를 아래로부터 바라본 도면.
도 35는 도 32의 몹 헤드의 본체부의 측면도.
도 36은 도 17의 몹에 대한 변형례의 사시도.
도 37은 도 36의 몹을 부분 단면 형태로 도시한 전개도.
도 38은 도 36의 몹에 사용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의 층에 대한 평면도.
도 39는 도 36의 몹에 사용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의 사시도.
도 40-42는 도 36의 몹에 사용되는 선택적인 교체 조립체를 예시한 도면.
도 43은 도 42의 교체 조립체의 일 제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형태의 교체 조립체를 합체하는 몹 헤드의 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 45는 몹의 다른 변형례에 대한 전개 사시도.
도 46은 도 20과 유사한 도면으로, 도 30의 몹의 헤드가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 단면도.
도 47은 다른 종류의 몹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48은 도 47의 몹이 조립되는 과정중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9는 다른 종류의 몹 헤드의 2개의 요소를 부분 절제 도시한 전개도.
도 50은 도 49의 요소를 사용하는 몹 헤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1은 도 32-35에 도시된 몹 헤드와 함께 사용되는 선택적인 형태의 핸들을 예시하는 도면.
도 52는 도 51의 핸들의 요소를 예시한 도면.
도 53은 도 4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몹 헤드에 부착된 도 51의 핸들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4-57은 교체 가능한 스트립 조립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스트립 몹 방식의 개량된 몹을 제공하는 것과, 저비용으로 교체될 수 있는 헤드를 구비하고 기존의 것 보다 재료의 소모가 적은 몹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홀더에 삽입되어 몹 헤드를 형성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제공하며, 그 조립체는 포장되어, 몹 헤드의 작업부를 형성하는 한 층 이상의 웨브재 층을 구비하며, 그 층에는 그 층을 상기 분리 가능한 홀더에 배치하는 구멍을 하나 이상 구비한다.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홀더에 삽입되어 몹 헤드를 형성하는 다른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제공하며, 그 조립체는, 몹 헤드의 작업부를 형성하며, 상기 분리 가능한 홀더로의 장착을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하는 한 층 이상의 웨브재 층과, 상기 층과 관련하여, 그 층을 몹 헤드의 분리 가능한 홀더로 배치시키기 위해 활자화된 주의사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홀더에 삽입되어 몹 헤드를 형성하는 또다른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제공하며, 그 조립체는 2개 이상의 긴 웨브재 층을 구비하며, 그 층은 그 중앙부가 다른 층의 상부에 위치되어 서로 고정되도록,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열되며, 각 층의 단부 각각은 몹 헤드의 작업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몹 핸들에 부착되는 몹 헤드를 형성하기 위해, 분리 가능한 홀더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몹 헤드 홀더는 한쪽이 다른 쪽 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그 2개의 부품 사이에는 다수층의 웨브재를 구비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홀더는 몹 핸들과 결합되는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 연장부는 몹 핸들에 나사 결합되거나 및/또는 밀어 넣어지거나 및/또는 클립 고정되는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몹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단지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의 몹은 마루 바닥용 몹으로서, 스틱형 핸들(4)(일부만이 도시되어 있음)의 일 단부에서 홀더(3)에 고정된 다수의 직물 스트립(2)으로 이루어진 헤드(1)를 구비한다. 스트립(2)은 예컨대, 열 접합된 부직포 재료 또는 코팅된 부직포 재료 등의 일반적인 부직포 흡수 재료로 형성되며, 홀더(3)로부터 약 20cm 정도로 연장한다. 그렇지만, 부직포 흡수 재료의 사용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스트립은 예컨대(바닥용 몹의 경우), 흡수성을 갖는 압출된 웨브재나 또는 셀룰로스 스폰지재 등의 기타 적당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스트립(2)은 몹의 대체 가능한 부품으로서,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한편, 홀더(3)는 핸들(4)과 마찬가지로 몹의 영구 요소이다. 마찬가지로 이후 상세하게 설명될 홀더(3)는 플라스틱재(예컨대, 유리섬유가 충진된 폴리프로필렌)로 구성되며, 반면 종래의 몹 핸들은 예컨대, 목재 또는 금속(플라스틱재로 덮여질 수 있음.)으로 약 120cm 길이로 구성된다.
홀더(3)는 2개의 절반부(6,7)로 형성된 본체부(5)를 구비한다(도 1에는 닫힌 상태로, 도 2에는 개방 상태로 도시됨). 상기 2개의 절반부(6,7)는 그들이 서로 닫혀질 때, 몹 스트립(2)의 상부가 배치될 수 있는 둘러싸인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부(5)의 각 절반부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외형을 가지지만, 절반부(6)는 핸들(4)의 단부가 고정적으로 끼워지는 원통형 연장부(8)를 구비하며, 반면 다른 절반부(7)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홀더(3)의 개폐에 사용되는 레버부(9)와 함께 형성된다. 본체 절반부(7)는, 핸들(4)의 각 측면상에 하나씩 제공되어 상기 레버부(9)를 통해 원통형 연장부(8)안으로 관통하는 핀(10)에 의해 다른 절반부(6)에 피벗되게 연결된다.
홀더(3)의 레버부(9)는 굴곡되어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가 닫혀 있을 때, 그 레버부는 몹 핸들(4)을 밀착 결합하게 된다. 레버부(9)의 자유단은 잠금용 연장부(11)를 구비하며, 그 연장부의 형상은 레버부가 핸들쪽으로 밀어넣어질 때 그 핸들(4)을 밀착 결합함으로써 홀더(3)를 닫힌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형상이다. 홀더(3)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해지면, 레버부(9)의 잠금 연장부(11)를 핸들(4)로부터 분리되도록 충분한 힘으로 당겨야 하며, 그 경우, 레버부(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절반부(7)를 나머지 절반부(6)에서 분리되도록 피벗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체 절반부(6)의 내부면상에는 일련의 핀(12a)이 존재하며(도 2참조), 그 용도는 이후 설명될 것이다. 홀더(3)가 닫힐 때, 상기 핀(12a)은 본체 절반부(7)의 내부면상에 있는 각각의 소켓(12b)내에 맞물린다. 상기 소켓(12b)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3에 그 중 2개가 도시되어 있다.
몹 스트립(2)은 몹의 교체 가능한 부분을 형성하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조립체(13)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조립체(13)는 다수의 재료층으로 이루어지며, 그 각각의 재료층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서로의 상부상에 각기 배치된 재료로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폭을 가로질러 서로 이격된 2개의 라인(14)을 따라 봉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스트립(2)은 직사각형의 단부로부터 다수 층 내측의 봉합 라인(14)을 향해 안쪽으로, 그 봉합 라인 사이의 영역(15)이 절단되지 않도록 하여,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영역(15)에는 홀더(3)내의 핀(12a)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봉합 라인(14) 사이의 중간에 나란하게 위치된 라인(17) 근처)에 상기 다수층의 재료를 관통하는 구멍(16)을 또한 형성한다. 그런 다음, 최종의 조립체(13)를 라인(17)을 따라 접음으로써, 그 조립체는 도 2에 도시된 형태(즉, 구멍(16)을 포함하며 스트립(2)이 연장되기 시작하는 부분인 상부 비절단부(18))를 갖추게 된다. 물론, 상응하는 스트립 조립체로서, 별개의 층을 서로 봉합하기 이전에 그 층을 접는 것에 의해 스트립 조립체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단지 하나의 봉합 라인만이 필요하게 된다.
