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630U - 물수건 자동공급 장치용 커팅유니트 - Google Patents

물수건 자동공급 장치용 커팅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630U
KR19990037630U KR2019980003437U KR19980003437U KR19990037630U KR 19990037630 U KR19990037630 U KR 19990037630U KR 2019980003437 U KR2019980003437 U KR 2019980003437U KR 19980003437 U KR19980003437 U KR 19980003437U KR 19990037630 U KR19990037630 U KR 199900376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raisins
cutting unit
wet towel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윤
Original Assignee
심석구
시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석구, 시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석구
Priority to KR2019980003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630U/ko
Publication of KR19990037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30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수건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건포상태의 수건을 소정길이로 로딩하여 커팅할 수 있는 물수건자동공급장치용 커팅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건포를 교환공급시에 작업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대폭 향상코자 안출된 것이다.
즉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용 커팅유니트(6)에 있어서, 새로운 건포를 교환공급 시에 기히 사용된 후 일부 남아 있는 건포(23)가 로딩로울러(14)와 클램핑가이더(11) 및 고정커터(18)와 회전커터(17) 상간에 클램핑되어 있는 것을 클램핑가이더(11) 일측에 고정커터(18)를 각운동시켜 회전커터(17)와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푸싱용 푸셔(21)를 일체로 형성하여 남아 있는 건포(23)를 작업안전성을 보장받으면서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수건자동공급장치용 커팅유니트
본 고안은 물수건자동공급장치에 있어서, 건포(乾布)를 소정길이로 로딩하여 커팅할 수 있는 물수건자동공급장치용 커팅유니트(cutting uni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포를 교환공급할 시에 작업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대폭 향상코자 안출한 것이다.
근자에 선보이기 시작한 물수건자동공급장치는 건포 등을 케이싱내에 롤타입으로 내장하고, 물수건이 필요시에 이를 소정폭 자동으로 인출하면서 소정길이로 커팅하고, 수분을 스프레이식으로 함습시킨 후 롤형으로 권회하여 공급함으로서 손님에게 즉석에서 1회용 위생물수건을 공급토록 한 것인바, 상기 물수건자동공급장치에 사용되는 건포(즉 물수건의 재료)는 그 원재료 및 두께 등이 제조회사 등에 따라 천차만별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건포를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는 건포로딩수단을 가진 물수건자동공급장치용 커팅유니트를 필요로 하였으며,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원 고안자 등은 기히 물수건자동공급장치용 커팅유니트에 관하여 선출원(출원번호: 199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33289 호)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 고안의 경우 건포를 교환공급 시에 고정커터와 회전커터 상간에 기히 사용된 건포가 클램핑 상태로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클램핑가이더를 상방으로 들어올린 후 로딩로울러와 클램핑가이더 상간에 클램핑된 건포를 클램핑 상태에서 우선적으로 해제시킨 후 고정커터와 회전커터 상간에 개재된 건포를 작업자가 손을 집어넣어 제거하여야 하므로 교환작업중 작업자의 손이 커터에 상해를 입는 사례가 빈번하였으며 교환과정도 상당히 번거로웠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은 물수건자동공급장치의 커팅유니트 상에 공급되는 건포를 교환공급시 작업상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물수건자동공급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커팅유니트의 발췌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 부호의 설명 □
