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6841U -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6841U
KR19990036841U KR2019980002828U KR19980002828U KR19990036841U KR 19990036841 U KR19990036841 U KR 19990036841U KR 2019980002828 U KR2019980002828 U KR 2019980002828U KR 19980002828 U KR19980002828 U KR 19980002828U KR 19990036841 U KR19990036841 U KR 199900368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air conditioner
lower casing
evaporato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2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6841U/ko
Publication of KR19990036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841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는, 증발기에서 열교환시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도록 실내측 하부 케이싱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구성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함께 상기 배수구를 동일한 금형으로 몰드시켜 제작되도록 상기 배수구를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고안은 별도의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본 고안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를 형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동일 금형으로 상기 배수구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금형비를 절감시킴과 동시에 배수구의 방향을 변경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대별되어지며, 기능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니트의 구성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패널(10)의 전측 바닥에는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상측에는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상부면에 대하여 후방에는 응축기(도시안됨)를 지지하는 실외측 케이싱(1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외측 케이싱(110)과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의 사이에 대하여 상면 중앙에는 서로의 간격을 일정하게 지지되도록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간격 유지 브라켓(120)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상부면에 대하여 중앙 일측에는 순환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여 상기 증발기(20)내에 차가운 냉매를 공급하도록 압축기(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패널(10)의 상부에는 제품의 정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품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순환되도록 양측면에 다수개의 통풍구(71)를 가진 아우트판넬(7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아우트판넬(70)의 정면에는 제품의 정면을 커버하여 외관을 형성함과 동시에 실내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프론트판넬(80)이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에는 그 전측에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증발기(2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20)의 후측에는 블로워(도시안됨)의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발기(20)의 일측(우측) 상단에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차갑게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제품 전방으로 토출하도록 토출 면적을 구획하는 토출그릴부(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토출그릴부(82)의 하부에는 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 부품들을 수용하도록 콘트롤 케이싱(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증발기(20)와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은 그들 상부면에 안착되는 실내측 상부 케이싱(50)에 의해 동시 결합되고, 상기 콘트롤 케이싱(40)은 상기 증발기(20)의 측면과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하부면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토출그릴부(82)에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수직 블레이드(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판넬(80)에는 상기 증발기(20)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흡입그릴부(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측 상부 및 하부 케이싱(50)(3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면적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흐름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다수개의 수평 블레이드(90)가 설치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에 형성된 토출그릴부(82)의 내측벽에는 환기구(1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내측 일측에는 상기 환기구(130)를 개방 및 폐쇄하는 댐퍼부재(1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측벽에는 상기 증발기(20)에서 흘러나오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140)는 상기 환기구(130)의 면적을 커버하는 커버부(141)와, 상기 커버부(141)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바닥면에 회전가능케 힌지 결합된 축(1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레버(143)와, 상기 레버(143)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환기구(130)를 개폐시 좌우로 조작하는 손잡이부(14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레버(143)는 그 중심에 상하측으로 돌기(143a)가 돌설되어 있고, 상기 토출그릴부(82)의 바닥면에는 상기 손잡이부(144)를 좌우로 조작시 상기 커버부(141)가 상기 환기구(130)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걸림돌기(8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면, 증발기(20)의 후측에 설치된 블로워(도시안됨)이 회전되면서 그 송풍력에 의해 프론트 패널(8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그릴부(81)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그릴부(81)의 후측에 설치된 에어필터(도시안됨)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등이 필터링된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압축기(100)의 가동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0)의 표면에 접촉되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되고, 또 열교환된 공기는 증발기(20)의 후측에 있는 블로워(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그릴부(82)로 보내어 지고, 상기 토출그릴부(82)에 설치된 수직 블레이드(60)를 통하여 제품 전방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은 온도로 냉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토출그릴부(82)에 결합된 다수개의 수직 블레이드(60)를 좌우방향으로 일정각도 만큼 조절하거나 또는 수평 블레이드(90)를 상하방향으로 일정각도 만큼 조절할 때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면적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다수개의 수직 블레이드(60) 및 수평 블레이드(90)의 변화된 조절 각도에 따라 실내의 원하는 장소로 보내어 지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에는 증발기(20)가 안착되고, 이 증발기(20)에서 열교환시 