일차적으로 접어진 상태의 조립체(13)를 개방 홀더(3) 안으로 삽입하고, 핀(12a)들이 구멍(16) 내에 위치되도록 비절단부(18)를 상기 홀더(3)내에 배치한다. 그런 다음, 레버부(9)를 핸들(4)쪽으로 이동시켜 핸들을 잠금 연장부(11) 사이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교체 가능한 조립체(13)가 홀더(3)내에 클램프되고 핀(12a)에 의해 유지되도록 홀더(3)를 폐쇄 위치로 고정하며, 이때 핀의 단부들은 대응하는 소켓(12b)내에 위치되어진다. 그러면, 몹은 사용 준비가 완료된다. 만일, 스트립(2)이 닳아지게 되면, 단순히 홀더(3)를 개방하고 조립체(13)를 제거하여 그것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것만이 필요할 따름이다. 선택적으로, 스트립이 닳지 않고 다만 더럽기만 한 경우에는 그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씻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몹에 사용되는 교체 조립체(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이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접어진 상태이거나, 어떤 것으로도 사용자에게 유용할 수 있으며, 낱개로 또는 여러개가 함께 포장될 수 있다. 그러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는 반드시 도 4에 도시된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다. 도 5에는 마찬가지로, 홀더(3)내에 삽입하기 전에 접어야만 하는 다른 선택적인 교체 가능한 조립체가 예시되어 있다. 그 경우, 각각의 재료층은 오직 일측면으로만 절단되어 다수의 스트립(2)을 형성함으로써, 다른 측면을 따라서는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는) 비절단부(18)가 형성되도록 한다. 조립체는 홀더(3) 내에 삽입되기 이전에 라인(17)을 따라 절반으로 접어진다. 그러나, 접혀진 조립체의 사용에 있어서 조립체의 형성에는 적은 수의 재료층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여도, 조립체는 접혀진 부분 자체의 두께가 증가됨으로써 홀더(3) 안으로의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또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접을 필요가 없고 다만, 단순히 도 4에 도시된 조립체의 절반부(즉, 중간 라인(17)에서 종결하는 절반부)로 구성될 수 있어야 하지만, 그 경우, 조립체는 다수의 재료층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2개(또는 그 이상)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가 어느 때고 한 번에 몹에 사용되어져야 한다. 또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다양한 재료층은 서로 봉합되는 대신에 재료층의 비절단부(18) 둘레로 소정 형태의 케이싱에 의해 함께 유지될 수 있다. 적절한 형태의 케이싱 중 하나는 비절단부(18)의 측면 연부를 덮지 않는 것으로, 도 6에서 도면부호(19)로 지시된다. 물론, 그 케이싱에는 재료층의 구멍(16)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20)이 형성된다.
도 2-6에 도시된 각각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에서, 홀더(3)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비절단부(18)는 스트립(2)과 동일한 재료층의 일부이다. 그러나, 그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재료층의 비절단부(18)는 스트립(2)과는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스트립(2)의 모든 층에 공통적인 단일의 비절단부(18)로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교체 조립체의 설명에서, 흡수재층은 소위 "연속 스트립"으로 지칭될 수 있는 것으로 절단됨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재층을 다른 선택적인 형태로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몇몇 경우에는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 4 288 884 호에서는 흡수재층이 연속 스트립이 아니라, 흡수재에 소정의 격자를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슬릿형(소위, "스킵 슬릿")으로 절단되는 조립체가 설명된다. 이미 설명한 바의 어떠한 교체층도 연속 스트립으로 절단되는 대신에 그러한 방법으로 절단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하기에 설명되는 어떠한 교체층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57에서는 도4에 도시된 형태의 교체층으로서, 미국 특허 제 4 288 884 호에 설명된 슬릿형으로 교체되는 교체층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교체층은 실제로, 몹 헤드의 작동부를 제공하는 데 적합한 여타의 방식으로 절단될 수 있음을 또한 알아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언제든지 사용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라는 용어는 재료층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임의의 방법으로 몹의 헤드부의 작업부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재료층을 형상화시키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돼야 한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 4 288 884 호에 설명된 슬릿 패턴을 포함).
도 7에는 다른 형태의 스트립 몹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교체 가능한 조립체(들)(13)를 위한 홀더(3)는 서로 피벗되게 연결된 2개의 절반부(6,7)로 구성되지만, 이 경우, 홀더는 개방되기 전에 몹 핸들(4)로부터 분리되어져야 한다. 홀더(3)의 각 절반부는 피벗 연결부(10)가 위치되는 상향 연장부(21)를 구비하며, 그 연장부는 외면에 수나사(21a)가 형성된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종결한다. 홀더(3)가 폐쇄될 때, 상기 연장부(21)는 합쳐져서 원통형 부분을 형성하며, 그 원통형 부분은 외면에 수나사(21a)를 구비하며, 그 원통형 부분이 몹 핸들(4)의 단부 둘레로 끼워지게 되는 내경을 가진다. 몹은 암나사가 형성된 클램프 링(22)을 또한 포함하며, 그 클램프 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장부(21)가 함께 닫혀질 때 수나사(21a)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교체 조립체(13)를 홀더(3)내에 위치시켜 핀(12a) 위에 자리하도록 하면, 클램프 링(22)을 핸들(4)에서 미끄럼 이동시키고, 그런 다음 핸들(4)의 단부가 반원통형의 연장부(21)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홀더를 폐쇄한다. 그런 다음, 클램프 링(22)을 연장부(21)의 단부 위에서 아래로 미끄러내려 수나사(21a)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그 연장부(21)를 핸들의 단부 둘레로 서로 견고하게 유지하고, 그와 동시에 교체 조립체(13)를 홀더(3) 내에 클램프시킨다. 조립체(13)를 홀더(3)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클램프 링(22)을 연장부(21)로부터 단지 나사 결합을 해제하고 그것을 핸들(4)에서 위로 밀어내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에 홀더(3)는 개방될 수 있다. 도 7에는 핸들(4)의 단부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것은 핸들을 홀더(3)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 특정 실시예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몹의 변형된 형태에서, 연장부(21)의 수나사(21a)는 생략되었으며, 암나사가 형성된 클램프 링(22)은 연장부들이 핸들(4)의 단부 둘레로 함께 폐쇄될 때 그 연장부 위로 밀어넣어질 수 있는 클램프 슬리브로 교체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몹에서,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는 접혀진 재료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 4의 재료층의 절반부(즉, 중간 라인(17)에서 종결하는 절반부)로 각기 이루어진 층으로 형성됨을 알아야 한다. 홀더(3) 내에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를 용이하게 배치하기 위해, 홀더의 각 절반부(6,7)의 하부 연부는 그 조립체의 수용을 위해 절제될 수 있다.
도 8에는 또다른 형태의 스트립 몹이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홀더(3)의 절반부(6)는 몹 핸들(4)의 단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연장부(25)와 일체로 형성된다. 홀더(3)의 다른 쪽 절반부(7)는 도면부호(26)의 위치에서 원통형 연장부(25)의 베이스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홀더(3)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홀더의 절반부(6)상의 탭(28)과 결합할 수 있는 후크(27)를 각 측면에 포함한다. 상기 탭(28)은 홀더(3)의 나머지 부분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스트립(2)의 교체시에 사용자에 의해 그 탭이 후크(27)에서 분리되어 홀더(3)를 개방(도 8 참조)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탄력성을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몹의 홀더(3)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것 보다 평탄하지 않으며, 따라서 스트립(2)의 수용을 위한 보다 큰 내부 공간이 제공된다. 필요한 경우, 홀더의 각 절반부(6,7)의 하부 연부는 도 7의 몹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역시 절제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몹에서, 핸들(4)은 홀더(3)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의도된 것임에 따라,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원통형 연장부(25) 안으로 단순히 밀어넣어지는 끼움부일 수 있다.
도 9에 분리 상태로 도시된 몹은 레버부(9)가 홀더(3)의 일부(7)에서 직접 연장하는 연장부가 아니라, 피벗되게 연결된 일련의 링크(40,41,42)를 통해 상기 홀더의 일부(7)에 연결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3에 도시된 몹과 대체로 유사하다. 링크 형태의 적절한 선택과 피벗 연결부의 위치 조정에 의해, 몹의 사용시에 홀더(3)상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레버부(9)가 의도하지 않게 몹의 핸들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7-9에 도시된 각각의 몹에서, 특정 형상의 홀더(3)는 본질적인 특징이 아님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의 홀더(3)는 도 1 및 도 5의 그것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역으로도 마찬가지다. 또한, 홀더(3) 절반부(7)의 내측에 있는 리세스(12b)는 생략되거나, 아니면 홀더의 다른 절반부에 있는 핀(12a)과 유사한 또다른 핀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0은 교체 가능한 조립체(13)용 홀더가 프레임(45) 형태인 몹을 예시하며, 상기 프레임은 절곡되어 2부분(46,47)으로 형성되며, 그 2개의 부분은 서로 힌지되며 스트립 조립체가 그 2개의 부분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프레임(45)은 또한 홀더(3)를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레버부(48)를 형성하도록 연장하며, 레버부는 홀더를 폐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몹 핸들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49)를 구비한다. 프레임(45)은 산업용 청소 목적에 사용되는 몹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방식을 취하며, 그 경우, 프레임은 통상 금속 자체 만으로 형성되며, 중량의 면사 스트링으로 형성된 몹 헤드를 유지하는 데 적합한 크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프레임(45)은 보다 작을 수 있으며, 플라스틱 피복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몹에서 분리된 것으로 도시된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는 재료층의 비절단부(18)에 구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조립체의 단순화된 형태이다.