1:물수건 자동공급장치 2:본체
3:물탱크 4:분사유니트
5:건포수납실 6:커팅유니트
7:배출부 8:물수건와인딩유니트
9:케이싱 10:가이드플레이트
11:클램핑가이더 11a:라운드부
12:축핀 13:스프링
14:로딩로울러 15:구동모터
16:피동축 17:회전커터
18:고정커터 19:축핀
20:스프링 21:푸셔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커팅유니트 부위의 발췌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고안자 등이 선출원한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 후 본 고안에서 집중 개량한 부분을 중점 설명키로 한다.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의 본체(2) 내부에는 하기와 같은 구성부재들이 기본적으로 내장된다. 즉 본체(2)의 후측 상부에는 물탱크(3)가 설치되어 중간부분에 설치되는 분사유니트(4)와 연결되며, 롤상태의 건포를 해권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는 건포수납실(5)과, 상기 건포수납실(5)에서 로딩되는 건포를 소정길이로 커팅할 수 있는 커팅유니트(6), 그리고 커팅유니트(6)의 하측에는 커팅된 건포를 분사유니트(4) 선측을 경유토록 하여 물을 함습시킨 후 롤 상태로 권회하고 수분을 적절히 조절하여 본체(2)의 배출부(7)상으로 배출하는 물수건와인딩유니트(8)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부재들은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의 기본 구성부재로서, 본 고안의 커팅유니트(6)의 구성에 대하여 도 2,3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건포수납실(5)을 구성하는 케이싱(9)의 전측으로는 가이드플레이트(10)가 일체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의 상면과 일단이 선택적으로 연접할 수 있는 클램핑가이더(11)가 일측에서 축핀(12)으로 각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가이더(11)는 가이드플레이트(10)의 상면부를 향하여 탄력지지될 수 있도록 스프링(13)으로 탄력설치되어 있다. 또한 클램핑가이더(11)의 하단은 소정 라운드부(11a)로 이루어져 건포 로딩용 로딩로울러(14)와 접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로딩로울러(14)와 클램핑가이더(11) 상간을 통하여 로딩된 건포가 소정길이로 커팅될 수 있도록 이들의 하측에는 커팅부가 위치한다. 즉 구동모터(15)에 의해 구동하는 피동축(16)에는 회전커터(17)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커터(17)와 함께 건포를 커팅할 수 있는 고정커터(18)는 회전커터(17)와 접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축핀(19)에 축설되고 스프링(20)에 탄력설치되어 상방으로 소폭 각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고정커터(18)와 회전커터(17) 상간에 클램핑된 건포를 제거할 시에 고정커터(18)를 상방으로 각운동시켜 회전커터(17)와 소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하여 클램핑가이더(11)의 하단 일측에 고정커터(18)의 상단저부와 연접하면서 고정커터(18)를 선택적으로 각운동 시킬 수 있는 돌기형의 푸셔(21)를 형성한 것이다.
도면중에서 미설명부호 22는 건포로딩용 가이드, 23은 건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에 사용되는 물수건 재료, 즉 건포(23)를 교환공급시 작업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편의성을 일층 증대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히 사용되고 있는 건포(23) 중에서 고정커터(18)와 회전커터(17) 상간을 경유하여 분사유니트(4) 및 물수건와인딩유니트(8)를 경유한 건포는 물수건화되어 배출부(7)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공급이 이루어지고, 일부 남아 있던 건포(23)는 고정커터(18)와 회전커터(17) 상간 및 로딩로울러(14)와 클램핑가이더(11) 상간에 클램핑 상태로 남아 있는바, 새로운 건포(23)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남아 있는 건포(23)를 우선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커팅유니트(6)상에 있던 건포(23)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클램핑가이더(11)의 상단부를 작업자가 한손으로 잡고서 상방으로 올리면 클램핑가이더(11)가 축핀(12)을 기점으로 상방으로 각운동하면서 로딩로울러(14)와 클램핑가이더(11) 상간은 간격이 발생하여 건포(23)가 언클램핑 상태로 전환되고, 클램핑가이더(11)의 각운동에 의하여 이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푸셔(21)도 동시에 고정커터(18)의 