발생되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도록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에 배수구(31)가 형성되어있는 바, 상기 배수구(31)는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어서 이 배수구(31)를 형성하는 데 측면을 향하는 코어 금형을 제작하여 상기 배수구(31)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금형 제작 비용이 소모되고, 또한, 배수구(31)가 일측벽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증발기(20)로부터의 증발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측 하부 케이싱에 증발기의 열교환시 맺히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를 그 하측 방향으로 형성시켜 별도의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는, 증발기에서 열교환시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도록 실내측 하부 케이싱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구성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함께 상기 배수구를 동일한 금형으로 몰드시켜 제작되도록 상기 배수구를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일부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상,하부 케이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배수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증발기 30 : 실내측 하부 케이싱
31 : 배수구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에는 그 전측에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도록 증발기(20)가 안착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20)의 후측에는 블로워(도시안됨)의 설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에는 상기 증발기(20)에서 흘러나오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31)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과 함께 상기 배수구(31)를 동일한 금형으로 몰드시켜 제작되도록 상기 배수구(31)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을 몰드시켜 제작시 금형의 코어의 방향을 상하측으로 드로오잉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상기 배수구(31)의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여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과 동시에 제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구(31)는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바닥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구배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를 가동시키면, 증발기(20)의 후측에 설치된 블로워(도시안됨)이 회전되면서 그 송풍력에 의해 프론트 패널(8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그릴부(81)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그릴부(81)의 후측에 설치된 에어필터(도시안됨)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각종 이물질등이 필터링된다.
그리고, 필터링된 공기는 압축기(100)의 가동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2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20)의 표면에 접촉되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되고, 또 열교환된 공기는 증발기(20)의 후측에 있는 블로워(도시안됨)에 의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그릴부(82)로 보내어 지고, 상기 토출그릴부(82)에 설치된 수직 블레이드(60)를 통하여 제품 전방으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온도를 낮은 온도로 냉방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증발기(20)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키게 되는 바, 상기 증발기(20)에서는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증발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 증발기(20)에서 생성되는 증발수는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일측 바닥에 상항 방향으로 형성된 배수구(31)를 통해 직접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은 몰드물로 제작되는 바,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금형을 상하방향으로 드로오잉하여 제작하게 됨으로 상기 배수구(31)를 동시에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 별도의 금형 코어를 구비하여 상기 배수구(31)를 형성함이 없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30)의 제작 금형에서 동시에 상기 배수구(31)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함께 상기 배수구를 하나의 금형으로 몰드시켜 제작되도록 상기 배수구를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금형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증발기에서 열교환시 발생하는 증발수를 배수시키도록 실내측 하부 케이싱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구성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과 함께 상기 배수구를 동일한 금형으로 몰드시켜 제작되도록 상기 배수구를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실내측 하부 케이싱의 바닥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구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KR2019980002828U 1998-02-28 1998-02-28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KR199900368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28U KR19990036841U (ko) 1998-02-28 1998-02-28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828U KR19990036841U (ko) 1998-02-28 1998-02-28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841U true KR19990036841U (ko) 1999-09-27

Family

ID=6971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828U KR19990036841U (ko) 1998-02-28 1998-02-28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68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0390A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CN101932885A (zh) 空调机
KR20190076947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9990071209A (ko) 창문형 에어콘 그릴 힌지장치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127106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645151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9990036841U (ko) 공기조화기용 배수구의 형성구조
KR20070030070A (ko) 공기조화기
KR1012706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473818B1 (ko) 공기조화기
KR102220818B1 (ko) 공기조화기
KR100584299B1 (ko) 공기조화기
KR10087390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57588B1 (ko) 벽걸이용 에어컨
JPH11287474A (ja) 窓型エアコンのファンケ―シング
KR100653785B1 (ko) 공기조화기
KR100289493B1 (ko) 공기조화기용환기구의이물유입방지구조
KR19990036842U (ko) 공기조화기의 증발수 배수구조
KR200270057Y1 (ko) 댐퍼부재를 갖춘 공기조화기
JPH0541293Y2 (ko)
KR100393588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그릴
KR100310370B1 (ko) 공기조화기
KR101396407B1 (ko) 공기조화기
KR200229882Y1 (ko) 창문형에어컨의풍향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