도 11은 다른 형태의 몹을 분리된 상태로 도시하고 있으며, 그 몹에서 홀더(3)(2개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를 지지함)는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 연장부를 가진 거의 직사각형의 본체(50)를 구비하며, 원통형 연장부 안으로 몹 핸들(4)이 나사 결합되어 사용된다. 상기 본체(50) 내에는 2개의 지지용 트랙(52)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11의 몹에서 각각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는 중앙의 비절단 영역(15)에 단지 2개의 위치 설정 구멍(16)만을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일반적인 형태를 가진다. 각각의 조립체(13)는 각각의 레일(54) 상에 현수되고, 레일상에 제공되어 구멍(16)과 맞물리는 2개의 핀(55)에 의해 위치 설정된다. 레일(54)은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본체(50) 안팎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의 지지용 트랙(52)내에 맞물리는 형태를 갖는다. 도 13은 별도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a)가 본체(50) 내의 제위치에 자리한 하나의 레일(54a)과, 본체로부터 분리된 제2 레일(54b)과, 교체중에 있는 별도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b)를 예시한다. 어느 조립체(13)라도 스트립(2)이 닳아지게 되면, 조립체(13)는 별도의 레일(54)(조리체(13)를 포함하여)을 본체(50)로부터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레일(54)에서 벗겨져서 다른 조립체로 교체되며, 후속하여 레일은 다시 지지용 트랙안으로 넣어진다. 도 11은 지지용 레일(54)(그 각각은 별도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지지함)을 나란히 내장하고 있는 본체(50)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본체(50)는 그러한 레일을 2개 이상 포함하거나, 아니면 단일의 레일(54)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지지용 트랙(52)이 일단부에 피벗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그 트랙이 상승 위치(트랙이 본체(50)내에 완전히 포함되는 위치)로부터 도시된 바의 하강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점을 제외하고, 도 1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분리된 상태의 몹을 예시하고 있다. 트랙이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지지용 트랙(52)의 자유단을 지지하기 위해 본체(50)에는 후크형 캐치(53)가 제공된다. 조립체(13)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캐치(53)를 해제하고, 별도의 레일(54)(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초함함)이 분리될 수 있도록 지지용 트랙(52)을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하강시킨다. 조립체(13)는 레일에서 벗겨져서 다른 것으로 교체되며, 그런 다음, 레일은 지지용 트랙(52)으로 다시 넣어진다. 도 11에 도시된 몹의 경우와 같이, 레일(54)의 개수는 변화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몹 헤드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도 13은 핸들(4)에서 분리된 몹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선 XIV-XIV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 경우, 홀더(3)는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장부(56)을 구비하는 거의 직사각형의 커버(50a)를 포함하며, 그 연장부 안으로 몹 핸들(도시 생략)이 나사 결합된다. 커버(50a)의 안쪽으로는 지지용 레일(59)의 핀(58)이 스냅 끼워맞춤되는 소켓(57)이 형성된다. 지지용 레일(59)은 핀(58)이 위치 설정 구멍(16)내에 배치되어 각각의 스트립 조립체가 레일의 소정 측면상에 아래로 현수되도록 하여,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별도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를 지지한다. 레일(59)은 커버(50a)의 연부가 끼워져서 홀더(3)의 최종 외형을 부여하는 립(60)을 구비한다. 몹 스트립(2)이 닳아지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9)을 커버(50a)로부터 분리되도록 당김으로써, 스트립 조립체(13)가 분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레일을 다시 커버의 위치로 스냅 결합시키면, 몹은 다시 사용 준비가 완료된다. 변형예로서, 지지용 레일(59)은 나란히 배치된 일조의 스트립 보다 많은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는 몹 헤드의 분해도로서, 그 몹 헤드에서 교체 가능한 조립체(13)용 홀더(3)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가 현수될 수 있는 베이스(66)와, 베이스의 단부를 암나사가 형성된 원통형의 연장부(68)로 연결하는 2개의 측면(67)을 구비하는 개방된 삼각형의 캐리어(65)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 안으로 몹 핸들(4)의 단부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스트립 조립체(13)는 도 12에 도시된 조립체와 유사하며, 캐리어(65)의 베이스(66)에는 2개의 핀(69)이 함께 형성되며, 그 2개의 핀은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제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조립체의 비절단부(15)에 있는 위치 설정 구멍(16)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3)는 또한 캐리어(65)용 커버(70)를 구비하며, 그 커버는 몹 핸들(4)이 관통하는 중앙 구멍을 구비한다. 몹 핸들(4)이 캐리어(65)안으로 나사 결합될 때, 커버(70)는 캐리어(65)가 노출되는 상승 위치와, 커버가 캐리어의 연부 둘레의 림(71)에 끼워져서 캐리어를 덮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핸들의 위 아래로 미끄럼 이동될 수 있다. 스트립 조립체(13)가 캐리어(65)내에 위치되면, 조립체는 커버(70)에 의해 제위치에 클램프될 것이다. 스트립 조립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커버(70)를 상승시키고 스트립 조립체를 캐리어에서 분리하여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 다시 커버(70)를 하강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도, 캐리어는 일조의 스트립 보다 많은 스트립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본체(50)에 단지 하나의 지지용 트랙(54)만이 존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거의 유사한 몹 헤드의 분해도이다. 또한, 이 경우, 교체 가능한 조립체(13)가 현수되는 레일은 2개의 부분(75,76)으로 구성되며, 스트립 조립체는 그 2개의 부분 사이에 유지된다. 레일의 하부(76)에는 2개의 핀(77)이 함께 형성되며, 그 2개의 핀은 스트립 조립체의 비절단부(18)에 있는 위치 설정 구멍에 결합되고 나서, 레일의 상부(75)에 있는 대응하는 구멍(도시 생략)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스트립 조립체(13)를 구비한 완전한 레일(75,76)이 그 레일(75,76)의 연부들이 트랙의 측면에 있는 슬롯(78) 안으로 위치되도록 본체(50)의 트랙(54) 안으로 미끄럼 이동됨으로써 서로 고정된다. 스트립 조립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홀더(3)의 본체(50)로부터 레일(75,76)을 분리하여 분해함으로써 스트립 조립체를 제거하여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전술한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그 조립체가 대체로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그 취급 및 포장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 조립체들은 또한 비교적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조립체중 하나를 사용하는 몹은 몹 헤드가 사용을 통해 닳아질 때 그 조립체를 교체하여 주는 것만을 필요로 한다. 교체 가능한 조립체가 위치된 몹 헤드의 홀더(3)는 몹의 영구적인 요소이며, 재료의 소모가 적다는 바람직한 결과를 가진다. 더욱이,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홀더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조립체가 더러워지게 되면 조립체를 세척하고 나서 다시 몹에 넣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는 다수의 분리된 재료층을 구비한다. 그러나,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도 5에 도시된 것과유사하지만, 봉합 라인(14)의 방향으로 보다 긴 길이로 되어 있어서 그 봉합 라인의 방향으로 느슨하게 감겨져서 도 7의 조립체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평탄화될 수 있는 그러한 단일의 재료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가 비교적 폭이 좁은 다수의 스트립(2)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스트립의 폭 및 개수는 선택 사항이다. 극단적인 경우, 각각의 층은 조립체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단일 스트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별개의 스트립(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연부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예컨대, 파형이나 지그재그형의 연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층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일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폭이 좁은 단부가 몹 홀더(3)내에 유지되도록 의도된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형태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3)는, 여러개의 롤로부터 전폭의 웨브재를 함께 배치(다른 것의 상부에 배치)하고, 재료층을 전폭에 걸쳐 봉합하고, 재료층을 절단용 프레스로 이송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며, 상기 절단용 프레스에서는,
(i)봉합선에서 일정 거리를 두고 재료층을 폭을 따라 절단하고,
(ii)위치 설정 구멍(16)을 뚫고,
(iii)스트립(2)을 형성하기 위해 재료층의 길이에 나란한 다수의 절단부를 구성하고,
(iv)인접 조립체의 분리를 위해 재료층의 길이에 나란한 다수의 절단부를 구성하는 단계가 동시에 수행된다.
언제든 한 번에 봉합 또는 절단될 수 있는 재료층의 개수는 한정될 수 있으며, 몹의 홀더(3)를 채우는 데 그러한 다수의 조립체(13)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조립체의 개수는 함께 포장 및 판매된다. 포장은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완전히 감싸는 포장에서부터 단순히 조립체를 함께 유지하는 밴드 형태의 포장에 이르기까지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조립체를 몹(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임의의 몹일 필요는 없다.)의 홀더에 적절하게 삽입하는 것과 관련하여, 교체 가능한 조립체에는 주의 사항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조립체 자체는 조립체상에 활자화된 인쇄물의 형태로 주의 사항을 보유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몹은 마루바닥용 몹으로, 스틱형 핸들(104)(그 중 일부만이 도시됨)의 일단부에서 홀더(103)에 고정된 다수의 직물 스트립(102)(전체 길이로 도시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 헤드(101)를 구비한다. 스트립(102)은 예를 들면, 열접착성의 비직조 재료 또는 코팅된 비직조 재료와 같은 통상의 비직조 흡수재로 형성되며, 홀더(103)로부터 약 20cm 정도 연장한다. 그러나, 비직조 흡수재의 사용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스트립은 예컨대(마루 바닥용 몹의 경우), 압출된 흡수 웨브재 또는 셀룰로오스 스폰지재와 같은 여타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스트립(102)은 몹의 교체 가능한 부분으로서,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한편, 홀더(103)는 핸들(104)과 마찬 가지로 몹의 영구 요소이다. 이후 상세하게 설명될 홀더(103)는 플라스틱 재료(예컨대, 유리 섬유 충전된 폴리프로필렌)로 형성되는 반면, 핸들(104)은 예컨대, 목재나 금속(플라스틱 재료로 피복될 수 있음)으로 형성된 약 20cm 길이의 통상의 몹 핸들이다.