상단저부를 푸싱하게 되어 스프링(20)에 탄력설치된 고정커터(18)도 축핀(19)을 기점으로 동시에 상방으로 각운동하면서 회전커터(17)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커터(18)와 회전커터(17) 상간에 클램핑 상태로 있던 건포(23) 역시 언클램핑 상태로 전환되어 작업자가 건포(23)를 다른 손으로 잡고서 본체(2) 밖으로 인출하면 간단히 남아있던 건포(23)를 인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새로이 교환공급되는 건포(23)를 로딩로울러(14)와 클램핑가이더(11) 상간으로 안내투입하고 클램핑가이더(11)를 상방으로 각운동시킨 상태에서 해제하면 클램핑가이더(11)가 스프링(13)의 복원탄성에 의해 축핀(12)을 기점으로 하향 각운동하여 새로 교환공급된 건포(23)가 로딩로울러(14)와 클램핑가이더(11) 상간에 클램핑되고 구동모터(15)의 구동여부에 따라 로딩로울러(14)가 선택 회전하면서 로딩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용 커팅유니트(6)에 있어서, 새로운 건포를 교환공급 시에 기히 사용된 후 일부 남아 있는 건포(23)가 로딩로울러(14)와 클램핑가이더(11) 및 고정커터(18)와 회전커터(17) 상간에 클램핑되어 있는 것을 클램핑가이더(11) 일측에 고정커터(18)를 각운동시켜 회전커터(17)와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도록 푸싱용 푸셔(21)를 일체로 형성하여 남아 있는 건포(23)를 작업의 안전성을 보장받으면서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물수건자동공급장치(1)용 커팅유니트(6)의 구성부재로서 물수건 재료인 건포를 로딩로울러(14)와 선택적으로 연접하면서 클램핑 및 가이딩하는 클램핑가이더(11)의 하단 일측에는 각운동 가능하게 회전커터(17)와 연접설치된 고정커터(18)를 선택적으로 각운동 시킬 수 있는 푸셔(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자동공급장치용 커팅유니트.
KR2019980003437U 1998-03-05 1998-03-05 물수건 자동공급 장치용 커팅유니트 KR199900376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37U KR19990037630U (ko) 1998-03-05 1998-03-05 물수건 자동공급 장치용 커팅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37U KR19990037630U (ko) 1998-03-05 1998-03-05 물수건 자동공급 장치용 커팅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30U true KR19990037630U (ko) 1999-10-15

Family

ID=6971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37U KR19990037630U (ko) 1998-03-05 1998-03-05 물수건 자동공급 장치용 커팅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63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3900B (zh) 表面清洁机
KR950006820B1 (ko) 인쇄기의 블랭킷 세척 장치와 세척 방법
JPH07299019A (ja) 溶剤等が含浸したふきんを提供する装置
US4192231A (en) Washing apparatus for ink rollers of printing machine
US5753043A (en) Variable speed bowling lane maintenance machine
KR100377422B1 (ko) 인쇄기의잉크공급장치
KR19990037630U (ko) 물수건 자동공급 장치용 커팅유니트
US5597344A (en) Machine for treating, in particular sanding ski soles
EP1121869B1 (en) A gumming unit
KR101175320B1 (ko) 롤 세정장치
ITBO20070525A1 (it) Metodo ed apparato per la formazione estemporanea di piccole bobine di panno preimpregnato di liquidi per la pulitura dei cilindri delle macchine da stampa.
CN110592919A (zh) 排版裁剪一体化系统
JPS6133896A (ja) 切断されたシ−ト材料を密封する装置
JPS63188050A (ja) 印刷機ゴム胴の紙粉除去装置
JPS6123060A (ja) 布巻ロール交換台車の布切断装置
US3919733A (en) Glaze wiping apparatus for graining furniture
JPH0664878U (ja) 印刷機の洗浄ワイピング装置
JP3062891U (ja) おしぼり製造装置
JP2824683B2 (ja) ガラス面の清掃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91099A (ja) アイロン台
JPS6344063B2 (ko)
CN111085879B (zh) 一种管材切缝机
CN210177233U (zh) 一种纺织品用去浮毛装置
KR0121905Y1 (ko) 습티슈지분배기
CN219490384U (zh) 一种布料蒸汽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