도 18에 분리 상태로 도시된 홀더(103)는 본체(105)와, 몹 헤드가 조립될 때 스트립(102)이 현수되는 캐리어(106)로 이루어진다. 캐리어(106)는 평탄한 타원형의 베이스(107)(약 4.5cm의 장반경과 약 3.6cm의 단반경으로 됨)를 구비하며, 그 베이스상에는 고리형 단부(109A)(도 17에 도시됨)를 갖는 2개의 수직 클립(109)과 수직 소켓(108)이 형성되어 있다. 고리형 단부(109A)를 포함하는 클립(109)은 약 3.3cm의 높이를 가지며, 소켓(108)의 높이는 약 2.5cm이다. 원형의 소켓(108)은 베이스(107)의 중심상에 위치되며, 클립(109)은 소켓의 각 측면상에 하나씩 베이스의 연부에 위치된다. 소켓의 내부 리세스(108A)의 단면은 라운딩 단부를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본체(105)는 전체적으로 돔형이며, 몹 핸들(104)로의 부착을 위해 소켓의 형태로 약 4.3cm의 길이로 연장하는 원통형 연장부(110)를 구비한다. 본체(105)의 돔형 부분의 외주(111)는 캐리어(106)의 베이스(107)와 동일한 타원 형태이지만, 그 보다 큰 크기를 가진다(약 7.5cm의 장반경과 약 6.5cm의 단반경을 가짐). 본체(105)의 외측면상의 2개의 리세스(113)는 베이스(107)상의 클립(109)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별도의 개구(114)(약 0.4cm X 약 0.7cm)를 포함하는 반면, 본체내에서 중앙에 위치된 약 2.3cm 길이의 핀(116)(도 18에는 도시 생략)은 소켓(108)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아래로 연장한다. 핀(116)의 단면은 소켓(108)의 리세스(108A)의 형상과 일치한다.
홀더(103)의 여러 부분에 대한 상기의 특정 치수는 홀더의 바람직한 형태의 치수이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홀더의 형태 및 치수는 필요한 경우 바꿀 수 있다.
본체(105)의 돔형 부분을 캐리어(106) 위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홀더(103)를 조립하면(도 20 참조), 핀(116)은 소켓(108)내에 위치되고, 그리고 클립(109)은 그 고리형 단부(109A)가 리세스(113)내에 맞물리면서 개구(114)내에 위치된다. 캐리어(106)는 클립(109)의 2개의 고리형 단부(109A)를 그 단부들이 구멍을 통해 후퇴되어 캐리어(109)가 분리될 수 있을 때까지 본체 중앙을 향해 내측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결국 본체(105)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홀더(103)는 함께 끼워지고 해제되는 것이 간단하여, 스트립(102)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캐리어(106)와 본체(105)와의 사이의 클립 체결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도 17의 홀더(103)에는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5)상의 연장부(110)는 도면 부호(118) 위치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몹 핸들(104)의 단부에도 역시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단부는 소켓 안으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핸들(104)은 단순히 연장부(110)내에 밀어넣어 끼워지는 방식일 수 있다. 또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이하 설명됨)에서, 소켓은 소정의 핸들이 연장부(110)상에 스냅 끼워맞춤될 수 있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몹 스트립(1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106)를 본체(105)에 위치시키기 이전에 캐리어(106)의 상부에 서로 적층 배열되는 다수의 재료층(120)에 의해 제공된다. 각각의 층(12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이며, 비절단된 중앙 영역(122)을 남겨두고 각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단하여 스트립(102)을 형성한다. 중앙의 구멍(123)이 중앙 영역(122)에서 2쌍의 작은 구멍(124,125)과 함께 투공된다. 큰 구멍은 크기에 있어 캐리어(106)상의 소켓(108)에 상응하고, 각 쌍의 작은 구멍(124,125)은 크기에 있어(그리고 큰 구멍(123)에 대한 위치에 있어) 대체로 클립(109)에 상응한다. 도 19에 도시된 재료층(120)은 상기 구멍(123)을 소켓(108) 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쌍들중 어느 한 쌍의 구멍(124,125)을 클립(109) 위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캐리어(120)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멍(124)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층(120)은 캐리어(106)상에서 일방향으로 놓여지며, 다른 구멍(125)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층은 수직 방향으로 놓여질 것이다. 몹 헤드를 조립할 때, 캐리어상에는 다수의 유사한 층(120)을 배치하는데, 그 중 일부층은 캐리어(109)상의 일방향으로, 그리고 나머지는 다른 방향으로 놓여지도록 하여 배치된다. 그런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05) 내에 캐리어(106)를 배치함으로써, 재료층의 스트립(102)이 캐리어(106)의 둘레와 본체(105)의 돔형 부분의 큰 둘레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측으로 현수되는 상태로 몹 헤드(103)에 있는 재료층(120)의 중앙 영역(122)을 구속한다.
전형적으로, 도 19의 재료층은 약 7cm의 폭을 가지며, 재료층의 각 단부에서의 스트립(120)은 약 20cm 길이이다. 스트립(120)의 최내측 단부 간의 거리(즉, 중앙 영역(122)의 직경)는 재료층의 폭과 유사하다. 중앙 영역(122)의 치수는 그 영역이 홀더(103) 내에 실질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다. 큰 구멍(123)은 약 1.3cm의 직경을 가지며, 작은 구멍(124,125)은 약 0.6cm의 직경을 가진다.
재료층(120)은 홀더(103)에서 2개의 직교 방향으로 현수되기 때문에, 종래의 스트립 몹의 경우와 같이, 몹 헤드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스트립(102)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경우, 스트립이 닳아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단지 캐리어(106)를 본체(105)로부터 해제하고, 그런 다음, 재료층(120)을 제거하여 다른 새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스트립(102)을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택적으로, 만일 스트립(102)이 닳지 않고 다만 더러워진 경우라면, 재료층(120)을 세척하여 다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에 도시된 바의 몹에 사용되는 교체층(120)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조립된 상태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126)는 도 19에 그 각각의 층이 도시되어 있는 다수의 층(120)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 일부의 층(120A)은 일방향으로, 그리고 나머지 층(120B)은 직각 방향으로 놓여진다. 스트립의 중앙 구멍(123)은 전체가 서로 중심 정렬되며, 재료층(120A)의 구멍(124)은 다른 재료층(120B)의 구멍(또는 역으로도 마찬 가지임)에 정렬된다. 재료층은 완전한 조립체(126)를 통해 연장하는 2개의 플라스틱 태그(127)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
조립체(126)를 도 17의 몹 안으로 삽입하기 위해서는, 소켓(108)이 상기 중심 정렬된 중앙 구멍(123)에 위치되고, 그리고 클립(109)이 상기 정렬된 구멍(124,125) 중 한 쌍에 위치되는 상태로, 전체 조립체를 캐리어상에 배치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플라스틱 태그(127)를 분리할 필요는 없다. 그런 다음, 캐리어상에 본체를 배치하여 조립체(126)를 제위치에 고정한다.
전형적으로, 조립체(126)는 동일 방향으로 놓여진 3개의 인접층을 각 1개의 그룹으로 하여 3개의 그룹으로 배열된 9개의 재료층(12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립체(126)는 3개층의 상부 그룹(120A), 3개층의 중간 그룹(120B), 마찬가지로 3개층의 하부 그룹(120C)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립체(126)를 구성하는 재료층의 개수(및 2개의 방향 각각에 사용된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조립체의 인접층은 예컨대, 그룹으로 배열되는 대신에, 방향에 있어 교차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도 21의 조립체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십자형의 형상을 갖는 다수의 층(15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십자형의 각 아암에는 그 말단부로부터 절단된 다수의 스트립이 형성되며, 십자형의 중앙에는 상기 층(150)을 몹 홀더의 캐리어(106)상에 현수할 수 있게 하는 구멍(151)이 제공된다. 그러나, 도 22에 도시된 교체 스트립은 웨브 재료의 절단시 상당량의 낭비가 수반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교체 조립체(126)는 물론, 적절한 방법으로 포장될 수 있다(필요한 경우, 조립체는 접혀질 수 있어서, 평평하게 포장해야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수반한다.). 예컨대, 조립체를 포장하기 이전에, 스트립(102)의 층을 접어넣는 것(즉, 몹 내에서 갖게 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조립체로 형성됨)이 가능하게 된다. 포장은 완전히 둘러싸는 방식으로부터 스트립(102)을 둘러싸면서 그것을 함께 결속하는 단순한 밴드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포장 여부에 상관없이 조립체에는 스트립 조립체를 몹 홀더에 삽입하는 것과 관련된 구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활자화된 형태의 주의사항이 스트립 조립체(126) 자체에 보유될 수 있다.
조립체(126)의 층을 함께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태그(127)는 교체 조립체(126)가 제위치에 있을 때 그 대체 수단이 몹 홀더의 본체(105)를 캐리어(106)상에 배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면, 다른 적절한 고정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다. 조립체(126)의 다수의 층은 예컨대, 스테이플에 의해 함께 유지되거나, 또는 함께 봉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7의 몹을 위한 교체 층(120)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조립체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알 것이다. 교체 층(120)은 예컨대, 개별적으로 또는 정렬된 층의 그룹이 조립된 상태로 활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캐리어(106)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재료층(120)에서의 구멍(123,124,125)의 크기 및 위치는 몹 홀더의 캐리어(106)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선택적인 형태의 캐리어(106)가 사용되는 경우, 재료층(120)의 형태는 그에 따라 조정되게 된다. 캐리어(106)가 도 18에 도시된 형태를 갖는 경우, 단지 한 쌍의 구멍(124,125)만이 각 층에 필요하며, 그에 따라 다른 쌍의 구멍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것은 재료층들에 있어, 소정의 재료층에서는 구멍(124)이 필요한 반면, 다른 층에서는 다른 구멍(125)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재료층들이 모두가 동일하지는 않다는 단점(제조상의 관점에서)을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스트립은 파형의 연부를 가지지만, 그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스트립은 예컨대, 직선형이나 지즈재그형의 연부를 가질 수 있다. 각 층(120)의 중앙에 있는 비절단부(122)가 나머지 층과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도 역시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중앙 영역은 사용될 몹 홀더(103)의 크기 및 형태에 의존하여, 나머지 층의 폭 보다 넓거나 좁을 수 있다.
도 23-31은 도 18의 몹 헤드 홀더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교체 재료층을 예시로써 나타낸다.
도 23은 연속 스트립이기 보다는 (전술한 바의)스킵 슬릿으로 절단되고 직선형의 연부를 가진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9에 도시된 층과 유사한 교체층(152)을 예시한다. 도 24의 층(153)은 역시 도 19의 층과 유사하지만, 이 경우, 층의 각 단부 부분은 단일 스트립(즉, 폭을 가로질러 층을 세분하는 종방향 절단부를 갖지 않음)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5 및 도 26은 각 층의 폭이 중앙 영역(156)으로부터 각 단부를 향해 외측으로 증가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23 및 도 24의 층(152,153)에 각기 대응하는 교체층(154,155)을 예시한다. 도 27의 교체층(157)은 구멍(158)의 배열이 층의 단부 부분(즉, 몹 헤드의 작업부를 형성하게 될 층의 부분)에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26의 층(155)과 유사하다.
도 28은 직사각형이 아니라 원형인 교체층(159)을 예시한다. 층(159)을 몹 홀더(도 18 참조)의 캐리어(106)상에 현수하도록 하는 구멍(160)이 원형층의 중앙에 제공되며, 나머지 층은 다수의 반경 방향 스트립(161)으로 절단된다. 도 29의 교체층(162)도 원형이지만, 도 28의 층(159)와는 달리, 반경 방향 스트립으로 절단되지는 않는다. 도 30 및 도 31의 교체층(163,164)은 도 29의 층(162)과 대체로 유사하지만, 각 교체층의 경우, 둘레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2-35에 도시된 몹 헤드 홀더(103)는 일단부에 외부 소켓이 형성되어 있는 핸들(도시 생략)에 몹 홀더를 부착할 수 있게 하는 외부 둘레 리브(130)가 본체(105)의 원통형 연장부(110)에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17,18,20에 도시된 홀더와 유사하다. 그 경우, 상기 연장부(110)는 스피곳(spigot)으로 작용하여, 상기 리브(130)가 소켓의 내표면상의 대응하는 홈 안으로(또는 선택적으로, 소켓상에 적절하게 위치된 립 위로) 끼워질 때까지 핸들상의 소켓 안으로 밀어넣어진다. 핸들상의 소켓은 원통형의 연장부(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도의 탄성을 가지며, 그 탄성은 예컨대, 소켓내에 하나 이상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제공하거나, 또는 소켓을 탄성 재료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리브(130)는 연장부(110)의 표면으로부터 약 1.0mm 정도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약 2.0mm의 깊이(즉, 연장부(100)의 축방향으로)를 가진다.
그러한 구성에서, 홀더는 몹 헤드 홀더(103)와 몹 핸들 사이의 연결에 의해 핸들상에서 회전되지 않으며, 도 32-35에서 예컨대, 둘레 리브(130)에는 특히, 몹이 사용중일 때, 핸들상의 소켓의 적절한 위치에 결합되어, 몹 홀더와 핸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돌출부(131)(도 33 및 도 35 참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상의 소켓에, 그 소켓을 연장부(110) 위로 밀어넣을 수 있게 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이 함께 형성된 경우, 상기 돌출부(131)는 그러한 슬롯내에 결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돌출부(131)의 깊이는 리브의 깊이와 동일하지만, 그 돌출부는 연장부(110)의 표면으로부터 약 5.0mm 정도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돌출부(131)의 둘레 방향을 따른 폭은 약 3.0mm이다.
도 32-35의 원통형 연장부(110)는 도 17의 연장부와 마찬가지로, 도면 부호(118)의 위치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가 형성된 단부를 갖는 핸들(및 밀어넣음식 핸들)은 물론, 리브(130)와 맞물리는 소켓이 제공된 핸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 51-53에는 홀더(103)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소정 형태의 핸들(300)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핸들(300)은 암나사(118)와 결합되어 연장부(110) 안에서 고정될 수 있는 나사가 형성된 단부(301)를 구비한다. 핸들(300)과 홀더(103) 사이의 커플링에 부가적인 강도를 부여하고 완성된 외관을 부여하기 위해, 핸들에는 그 핸들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그 하단부가 연장부(110)의 외측 둘레로 끼워맞춰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53에 개략적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리브(130)로 끼워지는 그러한 슬리브(302)(도 52에는 따로 도시됨)를 구비한다. 특히, 슬리브(302)의 하단부는 연장부(110)의 외측 둘레로 끼워맞춰지도록 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있으며, 돌출부(131)가 위치될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종방향 슬롯(304)과 함께 리브(130)가 결합되어질 내부 홈(303)을 구비한다.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핸들(300)의 단부(301)는 나사가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연장부(110)에 밀어넣음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그 경우, 핸들(300)과 홀더(103)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슬리브(302)는 핸들과 일체로 될 수 있어서, 핸들을 연장부(110) 안으로 밀어넣는 것에 의해 슬리브가 리브(130)에 끼워질 수 있다.
연장부(110)의 외형(특히, 리브(130)와 돌출부(131))은, 몹 핸들상의 클립 고정식 소켓이 상응하게 변형되고, 또한 도 51의 핸들의 경우에는 슬리브(302)가 상응하게 변형된다고 가정했을 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부(131)의 개수 및 형태는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리브(130)가 연장부(110) 둘레로 연속적으로 연장함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리브는 예컨대, 한 곳 이상의 위치에서 절단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몹 헤드 홀더(103)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것은 그러한 형상에 의해 몹 헤드가 구석이나 다른 제한된 공간 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타원형의 형상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홀더(103)는 예컨대, 원형일 수 있다.
도 36의 몹은 외형상 도 17의 몹과 대체로 유사하다. 도 3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체 스트립 조립체(250)의 형상 및, 홀더(252) 내에서 교체 조립체가 현수되는 캐리어(251)의 형상에 있어서 상이하다. 특히, 교체 조립체(250)는 도 38에서 도면 부호(253)의 위치에 각기 도시되어 있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그 층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위에 현수되기 보다는 캐리어(251) 둘레로 감겨지도록 의도된 것이다. 도 38에 도시된 층(253)은 도 19에 도시된 것 보다 폭이 넓으며, 일단부에서만 절단되어 나머지 단부에 비절단부(254)를 남겨둔 상태로 스트립이 형성된다. 층의 비절단부(254)에는 일련의 구멍(255)이 형성된다.
도 36에 도시된 몹의 캐리어(251)는 도 17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확하게 홀더(252)의 본체(256)에 부착되며, 그를 위해, 본체(256)의 리세스(260)에 있는 구멍(259) 안으로 끼워지는 고리형 단부(258)를 갖는 2개의 수직 클립(257)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 경우, 캐리어는 중앙에 위치된 수직 소켓을 구비하지 않지만, 둘레 방향 스커트(261)를 구비하며, 그 스커트 위로는 캐리어(251) 둘레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대못(peg)(262)이 형성된다.
도 36에 도시된 몹 헤드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층(253)을 다른 층의 상부에 한 층을 적층하고, 그런 다음, 구멍(255)이 대못(262)상에 위치된 상태로 캐리어(251) 둘레에 현수한다. 그런 다음, 본체(256) 안으로 캐리어(251)를 끼워 넣는다.
만일, 이후에 스트립 조립체(250)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면, 캐리어(251)는 도 1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체(256)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 36의 몹 헤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교체 조립체들이 도 40-42에 도시된다.
도 40은 도 38의 조립체와 거의 유사하지만, 상당히 길이가 길고, 조립체를 몹 헤드의 캐리어(251)(도 37 참조) 둘레에 끼워넣기에 적합한 길이로 모아지게 하는 졸라매는 두부(頭部)를 구비하고 있는 교체 조립체(350)를 예시하고 있다. 캐리어(251)의 대못(262)은 상기 졸라매는 두부(351)의 알맞게 위치된 구멍 안으로 끼워지게 된다. 그러한 교체 조립체(350)의 사용은 도 39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층의 스트립(250)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 41은 도 40의 조립체와 유사하지만, 스트립으로 절단되지 않은 교체 조립체(352)를 예시하고 있는 반면, 도 42는 도 40의 조립체와 유사하지만, 스트립(355)의 하단부(즉, 졸라매는 두부(356)의 대향 단부)에 파상(波狀)의 연부(354)를 구비하고 있는 교체 조립체(353)를 예시한다. 도 42에 도시된 교체 조립체의 보다 복잡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조립체로 절단되는 원료 웨브 재료가 더 이상 낭비되지않는 그러한 조립체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것이 가능해질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해, 도 43은 단부 대 단부의 관계로 배치된 2개의 조립체(353)을 예시하고 있다. 도 43에서는 2개의 조립체의 파상 연부(354)가 서로 끼워맞춰지고, 또한 그 파상 연부에 의해 2개의 조립체가 웨브 재료의 횡단 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함께 절단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4는 캐리어가 몹 헤드 홀더의 본체(256)안으로 끼워지기 이전에, 도 37의 캐리어(251)상에 위치된 교체 조립체(353)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캐리어의 대못(262)은 교체 조립체의 졸라매는 두부(356)의 구멍에 위치되어 관찰할 수는 없지만, 수직 클립(257)은 관찰 가능하다. 도 44는 파상의 하부 연부를 갖는 교체 조립체의 사용을 통해 얻어지는 시각적인 효과도 역시 예시하고 있다.
도 45 및 도 46은 도 36의 몹 헤드의 다른 변형예로서, 스트립 조립체(250)는 도 36에 도시돤 바와 같지만, 캐리어(263)는 그 캐리어(263)가 끼워지는 홀더의 본체(264)와 마찬가지로 상이한 형태를 갖는다. 이 경우, 캐리어(263)는 본체(264)에 있는 내부의 둘레 방향 래치(266)에 결합될 수 있는 4개의 수직 클립(265)를 구비한다.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중앙의 수직 스피곳(268)은 본체(264) 내의 유사한 형태의 소켓(267)에 끼워져서, 캐리어(263)가 본체(264)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본체(264)로부터 캐리어(263)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단지 캐리어를 본체 내로 밀어넣음(예컨대, 몹 핸들을 누르는 것)으로써 클립(265)을 래치(266)로부터 해제하여 캐리어가 후퇴될 수 있도록 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도 40-42에 도시된 소정의 교체 조립체는 도 45-46에 도시된 몹 헤드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 47 및 도 48은 교체 스트립(311)이 현수되는 캐리어(310)가 강선으로 제조되고 대체로 코일 형태를 갖는 몹을 예시한다. 캐리어(310)의 권선의 반경은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점차로 증가하며, 폭이 좁은 캐리어 상단부는 몹 헤드의 본체(313)의 소켓형 연장부(312) 안으로 끼워지도록 의도된 것이며, 그러면 하단부는 본체의 평평한 돔형 부분(314) 내에 위치된다. 연장부(312)는 캐리어(310)의 폭이 좁은 단부의 코일을 수용하기 위해 암나사가 형성되며, 캐리어는 몹 핸들(316)의 나사 형성 단부(315)를 도 48에 도시된 연장부(312) 안으로 나선 회전시킴으로써 제위치에 고정된다.
도 47 및 도 48의 몹에 사용되는 교체 스트립(317)은 그 스트립을 캐리어(310)상의 하부 권선에 현수되도록 하는 구멍(318)이 비절단부(319)에 단 하나 만이 존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도 7에 도시된 형태와 거의 같다. 스트립(317)의 각 층은 캐리어(310)상에 별도로 현수될 수 있지만, 다수의 층이 함께 고정되어 캐리어상에 조립체로서 현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정도의 스트립(317)이 캐리어의 하부 권선에 현수되고 나면, 캐리어의 단부상에는 분리 가능한 제동부(도시 생략)가 위치되어 스트립을 제위치에 고정하며, 그런 다음, 본체(313)내에 캐리어가 배치되어 본체의 둘레 연부가 스트립의 상부 연부를 덮게 된다.
도 49 및 도 50은 교체 스트립(321)이 현수되는 캐리어(320)가, 돔형의 본체(323) 안으로 끼워지는 평탄한 타원형의 베이스(322)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17의 것과 유사한 몹 헤드를 예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 베이스(322)는 단지 중앙의 수직 핀(324)만을 구비하며, 그 핀의 상부는 몹 핸들(도시 생략)을 수납하는 원통형 연장부(326)의 베이스에 있는 본체(323)에 위치된 소켓(325) 안으로 끼워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핀(324)의 상부는 핀(324)이 소켓(325)으로부터 분리되어 결국, 캐리어(320)가 본체(323)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단지 캐리어(320)를 본체(323)로부터 멀어지도록 당기는 것에 의해 함께 압축될 수 있는 그러한 4개의 섹션(324a)으로 절단된다. 이 경우, 교체 스트립(321)은 도 2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지만, 단지 보다 큰 중앙 구멍(123)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둘레에 있는 4개의 작은 구멍(124,125)은 생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교체 스트립은 그 스트립을 캐리어(320)상에 위치하게 하는 중앙의 개구(327)를 구비하는, 예컨대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여타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서, 스트립은, 그러한 스트립을 교체할 수 없지만, 스트립을 몹 헤드의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단일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그러한 몹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 114 224 호에서는 도 1-5와 관련하여, 몹 헤드에 스트립을 영구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단일의 십자형 개구를 갖는 다양한 몹 스트립이 설명된다. 그러한 스트립중 어떤 것이라도 도 49 및 도 50에 도시된 몹 헤드에 대한 교체 스트립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할 것이다. 몹 스트립은 어떠한 방향으로도 현수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여러 가지 몹 헤드는 그 각각의 경우에 몹 헤드 홀더를 버리지 않고 몹 스트립을 교체할 수 가능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7의 몹 헤드 홀더의 경우, 캐리어(107)상에 있는 중앙의 수직 소켓(108)은, 교체 스트립을 수직 클립(109)상에 위치시키도록 위치된 구멍을 교체 스트립 각각에 단 한 쌍만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그 경우, 적어도 스트립 일부는 스트립을 교체할 수 없는 몹에 사용되는 공지된 형태(예컨대, 유럽 특허 제 0537 963 호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트립은 도 55에 도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스트립은 스트립을 교체할 수 없는 몹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그러한 몹은 스페인 마드리드 소재의 쓰리엠 에스파나 에스. 에이.사의 상표명 "스카치-브라이트(Scotch-Brite)"로 시판되고 있다. 스트립이 현수되는 캐리어의 상부면은 스트립이 캐리어에 대해 조금도 상대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파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7,32,49,50의 몹 헤드에 사용되는 바람직한 교체 스트립은 스트립을 몹 헤드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멍이 형성된 중앙의 비절단부를 남겨두고 각 단부로부터 절단되어 스트립을 형성하고 있는 그러한 스트립이라는 것을 알 것이다. 그러나, 도 56에 도시된 일반적인 형태의 교체 스트립(즉, 스트립을 몹 헤드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된 단부를 비절단부로 남겨두고 다른 단부로부터 절단하여 스트립을 형성하고 있는 재료층)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6은 도 17의 몹 헤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식의 교체 스트립을 예시한다. 그러한 방식의 교체 스트립이 사용되는 경우, 2배의 층이 몹 헤드 내에 유지되어짐을 알 것이다.
도 19,38,47,54-56에 도시된 어떠한 교체 스트립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7에 예시된 방법으로 절단되거나 또는 다른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절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몹은 가정용의 용도, 특히 마루 청소용으로 의도된 것이다. 그러나, 비슷한 구성의 몹이 산업용의 청소와 마루가 아닌 표면의 청소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스트립 형이든 그렇지 않던 간에 교체 조립체는 세척 보다는 표면의 먼지 제거나 문질러 닦기에 적합한 웨브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의 몹에 대해 여러 가지 형태의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며, 각각의 스트립 조립체는 특정 목적에 적합하다.
몇몇 경우,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형성하는 원료 재료의 별개의 층은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재료층을 적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의도하는 바의 몹 용도에 따라, 교체 가능한 조립체의 재료는 화학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먼지 제거용의 용도로 의도된 몹의 경우, 교체 가능한 조립체의 재료는 정전기 방지제로 처리될 수 있는 반면, 마루 바닥의 광택의 용도로 의도된 몹의 경우, 교체 가능한 조립체의 재료는 왁스 함침 처리될 수 있다. 몇몇 경우, 교체 가능한 조립체에 한 가지 형태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제거하기 어려운 얼룩을 마루 바닥에서 제거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몹의 헤드에 바람직하게는 비마멸성의 재료로 된 한 층 이상의 연마재층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몹의 경우, 예를 들면, 교체 가능한 조립체(102)에 연마재층이 포함되어, 그 조립체가 다른 층의 외측에 걸려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한 연마재층은 다른 층과 같이 스트립으로 절단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층의 길이 만큼 길 필요가 없다. 연마재층에 사용되는 적당한 재료는 미국 미네소타 세인트 폴에 소재하는 쓰리엠 제조의 상표명 "소프트 스코어(Soft Score)"로 구매 가능하다.

Claims (33)

  1. 해제 가능한 홀더에 삽입되어 몹 헤드를 형성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로서, 패키지로 구성되며, 몹 헤드의 작업부를 형성하는 한 층 이상의 웨브 재료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층은 그 층을 해제 가능한 홀더내에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2. 해제 가능한 홀더에 삽입되어 몹 헤드를 형성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로서, 패키지로 구성되며, 몹 헤드의 작업부를 형성하는 한 층 이상의 웨브 재료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층은 그 층을 해제 가능한 홀더내에 위치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멍과, 상기 층과 협력하여, 상기 층을 몹 헤드의 해제 가능한 홀더에 위치시키기 위한 압인된 표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인된 표식은 상기 하나 이상의 층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4.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의 부분은 상기 작업부를 형성하기 위해 절단되며, 상기 구멍(들)은 상기 층의 비절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5.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층은 긴 길이의 형태를 가지며, 층의 중앙부를 비절단 상태로 남겨두고 각 단부로부터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6.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은 상기 층이 홀더내에 위치되어 그로부터 적어도 2개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7. 해제 가능한 홀더에 삽입되어 몹 헤드를 형성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로서, 층의 중앙 영역이 다른 층의 상부에 있는 영역에 위치되어 함께 고정되는 상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된 2개 이상의 긴 웨브 재료층을 구비하며, 각 층의 각 단부는 몹 헤드의 작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2개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각 층의 각 단부는 절단되어 상기 작업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층의 중앙 영역은 상기 조립체를 해제 가능한 홀더에 배치시키기 위한 구멍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11.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다수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12.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재료는 흡수재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체 가능한 조립체.
  13. 선행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체 가능한 조립체와, 몹 핸들에 부착되는 해제 가능한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가능한 조립체는 홀더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가능한 홀더는 상기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사이에 지지하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2개의 부분은 서로 피벗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2개의 부분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18. 몹 핸들에 부착되는 몹 헤드 홀더로서, 하나의 부분에 다른 부분이 해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그 2개의 부분 사이에, 다수의 웨브 재료층으로 된 교체 가능한 조립체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2개의 부분은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2개의 부분중 하나는 웨브 재료층을 보유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다른 부분 내에 위치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부분은 웨브 재료층의 구멍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분은 몹 핸들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중 하나의 부분은 다수의 웨브 재료층을 위한 캐리어를 구비하며, 상기 재료층의 구멍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의 다른 부분은 캐리어가 해제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돔형의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돔형의 본체는 몹 핸들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다른 부분은 몹 핸들의 일단부에서 슬리브에 클립식으로 부착되는 형태로 된 원통형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연장부의 외부 표면은 그 연장부를 슬리브 안에 보유하기 위해 슬리브의 대응하는 홈에 맞물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와, 상기 연장부가 슬리브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의 축방향 슬롯에 결합되는 반경 방향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홀더.
  26. 홀더와, 그 홀더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다수의 웨브 재료층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몹 핸들의 일단부에서 슬리브에 클립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하며, 그 원통형 연장부의 외부 표면은 그 연장부를 슬리브내에 보유하기 위해 슬리브내의 대응하는 홈에 맞물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와, 상기 연장부가 슬리브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의 축방향 슬롯에 결합되는 반경 방향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27. 몹 핸들의 일단부에서 슬리브에 클립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하며, 그 원통형 연장부의 외부 표면은 그 연장부를 슬리브내에 보유하기 위해 슬리브내의 대응하는 홈에 맞물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와, 그 리브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상기 연장부가 슬리브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의 축방향 슬롯에 결합되는 반경 방향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연장부의 외부 표면은 슬리브내의 별도의 축방향 슬롯에 결합되는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반경 방향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원통형 연장부 둘레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30.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연장부는 몹 핸들로 나사 결합되거나 및/또는 밀어넣을 수 있는 형태로 내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31. 몹 핸들의 일단부에서 슬리브에 클립식으로 결합되는 원통형 연장부를 구비하며, 그 원통형 연장부의 외부 표면은 그 연장부를 슬리브내에 보유하기 위해 슬리브내의 대응하는 홈에 맞물리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와, 그 리브에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상기 연장부가 슬리브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슬리브의 축방향 슬롯에 결합되는 반경 방향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연장부는 몹 핸들로 나사 결합되거나 및/또는 밀어넣을 수 있는 형태로 내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헤드.
  32. 제26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몹 헤드와, 몹 핸들을 구비하는 몹으로서, 상기 몹 핸들은 상기 몹 헤드상의 원통형 연장부가 밀어넣어 끼워 맞춤되는 일단부에 슬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리브를 수납하는 내부 홈과 상기 반경 방향 돌출부를 수납하는 축방향 연장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몹.
  33. 스트립 몹의 헤드에 있는 스트립을 교체하는 방법으로, 스트립을 형성하는 재료층이 위치된 몹 헤드의 일부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재료층을 교체하는 단계, 상기 몹 헤드의 상기 부분을 교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교체 방법.
KR10-1998-0701150A 1995-08-18 1996-05-10 KR100454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2243.2 1995-08-18
EP95202243A EP0759283A1 (en) 1995-08-18 1995-08-18 Mop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71A true KR19990037671A (ko) 1999-05-25
KR100454010B1 KR100454010B1 (ko) 2005-01-15

Family

ID=822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150A KR100454010B1 (ko) 1995-08-18 1996-05-10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61242A (ko)
EP (2) EP0759283A1 (ko)
KR (1) KR100454010B1 (ko)
CN (1) CN1110286C (ko)
AU (1) AU5817196A (ko)
BR (1) BR9610281A (ko)
DE (1) DE69616564T3 (ko)
ES (2) ES1034136Y (ko)
PT (1) PT844844E (ko)
TR (1) TR199800266T1 (ko)
WO (1) WO1997006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50867C2 (de) * 1996-12-07 2001-04-12 Gernot Hirse Feuchtbodenwischgerät
ES1038965Y (es) * 1997-12-04 1999-03-01 Callejo Escribano Gregorio Cabezal para mocho de fregona.
US6684445B1 (en) * 2000-01-24 2004-02-03 Multi-Reach, Inc. One-piece mop swab
US6279190B1 (en) * 2000-02-04 2001-08-28 Belanger, Inc. Contact type vehicle laundry element and attachment system therefor
DE10024996B4 (de) * 2000-05-22 2009-01-02 Carl Freudenberg Kg Halter zur Befestigung eines Wischmops am Ende eines Stiels
MXPA02002612A (es) * 2000-07-10 2002-07-30 Uni Charm Corp Articulo de limpieza.
US6687944B2 (en) * 2002-01-21 2004-02-10 Scot Young Mop head with binder strip
ES1052080Y (es) * 2002-05-14 2003-12-16 Fernandez Casimiro Lianes Utensilio friegasuelos.
DE10235304A1 (de) * 2002-08-01 2004-02-12 Carl Freudenberg Kg Feuchtboden-Wischgerät
DE10235306A1 (de) * 2002-08-01 2004-02-12 Carl Freudenberg Kg Feuchtboden-Wischgerät
DE10235305B4 (de) * 2002-08-01 2007-08-30 Carl Freudenberg Kg Feuchtboden-Wischgerät
MXPA06001256A (es) * 2003-11-06 2006-04-11 Johnson & Son Inc S C Cabeza de cepillo reemplazable/desechable.
US20050155628A1 (en) * 2004-01-16 2005-07-21 Andrew Kilkenny Cleaning composition for disposable cleaning head
GB0404524D0 (en) * 2004-03-01 2004-03-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Improved head for strip mop
US20050246849A1 (en) * 2004-05-10 2005-11-10 Minkler Douglas J Sanitizing handle for cleaning tool
DE102004037275B4 (de) * 2004-07-31 2006-11-23 Carl Freudenberg Kg Feuchtboden-Wischgerät
CA2595508A1 (en) * 2005-01-26 2006-08-03 Johnsondiversey, Inc. Mop with receptacle
US7549195B2 (en) * 2005-11-10 2009-06-23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Locking system for connecting handles and implements
GB0602876D0 (en) * 2006-02-14 2006-03-22 Young Ronald A Absorbent mop sheet
GB0603875D0 (en) * 2006-02-28 2006-04-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Wear indicator for a flocked scouring material
US7624468B2 (en) * 2006-07-18 2009-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t mop with multi-layer substrate
US7574768B2 (en) 2006-07-18 2009-08-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Quick-release handle and interchangeable cleaning system
US20080307598A1 (en) * 2007-06-14 2008-12-18 Ming-Hsien Lin Cleaning element and cleaning apparatus
DE102010054010B4 (de) * 2010-12-09 2014-03-06 Carl Freudenberg Kg Mopp
CN102327104B (zh) * 2011-08-08 2014-05-28 王仁安 拖把棉头夹紧装置
CN103908200A (zh) * 2013-01-09 2014-07-09 孙毅 可高效组配拖线的教室专用拖把
ES1096481Y (es) * 2013-10-08 2014-03-14 Tortras Arnau Figueras Ecofregona
WO2015073787A1 (en) 2013-11-15 2015-05-21 S. C. Johnson & Son, Inc. Apparatus to retain a cleaning implement
CN104921678B (zh) * 2015-06-15 2017-09-01 陆翠明 一种多页拖把
USD907474S1 (en) 2019-02-28 2021-01-12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Tool connector
CN112617393B (zh) * 2021-01-07 2022-09-13 南安市丽图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多组同时组装的拖把头加工装置
ES1288924Y (es) * 2022-03-22 2022-06-27 Fita Juan Emilio Pastor Fregona para limpieza perfeccionada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54A (en) * 1866-04-03 Improved broom-head
DE291766C (ko) *
NL37445C (ko) *
US53576A (en) * 1866-04-03 Improved broom-head
US704483A (en) * 1901-10-15 1902-07-08 Charles S Meriwether Broom-head.
US1493848A (en) * 1922-08-16 1924-05-13 Ebert Henry Frederick Shaving brush
US1806402A (en) * 1930-03-31 1931-05-19 Henry J Lorang Mop head
GB376170A (en) * 1931-12-03 1932-07-07 William Rowland Edwards Improvements in mops
CH162946A (fr) * 1932-07-26 1933-07-31 David Auguste Dispositif pour l'enlèvement de la poussière, etc.
BE463846A (ko) * 1945-12-05
US2442843A (en) * 1946-02-25 1948-06-08 Calogero F Comito Mop holder
GB626918A (en) * 1947-01-28 1949-07-22 William Davis Improvements relating to domestic mops
US2501514A (en) * 1948-07-14 1950-03-21 Hill Nikolai Mop holder with pivoted clamping jaw
US3417420A (en) * 1967-02-23 1968-12-24 Rock Albin Stanley Buff of fabric material
US3399499A (en) * 1967-07-19 1968-09-03 Norton Co Cleaning implement
US3457581A (en) * 1967-07-21 1969-07-29 David B Oas Mop head
GB1260859A (en) * 1968-08-05 1972-01-19 James Eric Coombes Tool
BE780974A (fr) * 1972-03-21 1972-07-17 Cunillera Y De Sentmenat Franc Torchon-balai a multiples usages pour emploi manuel ou mecanique.
FR2199451A1 (ko) * 1972-09-19 1974-04-12 Bidard Claude
CH573742A5 (ko) * 1974-05-21 1976-03-31 Sutter A Ag Muenchwilen
US4085476A (en) * 1975-08-05 1978-04-25 South Eastern Cordage Company Mop construction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114224A (en) * 1976-04-13 1978-09-19 Firma Carl Freudenberg Mop comprising bonded nonwoven fabric absorptive elements
FR2403773A2 (fr) * 1977-09-21 1979-04-20 Lelievre Andree Francoise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te de balai de lavage et tete de balai de lavage
US4531251A (en) * 1983-07-11 1985-07-30 George Pappas Mop holder
US4524479A (en) * 1983-10-28 1985-06-25 White Mop Wringer Company Replaceable plastic mophead
US4553282A (en) * 1985-01-15 1985-11-19 Libman Broom Company Mop head
CA1233607A (en) * 1986-06-27 1988-03-08 Dustbane Products Limited/Les Produits Dustbane Limitee Mop holder
US4811446A (en) * 1987-10-13 1989-03-14 Yamazaki Corporation Mop holder
US4811445A (en) * 1988-01-25 1989-03-14 Lagieski Daniel P Oral hygiene system
US4928342A (en) * 1989-02-21 1990-05-29 Cancot Industries Inc. Mop holder
US5207754A (en) * 1991-01-30 1993-05-04 Flc, Inc. Quick-release connector for mop handles and the like
GB9110675D0 (en) * 1991-05-17 1991-07-10 Scot Young Research Mopheads
US5221124A (en) * 1991-07-11 1993-06-22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 to manufacture a wet mop head
GB9121778D0 (en) * 1991-10-14 1991-11-27 Unilever Plc Cleaning device
GB9418713D0 (en) * 1994-09-16 1994-11-02 Unilever Plc Mo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4844B2 (en) 2006-05-24
DE69616564D1 (de) 2001-12-06
KR100454010B1 (ko) 2005-01-15
TR199800266T1 (xx) 1998-05-21
WO1997006722A1 (en) 1997-02-27
DE69616564T3 (de) 2006-11-23
MX9801136A (es) 1998-05-31
EP0844844A1 (en) 1998-06-03
CN1110286C (zh) 2003-06-04
ES1034136U (es) 1996-12-16
US6161242A (en) 2000-12-19
BR9610281A (pt) 1999-03-16
DE69616564T2 (de) 2002-06-27
EP0759283A1 (en) 1997-02-26
AU5817196A (en) 1997-03-12
CN1193265A (zh) 1998-09-16
ES2166451T5 (es) 2006-12-16
ES2166451T3 (es) 2002-04-16
EP0844844B1 (en) 2001-10-31
PT844844E (pt) 2002-03-28
ES1034136Y (es) 199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37671A (ko)
US7364380B2 (en) Grooming/cleaning apparatus
US5033619A (en) Light string carrier
EP0864292B1 (en) Mop heads
US6108848A (en) Mop with self-contained wringer
US20020133892A1 (en) Mop with self-contained wringer
CA2291945C (en) Fabric wet mop
US7533438B1 (en) Tasseled woven mop
US6685274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one-piece mop swab
US3501796A (en) Mop construction
CA2169587C (en) Mopheads
AU2013277512B2 (en) Cleaning implement
US20030135949A1 (en) Mop head with binder strip
US4097952A (en) Mops of cellulose sponge cloth material
JPH0938009A (ja) 清掃布、清掃具の柄及び清掃具
MXPA98001136A (en) Mechu
JP7114181B2 (ja) 吸水傘袋
JP2004008468A (ja) ブラシケアシート
KR20100006845U (ko) 수세미
KR200381534Y1 (ko) 먼지털이개
JP3027386U (ja) 眼鏡容器
JP3782044B2 (ja) 摺洗具
ITBO20000558A1 (it) Articolo di pulitura della cute, elemento di dispensazione di un agente di lavaggio associabile al detto articolo e procedimento per la r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